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야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야브는 7세기 서돌궐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 상의 중요한 도시였다. 당나라에 의해 점령되어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카를루크, 위구르, 튀르크족의 지배를 받았다. 11세기 초 발라사군으로 대체된 후 버려졌으며,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남아있다. 유적지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불교,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등 다양한 종교적 유물과 함께 중국, 튀르크, 소그드 문화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유적 - 이식쿨호
    이식쿨호는 키르기스스탄 북동부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고산 호수로, 118개의 강이 유입되지만 하구가 없으며, 과거 실크로드의 기착지였고 현재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키르기스스탄의 유적 - 발라사군
    발라사군은 7세기에서 14세기 텐산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당나라 시대 돌궐의 거점, 카라한 왕조의 동부 수도, 서요의 수도였으며 현재 키르기스스탄 토크마크 인근에 유적이 남아있다.
  • 추이주 - 마나스 국제공항
    마나스 국제공항은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에 위치한 공항으로, 과거 프룬제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미군 기지로 사용되며 확장되어 현재는 민간 공항으로 국내외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추이주 - 발라사군
    발라사군은 7세기에서 14세기 텐산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당나라 시대 돌궐의 거점, 카라한 왕조의 동부 수도, 서요의 수도였으며 현재 키르기스스탄 토크마크 인근에 유적이 남아있다.
  • 튀르크족의 역사 - 오스만 왕조
    오스만 왕조는 1299년 오스만 1세가 건국한 술탄 통치 튀르크계 왕조로, 600년 이상 존속하며 넓은 영토를 지배했으나 1922년 멸망 후 오스만 가문은 튀르키예에서 추방되었고 장자 상속 제도를 유지하며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 튀르크족의 역사 - 오구즈 튀르크
    오구즈 튀르크는 '부족'을 뜻하는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중앙아시아 등지로 이동하여 다양한 튀르크 민족 형성에 기여하고 셀주크 제국, 오스만 제국 등 여러 왕조를 세운 튀르크계 민족 집단이다.
수야브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오르두켄트
위치키르기스스탄 추이 주
유형정착지
건설 시기5-6세기
폐쇄 시기11세기
상태폐허
지리
좌표좌표:
역사
관련 사건실크로드: 장안-톈산 회랑의 경로 네트워크의 일부
언어 정보
중국어(Suìyè)

2. 역사

통엽호가한(統葉護可汗) 때부터 서돌궐의 수도였다.

766년에는 카를루크에 함락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11세기 전후에 도시를 비우고 발라사군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2. 1. 초기 역사와 서돌궐 시대

통엽호가한(統葉護可汗) 통치 기간 동안 수야브는 서돌궐 카간국의 주요 수도였다.[6] 카간은 또한 탈라스 계곡의 타슈켄트 북쪽 샘 근처 나베카트에 여름 수도를 두었는데, 이 수도들은 서돌궐 카간국의 최서단 수도로 여겨진다.[7] 소그디아인들은 경제적 번영을 담당하고 돌궐은 도시의 군사적 안보를 담당하는 일종의 공생 관계가 있었다.

5~6세기에 소그디아나 상인들의 정착지가 실크로드를 따라 생겨났다. 도시의 이름은 추강에서 유래되었으며,[2] 그 기원은 이란어이다(페르시아어: ''suy''는 "~을 향하여" + ''ab''는 "물", "강"을 의미한다).[3] 이 도시는 629년 이 지역을 여행한 중국 순례자 현장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4][5]



대청호에서 북서쪽으로 500리를 여행하면, 수예강의 도시에 도착한다. 도시의 둘레는 6~7리이며, 주변 국가에서 온 다양한 호인("야만인") 상인들이 이곳에 모여 산다. 토양은 붉은 수수와 포도에 적합하며, 숲은 울창하지 않고 기후는 바람이 많이 불고 춥다. 사람들은 능직 양모 옷을 입는다. 수예에서 서쪽으로 여행하면 많은 고립된 마을이 있으며, 각 마을에는 족장이 있다. 이들은 서로 의존하지 않고 모두 돌궐에 복종한다.



카간국의 몰락 이후 수야브는 당나라에 흡수되었으며, 648년부터 719년까지 당나라의 서부 군사 전초기지였다. 679년에 중국 요새가 그곳에 건설되었고 불교가 번성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위대한 시인 이백이 수야브에서 태어났다고 한다.[8] 751년에 수야브를 방문한 중국 여행가 두환은 폐허 속에서 아시나 화이도의 딸 교하공주가 살았던 여전히 기능하는 불교 사원을 발견했다.[9][10]

수야브는 안서도호부의 4개의 수비대 중 하나였으며, 719년에는 조정에 의해 "충성스럽고 순종적인 카간"으로 임명된 술루 카간에게 넘겨졌다.[2][11] 738년 술루가 살해된 후, 그 도시는 타라스와 함께 당나라 군대에 의해 즉시 되찾았다.[12] 이 요새는 당나라와 토번 제국 간의 전쟁 동안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766년에는 카를루크 통치자에게 넘어갔으며, 이 통치자는 신생 위구르 카간국과 동맹을 맺었다.

