숄더 키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숄더 키보드는 어깨에 걸고 연주하는 형태의 신시사이저로, 건반과 넥 부분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1795년 오르피카를 기원으로 보기도 하며, 1980년대 롤랜드, 야마하 등 주요 제조사들이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며 대중화되었다. 1980년대 글램 메탈, 신스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롤랜드 AX-Synth, 알레시스 Vortex와 같은 현대적인 모델이 출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반악기 - 하프시코드
하프시코드는 건반 악기로, 플렉트럼으로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음높이의 현과 레지스터를 통해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피아노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 20세기에 부활하여 고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 건반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숄더 키보드 | |
---|---|
개요 | |
![]() | |
정의 |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스트랩으로 지지되는 전자 키보드 |
특징 | 연주자가 가슴에 들고 다닐 수 있는 가벼운 키보드 |
역사 | |
어원 | 키보드(keyboard)와 기타(guitar)의 합성어 |
초기 모델 | 1970년대 후반 얀 해머가 사용한 Moog Liberation 웨인 샤터가 사용한 Cordovox CME-1 |
대중화 | 1980년대 |
대표 모델 | Roland AX-60 Yamaha SHS-10 |
최근 모델 | Alesis Vortex |
연주자 | |
유명 연주자 | 얀 해머 허비 행콕 스티비 원더 워렌 힐 조던 루데스 마크 데이비스 매튜 벨라미 레이디 가가 브리짓 멘들러 |
기타 정보 | |
참고 문헌 | Stuart Donnelly, "TASC Test Assessing Secondary Completion For Dummies" (2016) |
2. 역사
키타의 역사는 18세기 말 휴대용 피아노에서 시작하여, 1980년대 신시사이저 기술과 결합하며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1970년대 전반, 에드가 윈터가 ARP 2600용 컨트롤러에 스트랩을 달아 숄더 키보드로 사용했다. 이후 유토피아의 로저 파웰 등이 신스용 컨트롤러인 "프로브"를 개발했고, 얀 해머가 커스터마이즈하여 사용했다. 일본의 힐우드는 61건반 키보드에 스트랩을 단 RB-1을 발매했고,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는 클라비터나 무그·리버레이션과 같은 숄더 키보드가 발매되어, 허비 행콕이나 조지 듀크 등의 사용으로 숄더 키보드가 알려지게 되었다.[4]
한때 모든 모델이 제조되지 않아 절판되었으나, 최근 롤랜드나 코르그에서 신모델이 발표되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숄더 키보드는 크게 음원 일체형과 컨트롤러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음원은 일반 신시사이저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디지털 음원이 있다. 컨트롤러는 MIDI 신호 발신용 건반과 스위치만 장착되어, 외부 MIDI 대응 음원 모듈에 연결하여 소리를 낸다. 저가형 모델은 음원과 스피커를 내장하여 단독으로 소리를 낼 수 있다.
숄더 키보드는 기타 형태를 모티브로, 넥(그립)에 각종 이펙트 기능 스위치가, 바디에 건반이 위로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드러머처럼 정해진 위치에 있던 키보디스트가 기타리스트나 베이시스트처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어, 과거 많은 키보디스트들이 콘서트나 음악 프로그램에서 사용했다.
