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셸던 리 글래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셸던 리 글래쇼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1932년 뉴욕에서 태어나 코넬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약 상호작용 이론을 제안하여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참 쿼크의 존재를 예측하고 대통일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스탠퍼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하버드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초끈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턴 대학교 교수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보스턴 대학교 교수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미국의 인문주의자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인문주의자 - 마거릿 생어
    마거릿 생어는 미국의 여성 건강 운동가이자 피임 운동의 선구자로, 피임 정보 전파, 가족계획 클리닉 설립, 계획된 부모 연맹 설립에 기여했으나 우생학적 신념으로 논란이 되었다.
  • 이론물리학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이론물리학자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셸던 리 글래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셸던 글래쇼
201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글래쇼
출생일1932년 12월 5일
출생지뉴욕 시, 뉴욕, 미국
국적미국
학문 분야
분야이론물리학
모교코넬 대학교 (AB, 1954년)
박사 학위 논문 제목벡터 중간자는 기본 입자 붕괴에 있다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58년
박사 지도교수줄리언 슈윙거
알려진 업적전기약 작용
조지-글래쇼 모형
GIM 메커니즘
글래쇼 공명
드 루훌라-조지-글래쇼 쿼크 모형
카이랄 색깔
매우 특별한 상대성 이론
삼위일체
약한 초전하
약한 혼합 각도
초끈 이론 비판
직장보스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수상
수상 내역오스카르 클라인 기념 강연 (2017년)
리히트마이어 기념상 (1994년)
노벨 물리학상 (1979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 (1977년)
슬론 연구 펠로우십 (1962년)
개인 정보
배우자조앤 셜리 알렉산더 (1972년 결혼)
자녀4명

2. 생애

1932년 12월 5일 뉴욕에서 러시아유대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4][20] 그의 부모는 차르 체제 하의 러시아를 떠나 미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았으며, 아버지는 배관공으로 일하며 중산층 가정을 꾸렸다.

글래쇼는 브롱크스 과학고등학교에서 훗날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되는 스티븐 와인버그와 함께 공부했으며,[5] 1954년 코넬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195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줄리안 슈윙거의 지도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20]

1960년경 전약 상호작용에 관한 초기 이론을 제안했으며, 이는 압두스 살람, 스티븐 와인버그의 후속 연구와 함께 1979년 세 사람의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으로 이어졌다.[5] 또한 존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함께 참 쿼크의 존재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여를 했다.

초기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력을 쌓았고,[7][8] 1966년부터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2000년 명예교수가 되었다.[5]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객원 교수로도 활동했다.[5]

개인적으로는 조앤 셜리 알렉산더와 결혼하여 네 자녀를 두었다.[5] 그는 스스로를 "실천적인 무신론자"이자 민주당원이라고 밝혔으며,[16] 2003년 인본주의 선언에 서명한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다.[15] 2008년에는 다른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과 함께 조지 W. 부시 행정부에 기초 과학 연구 예산 증액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17] 글래쇼는 실험적 증명의 어려움을 이유로 초끈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원자 과학자 회보』의 스폰서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셸던 글래쇼는 1932년 12월 5일 뉴욕 맨해튼에서 태어났다.[4] 그의 부모는 러시아에서 이주한 유대인 이민자로, 벨라(결혼 전 성은 루빈)와 배관공인 루이스 글루초프스키였다.[4][20] 부모는 차르 치하 러시아 제국에서 유대인에게 가해지던 제약을 피해 자유와 기회를 찾아 뉴욕으로 이주했다. 아버지는 배관공으로 일하며 가족이 중산층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부모는 스스로 고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었지만, 자녀들의 교육에는 힘썼다.

글래쇼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에 관심을 보였다. 10살 때는 떨어지는 물체에 흥미를 느꼈고, 15살에는 직접 화학 실험을 하기도 했다. 그는 1950년 브롱크스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했는데,[4] 이곳에서 훗날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되는 스티븐 와인버그를 만났다.[5] 두 사람은 뉴욕 지하철로 통학하며 물리학에 대해 토론하곤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글래쇼는 와인버그와 함께 1950년 코넬 대학교에 진학하여 1954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5] 이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59년 줄리안 슈윙거의 지도 아래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20]

기간학교학위
1946년 ~ 1950년브롱크스 과학고등학교졸업
1950년 ~ 1954년코넬 대학교학사 (B.A.)
1954년 ~ 1959년하버드 대학교박사 (Ph.D.)



