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간은 고대 튀르크 및 몽골 제국에서 사용된 군주 칭호로, 황제 또는 최고 통치자를 의미한다. 어원은 불분명하나, 튀르크어, 몽골어, 예니세이어족 등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흉노, 유연, 선비족 등 여러 민족과 관련된다. 카간 칭호는 유연의 구두벌가한이 처음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칭기즈 칸과 그의 직계 후손에게만 사용되었다. 돌궐, 하자르, 오스만 제국, 당나라 등 여러 국가에서도 사용되었으며, 현대 몽골어에서는 왕이나 황제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카간이라는 칭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과 학설이 존재한다. 중국의 『통전(通典)』 「변방전(邊防典)」에는 유연의 구두벌가한(丘豆伐可汗)이 스스로 칭하면서 카간의 칭호가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7] 그러나 이보다 앞선 시기에 카간 칭호가 사용되었음을 시사하는 기록들도 있다.
카간(Khagan)은 유라시아 유목민족 사회에서 최고 통치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칭호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선비족 계통 부족에서 시작되었다는 설[1][8]과 유연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했다는 설[9]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중국의 여러 역사서에는 '가한(可汗|커한중국어)', '가한(可寒|커한중국어)' 등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2. 어원
이러한 기록들에 대해 일본 학자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는 후대에 추증된 칭호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통전』의 기록을 신뢰했지만,[37] 우치다 긴푸(内田吟風) 등은 구두벌가한 이전부터 카간 칭호가 존재했다고 보았다.[38]
443년 북위(北魏) 태무제가 선비족 탁발부(拓跋部)의 옛 땅인 가선동(嘎仙洞, 현재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오로첸 자치기 대흥안령 산맥 내 위치)에 조상을 기리는 한문 축문을 새기게 했는데, 1980년 발견된 이 축문에는 "황조(皇祖) 선가한(先可寒)을 모시고 황비(皇妣) 선가돈(先可敦)을 모신다"는 내용이 있어, 북위가 중국식 황제 칭호를 채택하기 전에 군주 칭호로 '가한(可寒)'과 '가돈(可敦)'을 사용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지기도 한다.[39]
카간이라는 용어의 정확한 어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유연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 여러 언어학적 가설이 제시되었다.
카간의 의미에 대해서는 『위서』 열전에서 구두벌가한의 '가한'이 위나라 말로 황제(皇帝)를 뜻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북사』, 『구당서』, 『신당서』 등의 돌궐전에서는 카간이 옛 흉노의 선우(單于)와 같고, 그 아내인 가하돈(可賀敦) 또는 가돈(可敦)은 옛 알씨(閼氏)와 같다고 기록하고 있다.[36]
고대 튀르크어(돌궐 문자)로 새겨진 돌궐 비문, 회흘 비문, 예니세이 비문 등에는 카간이 ------[34] (Q.G.N)으로 표기되어 있어, 한자로 기록된 '가한'이 실제로는 '카간(qaġan/qaγan)'으로 발음되었음을 알 수 있다. 7세기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테오필락토스 시모카타 역시 아바르 군주의 칭호를 'Gagan' 또는 'Khaghan'으로 기록했다.
3. 의미
중국 사서에서 '카간' 칭호가 처음 언급된 것은 『진서(晉書)』이다. 여기에는 "네 부락이 그에 복종하여 주인으로 받들며 걸복가한탁탁막하(乞伏可汗託鐸莫何)라 하였다"[43]는 기록이 있다. 『위서(魏書)』에서는 유연의 구두벌가한(丘豆伐可汗)에 대해 설명하며, "'구두벌(丘豆伐)'은 위(魏)의 말로 '통솔하고 이끌며 열어 젖히다(駕馭開張)'는 뜻이며, 가한(可汗)은 위의 말로 '황제'라는 뜻이다"[44]라고 하여, 북위(北魏)에서 카간을 중국의 '황제'와 동격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북사(北史)』,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등에서는 돌궐의 시조 토문(土門)이 스스로 '이리가한(伊利可汗)'이라 칭한 것을 언급하며, "카간이란 옛날의 선우(單于)이며, 아내를 가하돈(可賀敦) 또는 가돈(可敦)이라고 하는 것은 옛날의 알지(閼氏)이다"[45][46][47]라고 설명하여, 카간을 흉노의 군주 칭호인 선우와 같은 의미로 보았다.