수야브의 이후 역사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 특히 787년에 중국이 4개의 수비대를 철수한 후에는 더욱 그렇다. 데이비드 니콜은 수야브가 카를루크 군대에 8만 명의 전사를 제공했으며 "영웅왕"으로 알려진 사람이 통치했다고 말한다.[13] 983년에 완성된 후두드 알-알람은 수야브를 2만 명의 주민이 있는 도시로 기록하고 있다. 11세기 초에 발라사군에 의해 대체되었고 그 직후 버려진 것으로 여겨진다.

2. 2. 당나라 지배와 쇠퇴

통엽호의 통치 기간 동안 수야브는 서돌궐 카간국의 주요 수도였다.[6] 카간은 또한 탈라스 계곡의 타슈켄트 북쪽 샘 근처 나베카트에 여름 수도를 두었는데, 이 수도들은 서돌궐 카간국의 최서단 수도로 여겨진다.[7] 소그디아인들은 경제적 번영을 담당하고 돌궐은 도시의 군사적 안보를 담당하는 일종의 공생 관계가 있었다.

카간국의 몰락 이후 수야브는 당나라에 흡수되었으며, 648년부터 719년까지 당나라의 서부 군사 전초기지였다. 679년에는 당나라에 의해 점령되어 "#수엽진"으로 개칭되었고[25] 안서도호부의 4개의 수비대 중 하나로 여겨졌다.[23] 당나라 지배하의 수야브에서는 대규모 축성이 실시되었고, 측천무후의 치세에는, 수야브에 대운사가 건립되었다. 수야브는 유목민, 파미르 고원 이서의 국가와의 통교 거점이 되었지만, 튀르크족의 공격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21] 719년에는 조정에 의해 "충성스럽고 순종적인 카간"으로 임명된 술루 카간에게 넘겨졌다.[2][11] 738년 술루가 살해된 후, 그 도시는 타라스와 함께 당나라 군대에 의해 즉시 되찾았다.[12] 이 요새는 당나라와 토번 제국 간의 전쟁 동안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766년에는 카를루크 통치자에게 넘어갔으며, 이 통치자는 신생 위구르 카간국과 동맹을 맺었다. 당나라의 쇠퇴 후, 돌기시 (튀르기시)가 수야브를 점령하여 본거지로 삼고, 서방에서 진출하는 이슬람 세력에 대항했다.[21]

수야브의 이후 역사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 특히 787년에 중국이 4개의 수비대를 철수한 후에는 더욱 그렇다. 데이비드 니콜은 수야브가 카를루크 군대에 8만 명의 전사를 제공했으며 "영웅왕"으로 알려진 사람이 통치했다고 말한다.[13] 983년에 완성된 후두드 알-알람은 수야브를 2만 명의 주민이 있는 도시로 기록하고 있다. 카를루크가 대두한 10세기에는 국제 무역 도시의 기능은 발라사군으로 옮겨져, 수야브는 쇠퇴했다.[21] 11세기 초에 발라사군에 의해 대체되었고 그 직후 버려진 것으로 여겨진다.

2. 3.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통엽호가한(統葉護可汗) 때부터 서돌궐의 수도였다.

766년에는 카를루크에 함락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11세기 전후에 도시를 비우고 발라사군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3. 고고학적 유적

19세기에 악베심의 유적은 카라키타이의 수도인 발라사군으로 잘못 식별되었다. 1893~94년에 이 지역을 방문한 빌헬름 바르톨트 또한 이러한 식별에 지지를 보냈다.[16] 1938년에 발굴이 시작되었지만, 195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 유적이 11세기 초에 버려졌고, 14세기까지 번성했던 발라사군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17]

수야브의 고고학적 유적지는 약 30 헥타르를 덮고 있다. 수야브의 다양하고 활기찬 문화를 증명하듯, 이 유적지에는 중국 요새,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교회, 조로아스터교 납골당, 튀르크족 발발의 잔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유적지는 특히 불상과 비석의 발견이 풍부하다.[18] 여러 불교 사찰 외에도 7세기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와 묘지가 있었고, 아마도 소그드어위구르 문자로 된 프레스코화와 비문이 있는 10세기의 수도원도 있었을 것이다.[19]

