리만 제타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에 대해 정의되는 디리클레 수열로, 소수와의 깊은 관계를 가지며 오일러 곱으로 표현된다. 이 함수는 해석적 연속성을 가지며, 함수 방정식과 자명하지 않은 영점을 갖는다. 리만 가설은 이 함수의 모든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위에 있다는 주장이며, 이는 현대 수학의 주요 난제 중 하나이다. 리만 제타 함수는 특수한 값과 일반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통계학, 물리학, 음악 튜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수치 계산을 위한 여러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으며, 한국 수학계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만 제타 함수는 인 모든 복소수 영역에서 정의되며, 해석적 연속을 통해 다른 복소수 값에 대해서도 정의된다. 여기서 이며, 와 는 실수이다. 일 때,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수렴하는 합 또는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리만 제타 함수는 -2, -4, ...에서 영점을 갖는다. 이들을 '''자명한 영점'''(trivial zero영어)이라고 하는데, 함수 방정식에서 사인|sin한국어 πs/2|π''s''/2한국어가 0이라는 사실로부터 그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비자명 영점은 그 분포가 덜 이해될 뿐만 아니라, 소수와 수론에서 관련된 대상에 대한 중요한 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받는다. 모든 비자명 영점이 '''임계띠'''(critical strip영어)라고 불리는 열린 띠 안에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집합 를 '''임계선'''(critical line영어)이라고 한다. 리만 가설은 모든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위에 있다고 주장하며, 수학에서 가장 위대한 미해결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89년, 코레이(Conrey)는 리만 제타 함수의 비자명 영점의 40% 이상이 임계선 위에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8]
2. 정의
리만 제타 함수는 실수부가 1보다 큰 임의의 복소수 에 대해, 다음과 같은 디리클레 수열로 정의된다.
:
이 무한급수는 의 영역에서 수렴하고, 위 식은 정칙함수를 정의한다. 리만은 제타 함수가 ''s'' ≠ 1인 모든 점에서 정의된 유리형 함수로 유일하게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으며, 리만 가설에 등장하는 제타 함수는 확장된 리만 제타 함수를 뜻한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40년에 의 양의 정수 값에 대해 위 급수를 고려했고, 이후 파프누티 체비쇼프는 정의를 로 확장했다.[3]
위 급수는 가 인 경우 절대 수렴하여 해석 함수로 수렴하고, 다른 모든 값에서는 발산 급수인 전형적인 디리클레 급수이다. 리만은 반평면 수렴에서 급수로 정의된 함수가 모든 복소수 값 로 해석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의 경우, 이 급수는 조화 급수이며 로 발산하고,
따라서 리만 제타 함수는 전체 복소 평면에서 유형 함수이며, 의 단순 극점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정칙 함수이며, 잉여는 1이다.
3. 해석적 연속
:
여기서 는 감마 함수이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의 양의 정수 값에 대해 위 급수를 고려했고, 이후 파프누티 체비쇼프는 정의를 로 확장했다.[3]
위 급수는 가 인 경우 절대 수렴하여 해석 함수로 수렴하고, 다른 모든 값에서는 발산 급수인 전형적인 디리클레 급수이다. 리만은 반평면 수렴에서 급수로 정의된 함수가 모든 복소수 값 로 해석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의 경우, 이 급수는 조화 급수이며 로 발산하고,
:
따라서 리만 제타 함수는 전체 복소 평면에서 유형 함수이며, 의 단순 극점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정칙 함수이며, 잉여는 1이다.
다음과 같이 야코비 세타 함수를 정의한다.
: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자이 함수( function)[61]를 정의할 수 있다.
:
이 함수를 통해 제타 함수의 해석적 연속과 다음의 함수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3. 1. 함수 방정식
리만 제타 함수는 다음 함수 방정식을 만족한다.[5]
:
여기서 는 감마 함수이다. 이 방정식은 복소 평면 전체에서 성립하는 유리형 함수의 등식이다. 이 방정식은 리만 제타 함수의 와 지점의 값을 연결하며, 특히 짝수 양의 정수와 홀수 음의 정수를 연결한다. 사인 함수의 영점 때문에, 함수 방정식은 가 각 짝수 음의 정수 에서 단순 영점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의 '''자명한 영점'''으로 알려져 있다. 가 짝수 양의 정수일 때, 우변의 곱 는 0이 아닌데, 이는 가 단순한 극점을 가지며, 이 극점이 사인 인자의 단순 영점을 상쇄하기 때문이다.[61]
이 함수 방정식은 베른하르트 리만이 1859년 논문 "주어진 크기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대하여"에서 확립했으며, 처음부터 해석적 연속을 구성하는데 사용되었다.