중국의 『통전(通典)』은 카간 칭호가 유연의 구두벌가한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설명하지만[36], 『자치통감(資治通鑑)』, 『송서(宋書)』, 『진서(晉書)』, 『북사(北史)』 등 다른 기록에서는 그 이전 시대 인물들에게도 카간(또는 가한, 可寒) 칭호가 사용된 사례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송서』에는 토욕혼의 군주에게 '처가한(處可寒)'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너 관가(官家)'라는 의미라고 설명되어 있다.[36] 『진서』에는 수락간(樹洛干)이 '무인 카간(戊寅可汗)'이라 불렸다는 기록이 있으며[36], 『북사』에는 토욕혼의 과려(夸呂)가 처음으로 '가한'을 자칭했다는 기록도 있다.[36] 이러한 기록들에 대해 일본 학자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는 후대에 추증된 칭호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통전』의 기록을 신뢰했지만, 우치다 긴푸(内田吟風) 등은 카간 칭호가 구두벌가한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보았다.[36] 1980년에 발견된 북위 선비족 탁발부(拓跋部)의 옛 땅 알선동(嘎仙洞) 석벽 축문(태평진군 4년, 443년)에는 「황조(皇祖) 선가한(先可寒)을 모시고 황비(皇妣) 선가돈(先可敦)을 모신다」는 구절이 있어, 북위가 중국식 황제 칭호를 채택하기 전에 '가한(可寒)'과 '가돈(可敦)'이라는 군주호를 사용했음을 시사한다.[36]
몽골 울루스에서는 『몽골비사』에서 '카간(Qa'an)'과 '칸(Khan)'을 명확히 구분했다. '카간'은 칭기즈 칸과 그의 직계 후계자에게만 사용되는 최고의 칭호였으며, 다른 통치자들은 '칸'으로 불렸다. '카간' 또는 '카안'은 몽골어로 "위대한/최고의 통치자", 즉 "황제"나 "군주"를 의미한다. 때로는 "예케 카간(Yeke Qa'an)", 즉 "대황제"라는 표현도 사용되었다. 우구데이는 칭기즈 칸의 뒤를 이어 즉위하면서 '카안'이라는 칭호를 받았다.[48]
우구데이 사후 '카안' 칭호는 점차 일반명사화되어 귀위크 칸과 뭉케에게도 사용되었으며, 울제이투 카안 시대에는 여러 '칸'들을 거느리는 군주를 가리키는 칭호로 자리 잡았다.[48] 그러나 몽골 제국이 분열되고 원나라가 멸망한 이후 카안과 칸의 구분은 점차 희미해져 16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49] 원나라 황제들은 중국 황제 칭호와 함께 '카간' 칭호를 사용했으며[16], 서쪽의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 등 다른 몽골 칸국들의 명목상 종주로 여겨졌다.[18] 1368년 원나라가 붕괴된 후에도 북원의 군주들이 이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16] 다얀 칸(1464–1517/1543?)이 일시적으로 카간의 권위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그의 사후 몽골은 다시 분열되었다. 마지막 카간으로 알려진 차하르의 린단 칸은 1634년 후금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현대 몽골어에서는 '카안(хаан)'과 '칸(хан)'이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외국어에서는 종종 구분 없이 사용된다. 이 칭호는 왕이나 황제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
