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탈적 아나키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탈적 아나키즘은 아나키스트들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도, 위조 등의 수단을 사용하는 사상 및 행위이다. 스페인에서는 로스 솔리다리오스, 아르헨티나에서는 세베리노 디 조반니 등이 수탈적 아나키즘을 실천했으며, 동유럽에서도 유사한 단체들이 활동했다. 현대에는 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가 수탈적 아나키즘을 실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아나키즘 - 동성애 해방 전선
동성애 해방 전선은 1971년 아르헨티나에서 엑토르 아나비타르테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아나키즘적 조직 구조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이념을 바탕으로 성소수자, 여성, 노동자 권리를 옹호하며 기관지 『오모섹수알레스』와 잡지 《소모스》를 발행했으나, 1976년 군부 쿠데타 이후 탄압으로 해체된 동성애자 해방 운동 단체이다. - 스페인의 아나키즘 - 바르셀로나 5월 사건
1937년 5월 스페인 내전 중 바르셀로나에서 발생한 바르셀로나 5월 사건은 공산주의 세력과 무정부주의 및 좌파 세력 간의 이념 갈등과 권력 다툼이 격화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도시 전역으로 확산되어 다수의 사상자를 낳고 공화파 내부 분열을 심화시켜 스페인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스페인의 아나키즘 - 랜드 앤 프리덤
1995년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랜드 앤 프리덤》은 1936년 스페인 내전에 참여한 영국인 데이비드 카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현실과 좌익 내부의 갈등, 공동체 정신과 연대의 중요성을 다룬다. - 아나키스트 운동 - 반란적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은 국가와 자본주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적 저항을 통해 아나키즘을 실현하려는 사상으로, 19세기 슈티르너와 바쿠닌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행위의 선전"과 직접 행동을 중시하고, 20세기 후반 보나노 등을 중심으로 재부상하여 세계화 반대 운동 등에 영향을 미치며 비공식 아나키스트 연맹과 같은 조직을 통해 활동하며, 영속적인 조직보다는 일시적인 어피너티 그룹을 활용하여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해방을 동시에 추구하는 특징을 가진다. - 아나키스트 운동 - 개인의 수복
개인의 수복은 불평등한 사회에서 부를 재분배하는 윤리적 행위이자, 19세기 아나키스트들이 개인적 저항 수단으로 여겼으며, 노동자 착취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나 일리걸리즘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수탈적 아나키즘 | |
---|---|
수탈적 아나키즘 | |
![]() | |
개념 및 특징 | |
정의 | 사적 소유, 이윤, 자본주의의 경제적 질서를 폭력적으로 폐지하고, 노동자 계급이 그들의 생산물을 취하고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 아나키즘의 한 형태 |
주요 목표 | 사적 소유권 폐지 및 기존 경제 질서의 파괴 |
폭력 사용 | 기존 질서 파괴를 위한 폭력 사용을 정당화 |
연관 사상 | 아나르코-공산주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역사적 배경 | |
등장 시기 | 19세기 말 ~ 20세기 초 |
주요 영향 | 당대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 및 노동 착취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의 영향 |
관련 사건 | 선전 행위 폭력적 투쟁 활동 |
이론적 기반 | |
주요 이론가 | 미하일 바쿠닌 카를로 카피에로 에밀 앙리 |
핵심 주장 | 사적 소유권은 폭력에 의해 강탈된 것이며, 노동자 계급은 이를 되찾을 권리가 있다. 기존 사회 질서는 폭력적으로 전복되어야 하며, 새로운 자유 사회가 건설되어야 한다. 폭력은 혁명의 정당한 수단이다. |
주요 특징 | |
폭력적 성향 | 기존 질서 타파를 위해 폭력적인 방법을 적극적으로 옹호 |
재산 몰수 | 사적 재산 몰수를 통한 재분배 추구 |
개인주의 강조 |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며, 개인의 권리 침해에 반대 |
반자본주의 | 자본주의 시스템을 모든 불평등의 근원으로 간주하고 철폐 주장 |
영향 및 비판 | |
영향 |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 변혁 운동에 영감 제공 |
비판 | 폭력 옹호에 대한 비판 사회 혼란과 무정부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 이상적인 사회 건설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아나키즘 아나르코-공산주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선전 행위 미하일 바쿠닌 카를로 카피에로 에밀 앙리 |
2. 스페인
로스 솔리다리오스(스페인어: 로스 솔리다리오스/Los Solidarioses, 연대) 또는 크리솔(스페인어: 크리솔/Crisoles, 도가니)은 1922년 또는 1923년에 결성된 스페인 아나키스트 무장투쟁 그룹으로, 정부와 고용주가 노동조합에 벌이던 '더러운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이들은 사라고사에서 결성됐던 로스 후스티시에로스(스페인어: 로스 후스티시에로스/Los Justicieroses, 응징자들)를 계승했다. 그룹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어용노조인 자유노조(스페인어: 신디카토스 리브레스/Sindicatos Libreses) 멤버들을 공격하기 위해 총기를 구입하고 보관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로스 솔리다리오스는 1932년 9월 스페인 은행 강도 사건과 사라고사 추기경 후안 솔데비야 이 로메로 암살 사건 등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 정권의 탄압을 피해 두루티와 아스카소 등을 비롯한 멤버들은 프랑스로 도망쳤고, 이후 라틴 아메리카로 이동하여 여러 강도 행위로 기소되었다. 유럽으로 돌아와 프랑스에 정착했고 알폰소 13세가 파리에 방문했을 때 암살을 시도한 혐의로 기소되어 은밀하게 살아가야 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에 정착하게 된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출범과 함께 멤버들은 카탈루니아로 돌아와 이베리아 아나키스트 연맹(스페인어: 페데라시온 아나르키스타 이베리카/Federación Anarquista Ibéricaes, FAI)에 '우리들'(Nosotros)이라는 그룹으로 참여했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그룹은 해산되었지만, FAI 내부에서 계속 활동했다.