4. 성질
임계선상의 리만 제타 함수에 대해서는 Z 함수를 참조하라.영점 1/2 ± 14.134725 i 1/2 ± 21.022040 i 1/2 ± 25.010858 i 1/2 ± 30.424876 i 1/2 ± 32.935062 i 1/2 ± 37.586178 i 1/2 ± 40.918719 i
4. 1. 오일러 곱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리만 제타 함수가 소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
이 식은 오일러의 곱셈 공식이라 불리며, 등비급수와 산술의 기본 정리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그 증명은 다음과 같다.
:
양변에 를 곱하면
:
를 곱하기 전의 식과 곱한 후의 식을 서로 빼면,
:
:
우변의 분모에서 2의 배수가 모두 사라진다.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면,
:
우변의 분모에서 3의 배수가 모두 사라진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우변의 모든 소수의 배수를 없애면, 특정 합성수는 항상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산술의 기본 정리에 따라 분모가 합성수 또는 소수인 수가 모두 사라지고 마지막에는 1만 남는다. 즉,
:
:
:
따라서,
:
리만 제타 함수는 모든 자연수에 대한 무한급수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여러 방법으로 성질을 탐구할 수 있다. 이 함수는 오일러 곱을 통해 소수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식을 이용하면 소수의 비밀을 수학적으로 파헤칠 수 있기에, 중요하게 이용된다.
1737년, 오일러는 소수와 제타 함수의 관계를 발견하고, 다음 등식을 증명했다.
:
여기서 좌변은 로 정의되고, 우변의 무한 곱은 모든 소수 에 걸쳐 확장된다. 이러한 표현을 오일러 곱이라고 부른다.
:
오일러 등식의 증명은 등비수열 공식과 산술의 기본 정리만을 사용한다. 일 때 얻어지는 조화급수가 발산하므로, 오일러 공식은 무한히 많은 소수가 있음을 의미한다.[4]
오일러 곱 공식은 개의 임의로 선택된 정수가 서로소일 점근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단일 숫자가 소수 로 나누어질 확률은 이다. 따라서 개의 숫자가 모두 이 소수로 나누어질 확률은 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아닌' 확률은 이다. 서로 다른 소수에 대해, 이러한 가분성 사건들은 상호 독립적이다. 왜냐하면 후보 제수들이 서로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의 숫자가 서로소일 점근 확률은 모든 소수에 대한 곱으로 주어진다.
:
4. 2. 영점
함수 방정식에 따라, 리만 제타 함수는 음의 짝수에서 영점을 가진다. 이 영점들을 '''자명한 영점'''(trivial zero영어)이라고 한다.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영점들은 '''임계 구역'''(critical strip영어)에 존재한다.
:
임계 구역에서 '''임계 직선'''(critical line영어)은 다음과 같다.
:
임계 직선 위에는 무한히 많은 영점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계산된 모든 비자명 영점들은 임계 직선 위에 존재하고 있지만, 모든 영점들이 실제로 임계 직선 위에 있는지 여부는 아직 증명되거나 반증되지 못했다. 이는 리만 가설로, 현대 수학의 주요 난제 중 하나이다.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들은 해석적 수론에서 소수의 분포에 대한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소수 정리는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들에 대한 명제로 바뀌어 증명될 수 있다.[14]
영점 |
---|
1/2 ± 14.134725 i |
1/2 ± 21.022040 i |
1/2 ± 25.010858 i |
1/2 ± 30.424876 i |
1/2 ± 32.935062 i |
1/2 ± 37.586178 i |
1/2 ± 40.918719 i |
4. 3. 특수한 값
리만 제타 함수는 짝수 양의 정수에서 π의 거듭제곱과 유리수의 곱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ζ(2) = π²/6이다. 홀수 양의 정수에서의 값은 일반적으로 초월수로 추정되지만, ζ(3)은 무리수임이 증명되었다(아페리 상수). 음의 정수에서의 값은 베르누이 수와 관련되어 있다.작은 수에 대한 제타 함수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조화급수)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서 임계 온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 (원주율의 근사값을 구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 (아페리 상수)
- (플랑크 법칙으로부터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도출하는 적분 과정에서 사용된다.)