'카간'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유연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2], 캐나다의 중국학자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흉노의 칭호 護于중국어 (고대 중국어: *''hʷaʔ-hʷaʰ'')가 튀르크어족의 ''qaɣan'' ~ ''xaɣan''의 기원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 알렉산더 보빈은 '카간(qaγan)'이 "황제" 또는 "최고 통치자"를 의미하며, 여러 언어, 특히 튀르크어와 몽골어에서 차용되었다고 보았다.[3] 람스테트, 시라토리, 풀리블랭크, 시노어, 되르퍼 등 여러 학자들은 튀르크어족 또는 몽골어족 기원설을 제시했다.[4] 시노어는 '카간(qaγan)'이 '칸(qan)'의 강조형이라고 보았고[5], 시라토리는 튀르크어 기원설을 부정하며 몽골어 기원을 주장했다.[6] 보빈은 '카간(*qa-qan)'이 알타이어족 기원이 아니며, 예니세이어족의 '크다, 위대하다'는 의미의 단어(*qεʔ ~ qa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칸(qan)' 자체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예니세이어족의 '통치자'를 의미하는 단어(*qʌ:j 또는 *χʌ:j)와 관련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궁극적으로 흉노와 예니세이어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3] 한편, 디보(2007)와 사벨리예프 및 정(2020) 등은 이란어 기원설을 주장하며, 중세 이란어 *''hva-kama-'' (자율 통치자, 황제)나 초기 사카어 *''hvatuñ'' (소그드어 ''xwt'w'' '통치자', ''xwt'yn'' '통치자의 아내'와 관련)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7]
'카간' 칭호는 돌궐의 지배 씨족인 아시나와 그 후계 왕조인 하자르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하위 통치자들은 '칸'이라는 낮은 칭호를 사용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들은 공식 칭호 중 하나로 튀르크어 형태인 '하칸(Hakan)'을 사용했으며, 이는 '두 땅(대륙)과 두 바다의 하칸(Hakan ül-Berreyn vel-Bahreyn)'이라는 표현과 함께 사용되어 제국의 광대함과 역사적 정통성을 나타냈다.
이란의 사파비 왕조와 카자르 왕조의 샤들도 '카간'을 칭호로 사용했다. 예를 들어, 아가 모함마드 칸 카자르, 파트 알리 샤 등 카자르 왕조의 샤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으며, 샤 이스마일 등 사파비 왕조의 샤들은 '솔로몬의 영광을 가진 카간(Kagan-i Suleyman shan)'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4. 역사
카간 칭호는 유연[9] 이후 돌궐, 아바르, 위구르 등 여러 유목 제국에서 최고 군주의 칭호로 계승되었다. 특히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칭기즈 칸과 그의 직계 후손인 대칸에게만 사용되어 '칸(Khan)'보다 상위의 칭호로 구분되기도 했다. ''몽골비사''는 이러한 구분을 명확히 보여준다. 몽골 제국 분열 이후에도 원나라 황제들은 '이크 카간(대칸)' 칭호를 사용했으며[16], 명목상 다른 칸국들의 종주로 여겨지기도 했다.[18]
이 칭호는 유목 제국 외에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초기 루스의 군주, 이란의 사파비 왕조와 카자르 왕조 샤 등 다른 지역과 시대의 군주들도 사용했으며, 당나라의 당 태종은 주변 민족으로부터 천가한(天可汗)이라는 존칭을 받기도 했다.[24]
카간 칭호의 구체적인 기원 논쟁과 각 국가 및 민족별 사용 사례는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4. 1. 카간 칭호를 사용한 국가 및 민족
카간 칭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과 학설이 존재한다. 중국의 역사서 『진서(晉書)』에는 선비족의 일파인 걸복부가 그들의 지도자를 '걸복가한탁탁막하(乞伏可汗託鐸莫何)'라 칭했다는 기록이 있어[43], 중국 사서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가한' 칭호가 언급된다. 『위서(魏書)』는 유연의 구두벌가한(丘豆伐可汗)에 대해 설명하며 '가한(可汗)'은 당시 북위(北魏)의 말로 '황제'를 의미한다고 하여[44], 북위에서 카간을 중국식 황제와 동격으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북사(北史)』,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등에서는 돌궐의 카간을 과거 흉노의 선우와 같은 존재로 설명하고 있다.[45][46][47]