2. 1. 초기 역사 (18세기~1970년대)
오르피카는 1795년 비엔나에서 발명된 소형 휴대용 피아노로, 현대 키타와 비슷한 자세로 연주되었다. 1852년에 처음 등장한 피아노 아코디언은 끈으로 착용하고 연주자의 왼손으로 펌핑하는 리드 오르간의 소형 버전이었다. 1963년 동독의 벨트마이스터(Weltmeister)는 키타 형태의 일렉트릭 베이스 피아노인 바셋(Basset)을 출시했다.[4]1966년 스웨덴의 요 Mustad AB는 튜브형 전자 오르간인 튜본(Tubon)을 출시했다. 이 악기는 어깨에 끈을 걸고 서거나 앉아서 연주할 수 있었으며, 오른손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쪽에 절반 크기의 건반이 있었다. 반대쪽 끝 "넥" 부분에는 왼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컨트롤이 있었고, 튜브 끝에는 스피커가 있었다.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와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이 악기를 사용했다.[4]
1970년대 초, 에드가 윈터(Edgar Winter)는 종종 목에 건반을 걸고 공연했지만, "넥"이 없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키타는 아니었다. 그는 실제로 ARP 2600 키보드와 어깨끈이 추가된 가벼운 Univox 전자 피아노를 사용했다.[4]
2. 2. 키타의 발전과 대중화 (1970년대~1990년대)
1970년대 초, 에드가 윈터는 ARP 2600 키보드와 Univox 전자 피아노에 어깨끈을 달아 사용하며 키타 연주의 선구적인 모습을 보였다.[5]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숄더 키보드가 상업적으로 출시되기 시작했다.제품명 | 특징 | 출시년도 | 비고 |
---|---|---|---|
Hillwood RockeyBoard RB-1 | VCF가 있는 신시사이저 피아노 | 1977년 | 에드가 윈터의 영향으로 출시[5] |
PMS Syntar | 초기 숄더 키보드 신시사이저 | 1979년 | 조지 맷슨 출시, NAMM 국제 음악 및 음향 엑스포 전시[6] |
데이비스 Clavitar | 컨트롤러 | 1980년대 초 | 조지 듀크, 허비 행콕 사용 |
Powell Probe | 컨트롤러 | 로저 파월 디자인 | |
Royalex Probe | 컨트롤러 | 1980년대 초 | 얀 해머 개발 도움 및 사용 |
(자세한 내용은 숄더 키보드 목록 참조)
1980년대에는 롤랜드(Roland), 야마하(Yamaha), 코르그(Korg) 등 주요 악기 제조사들이 다양한 키타 모델을 출시하며 키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얀 해머는 ''Royalex PROBE'' 등 숄더 키보드를 자주 사용했으며, "''마이애미 바이스'' 테마" 뮤직 비디오에서도 사용하는 모습이 보인다. 1980년에 출시된 "Moog Liberation"은 가장 널리 알려진 초기 숄더 키보드 중 하나이다.
1980년대 숄더 키보는 글램 메탈 밴드뿐만 아니라 신스팝, 뉴 웨이브, 일렉트로 음악가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1990년대에는 음악 트렌드의 변화로 키타의 인기가 잠시 감소했지만, 2000년대 후반 블랙 아이드 피스, 다마스 그라티스, 플라이트 오브 더 콘코드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다시 키타를 사용하며 부활했다.
2. 3. 현대의 키타 (2000년대~현재)
무선 프로 키보드]]2010년, Mad Catz는 Rock Band 3용 무선 프로 키보드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25건반 벨로시티 감지 MIDI 호환 숄더 키보드 컨트롤러로, 게임뿐만 아니라 실제 연주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9] 신스팝 밴드 Freezepop이 무대에서 사용하기도 했다.[11]
2012년, Alesis는 Alesis Vortex를 출시하며 "키타"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모델은 8개의 벨로시티 감지 드럼 패드/샘플 트리거를 내장하여 연주자가 비트를 만들거나 클립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넥을 기울여 MIDI 매개변수를 제어할 수 있는 가속도계를 탑재했다.
현재 숄더 키보드는 크게 음원 일체형과 음원을 내장하지 않은 컨트롤러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음원 부분은 일반 신시사이저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음원, 디지털 음원 기종이 있다. 컨트롤러 기종은 MIDI 신호 발신을 위한 건반과 스위치만 장착되어 있어, 본체만으로는 소리를 낼 수 없다. 외부 MIDI 대응 음원 모듈에 연결하여 소리를 내는 구조이다. 저가형 모델 중에는 음원과 스피커를 내장하여 단독으로 소리를 낼 수 있는 제품도 있다.