박사 학위 취득 후 글래쇼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NORDITA에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펠로우로 연구를 시작했고, 이곳에서 머레이 겔만을 만나 그의 권유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연구 펠로우로 활동했다.[6] 이후 학계에서 경력을 쌓아나갔다. 1961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었고,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7][8] 196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합류하여 1979년 유진 히긴스 물리학 석좌교수로 임명되었으며, 2000년 명예교수가 되었다.[5] 그는 또한 1974년 MIT 초빙 교수를 비롯하여 CERN,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 텍사스 A&M 대학교, 휴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등 여러 연구 기관 및 대학에서 객원 과학자 및 교수로 활동했다.[5]

2. 2. 학문적 경력

학력
기간학교학위비고
1946년 ~ 1950년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졸업스티븐 와인버그와 동기[5]
1950년 ~ 1954년코넬 대학교문학사 (B.A.)
1954년 ~ 1959년하버드 대학교물리학 박사 (Ph.D.)지도교수: 줄리안 슈윙거



195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글래쇼는 NORDITA에서 NSF 펠로우로 활동했으며, 이때 머레이 겔만을 만나 그의 권유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연구 펠로우로 일하게 되었다.[6]

1960년경, 글래쇼는 전약 상호작용에 관한 초기 이론을 제안했는데, 이는 이후 압두스 살람스티븐 와인버그에 의해 더욱 발전하여 1979년 세 사람이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기초가 되었다.[5] 또한 존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와 함께 참 쿼크의 존재를 예측하는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경력
기간소속 기관직위비고
1961년 ~ 1962년스탠퍼드 대학교조교수[7][8]
1962년 ~ 1966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부교수[7][8]
1966년 ~ 2000년하버드 대학교교수1979년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 임명, 2000년 명예교수[5]



이 외에도 글래쇼는 CERN,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MIT,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1964년 객원 연구원), 텍사스 A&M 대학교, 휴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닐스 보어 연구소(1964년 객원 연구원),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 1968년 객원 연구원) 등 여러 기관에서 객원 과학자 및 교수로 활동했다.[5]

글래쇼는 실험적 검증이 어렵다는 이유로 초끈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원자 과학자 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eng)의 스폰서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 3. 개인사

1932년 12월 5일 뉴욕 맨해튼에서 러시아유대인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의 부모, 벨라(결혼 전 성 루빈)와 루이스 글루초프스키는 차르 치하 러시아에서 유대인에게 가해지는 제약을 피해 자유와 기회를 찾아 뉴욕으로 이주했다. 아버지는 배관공으로 일하며 가족을 부양했고 중산층 생활을 유지했다. 부모는 스스로 고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었지만, 자녀들의 교육에는 힘썼다.

글래쇼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보였는데, 10살 때는 떨어지는 물체에 관심을 가졌고 15살에는 직접 화학 실험을 하기도 했다. 1950년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4] 이곳에서 훗날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게 되는 스티븐 와인버그를 만났다. 두 사람은 뉴욕 지하철로 통학하며 물리학에 대해 깊은 대화를 나누었다.[5]

고등학교 졸업 후 글래쇼와 와인버그는 같은 해 코넬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4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5] 이후 글래쇼는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노벨상 수상자인 물리학자 줄리안 슈윙거의 지도 아래 1959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

박사 학위 취득 후, 글래쇼는 코펜하겐의 NORDITA에서 NSF 박사후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 머레이 겔만을 만나 그의 권유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연구 펠로우십을 수행했다.[6] 1961년에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잠시 재직한 뒤,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부교수로 활동했다.[7][8]

1966년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합류했으며, 1979년에는 유진 히긴스 물리학 석좌교수로 임명되었다. 200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가 되었다.[5] 그는 학문적 경력 동안 CERN(1968년 객원),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MIT(1974년 초빙 교수),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1964년 객원), 텍사스 A&M 대학교, 휴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닐스 보어 연구소(1964년 객원) 등 세계 유수의 연구 기관 및 대학에서 객원 과학자 및 교수로 활동하며 폭넓은 연구 교류를 이어갔다.[5]

글래쇼는 조앤 셜리 알렉산더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5] 조앤의 여동생은 저명한 생물학자 린 마굴리스이며, 따라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한때 글래쇼의 처남이었다. 또한, 줄리안 슈윙거 밑에서 함께 박사 과정을 밟았던 수학자 다니엘 클레이트만 역시 조앤의 또 다른 여동생인 샤론과 결혼하여 글래쇼와 동서 지간이 되었다.