중국의 『통전(通典)』은 유연의 구두벌가한 때부터 카간 칭호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했지만[43], 『자치통감(資治通鑑)』, 『송서(宋書)』, 『진서(晉書)』 등 다른 사서에는 구두벌가한 이전에도 '가한' 또는 유사한 칭호(처가한處可寒, 무인가한戊寅可汗 등)가 선비족 계열의 토욕혼, 걸복부 등에서 사용된 정황이 기록되어 있다. 일본 학자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는 이를 후대에 추증된 것으로 보아 『통전』의 기록을 신뢰했지만[37], 우치다 긴푸(内田吟風) 등은 구두벌가한 이전부터 카간 칭호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인정한다.[38] 또한 1980년 내몽골 자치구에서 발견된 북위 태무제 시기( 443년)의 알선동 석벽 축문에는 북위의 선조를 '선가한(先可寒)', 그 부인을 '선가돈(先可敦)'으로 칭한 기록이 있어, 북위가 중국식 황제 칭호를 채택하기 전에 이미 카간 칭호를 사용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39]
카간 칭호가 명확히 나타나는 초기 사례 중 하나는 283년에서 289년 사이, 선비족 추장 토욕혼이 이복 동생 모용외를 피해 요동반도에서 오르도스 사막 지역으로 이동할 때이다. 모용외의 장군 이나루가 토욕혼을 '케한(可寒|커한중국어, 이후 可汗|커한중국어)'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으며, 토욕혼이 3세기에 칭하이호 부근에 정착한 후 이 칭호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8]
다음은 카간 칭호를 사용한 주요 국가 및 민족이다.
아래는 각 국가 및 민족별 카간 목록의 일부이다. (전체 목록은 각 국가별 문서 참조)
칭호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구두벌 가한 (사륜) | 402년 - 410년 | |
애고개 가한 (홀률) | 410년 - 414년 | 사륜의 동생, 축출됨 |
울구려보록진 | 414년 | 사륜·홀률의 맏형 아들, 살해됨 |
모한흘승개 가한 (대단) | 414년 - 429년 | 사륜의 숙부 아들 |
칙련 가한 (오제) | 429년 - 444년 | 대단의 아들 |
처 가한 (토하진) | 444년 - 450년 | 오제의 아들 |
수라부진 가한 (여성) | 450년 - 485년 | 토하진의 아들 |
복고돈 가한 (두륜) | 485년 - 492년 | 여성의 아들, 살해됨 |
후기복대고자 가한 (나개) | 492년 - 506년 | 두륜의 숙부 |
타한 가한 (복도) | 506년 - 508년 | 나개의 아들, 살해됨 |
두라복발두벌 가한 (추노) | 508년 - 520년 | 복도의 아들, 살해됨 |
칙련두병두벌 가한 (아나괴) | 520년 - 552년 | 추노의 동생, 자살 |
미우가사구 가한 (파라문) | 521년 - 524년 | 아나괴의 사촌 (병립) |
울구려철벌 | 552년 - 553년 | 등주의 둘째 아들, 살해됨 |
울구려등숙자 | 552년 - 555년 | 아나괴의 숙부, 처형됨 (병립) |
울구려등주 | 553년 | 아나괴의 사촌, 살해됨 |
울구려고제 | 553년 | 등주의 아들, 폐위됨 |
울구려암라진 | 553년 - 554년 | 아나괴의 아들 |
- '''돌궐 제1카간국'''
구분 | 칭호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대가한 | 이리 가한 (토문, 부민) | 552년 - 553년 | 돌궐 건국 |
을식기 가한 (과라, 일가한) | 553년 | 이리 가한의 아들 (또는 동생) | |
목간 가한 (사근, 연도) | 553년 - 572년 | 을식기 가한의 동생, 최성기 구축 | |
타발 가한 (타토파루) | 572년 - 581년 | 목간 가한의 동생 | |
