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안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안궁주는 고려 명종과 의정왕후의 둘째 딸로, 고려 희종의 장모이자 강종의 누이이다. 1173년 언니 연희궁주와 함께 공주에 책봉되었으며, 1179년 창화후 왕우와 혼인했다. 명종의 총애를 받아 남편과의 불화가 있었으나, 1199년 달과 토성이 만나는 현상이 관측된 후 예언대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9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 1199년 사망 - 사이교의 딸
    사이교의 딸은 사이교의 딸이 있었다는 사실을 다루며, 동시대 문헌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지만 이름은 불명확하고, 『발심집』에는 출가 시 동생에게 맡겨 구조 민부경의 딸인 "레이제이 전"의 양녀가 되어 아마노 땅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에도시대의 『사이교모노가타리』에는 다양한 일화가 추가되었지만 후대 창작 가능성이 있고, 와카야마현 가쓰라기정 가미아마노에는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수안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고려 명종의 공주
별칭수안공주, 수안궁공주
배우자창화후 왕우
자녀왕현, 태자비 왕씨
아버지명종
어머니의정왕후 김씨
출생일미상
사망일1199년 6월 23일 (음력)
신분
본관개성 왕씨 (출생 및 혼인)
작호
작위명수안공주 (壽安公主)
수안궁공주 (壽安宮公主, 1173년)
가계
고려 명종
의정왕후 김씨
배우자왕우
자녀왕현, 태자비 왕씨
친척 관계왕우는 3종사촌

2. 생애

명종과 광정태후의 둘째 딸로, 은 왕, 본관개성이다. 의종, 신종 등의 조카이며, 강종의 친남매이다. 희종에게는 친사촌인 동시에 장모이다.[11]

모후 광정태후는 강릉공 왕온의 딸로, 의종비 장경왕후 및 신종비 선정태후와 친자매간이다. 따라서 장경왕후와 선정태후는 수안궁주의 백모, 숙모인 동시에 이모이다.[11]

1173년(명종 3년) 음력 4월 25일 언니(연희궁주)와 함께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어 그 를 '''수안궁공주'''(壽安宮公主)라고 하였다.[12] 1179년(명종 9년) 숙종의 아들 대방공 왕보의 증손자인[13] 창화후 왕우와 혼인하였다.[14] 창화후와 수안궁주는 서로 8촌간이며[15], 동시에 창화후가 수안궁주의 고모인 영화궁주의 아들이므로 고종사촌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이다.

1180년(명종 10년), 명종이 총애하는 궁녀 명춘(明春)이 죽자 명종은 슬픔을 참지 못하고 후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자가 없어, 수안궁주를 불러 여러 가지 일을 맡기고 밤낮으로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심지어 가끔 한 이불을 덮고 같이 자기도 하는 등 지극히 아꼈다. 이에 수안궁주의 남편인 창화후 왕우는 여러 달 동안 홀로 지내게 되어 분을 이기지 못하고 이혼하려고 하였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창화후를 수창궁(壽昌宮) 동편에 있는 태후의 행궁(行宮)에 머무르게 하고, 날마다 공주로 하여금 평상복 차림으로 가서 다독거리게 하였다. 그해 11월이 되어서야 명종은 공주를 자기 집으로 돌려보냈다.[8]

음력 1199년 4월 24일에 달과 토성이 서로 침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을 본 정통원(鄭通元)이라는 사람이 점을 쳐서 "금년 6월 하순에 여주(女主)의 상사(喪事)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주는 음력 1199년 6월 23일에 사망하였다.[9]

2. 1. 가계 및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인종고려 제17대 왕
조모공예왕후인종 제3비
외조부강릉공 왕온
부왕명종고려 제19대 왕
모후광정태후명종 제1비
오빠강종고려 제22대 왕
조카고종고려 제23대 왕
언니연희궁주
시아버지소성후 왕공
시어머니, 고모영화궁주
남편창화후 왕우
장남왕현
장녀태자비 왕씨
백부, 이모부의종고려 제18대 왕
백모, 이모장경왕후의종 제1비
숙부, 이모부신종고려 제20대 왕
숙모, 이모선정태후신종 제1비
사촌, 사위희종고려 제21대 왕



명종과 광정태후의 둘째 딸로, 은 왕, 본관개성이다. 의종, 신종 등의 조카이며, 강종의 친남매이다. 희종에게는 친사촌인 동시에 장모이다.[11]

모후 광정태후는 강릉공 왕온의 딸로, 의종비 장경왕후 및 신종비 선정태후와 친자매간이다. 따라서 장경왕후와 선정태후는 수안궁주의 백모, 숙모인 동시에 이모이다.[11]

2. 2. 공주 시절과 혼인

1173년(명종 3년) 음력 4월 25일 언니(연희궁주)와 함께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어 그 를 '''수안궁공주'''(壽安宮公主)라고 하였다[12]. 1179년(명종 9년) 숙종의 아들 대방공 왕보의 증손자인[13] 창화후 왕우와 혼인하였다[14]. 창화후와 수안궁주는 서로 8촌간이며[15], 동시에 창화후가 수안궁주의 고모인 영화궁주의 아들이므로 고종사촌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이다.