2003년 글래쇼는 인본주의 선언에 서명한 22명의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15] 그는 스스로를 "실천적인 무신론자"이자 민주당원이라고 밝혔다.[16] 2008년 5월에는 다른 19명의 미국인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과 함께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 에너지부 과학실, 국립 과학 재단,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에 대한 긴급 자금 지원 증액을 통해 기초 과학 연구 예산을 복원할 것을 촉구했다.[17] 이는 당시 행정부의 연구 개발 예산 삭감 움직임에 대한 과학계의 우려를 반영한 행동이었다.

글래쇼는 실험적인 증명이 어렵다는 점을 들어 초끈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핵 문제와 과학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원자 과학자 회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의 스폰서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3. 주요 연구 업적

셸던 글래쇼는 현대 입자물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여러 중요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그는 1961년 줄리안 슈윙거의 영향을 받아 전약력 통일 모델을 확장했으며,[9] 이는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제임스 비요켄과 함께 1964년 네 번째 쿼크인 참 쿼크의 존재를 예측하고, 1970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GIM 메커니즘을 발표하여 향미 변화 중성류 문제를 설명했다.

1973년에는 하워드 조지와 함께 최초의 대통일 이론(GUT)을 제안하여,[10] 표준 모형의 힘들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며, 이는 이후 통일 이론 연구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7년에는 페자 귈세이와 함께 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을 수상했다.[11][12]

3. 1. 전약력 이론

1961년, 글래쇼는 줄리안 슈윙거의 영향을 받아 단거리 중성류, Z0을 포함시켜 전약력 통일 모델을 확장했다.[9] 그가 제안한 SU(2) × U(1) 대칭 구조는 현재 받아들여지는 전약력 상호작용 이론의 기초를 형성하며, 이 발견으로 글래쇼는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제임스 비요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1964년에는 네 번째 쿼크인 참 쿼크의 존재를 처음으로 예측했다. 당시에는 4종류의 렙톤이 알려져 있었지만 쿼크는 3종류만 제안된 상황이었다. 1970년에 발표된 이들의 연구(GIM 메커니즘)는 두 쌍의 쿼크 (d, s)와 (u, c)가 존재함으로써 향미 변화 중성류(flavor-changing neutral currents)를 크게 상쇄하여, 3개의 쿼크만으로는 이론적으로 예측된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 쿼크의 예측은 또한 쿼크렙톤의 수가 불균등한 모든 양자장 이론에서 발생하는 기술적인 문제, 즉 이상 현상을 제거하는 데 기여했다.

1973년,[10] 글래쇼는 하워드 조지와 함께 최초의 대통일 이론(GUT)을 제안했다. 이들은 표준 모형의 게이지 힘을 SU(5) 리 군 그룹에 맞추고, 쿼크렙톤을 두 개의 간단한 표현으로 맞추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들의 이론은 에너지 변화에 따른 결합 상수의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패턴을 정성적으로 예측했고, 타당한 가정을 통해 3세대 렙톤쿼크 간의 대략적인 질량 비율 값을 제공했으며, 바리온 수 보존 법칙이 부정확하고 양성자가 불안정하다는 최초의 징후를 제시했다. 이 연구는 모든 미래의 통일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글래쇼는 1977년 페자 귈세이와 함께 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을 수상했다.[11][12]

3. 2. 참 쿼크와 GIM 메커니즘

제임스 비요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글래쇼는 1964년 네 번째 쿼크인 참 쿼크의 존재를 처음으로 예측했다. 이는 당시 4종류의 렙톤이 발견되었지만 쿼크는 3종류만 제안되었던 상황에서 나온 중요한 예측이었다. 1970년에 발표된 그들의 연구, 즉 GIM 메커니즘은 두 개의 쿼크 쌍(d, s)과 (u, c)가 존재함으로써 향미를 바꾸는 중성류 상호작용이 크게 억제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3개의 쿼크만을 기반으로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던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된 현상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또한, 참 쿼크의 예측은 쿼크와 렙톤의 수가 불균등한 모든 양자장 이론에서 발생하는 기술적인 문제, 즉 이상 현상(고전적인 장 이론의 대칭성이 양자 이론으로 전이되지 못하는 상황)을 제거하는 데 기여했다.

