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심 측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심 측량은 해양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술로, 해저 지형을 파악하고 해도 제작에 필수적이다. 초기에는 로프나 케이블을 사용하여 수심을 측정했지만, 오늘날에는 음향 측심기, 레이더, 위성 등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측량이 이루어진다. 음향 측심기는 음파를 사용하여 해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멀티빔 음향 측심기는 해저 지형을 즉시 등심선도로 작성할 수 있다. 항공 레이저 측심은 얕은 해역에서 사용되며, 위성은 해저 지형을 매핑하는 데 사용된다. 수심 측량 데이터는 해도의 제작, 해양 및 해저 연구, 수중 지진 및 화산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도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도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지형학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지형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해양학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수심 측량
개요
정의호수나 해양 바닥의 수심을 측정하고 지도를 작성하는 학문
관련 분야해양학
지리학
수로학
지질학
목적해저 지형 파악
항해 안전 확보
해양 자원 개발
해양 환경 연구
역사
초기추를 단 줄을 사용하여 수심 측정
20세기음향 측심기(소나) 개발 및 사용
현대다중 빔 음향 측심기
항공 레이저 측량 (LIDAR)
인공위성 기반 수심 추정 기술 활용
기술 및 장비
음향 측심기 (소나)음파를 이용하여 수심 측정
단일 빔 음향 측심기한 번에 한 지점의 수심 측정
다중 빔 음향 측심기넓은 영역의 수심을 동시에 측정, 고해상도 해저 지형 자료 획득
항공 레이저 측량 (LIDAR)항공기에서 레이저를 발사하여 수심 측정, 얕은 수심 지역에 효과적
인공위성 기반 수심 추정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심 추정,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 가능
활용 분야
해양학해류, 조류 연구 및 해양 환경 모델링
수로학해도 제작 및 항해 안전 정보 제공
해양 공학해저 구조물 설계 및 시공
해양 자원 개발해저 광물 자원 탐사 및 해양 에너지 개발
환경 보호해양 오염 감시 및 해양 생태계 연구
연안 관리연안 침식 방지 및 해안선 관리
해양 고고학침몰선 및 해저 유적 탐사
자료 처리 및 분석
자료 보정조석 보정
음속 보정
자세 보정
자료 분석수심 자료의 통계적 분석
해저 지형 모델링
3차원 시각화
지도 제작수심 등고선도
음영 기복도
3차원 해저 지형도
과제 및 전망
과제깊은 해저 지역의 정확한 수심 측정
해저면의 복잡한 지형 및 해양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자료 처리 및 분석 기술의 고도화
비용 효율적인 측량 기술 개발
전망무인 해양 탐사 기술 발전
인공지능 기반 자료 분석 기술 개발
실시간 해저 지형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전 지구 해저 지형 지도 완성

2. 해저 지형

해저 지형은 육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기복을 보인다.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와 같은 대륙 주변부 지형, 심해저 평원, 해구, 해령과 같은 대양저 지형, 그리고 해산, 기요, 열수구와 같은 해저 화산 지형으로 구분된다.[1]

3. 측정

오늘날 수심 측량은 보트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보트에 장착된 음향 측심기(음파 탐지기)는 해저를 향해 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원격 감지 LIDAR 또는 LADAR 시스템은 빛을 이용하며, 주로 항공 시스템에서 수행된다.[7]

위성 레이더는 해저 산, 능선 등의 중력에 의한 해수면 변동을 감지하여 심해 지형을 매핑한다. 해수면은 심해 평원과 해구보다 산과 능선에서 더 높다.[8]

미국에서는 미국 육군 공병대가 내륙 수로 조사를,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해양 수로 조사를 수행한다. 해안 수심 측량 데이터는 NOAA의 국립 지구물리 데이터 센터(NGDC) (현재 국립 환경 정보 센터에 병합)에서 확인할 수 있다.[9] 수심 측량 데이터는 조수 수직 기준면을 참고한다.[10] 심해 수심 측량은 평균 해수면(MSL)을, 항해 도표는 미국에서 평균 저조위(MLLW), 다른 국가에서는 최저 천문 조석(LAT)을 기준으로 한다.

수심 측량 관련 직업은 해양 및 해저 암석, 광물, 수중 지진, 화산 연구 등을 포함한다. 수심 측량 측정 및 분석은 현대 수로학의 핵심이며, 전 세계 상품의 안전한 운송에 필수적이다.[6]

3. 1. 전통적인 방법

원래 수심 측량은 해양 깊이를 수심 측심을 통해 측정하는 것을 포함했다. 초기 기술은 미리 측정된 무거운 로프 또는 케이블을 배 옆으로 내리는 방식을 사용했다.[6] 이 기술은 한 번에 단일 지점의 깊이만 측정하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배의 움직임과 해류로 인해 선이 틀어져 정확하지 않다.