3. 1. 악-베심 유적

19세기 악베심 유적은 카라키타이의 수도인 발라사군으로 잘못 알려졌었다. 1893~94년에 이 지역을 방문한 빌헬름 바르톨트 또한 이러한 주장에 동의했다.[16] 그러나 1938년 발굴이 시작된 이후, 1950년대에 이르러 이 유적이 11세기 초에 버려졌고, 14세기까지 번성했던 발라사군과는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17] 1953년부터 1954년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한 키즈라소프는 악-베심이 11세기에는 이미 버려진 도시이며, 14세기까지 번영을 유지했던 베라사군과는 다른 도시라고 결론짓고, 악-베심은 과거 수야브의 유적임을 증명했다 (논문 발표는 2003년).[26]

수야브의 고고학적 유적지는 약 30 헥타르에 달한다. 카키누마 요헤이는 악-베심 유적의 발굴 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해, 악-베심 도시 유적이 제1 샤흐리스탄(좌성), 제2 샤흐리스탄(우성)으로 나뉜다는 점, 전자가 소그드인 도시 유적이고, 후자가 당나라 시대에 수엽진으로 부가된 부분임을 지적했다.[27] 이 유적지에는 중국 요새,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교회, 조로아스터교 납골당, 튀르크족 발발의 잔해 등 다양하고 활기찬 문화의 흔적이 남아있다. 특히 불상과 비석이 많이 발견되었다.[18] 여러 불교 사찰 외에도 7세기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와 묘지가 있었고, 소그드어위구르 문자로 된 프레스코화와 비문이 있는 10세기 수도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인근의 크라스나야 레치카 유적에서도 비문이 출토되었으며, 그 해독을 통해 당나라 시대에 한자 문화권이 악-베심 유적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27]

3. 2. 유적 연구의 의의

19세기에 악베심의 유적은 카라키타이의 수도인 발라사군으로 잘못 식별되었으며, 빌헬름 바르톨트 또한 이러한 식별에 지지를 보냈다.[16] 그러나 1950년대에 이르러 이 유적이 11세기 초에 버려졌고, 14세기까지 번성했던 발라사군과는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17]

수야브의 고고학적 유적지는 약 30 헥타르에 달하며, 중국 요새,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교회, 조로아스터교 납골당, 튀르크족 발발의 잔해 등 다양하고 활기찬 문화를 증명하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불상과 비석이 많이 발견되었으며,[18] 7세기의 네스토리우스 교회와 묘지, 소그드어위구르 문자로 된 프레스코화와 비문이 있는 10세기 수도원도 있었다.[19]

4. 문화

참조

[1] 웹사이트 Silk Roads: the Routes Network of Chang'an-Tianshan Corridor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17
[2] 서적 Xue (1998)
[3] 웹사이트 Transboundary Chu-Talas http://www.talaschu.[...]
[4] 서적 Ji (1985)
[5] 간행물 Information of Chinese Written Sources about Suyab (Ak-Beshim) St. Petersburg 2002
[6] 백과사전 Turkic Khaganate
[7] 서적 Xue (1992)
[8] 간행물 China Reconstructs China Welfare Institute 1989
[9] 논문 An Ancient Chinese Monastery Excavated in Kirgizia 1994
[10] 서적 Cui (2005)
[11] 서적 Zongzheng, Xue (1992)
[12] 서적 Zongzheng, Xue (1992)
[13] 서적 Nicolle (1990)
[14] 웹사이트 葛剑雄:唐朝是中亚竞争的失败者(图) http://news.ifeng.co[...] 2020-04-03
[15] 웹사이트 1864年《勘分西北界约记》,失去44万平方公里,含此五大旅游胜地 http://dy.163.com/v2[...] 2020-01-30
[16] 보고서 Отчет о поездке в Среднюю Азию с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й целью ("report on an archaeological campaign in Central Asia")
[17] 간행물 Ак-Бешим и города Семиречья. ("Ak-Beshi and the cities of Semirechya - problems of politogenesis in the Kyrgyz statehood") Бишкек: АРХИ 2003
[18] 서적 Буддийские памятники Киргизии ("Buddhist monuments of Kyrgyzstan")
[19] 논문 Archaeological Exploration of Ak-Beshim in 1953-54 Moscow 1959
[20] 기타 latitude.to 2023
[21] 서적 『シルクロード事典』
[22] 기타 長澤
[23] 기타 松田「スイアブ」『アジア歴史事典』5巻
[24] 서적 『読む事典シルクロードの世界』 2019
[25] 기타 齊藤 2021
[26] 기타 Семенов 2003
[27] 기타 柿沼 2019
[28] 기타 Горячева, Перегудова
[29] 기타 Kyzlasov 1959
[30] 기타 Semyonov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