3. 3. 대통일 이론 (GUT)

1973년,[10] 글래쇼는 하워드 조지와 함께 최초의 대통일 이론(GUT)을 제안했다. 이들은 표준 모형의 게이지 힘들을 SU(5) 리 군이라는 하나의 그룹으로 통합하고, 쿼크렙톤들을 이 그룹의 두 가지 간단한 표현 방식으로 설명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들의 이론은 몇 가지 중요한 예측을 담고 있었다. 첫째, 서로 다른 힘들의 세기를 나타내는 결합 상수들이 에너지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패턴을 제시했다. 둘째, 몇 가지 타당한 가정을 바탕으로 3세대 렙톤쿼크 사이의 대략적인 질량 비율 값을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바리온 수 보존 법칙이 완벽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양성자가 실제로는 매우 긴 시간이 지나면 붕괴할 수 있다는 불안정성을 최초로 시사했다.

글래쇼와 조지의 이 연구는 이후 모든 대통일 이론 연구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4. 초끈 이론에 대한 비판

글래쇼는 실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예측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초끈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에 끈 이론 학자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활동을 벌였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13] TV 시리즈 ''우아한 우주''의 두 번째 에피소드 "String's the Thing"에서는 초끈 이론을 물리학과는 다른 학문으로 보며 "...원한다면 종양이라고 불러도 좋다..."고 말하기도 했다.[14]

보스턴 대학교 킬라찬드 명예 칼리지(2011년 봄)에서 글래쇼 교수의 KHC PY 101 에너지 수업

5. 수상 및 영예

wikitext

연도수상 및 영예 내역
1977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
1979노벨 물리학상
1980미국 성취 학회 황금 접시상[18]
2002미국 철학 학회 회원[19]
2011고에너지 및 입자물리학상
2017오스카 클라인 메달


6. 저서


  • ''제1회 대통일 워크숍: 뉴햄프셔 대학교 뉴잉글랜드 센터, 1980년 4월 10일–12일'' 편집, 폴 H. 프램튼 및 아심 이을디즈 공저 (1980)
  • ''제3회 대통일 워크숍,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1982년 4월 15일–17일'' 편집, 폴 H. 프램튼 및 헨드릭 반 담 공저 (1982)
  • ''상호작용: 입자 물리학자의 마음과 이 세상의 물질을 통과하는 여정'' (1988)
  • ''물리학의 매력'' (1991)
  • ''연금술에서 쿼크까지: 교양으로서의 물리학 연구'' (1994)
  • "[https://arxiv.org/abs/physics/9403001 필사적으로 초끈을 찾아서?]" 폴 긴스파르그 공저, ''현에 대한 리프: 끈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창작'' (2008)

참조

[1] 사전 Glashow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7-30
[2] 웹사이트 Glashow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30
[3] 사전 Glashow, Sheldon Le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01
[4] 백과사전 Sheldon Glashow http://www.britannic[...] 2012-07-27
[5] 웹사이트 Glashow's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2012-07-27
[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79 https://www.nobelpri[...] 2022-08-11
[7] 웹사이트 Glashow, Sheldon L. https://history.aip.[...] 2022-08-11
[8] 웹사이트 Sheldon Glashow https://www.jewishvi[...] 2012-07-27
[9] 논문 Partial-symmetries of weak interactions https://linkinghub.e[...] 1961-02-01
[10] 논문 Unity of All Elementary Particle Forces https://journals.aps[...] 1974-01-01
[11] 서적 Winners, the blue ribbon encyclopedia of award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12] 논문 Gürsey and Glashow share Oppenheimer memorial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1977-05-01
[13] 뉴스 Unstrung http://www.newyorker[...] 2006-10-02
[14] 웹사이트 NOVA interview http://pbs.org/wgbh/[...] 2012-07-27
[15] 웹사이트 Notable Signers http://www.americanh[...]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10-02
[16] 뉴스 Sheldon Glashow, Nobel Prize in Physics for the Electroweak Theory raed.academy/wp-cont[...] La Vanguardia 2017-06-20
[17] 웹사이트 A Letter from America's Physics Nobel Laureates https://fire.pppl.go[...] 2020-05-30
[18]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020-07-19
[1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7-08
[20] 백과사전 Sheldon Lee Glashow http://www.britannic[...] 2017-09-21
[21] 웹인용 Sheldon Glashow,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2009-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