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생제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생제넷은 콩고강 동쪽 열대 우림 지역에 서식하는 사향고양이의 일종이다. 짙은 밤색 털과 흰 반점이 있는 머리, 검은색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향고양이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주로 담수어와 갑각류를 먹으며, 땅거미가 질 때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생제넷에 대한 주요 위협은 불분명하며, 콩고 정부에 의해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기재된 포유류 - 쿠바큰깔때기귀박쥐
    쿠바큰깔때기귀박쥐는 깔때기귀박쥐과에 속하는 취약종 박쥐로, 형태학적 보수성과 제한된 서식지, 인간의 간섭, 서식지 손실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1919년 기재된 포유류 - 다게스탄소나무밭쥐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포유류 - 오카피
    오카피는 기린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콩고 민주 공화국에 서식하며, 초콜릿색 털과 얼룩말과 유사한 줄무늬를 가지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수생제넷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수생제넷
학명Genetta piscivora
명명자(Allen, 1919)
보전 상태
IUCN준위협 (NT)
IUCN 3.1e.T15628A45201673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사향고양이과
아과사향고양이아과
제넷속
수생제넷 (G. piscivora)
분포
수생제넷 분포 지역

2. 분포 및 서식지

수생사향고양이는 콩고강 동쪽의 열대우림과 해발 460m에서 1500m 고도의 초포 구역에서만 기록되었다.[2][3] 우간다에서는 확실하게 기록된 바가 없다.[2][3] 과거 기록에 따르면 이들의 서식지는 콩고 분지의 폐쇄된 상록수림 저지대 및 준산림으로 제한될 것으로 예측된다.[8]

3. 형태

수생사향고양이의 길고 빽빽한 털은 반점이나 띠가 없는 짙은 밤색을 띤다. 머리는 옅은 갈색을 띠며, 주둥이 측면과 눈 위, 아래에 흰 반점이 있고, 눈은 좁은 검은색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다. 귀 안쪽은 거의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는 길고 흰 털이 있으며, 바깥쪽은 검은색을 띤다. 숱이 많은 꼬리는 검은색이며 옅은 갈색의 하부 털이 있다. 발바닥은 털이 없다. 이러한 특징은 다른 사향고양이 종들과 뚜렷하게 다르다.[5] 비공과 후구는 다른 사향고양이보다 작아서 후각이 덜 발달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3] 날카로운 이빨은 어식성에 적응했음을 나타낸다.[7]

두 성체 수컷은 머리와 몸통 길이가 44.5~49.5cm이고 꼬리 길이가 34~41.5cm로 측정되었다. 한 수컷의 무게는 1.43kg이고, 암컷의 무게는 1.5kg이었다.[4]

3. 1. 크기

4. 생태 및 습성

수생제넷은 단독 생활을 하며 땅거미가 질 때 활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4] 주로 메기, 잉어과 어류인 바벨, 스퀴커, 잉어를 포함한 담수어와 갑각류를 먹고 산다.[3][4] 수염으로 물고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수염으로 물 표면을 두드려 물고기를 유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12월에 임신한 암컷이 발견된 적이 있다.[9] 그러나 임신 기간, 번식 및 새끼의 발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4]

4. 1. 번식

5. 위협 요인

수생사향고양이에 어떠한 주요 위협이 있는지 불분명하다.[2] 이투리 우림에 거주하는 피그미족이 설치한 올가미에 걸려 잡히기도 한다.[9]

6. 보존

1979년 콩고 정부는 수생제넷을 전면 보호종으로 지정했다.[4] 오카피 야생동물 보호구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

참조

[1] 서적
[2] 간행물 Genetta piscivora 2021-11-19
[3] 논문 Osbornictis piscivora
[4] 서적 Genetta piscivora Aquatic Genet Bloomsbury, London, UK 2013
[5] 논문 Preliminary notes on African Carnivora 1919
[6] 논문 First molecular evidence for reassessing phylogenetic affinities between genets (Genetta) and the enigmatic genet-like taxa Osbornictis, Poiana and Prionodon (Carnivora, Viverridae) 2004
[7] 논문 Integrative taxonomy and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genets (Carnivora, Viverridae, Genetta): a new classification of the most speciose carnivoran genus in Africa http://media.withtan[...] Springer 2005
[8] 논문 Modelling ecological niches from low numbers of occurrences: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poorly known viverrids (Mammalia, Carnivora) across two continents 2007
[9] 논문 Observations on the aquatic genet in Zaire 1978
[10] 서적
[11] 논문 Osbornictis piscivora 1988
[12] 서적 Genetta piscivora Aquatic Genet Bloomsbury, London, UK 2013
[13] 간행물 Genetta piscivora
[14] 논문 Preliminary notes on African carnivora 1919
[15] 논문 First molecular evidence for reassessing phylogenetic affinities between genets (Genetta) and the enigmatic genet-like taxa Osbornictis, Poiana and Prionodon (Carnivora, Viverridae)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