모든 양의 짝수 정수 에 대해,
:
5. 일반화
리만 제타 함수를 일반화한 몇 가지 제타 함수가 있다. 그중 가장 간단한 것은 후르비츠 제타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 함수는 일 때 리만 제타 함수가 된다.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로 간주될 수 있는 여러 관련 제타 함수가 있다. 여기에는 허위츠 제타 함수(수렴하는 급수 표현은 1930년 헬무트 하세에 의해 제공되었다.[58])가 포함된다. 이 함수는 q=1일 때 리만 제타 함수와 일치한다(허위츠 제타 함수의 합산 하한은 1이 아닌 0). 이외에도 디리클레 L-함수 및 데데킨트 제타 함수등이 존재한다. 다른 관련 함수는 제타 함수 및 L-함수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폴리로그는 다음과 같다.
:
이는 z=1일 때 리만 제타 함수와 일치한다.
레르히 초월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이는 z=1 및 q=1일 때 리만 제타 함수와 일치한다(레르히 초월 함수의 합산 하한은 1이 아닌 0).
다중 제타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러한 함수를 n차원 복소 공간으로 해석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함수가 양의 정수 인수를 취하는 특수한 값은 수론가에 의해 다중 제타 값이라고 불리며 수학과 물리학의 여러 분야와 연결되어 있다.
6. 응용
리만 제타 함수는 지프의 법칙, 지프-만델브로 법칙, 로트카의 법칙을 포함한 응용 통계학에 나타난다.
제타 함수 정규화는 양자장론에서 발산 급수와 발산 적분의 정규화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된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로, 카시미르 효과를 계산하는 한 가지 방법에서 리만 제타 함수가 명시적으로 나타난다. 제타 함수는 또한 동역학계의 분석에도 유용하다.[54] 음악 튜닝 이론에서, 제타 함수는 옥타브의 동음 분할 (EDOs)을 찾아 조화 급수의 음정을 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2, 19, 53과 같은 일반적인 선택이 있다.[56]
7. 수치 계산
고전적인 알고리즘은 1930년경 이전에 사용되었으며,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을 적용하여 양의 정수 ''n''과 ''m''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여기서 는 베르누이 수를 나타내며,
:
오차는 다음을 만족한다.
:
여기서 ''σ'' = Re(''s'')이다.[53]
현대적인 수치 알고리즘으로는 오딜리츠코-쇤하게 알고리즘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Jupyter Notebook Viewer
http://nbviewer.ipyt[...]
2017-01-04
[2]
웹사이트
The Riemann Hypothesis – official problem description
http://www.claymath.[...]
Clay Mathematics Institute
2014-08-08
[3]
서적
The Millennium Problems: The seven greatest unsolved mathematical puzzles of our time
Barnes & Noble
[4]
서적
How Euler Did It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7
[5]
서적
The Theory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Oxford Science Publications
[6]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functional equation of the zeta-function
http://www.mathnet.r[...]
Steklov Institute of Mathematics
2018-03-01
[7]
학술지
Rediscovery of Malmsten's integrals, their evaluation by contour integration methods and some related results
https://link.springe[...]
[8]
학술지
More than two fifths of the zeros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are on the critical line
http://www.digizeits[...]
[9]
웹사이트
Riemann Zeta Function Zeros
https://mathworld.wo[...]
2021-04-24
[10]
웹사이트
Zeros of ζ(''s'')
https://www.lmfdb.or[...]
[11]
학술지
An improved upper bound for the argument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on the critical line II
2014
[12]
학술지
Sur les zeros de la fonction ζ(s)
French Academy of Sciences
[13]
학술지
The Zeros of Riemann's Zeta-Function on the Critical Line
https://zenodo.org/r[...]