아사나암라 | 581년 | 타발 가한의 아들 | |
사발략 가한 (섭도) | 581년 - 587년 | 을식기 가한의 아들 | |
(경쟁) | 아파 가한 (대라변) | 581년 - 587년 | 목간 가한의 아들 |
엽호 가한 (처라후) | 587년 | 섭도의 동생 | |
대가한 | 힐가시타나 돌람 가한 (옹우려) | 587년 - 599년 | 섭도의 아들 |
서면 가한 | 실점밀 가한 (이스테미) | 562년 - 576년 | 이리 가한의 동생 |
달두 가한 (타르두슈) | 576년 - 603년 | 실점밀의 아들 |
- '''동돌궐'''
구분 | 칭호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돌궐 제1 카간국 (동돌궐) | 계민가한 (염간) | 587년 - 609년 | 사발략가한의 아들 |
시필가한 (돌길세) | 609년 - 619년 | 계민가한의 장남 | |
처라가한 (사리불설) | 619년 - 620년 | 계민가한의 차남 | |
힐리가한 (일리그 카간, 돌필) | 620년 - 630년 | 계민가한의 삼남, 당에 항복 | |
(경쟁) | 돌리 가한 (테리스 카간, 십발필) | 620년 - 631년 | 시필가한의 아들 |
당 기미 정책 하 | 을미니숙사리필가한 (사마) | 639년 - 644년 | 힐리가한의 족인 |
을주차비가한 (곡발) | ? - 650년 | 돌궐 별부 | |
아사나니숙복 | 679년 - 680년 | ||
아사나복념 | 680년 - 681년 | 힐리가한의 종형 아들 | |
돌궐 제2 카간국 | 아사나골돌록 (일티리쉬 카간) | 682년 - 690년경 | 당으로부터 독립, 동돌궐 부흥 |
아사나묵철 (카프간 카간) | 690년경 - 716년 | 골돌록의 동생, 살해됨 | |
비가가한 (빌게 카간, 묵극련) | 716년 - 734년 | 골돌록의 아들, 살해됨 | |
이란가한 (이넬 카간) | 734년 | 비가가한의 아들 | |
등리가한 (텡그리 카간) | 734년 - 741년 | 이란가한의 동생, 살해됨 | |
골돌엽호 (쿠트 야브구) | 741년 - 742년 | 살해됨 | |
힐첩이시가한 (일티리쉬 카간) | 742년 - 744년 | 발실밀부 수장 (병립), 살해됨 | |
오소미시가한 (오즈미쉬 카간) | 742년경 - 744년 | 판궐특근의 아들, 살해됨 | |
백미가한 (골롱복) | 744년 - 745년 | 오소미시가한의 동생, 살해됨 (745년 위구르에 멸망) |
- '''서돌궐'''
구분 | 칭호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돌궐 제1 카간국 (서돌궐) | 아파 가한 (대라변) | 581년 - 587년 | 목한 가한의 아들 |
니리 카간 | 587년 | 앙소특근의 아들 | |
니결처라 가한 (달만, 갈사나 가한) | 587년 - 611년 | 니리 가한의 아들 | |
사궤 카간 | 612년경 - 619년 | 달두 가한의 손자 | |
서돌궐 카간국 | 통엽호 가한 | 619년 - 628년 | 사궤 가한의 동생 |
막하돌후굴리사비 가한 | 628년 - 630년 | 통엽호 가한의 백부 | |
사엽호 가한 (질력특근) | 628년 - 632년 | 통엽호 가한의 아들 | |
돌륙 가한 (니숙막하설, 튀르크 카간) | 632년 - 634년 | ||
사발라 질리실 가한 (동아설) | 634년 - 639년 | 돌륙 가한의 동생 | |
을비돌륙 가한 (욕곡설) | 638년 - 653년 | (병립) | |
을굴리실을비 가한 (막하돌을비 가한) | 639년 - 640년 | 사발라 질리실 가한의 아들 | |
(분열) | 을비사발라엽호 가한 (박포특근) | 640년 - 641년 | |
을비사궤 가한 | 641년 - 651년 | 막하돌을비 가한의 아들 | |
사발라 가한 (아사나하로, 이슈바라 카간) | 651년 - 657년 | 예보리설사궤특근의 아들 |
- '''당 기미 정책 하 (서돌궐)'''
{| class="wikitable"
|-
! 구분 !! 칭호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rowspan="3" | 미사 가 || 흥식망 가한 (아사나미사) || 657년 - 662년 || 실점밀 가한의 5대손
|-
| 흥식망 가한 (아사나원경) || 685년 - 692년・693년 || 미사의 아들
|-
| 아사나헌 || 657년 - 662년 || 원경의 아
참조
[1]
서적
p. 367
https://books.google[...]