숄더 키보드는 기타의 모습을 모티브로 한 형상으로, 기타의 넥이나 헤드에 해당하는 부분(그립)에 각종 이펙트 기능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바디에 해당하는 부분에 건반이 위로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드러머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위치에 머물러 있는 키보디스트가 기타리스트나 베이시스트처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한때 모든 모델이 제조되지 않아 구하기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롤랜드나 코르그에서 신모델이 발표되는 등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3. 주요 제조사 및 모델
숄더 키보드의 주요 제조사 및 모델은 다음과 같다.
thumb]]
"키타"라는 용어는 이 악기가 처음 소개된 이후부터 사용되었지만, 2012년까지 주요 제조업체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2] 알레시스 회사가 이 유형의 첫 번째 제품인 "Vortex"를 "USB/MIDI 키타 컨트롤러"라고 부르면서부터이다.[3]
무그 리버레이션(Moog Liberation)은 1980년 무그 뮤직(Moog Music)에서 출시되었으며, 대량 생산된 최초의 숄더 신디사이저로 여겨진다.[7]
롤랜드 SH-101(Roland SH-101)은 1980년대 초에 출시된 소형 32건반 단성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이다. 숄더 스트랩을 연결하고 피치 벤드 휠과 피치 변조 트리거가 있는 작은 손잡이를 사용하면 SH-101은 키타가 된다.
1987년에 출시된 야마하 SHS-10(Yamaha SHS-10)은 32개의 미니 키가 있는 작은 키보드와 피치 벤드 휠, 6음 폴리포니로 25개의 다른 보이스를 제공하는 내부 주파수 변조 신디사이저를 갖추고 있다. 더 큰 모델인 야마하 SHS-200(Yamaha SHS-200)은 이듬해 출시되었으며 49개의 건반과 듀얼 스테레오 스피커가 제공되었다.[8]
4. 구조 및 기능
키타는 크게 음원 일체형과 음원을 내장하지 않은 컨트롤러형으로 분류된다. 음원 부분은 일반 신시사이저와 같이 아날로그 음원, 디지털 음원 등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형은 미디(MIDI) 신호를 통해 외부 음원 모듈과 연결하여 소리를 낸다. 넥 부분에는 피치 벤드, 비브라토, 포르타멘토, 서스테인 등 다양한 컨트롤이 배치되어 있다.[2] 일부 저가형 모델은 음원과 스피커를 내장하여 단독으로 소리를 낼 수 있다.
5. 대한민국에서의 키타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키타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1980년대 후반 소방차와 같은 그룹이 키타를 활용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였다.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다시 키타를 사용하며 키타의 인기가 부활하고 있다. 2013년 부산에서 키타를 연주하는 여성의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ASC Test Assessing Secondary Completion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Wiley
2016
[2]
웹사이트
The Vortex: the world's first USB/MIDI Keytar Controller
https://newatlas.com[...]
2024-03-11
[3]
웹사이트
Alesis Vortex
http://alesis.com/vo[...]
[4]
웹사이트
The 'Tubon' Joh Mustad AB, Sweden, 1966
http://120years.net/[...]
2015-11-09
[5]
웹사이트
Rockeyboard RB-1
https://web.archive.[...]
Hillwood Musical Instrument/Zen-On
2011-12-28
[6]
웹사이트
The Performance Music Systems Syntar
http://www.carbon111[...]
2011-12-28
[7]
논문
KEYTARS PAST AND PRESENT
http://www.keyboardm[...]
2010-09
[8]
웹사이트
SHS-200
https://www.yamaha.c[...]
Yamaha
2022-03-20
[9]
잡지
Hands On: Rock Band 3 Adds Keyboards, Realistic Pro Mode
https://www.wired.co[...]
2010-06-11
[10]
웹사이트
Hands-on: Rock Band 3's Keytar, a Surprisingly Serious $80 MIDI Keyboard
http://createdigital[...]
2010-10-27
[11]
웹사이트
Freezepop Rocks The Rock Band 3 Keyboard
http://kotaku.com/56[...]
Kotaku
2010-10-20
[12]
문서
등록번호 제2221725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