선박의 항해 및 정박에는 수심 확인이 필수적이며, 예로부터 그 측정이 시도되어 왔다.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로프 끝에 추를 단 도구 (수동 측심기, hand lead영어)를 배에서 늘어뜨려 해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21]

3. 2. 음향 측심

음향 측심은 음파 탐지기(소나)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배에 장착된 음향 측심기는 해저를 향해 음파를 발사하고, 이 음파가 해저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심을 계산한다.[7]

과거에는 미리 측정된 무거운 로프나 케이블을 배 옆으로 내려서 수심을 측정하는 방식(수동 측심기, hand lead영어)이 사용되었다.[6] 하지만 이 방식은 한 번에 한 지점의 깊이만 측정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었고, 배의 움직임이나 해류의 영향으로 정확도도 떨어졌다.

1930년대 초부터는 단일 빔 음향 측심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단일 빔 음향 측심기는 하나의 음파 빔을 사용하여 수심을 측정한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초음파를 이용한 음향 측심기에 의한 측정이 일반화되었다.[21]

최근에는 항공기를 이용한 레이저 측정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얕은 해역에만 적용할 수 있지만, 측량선이 진입할 수 없는 매우 얕은 해역에서도 측량 가능하며, 고속 항공기를 사용하므로 작업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21]

3. 2. 1. 멀티빔 음향 측심기 (MBES)

오늘날에는 멀티빔 음향 측심기(MBES)가 주로 사용된다. 이는 부채꼴 모양의 스왐스 폭(일반적으로 90~170도)으로 배열된 수백 개의 매우 좁은 빔(일반적으로 256개)을 사용한다. 좁은 개별 빔의 조밀한 배열은 매우 높은 각도 분해능과 정확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깊이에 따라 달라지는 넓은 스왐스는 단일 빔 음향 측심기보다 더 적은 횟수로 지나가면서 보트가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해저를 매핑할 수 있게 한다. 빔은 초당 여러 번 업데이트되어(일반적으로 수심에 따라 0.1–50 Hz) 해저의 100% 범위를 유지하면서 더 빠른 보트 속도를 허용한다. 자세 센서를 통해 바다 표면에서 보트의 롤 및 피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자이로컴퍼스는 선박의 요를 보정하기 위한 정확한 방위 정보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현대 MBES 시스템은 요뿐만 아니라 다른 역학 및 위치도 측정하는 통합 모션 센서 및 위치 시스템을 사용한다.[21] 보트에 장착된 GPS(또는 기타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NSS))는 지구 표면에 대한 측심을 배치한다. 수주도(수심에 따른 물 속 음속)는 온도, 전도도 및 압력과 같은 균일하지 않은 수주 특성으로 인한 사운드파의 굴절 또는 "광선 굴절"을 보정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위의 모든 요인뿐만 아니라 각 개별 빔의 각도를 보정하여 모든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 결과 측심 측정은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제한된 상황에서)으로 처리되어 해당 지역의 지도를 생성한다. 일부 조건을 만족하는 원래 측정값의 하위 집합(예: 가장 대표적인 가능성 있는 측심, 해당 지역에서 가장 얕은 측심 등) 또는 통합 디지털 지형 모델(DTM)(예: 표면으로 연결된 점의 정규 또는 불규칙한 그리드)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다른 출력이 생성된다.

3. 3. 항공 레이저 측심

항공기를 이용한 레이저 측정 기술은 얕은 해역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지만, 측량선이 진입할 수 없는 매우 얕은 해역에서도 측량이 가능하다. 또한 고속의 항공기를 사용하므로 작업 효율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21]

3. 4. 위성 영상

위성을 이용한 수심 측량은 해저 지형을 파악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연안 지역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초분광 및 다중 분광 센서를 활용하여 해저 바닥을 시각화할 수 있다.[11]

초분광(HS) 센서는 100개에서 200개 사이의 스펙트럼 밴드를 가지며, 각 밴드는 대략 5nm~10nm의 대역폭을 가진다. 이러한 센서는 연속적인 원격 영상과 분광법을 결합하여 엽록소, 플랑크톤, 염분, 수질, 용존 유기 물질 및 부유 퇴적물 등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다.[11] 대표적인 초분광 센서로는 AVIRIS (항공 가시광선/적외선 영상 분광계)와 HYPERION이 있다.

