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의 신씨 (덕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신씨(德宗)는 신선경의 딸로, 조선 덕종의 후궁이다. 1436년에 태어나 1456년 의경세자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으나, 1457년 의경세자가 사망하면서 후사가 없었다. 덕종이 왕으로 추존된 후 숙의로 추봉되었으며, 1476년에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덕종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 덕종 - 귀인 윤씨
    귀인 윤씨는 세조의 며느리이자 덕종의 후궁으로, 덕종 사후 숙의에 책봉되었다가 귀인에 봉해졌으며, 그녀에 대한 세조의 과도한 은혜 기록이 무오사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1476년 사망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1476년 사망 - 블라드 3세 체페슈
    블라드 3세 체페슈는 15세기 왈라키아 공국의 보이보드로서 "드라큘라"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잔혹한 통치로 "체페슈"라고도 불리며 오스만 제국에 맞섰으나 체포되어 유폐 후 전사했고 그의 통치는 과장되어 흡혈귀 드라큘라 신화의 원형이 되었으며 왈라키아 역사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거창 신씨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 거창 신씨 - 신후담
    신후담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서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했고, 천주교 교리를 비판한 《서학변》을 저술했으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인 공서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숙의 신씨 (덕종)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숙의 신씨
한글숙의 신씨
로마자 표기Sukui Sinssi
한국어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Sukŭi Sinssi
작위숙의
별칭소훈 신씨 (昭訓 愼氏)
가문
본관거창 신씨 (출생)
왕가전주 이씨 (혼인)
가족 관계
아버지신선경
어머니정부인 청주 한씨
배우자덕종(의경세자)
자녀없음
생애 정보
출생1436년경 조선
사망1476년 6월 16일 조선 (향년 39–40세)
기타 정보
종교한국 불교

2. 생애

신선경의 딸로, 본관거창이다[4]. 1436년에 청주 한씨 한계희의 딸과 신선경의 장녀로 태어났다. 세 명의 여동생과 두 명의 남동생을 두었다. 외할아버지를 통해 한명회의 사촌이고, 장순왕후공혜왕후와는 고조할아버지인 한수(1333~1384)를 공유하여 이종 사촌이었다.

1456년(세조 2년) 음력 8월 23일 당시 세자였던 덕종(의경세자)의 소훈(세자의 종5품 후궁)으로 선발되었으며[5], 같은 해 음력 10월 19일 입궁하였다[6]. 양반 사대부 가문 출신으로 정식 간택되어 입궁한 후궁이었으나, 입궁 이듬해에 의경세자가 병사하는 바람에 소생은 없었다[7].

1457년, 세자가 사망했고 후궁과의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 남편이 왕으로 추존되면서 신씨의 품계도 종2품 숙의가 되었으며, 성종 재위 7년인 1476년 음력 5월 16일에 사망했다[8].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
아버지신선경1418년 ~ 1488년
어머니청주 한씨1424년 ~ ?
시아버지세조1417년 ~ 1468년
시어머니정희왕후1418년 ~ 1483년
남편덕종1438년 ~ 1457년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거창신씨묘역〉항목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 5권, 세조 2년 8월 23일 경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 5권, 세조 2년 10월 19일 을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 10권, 세조 3년 11월 24일 갑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67권, 성종 7년 5월 16일 무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