1180년(명종 10년) 명종이 총애하는 궁녀 명춘(明春)이 죽자 슬픔을 참지 못하고, 거느리는 후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자가 없었다. 그러자 둘째 공주를 불러들여 여러 가지 일을 관장하게 하고 밤낮으로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며, 가끔 한 이불을 덮고 같이 자기도 하는 등 지극히 아꼈다. 이에 사위인 창화후 왕우가 여러 달 동안 홀로 지내게 되어 분을 이기지 못하고 이혼하려고 하였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창화후를 불러 수창궁(壽昌宮)의 동편에 위치한 태후의 행궁(行宮)에 거처하게 하고, 날마다 공주로 하여금 평상복 차림으로 가서 다독거리게 하였다. 11월이 되어서야 공주를 자기 집으로 돌려보냈다.

2. 3. 명종의 총애와 남편과의 불화

1173년(명종 3년) 음력 4월 25일 언니(연희궁주)와 함께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어 그 를 '''수안궁공주'''(壽安宮公主)라고 하였다[12]. 1179년(명종 9년) 숙종의 아들 대방공 왕보의 증손자인[13] 창화후 왕우와 혼인하였다[14]. 창화후와 수안궁주는 서로 8촌간이며[15], 동시에 창화후가 수안궁주의 고모인 영화궁주의 아들이므로 고종 사촌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이다.

1180년(명종 10년), 명종이 총애하는 궁녀 명춘(明春)이 죽자 슬픔을 참지 못하였다. 명종은 거느리는 후궁 중에서 마음에 드는 자가 없자, 둘째 공주인 수안궁주를 불러들여 여러 가지 일을 관장하게 하고 밤낮으로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심지어 가끔 한 이불을 덮고 같이 자기도 하는 등 지극히 아꼈다. 이에 수안궁주의 남편인 창화후 왕우는 여러 달 동안 홀로 지내게 되어 분을 이기지 못하고 이혼하려고 하였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창화후를 불러 수창궁(壽昌宮)의 동편에 위치한 태후의 행궁(行宮)에 거처하게 하고, 날마다 공주로 하여금 평상복 차림으로 가서 다독거리게 하였다. 11월이 되어서야 명종은 공주를 자기 집으로 돌려보냈다.[8]

2. 4. 죽음과 예언

음력 1199년 4월 24일에 달과 토성이 서로 침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을 본 정통원(정통원|鄭通元한국어)이라는 사람이 점을 쳐서 "금년 6월 하순에 여주(女主)의 상사(喪事)가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공주는 음력 1199년 6월 23일에 사망하였다.[9]

3. 가족 관계

(고모)영화궁주남편창화후 왕우장남왕현장녀태자비 왕씨최충수에 의해 폐위[17]백부
(이모부)의종고려 제18대 국왕백모
(이모)장경왕후의종 제1비숙부
(이모부)신종고려 제20대 국왕숙모
(이모)선정태후신종 제1비사촌
(사위)희종고려 제21대 국왕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003년~2004년 KBS TV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배우 최하나가 연기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14
[2] 문서 《고려사》권19〈세가〉권19 - 명종 3년 4월 - 왕의 두 딸을 공주로 책봉하다
[3]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14
[5]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수안궁주
[6] 서적 https://books.google[...] Bakyeongsa 2006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9-08
[8] 서적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9] 서적 https://books.google[...] Yeogang Publishing House 1991
[10] 웹사이트 KBS '무인시대' 최하나, '수안공주'의 두얼굴 https://www.chosun.c[...]
[11]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조선공 왕도
[12] 문서 《고려사》권19〈세가〉권19 - 명종 3년 4월 - 왕의 두 딸을 공주로 책봉하다
[13]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대방공 왕보
[14]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수안궁주
[15] 문서 수안궁주 ← 명종 ← 인종 ← 예종 ← 숙종 → 대방공 → 왕유 → 소성후 → 창화후
[16] 문서 《고려사》권48〈지〉권2 - 천문2 - 월오성능범급성변(月五星凌犯及星變)
[17] 문서 《[[고려사]]》 권129, 열전 권제42, 반역(叛逆), [[최충헌|'''최충헌''']](崔忠獻)
[18] 웹인용 《고려사절요》제13권 - 명종광효대왕 2 http://db.itkc.or.kr[...] 2018-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