다중 분광(MS) 센서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소수의 밴드로 나누어 해저 지도를 작성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된다. 더 넓은 밴드 폭은 더 넓은 스펙트럼 범위를 허용하여 해양 특징을 시각적으로 감지하고 이미지의 스펙트럼 해상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11]

3. 4. 1. 고해상도 정사영상

고해상도 정사영상(HRO)은 사진의 특성과 기하학적 특성을 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의 결과물은 정사영상으로, 건물 기울기와 같은 지형 변위 보정이 포함된 축척 이미지이다. 이러한 보정은 수학 방정식, 센서 보정 정보, 디지털 표고 모델의 적용을 통해 이루어진다.[17]

정사영상은 동일한 대상의 여러 사진을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대상은 실제 고도와 객체의 기울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다. 이를 통해 보는 사람은 대상 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17]

고해상도 정사영상은 현재 '지상 매핑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오리건부터 멕시코까지 고해상도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정사영상은 이 지역에 대한 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것이다.[18]

4. 역사

매튜 폰테인 모리가 USS ''돌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행한 최초의 해양 수심 측량 지도(1853)


수심 측량의 초기 기술은 미리 측정된 무거운 로프나 케이블을 배 옆으로 내리는 방식을 사용했다.[6] 이 방법은 한 번에 한 지점의 깊이만 측정했기 때문에 비효율적이었고, 배의 움직임과 해류로 인해 선이 틀어져 정확도가 떨어졌다.

가장 초기의 수심 측정은 기원전 1800년경 이집트인들이 막대기를 이용해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에는 무게가 달린 줄을 사용했으며, 깊이를 간격별로 표시했다. 이 과정을 "사운딩(sounding)"이라고 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모두 한 지점에서 측정한 깊이에 제한되었고, 인접 지역의 중요한 변화를 쉽게 놓칠 수 있었다. 또한 정확도는 물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받았다. 조류는 추를 수직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었고, 깊이와 위치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은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렸으며 날씨와 해상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870년대 HMS ''Challenger''의 항해로 큰 개선이 이루어졌다. 와이어와 윈치를 사용하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더 깊은 수심을 측정했지만, 이는 여전히 한 번에 한 깊이만 측정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정확성을 위해 매우 낮은 속도가 필요했다.[19] 동력 윈치로 배치하고 회수하는 가중 와이어를 사용하여 더 깊은 수심을 측정할 수 있었다. 와이어는 저항이 적고 조류의 영향을 덜 받았으며, 늘어나는 정도가 적었고 상당한 깊이까지 자체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 튼튼했다. 윈치는 깊이가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경우 필요한 더 빠른 배치와 회수를 가능하게 했다. 와이어 드래그 측량은 신뢰성과 정확성 때문에 1990년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이 절차는 두 척의 배로 케이블을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부유물로 지지하고 케이블 깊이보다 얕은 장애물에 걸리도록 무게를 실었다. 이는 사운딩으로 놓칠 수 있는 항해 위험을 찾는 데 매우 유용했지만 비교적 얕은 깊이로 제한되었다.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는 단일 빔 음향 측심기를 사용하여 배 바로 아래 해저의 거리를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측정했다. 대략 평행한 선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데이터 포인트를 더 나은 해상도로 수집할 수 있었지만, 이 방법은 여전히 데이터 포인트 사이에 간격을 남겼으며, 특히 선 사이에서 그랬다. 해저 매핑은 음파를 사용하여 시작되었으며, 등심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초기 대륙붕 지형의 수심 측량 지도를 만들었다. 이는 해저 형태에 대한 첫 번째 통찰력을 제공했지만, 수평 위치 정확도와 부정확한 깊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했다.

3차원 음향 측심 지도


사이드 스캔 소나는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바닥 이미지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 기술은 스캔 너비 전체에 걸쳐 직접적인 깊이 측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했다. 1957년, 마리 타프는 브루스 찰스 히젠과 함께 세계 해양 분지의 첫 번째 3차원 물리 지도(physiographic map)를 만들었다. 타프의 발견은 컴퓨터의 발명과 거의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는 연구를 훨씬 쉽게 만들었으며, 세계 해양 연구도 포함된다. 멀티 빔 시스템의 개발로 소나 스와스(sonar swath)의 너비 전체에 걸쳐 더 높은 해상도로 깊이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변환기의 정확한 위치 및 자세 데이터를 통해 단일 통과로 여러 개의 고해상도 사운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미국 해군 해양학 사무소는 1960년대에 멀티 빔 기술의 기밀 버전을 개발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1970년대 후반에 기밀 해제된 상업용 버전을 획득하고 프로토콜과 표준을 수립했다. 멀티 빔 소나로 획득한 데이터는 해저에 대한 이해를 크게 높였다.

오늘날 수심 측량 지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보트의 측면 또는 아래에 장착된 음향 측심기(음파 탐지기)가 해저를 향해 음파를 "핑"하거나, 원격 감지 LIDAR 또는 LADAR 시스템에서 나온다.[7] 1930년대 초부터 단일 빔 음향 측심기를 사용하여 수심 측량 지도를 만들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멀티빔 음향 측심기(MBES)가 사용된다. 멀티빔 음향 측심기는 부채꼴 모양의 스왐스 폭으로 배열된 수백 개의 매우 좁은 인접 빔을 사용한다. 좁은 개별 빔의 조밀한 배열은 매우 높은 각도 분해능과 정확도를 제공한다.