1921-09-01
[14]
학술지
Elementary methods in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prime numbers
[15]
학술지
Vinogradov's integral and bounds for the Riemann zeta function
[16]
학술지
Nonnegative trigonometric polynomials and a zero-free region for the Riemann zeta-function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osonic St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An accurate two-stream moment method for kinetic boundary layer problems of linear kinetic equations
1992
[19]
문서
Further digits and references for this constant are available at {{OEIS2C|id=A059750}}.
[20]
학술지
An antisymmetric formula for Euler's constant
http://home.earthlin[...]
2006-05-29
[21]
서적
Excursions in Number Theory
Dover Publications
1988
[22]
학술지
Value-Distribution of the Riemann Zeta-Function Along Its Julia Lines
2020-11-01
[23]
학술지
Theorem on the Universality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1975
[24]
학술지
Effective uniform approximation by the Riemann zeta-function
http://ddd.uab.cat/r[...]
2010
[25]
학술지
A Joint Universality Theorem for Dirichlet L-Functions
1982
[26]
서적
Value-Distribution of L-Functions
Springer
2007
[27]
학술지
Lower bounds for the maximum modulus of {{math|''ζ''(''s'')}} in small domains of the critical strip
[28]
학술지
Lower bounds for the maximum modulus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on short segments of the critical line
[29]
학술지
Density theorem and the behavior of the argument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30]
학술지
On the function {{math|''S''(''t'')}}
[31]
서적
Theory of Functions, Part Two
https://archive.org/[...]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947
[32]
학술지
On the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magnitude
[33]
문서
Trivial exceptions of values of {{mvar|s}} that cause removable singularities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roughout this article.
[34]
서적
Algebraic number theory
Springer
1999
[35]
학술지
Euler's constants for the Selberg and the Dedekind zeta functions
https://projecteucli[...]
[36]
웹사이트
A series representation for the Riemann Zeta derived from the Gauss-Kuzmin-Wirsing Operator
http://linas.org/mat[...]
2017-01-04
[37]
논문
Analytic continuation of Riemann's zeta function and values at negative integers via Euler's transformation of series
https://www.ams.org/[...]
[38]
논문
Expansions of generalized Euler's constants into the series of polynomials in {{pi}}−2 and into the formal enveloping series with rational coefficients only
[39]
논문
Three Notes on Ser's and Hasse's Representations for the Zeta-functions
http://math.colgate.[...]
[40]
논문
Sur une expression de la fonction ζ(s) de Riemann
[41]
논문
The Beauty of Nothingness
[42]
논문
On Maslanka's Representation for the Riemann Zeta Function
[43]
논문
On Differences of Zeta Values
[44]
논문
The High Precision Numerical Calculation of Stieltjes Constants. Simple and Fast Algorithm
[45]
논문
A New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Riemann Hypothesis
[46]
논문
Báez-Duarte's Criterion for the Riemann Hypothesis and Rice's Integrals
[47]
논문
Some remarks on the Báez-Duarte criterion for the Riemann Hypothesis
[48]
서적
Constructive, Experimental, and Nonlinear Analysi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on behalf of the Canadian Mathematical Society
2017-11-25
[49]
논문
The primorial and the Riemann zeta function
[50]
논문
Incomplete poly-Bernoulli numbers associated with incomplete Stirling numbers
[51]
웹사이트
A220335 - OEIS
http://oeis.org/A220[...]
2019-04-17
[52]
논문
Linear Combinations of Dirichlet Series Associated with the Thue-Morse Sequence
[53]
논문
Fast algorithms for multiple evaluations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54]
웹사이트
Work on spin-chains by A. Knauf, et. al
http://empslocal.ex.[...]
2017-01-04
[55]
웹사이트
Nearest integer to locations of increasingly large peaks of abs(zeta(0.5 + i*2*Pi/log(2)*t)) for increasing real t
https://oeis.org/A11[...]
2022-03-04
[56]
서적
Tuning, Timbre, Spectrum, Scale
Springer-Verlag London
2005
[57]
문서
Most of the formulas in this section are from § 4 of J. M. Borwein et al. (2000)
[58]
논문
Ein Summierungsverfahren für die Riemannsche {{mvar|ζ}}-Reihe
[59]
논문
One of the numbers ζ(5), ζ(7), ζ(9), ζ(11) is irrational
[60]
논문
La fonction zeta de Riemann prend une infinité de valeurs irrationnelles aux entiers impairs
[61]
웹사이트
http://mathworld.w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