2. 1. 로스 솔리다리오스 (Los Solidarios)
로스 솔리다리오스(스페인어: 로스 솔리다리오스/Los Solidarioses, 연대) 또는 크리솔(스페인어: 크리솔/Crisoles, 도가니)은 1922년 또는 1923년에 결성된 스페인 아나키스트 무장투쟁 그룹으로, 정부와 고용주가 노동조합에 벌이던 '더러운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이들은 사라고사에서 결성됐던 로스 후스티시에로스(스페인어: 로스 후스티시에로스/Los Justicieroses, 응징자들)를 계승했다. 그룹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어용노조인 자유노조(스페인어: 신디카토스 리브레스/Sindicatos Libreses) 멤버들을 공격하기 위해 총기를 구입하고 보관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로스 솔리다리오스는 1932년 9월 스페인 은행 강도 사건과 사라고사 추기경 후안 솔데비야 이 로메로 암살 사건 등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 정권의 탄압을 피해 두루티와 아스카소 등을 비롯한 멤버들은 프랑스로 도망쳤고, 이후 라틴 아메리카로 이동하여 여러 강도 행위로 기소되었다. 유럽으로 돌아와 프랑스에 정착했고 알폰소 13세가 파리에 방문했을 때 암살을 시도한 혐의로 기소되어 은밀하게 살아가야 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에 정착하게 된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출범과 함께 멤버들은 카탈루니아로 돌아와 이베리아 아나키스트 연맹(스페인어: 페데라시온 아나르키스타 이베리카/Federación Anarquista Ibéricaes, FAI)에 '우리들'(Nosotros)이라는 그룹으로 참여했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그룹은 해산되었지만, FAI 내부에서 계속 활동했다.
3.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 아나키스트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행해진 최초의 강도행위는 1919년 러시아인 게르만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Герман Борис Владимировичru에 의하여 행해졌다. 목적은 러시아 혁명을 묘사한 팜플렛 제작을 위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서였다.[3] 강도행위는 실패했고 블라디미로비치는 그의 협력자 안드레스 바비와 함께 체포되었다.
미구엘 아르칸헬 로시그나와 안드레스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두루티와 로스 솔리다리오스가 아르헨티나에 있었을 당시의 협력자였고, 이후 사코와 반제티가 처형 당하자 항의의 표시로 미국에 대한 연쇄 폭탄 테러를 벌였다. 이 운동에서, 이탈리아의 악명 높은 수탈자 세베리노 디 조반니가 동참한다. 로시그나,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안토니오 모레티, 비센테 모레티 같은 이들과 함께 1927년 10월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Rawson 병원에 강도 행위를 벌였고, 141,000 페소를 얻었다. 역사학자 오스왈도 바이어에 의하면 로시그나는 이 돈은 아르헨티나 통화의 위조를 통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한다.[3]
모레티 형제와 두루티가 추천한 3명의 카탈로니아인은 몬테비데오의 Cambio Messina를 털기로 결정했는데, 3명의 죽음과 함께 4,000 페소를 얻게 되었다. 그들은 결국 체포 되었지만, 엄청난 탈옥을 감행하게 된다. 디 조반니는 Culmine and anarchist propaganda라는 매거진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부분적으로 강도 행위로 자금이 조달 되었다.[5]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출판물 La Protesta는 디 조반니와 그의 그룹을 비판하기 시작했는데 그를 스파이나 경찰의 요원이라고 비난하기까지 했다. 로시그나는 수탈을 계속했지만 이는 아나키스트 죄수들을 돕기 위한 목적이었다.[6] 돈은 푼타 카레타스 감옥의 아나키스트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수탈적 아나키스트들은 아나키스트 운동을 공격하는 경찰과 국가 요원들을 향한 보복을 행하기도 했다. 디 조반니는 체포되기 이전에 Anarchia를 발행하기도 했는데 이 또한 수탈을 통하여 자금이 조달 되었다. 그는 결국 Paulino Scarfó와 함께 처형 당하게 된다.