Fairbank
1978
[2]
간행물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Ötüken'den İstanbul'a Türkçenin 1290 Yılı (720–2010) Sempozyumu / From Ötüken to Istanbul, 1290 Years of Turkish (720–2010).''
Vovin, Alexander
2010-12-03
[3]
간행물
"Once again on the etymology of the title ''qaγan''"
http://ejournals.eu/[...]
Vovin, Alexander
2007
[4]
서적
vol. 96
https://zh.wikisourc[...]
Songshu
1962
[5]
논문
On the Titles KHAN and KAGHAN
1926
[6]
논문
QAN-QAγAN AND THE BEGINNINGS OF MONGOL KINGSHIP
1955
[7]
논문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
[8]
서적
pp. 3–6
Zhou
1985
[9]
서적
pp. 61, 585, n. 92.
Grousset
1970
[10]
서적
vol. 103
https://zh.wikisourc[...]
Wei Shou
[11]
서적
"Ji 姬 and Jiang 姜: The Role of Exogamic Clans in the Organization of the Zhou Polity"
https://web.archive.[...]
Pulleyblank, Edwin G.
2000
[12]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13]
간행물
Art, Iranian-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4]
간행물
Nihon Gakushiin-Proceedings of the Japan Academy
[15]
간행물
Teikoku Gakushiin (Japan) –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16]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18]
서적
The Mongol Empire and Its Legacy
[19]
서적
Caliphate Redefined: The Mystical Turn in Ottoman Political Thought
2018
[20]
서적
The Ottomans and the Mamluks: Imperial Diplomacy and Warfare in the Islamic World
2014
[21]
서적
Narrative of Travels in Europe, Asia, and Africa in the Seventeenth Century
[22]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2002
[23]
서적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2010
[24]
서적
pp. 81–83.
[25]
서적
The Chinese,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2-02-08
[26]
서적
pp. 120–121.
https://books.google[...]
2012
[27]
서적
Tang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Uighur Empire: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02-08
[28]
서적
p. 230.
[29]
서적
pp. 674–675.
[30]
웹사이트
Tendencies of Change of Socio-Political Lexicon in Persian and Azerbaijani Languages
https://pathofscienc[...]
2023-09-21
[31]
서적
The Turks in the Early Islamic World
Taylor & Francis
[32]
논문
The Qing Dynasty and Its Central Asian Neighbors
https://quod.lib.umi[...]
2023-09-17
[33]
서적
The Muslim Emperor of China: Everyday Politics in Colonial Xinjiang, 1877-1933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34]
문서
右から読む。
[35]
웹사이트
可汗
https://kotobank.jp/[...]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2022-09-29
[36]
서적
魏書、北史、旧唐書、新唐書
[37]
논문
可汗及可敦称号考
[38]
논문
柔然族に関する研究
[39]
서적
草原とオアシスの世界
岩波書店
1999
[40]
서적
通典、資治通鑑、宋書、晋書、北史
[41]
서적
1970
[42]
서적
1975
[43]
서적
진서
[44]
서적
위서
[45]
서적
북사
[46]
서적
구당서
[47]
서적
신당서
[48]
서적인용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2010-08-20
[49]
뉴스
몽골 황제는 ‘칸’이 아닌 ‘카안’이었다
https://www.hankoo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