1970년대의 미국의 랜드샛 위성과 이후 유럽의 센티넬 위성은 위성 이미지에서 파생될 수 있는 수심 측량 정보를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했다. NASA의 얼음, 구름 및 토지 고도 위성 2(ICESat-2)에 탑재된 고급 지형 레이저 고도계 시스템(ATLAS)은 지구 표면에서 반사된 레이저 광 펄스의 왕복 시간을 사용하여 표면의 고도를 계산하는 광자 계수 라이다이다. ICESat-2 측정은 선박 기반 소나 데이터와 결합하여 간격을 채우고 얕은 물의 지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박의 항해 및 정박에는 수심 확인이 필수적이며, 예로부터 그 측정이 시도되어 왔다.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로프 끝에 추를 단 도구 (수동 측심기, hand lead영어)를 배에서 늘어뜨려 해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20세기 후반부터는 초음파를 이용한 음향 측심기에 의한 측정이 일반화되었다. 최근에는 복수의 빔으로 동시에 주사함으로써, 해저 지형을 즉시 등심선도로 작도할 수 있도록 한 멀티빔 음향 측심기(MBES)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21]

이 외에, 항공기를 이용한 레이저에 의한 측정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얕은 해역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지만, 반대로 측량선이 진입할 수 없는 극 얕은 해역에서도 측량 가능하며, 또한 고속의 항공기를 사용하므로 작업 효율도 향상된다는 장점도 있다.[21]

5. 해도

해도는 바다의 깊이, 해안선, , 암초 등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지도로, 수심 측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해도 제작에는 다양한 정보가 활용되는데,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다.[1]

정보설명
해저 지형수심 측량으로 얻은 수심 정보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을 표현한다.
해안선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을 나타낸다.
항로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경로를 표시한다.
등심선같은 수심의 지점을 연결한 선으로, 해저 지형의 기복을 나타낸다.
암초, 침선 등 항해 위험물항해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표시한다.
항만 시설부두, 방파제 등 항만 시설물의 위치와 정보를 제공한다.
등대, 부표 등 항로 표지항해를 돕는 시설물의 위치와 정보를 제공한다.



해도는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며, 최근에는 전자해도(ECDIS)의 형태로도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1]

참조

[1] 문서 βαθύς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2] 문서 μέτρον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3] 간행물 Seafloor Mapping – The Challenge of a Truly Global Ocean Bathymetry 2019
[4] 웹사이트 How is bathymetric data used? https://oceanservice[...] 2024-12-16
[5] 서적 Marine geophhysics Wiley 1999
[6] 웹사이트 NGA Explains: What is hydrography? https://www.youtube.[...]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via YouTube 2018-11-07
[7] 간행물 Remote Sensing from Air and Space https://www.spiedigi[...] SPIE
[8] 간행물 Introductory Oceanography Prentice Hall College
[9] 웹사이트 Bathymetry and Global Relief http://www.ngdc.noa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2-07-08
[10] 웹사이트 Coastal Elevation Models http://www.ngdc.noa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2-07-08
[11] 문서 Seafloor Mapping Along Continental Shelves: Research and Techniques for Visualizing Benthic Environments 2016
[12] 웹사이트 What is LIDAR? https://oceanservice[...] National Ocean Service 2020-06-21
[13] 간행물 The emerging role of Lidar remote sensing in coastal research and resource management 2009
[14] 서적 Optical properties and remote sensing of inland and coastal waters. CRC Press, Boca Raton 1995
[15] 간행물 Monitoring of the sediment dynamics along a sandy shoreline by means of airborne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and LIDAR: a case study in Belgium 2008
[16] 문서 Seafloor Mapping Along Continental Shelves: Research and Techniques for Visualizing Benthic Environments. 2016
[17] 웹사이트 High Resolution Orthoimagery (HRO) https://lta.cr.usgs.[...] USGS 2015
[18] 웹사이트 Mapping California's Resources http://www.opc.ca.go[...] State of California Ocean Protection Council 2009
[19] 간행물 Seafloor Mapping – The Challenge of a Truly Global Ocean Bathymetry
[20] 서적 Seafloor Mapping Along Continental Shelves: Research and Techniques for Visualizing Benthic Environments 2016
[21] 웹사이트 第5回 水深の測り方 と 瀬戸内海の水深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第六管区海上保安本部 2012-03-03
[22] 문서 μέτρον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23] 웹인용 NGA Explains: What is hydrography? https://www.youtube.[...]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via YouTube 2018-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