3. 1. 초기 활동
아르헨티나에서 아나키스트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행해진 최초의 강도행위는 1919년 러시아인 게르만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Герман Борис Владимировичru에 의하여 행해졌다. 목적은 러시아 혁명을 묘사한 팜플렛 제작을 위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서였다.[3] 강도행위는 실패했고 블라디미로비치는 그의 협력자 안드레스 바비와 함께 체포되었다.미구엘 아르칸헬 로시그나와 안드레스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두루티와 로스 솔리다리오스가 아르헨티나에 있었을 당시의 협력자였고, 이후 사코와 반제티가 처형 당하자 항의의 표시로 미국에 대한 연쇄 폭탄 테러를 벌였다. 이 운동에서, 이탈리아의 악명 높은 수탈자 세베리노 디 조반니가 동참한다. 로시그나,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안토니오 모레티, 비센테 모레티 같은 이들과 함께 1927년 10월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Rawson 병원에 강도 행위를 벌였고, 141,000 페소를 얻었다. 역사학자 오스왈도 바이어에 의하면 로시그나는 이 돈은 아르헨티나 통화의 위조를 통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한다.[3]
모레티 형제와 두루티가 추천한 3명의 카탈로니아인은 몬테비데오의 Cambio Messina를 털기로 결정했는데, 3명의 죽음과 함께 4,000 페소를 얻게 되었다. 그들은 결국 체포 되었지만, 엄청난 탈옥을 감행하게 된다. 디 조반니는 Culmine and anarchist propaganda라는 매거진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부분적으로 강도 행위로 자금이 조달 되었다.[5]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출판물 La Protesta는 디 조반니와 그의 그룹을 비판하기 시작했는데 그를 스파이나 경찰의 요원이라고 비난하기까지 했다. 로시그나는 수탈을 계속했지만 이는 아나키스트 죄수들을 돕기 위한 목적이었다.[6] 돈은 푼타 카레타스 감옥의 아나키스트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수탈적 아나키스트들은 아나키스트 운동을 공격하는 경찰과 국가 요원들을 향한 보복을 행하기도 했다. 디 조반니는 체포되기 이전에 Anarchia를 발행하기도 했는데 이 또한 수탈을 통하여 자금이 조달 되었다. 그는 결국 Paulino Scarfó와 함께 처형 당하게 된다.
3. 2. 로스 솔리다리오스와의 협력
미겔 아르칸헬 로시그나와 안드레스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두루티와 로스 솔리다리오스가 아르헨티나에 있을 당시의 협력자였다.[3] 이들은 사코와 반제티 처형에 항의하여 미국에 대한 연쇄 폭탄 테러를 감행했다.[3]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 출신 수탈자인 세베리노 디 조반니가 합류했다.[3] 로시그나,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안토니오 모레티, 비센테 모레티 등과 함께 1927년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Rawson 병원을 털어 141,000 페소를 획득했다.[3] 역사학자 오스왈도 바이어에 따르면, 로시그나는 이 돈이 아르헨티나 통화 위조를 통해 얻은 것이라고 주장했다.[3]모레티 형제와 두루티가 추천한 카탈루냐인 3명은 몬테비데오의 Cambio Messina를 털었으나, 3명이 사망하고 4,000 페소를 얻는 데 그쳤다.[5] 이들은 체포되었지만, 대규모 탈옥을 감행했다.[5] 디 조반니는 Culmine and anarchist propaganda라는 잡지를 발행했는데, 이 잡지 발행 자금의 일부는 강도 행위를 통해 조달되었다.[5]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출판물 La Protesta는 디 조반니와 그의 그룹을 스파이 또는 경찰 요원이라고 비난했다.[6] 로시그나는 수탈을 계속했지만, 이는 아나키스트 죄수들을 돕기 위한 목적이었다.[6] 이 돈은 푼타 카레타스 감옥의 아나키스트들을 석방하는 데 사용되었다. 수탈적 아나키스트들은 아나키스트 운동을 공격하는 경찰과 국가 요원들에 대한 보복을 하기도 했다. 디 조반니는 체포되기 전 Anarchia를 발행했는데 이 또한 수탈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그는 결국 Paulino Scarfó와 함께 처형되었다.
3. 3. 세베리노 디 조반니 (Severino Di Giovanni)
세베리노 디 조반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악명높은 수탈적 아나키스트로, 미구엘 아르칸헬 로시그나, 안드레스 바스케스 파레데스와 함께 활동했다.[3] 이들은 사코와 반제티가 처형되자 항의의 표시로 미국에 대한 연쇄 폭탄 테러를 벌이기도 했다.로시그나, 바스케스 파레데스는 안토니오 모레티(Antonio Moretti), 비센테 모레티(Vicente Moretti) 등과 함께 1927년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로손(Rawson) 병원 강도 사건을 일으켜 141,000 페소를 탈취했다. 역사학자 오스왈도 바이어(Oswaldo Bayer)에 따르면, 로시그나는 이 돈이 아르헨티나 통화 위조를 통해 얻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3]
모레티 형제와 두루티가 추천한 3명의 카탈로니아인은 몬테비데오의 캄비오 메시나(Cambio Messina)를 털기로 결정했으나, 3명이 사망하고 4,000 페소만 얻는 데 그쳤다.
디 조반니는 '쿨미네'(Culmine)와 '아나르키아'(Anarchia)라는 아나키스트 잡지를 발행했는데, 이 잡지 발행 자금은 부분적으로 강도 행위를 통해 조달되었다.[5] 아나코 생디칼리스트 출판물 '라 프로테스타'(La Protesta)는 디 조반니와 그의 그룹을 스파이 또는 경찰 요원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로시그나는 아나키스트 죄수들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탈을 계속했으며,[6] 푼타 카레타스(Punta Carretas) 감옥의 아나키스트들을 석방시키는 데 자금을 사용했다. 디 조반니는 체포되어 파울리노 스카르포(Paulino Scarfó)와 함께 처형되었다.
4. 동유럽
혁명적 복수자/Rewolucyjni Mściciele영어와 검은 깃발/Chernoe Znamia영어 같은 그룹들이 20세기 초에 활동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활동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수탈을 벌였다.[7]
4. 1. 혁명적 복수자 (Rewolucyjni Mściciele)
|180px|right|thumb]]혁명적 복수자와 블랙 배너 같은 그룹들은 20세기 초에 활동하기 시작했고, 활동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수탈을 벌였다.[7] 이들은 폴란드를 중심으로 러시아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며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4. 2. 검은 깃발 (Chernoe Znamia)
20세기 초, 러시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아나키스트 그룹인 검은 깃발(Chernoe Znamia)은 혁명적 복수자 그룹과 함께 활동 자금 마련을 위해 수탈을 벌였다.[7] 이들은 테러와 암살 등의 과격한 방법을 통해 혁명을 추구했다.
5. 현대의 사례
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영어는 수탈적 아나키즘을 실천한 것으로 유명한 스페인 아나키스트이다.[8]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은행 강도와 위조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로빈 후드에 비유되기도 한다.[8] 알베르트 보아데야(Albert Boadella)는 그를 "풍차와 싸우지는 않았지만, 진정한 거인과 싸웠던 돈키호테"라고 평가했다.
5. 1. 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 (Lucio Urtubia Jiménez)
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루시오 우르투비아 히메네스영어는 수탈적 아나키즘을 실천한 것으로 유명한 스페인 아나키스트이다.[8]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은행 강도와 위조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로빈 후드에 비유되기도 한다.[8] 알베르트 보아데야(Albert Boadella)는 그를 "풍차와 싸우지는 않았지만, 진정한 거인과 싸웠던 돈키호테"라고 평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l anarquismo expropiador El uso de la violencia en beneficio de la Idea by Federico Millenaar
http://historiasiglo[...]
2009-09-22
[2]
웹사이트
Anarquismo expropiador en río de la Plata
http://anarquismoexp[...]
Barricada
[3]
서적
Los anarquistas expropiadores y otros ensayos
Booklet
[4]
웹사이트
Anarquismo expropiador en río de la Plata
http://anarquismoexp[...]
Barricada
[5]
웹인용
Anarquismo en la Argentina Di Giovanni, el expropiador by Federico Millenaar
http://historiasiglo[...]
2009-11-18
[6]
서적
Los anarquistas expropiadores y otros ensayos
Booklet
[7]
서적
Rewolucyjni Mściciele śmierć z browningiem w ręku
Bractwo Trojka
[8]
저널
Lucio: The Irreducible Anarchist. (Review)
2001-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