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의 고무 생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리랑카의 고무 생산은 1876년 영국 식민지부가 큐 왕립식물원에서 고무나무 묘목을 들여오면서 시작되었다. 고무 재배는 감파하의 헤나라트고다 식물원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현재 스리랑카의 고무 재배는 주로 습윤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칼루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지역에서 고무 생산량 감소가 나타났다. 고무는 스리랑카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부는 수출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의 농업 - 스리랑카의 차 생산
스리랑카의 차 생산은 1880년대에 시작되어 캔디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실론티라는 브랜드로 널리 알려져 있고, 차 수출을 통해 상당한 수익을 올리며, 차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스리랑카의 주요 산업이다. - 스리랑카의 경제 - 스리랑카 중앙은행
스리랑카 중앙은행은 1950년에 설립되어 통화 정책 수행, 금융 시스템 감독, 통화 발행 및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정부를 대행하여 직원조달기금 및 공공부채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스리랑카의 중앙은행이다. - 스리랑카의 경제 - 스리랑카 루피
스리랑카 루피는 1825년 파운드 스털링에서 시작하여 인도 루피 체제를 거쳐 십진법화된 스리랑카의 통화로, 주화와 지폐는 여러 디자인 변화를 거쳤으며 스리랑카 내에서만 거래되는 폐쇄 통화이다. - 고무 - 가황
가황은 고무 분자 사이에 가교 결합을 형성하여 강도, 내구성, 탄성 등을 향상시키는 화학적 공정으로, 주로 황 가황을 통해 이루어지며, 타이어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무 - 유리 전이
유리 전이는 액체가 냉각 또는 압축될 때 고체와 유사해지는 현상으로, 점도 급증을 특징으로 하며 결정화와 달리 뚜렷한 구조 변화는 없고, 유리 전이 온도(Tg)는 유리 상태와 과냉각 액체 사이 전이가 일어나는 특정 온도를 의미하며, 재료의 열적, 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스리랑카의 고무 생산 | |
---|---|
개요 | |
산업 | 천연고무 생산 |
위치 | 스리랑카 |
역사 | |
재배 시작 | 1876년 |
최초 상업 농장 | 헨 오클리힐 (약 50 헥타르) |
주요 재배 지역 | 콜롬보의 헨 오클리힐 |
재배 면적 확장 시기 | 19세기 말 |
면적 | 약 10,000 헥타르 |
20세기 초 면적 | 약 180,000 헥타르 |
생산량 | |
연간 생산 능력 | 약 125,000,000 kg |
2018년 생산량 | 82,600,000 kg |
기타 정보 | |
총 재배 면적 | 약 120,000 헥타르 |
주요 수출국 | 중국 |
고무 종류 | RSS 크레이프 라텍스 |
2. 역사
1876년 8월 12일 영국 식민지부는 조지프 돌턴 후커의 추천을 받아, 고무나무 묘목 1,919그루가 담긴 통 38개를 큐 왕립식물원에서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으로 보냈으며,[14] 1877년에는 묘목 300그루를 추가로 보냈다.[14][4] 이 묘목들은 그해 초 브라질에서 헨리 위컴 경이 수집한 씨앗에서 발아된 것이었다. 식민성은 인도에서의 고무 재배 가능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 고무나무를 경작 및 번식시키는 장소로 실론을 선택하였다. 고무나무 묘목은 조지 헨리 켄드릭 스웨이츠의 입회 하에 감파하의 헤나라트고다 식물원에 심어졌다. 1877년에 싱가포르로 묘목 22그루가 보내진 것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로 고무나무가 분배되었다.[14][4] 1879년에는 인도와 버마(미얀마)로 묘목을 보냈다.[14][4] 1881년 실론의 고무나무에서 처음 꽃이 폈으며, 고무 채취 실험이 진행되었다. 1893년에는 실론 내에서 씨앗 9만 종자 이상이 분배되었다. 1900년 실론의 고무 경작지 면적은 약 405 헥타르밖에 되지 않았으나, 1923년에는 180,085 헥타르에 달할 정도로 증가하였다.[14][4]
2. 1. 영국 식민지 시대
1876년 8월 12일 영국 식민성은 조지프 돌턴 후커의 추천을 받아, 고무나무 묘목 1,919그루가 담긴 통 38개를 큐 왕립식물원에서 실론으로 보냈으며,[14] 1877년에는 묘목 300그루를 추가로 보냈다.[14][4] 이 묘목들은 그해 초 브라질에서 헨리 위컴 경이 수집한 씨앗에서 발아된 것이었다. 식민성은 인도에서의 고무 재배 가능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 고무나무를 경작 및 번식시키는 장소로 실론을 선택하였다. 고무나무 묘목은 조지 헨리 켄드릭 스웨이츠의 입회 하에 감파하의 헤나라트고다 식물원에 심어졌다. 1877년에 싱가포르로 묘목 22그루가 보내진 것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로 고무나무가 분배되었다.[14][4] 1879년에는 인도와 버마 (미얀마)로 묘목을 보냈다.[14][4] 1881년 실론의 고무나무에서 처음 꽃이 폈으며, 진액 채취 실험이 진행되었다. 1893년에는 실론 내에서 씨앗 9만 종자 이상이 분배되었다. 1900년 실론의 고무 경작지 면적은 약 405 헥타르밖에 되지 않았으나, 1923년에는 180,085 헥타르에 달할 정도로 증가하였다.[14][4]2. 2. 발전과 성장
1876년 8월 12일 영국 식민성은 조지프 돌턴 후커의 추천을 받아, 고무나무 묘목 1,919그루가 담긴 통 38개를 큐 왕립식물원에서 실론으로 보냈으며,[14] 1877년에는 묘목 300그루를 추가로 보냈다.[14] 식민성은 인도에서의 고무 재배 가능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 고무나무를 경작 및 번식시키는 장소로 실론을 선택하였다. 고무나무 묘목은 조지 트왈테스의 입회 하에 감파하의 헤나라트고다 식물원에 심어졌다. 1877년에 싱가포르로 묘목 22그루가 보내진 것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로 고무나무가 분배되었다.[14] 1879년에는 인도와 버마로 묘목을 보냈다.[14] 1881년 실론의 고무나무에서 처음 꽃이 폈으며, 진액 채취 실험이 진행되었다. 1893년에는 실론 내에서 씨앗 9만 종자 이상이 분배되었다. 1900년 실론의 고무 경작지 면적은 약 405 헥타르밖에 되지 않았으나, 1923년에는 18만 헥타르에 달할 정도로 증가하였다.[14][4]3. 현재
스리랑카의 고무 재배 지역은 콜롬보, 감파하, 칼루타라, 캔디, 마탈레, 갈, 마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등지에 분포해 있으며, 주로 습지에 밀집되어 있다.[15] 각 지역의 중간 지대에도 고무 농장이 존재하며, 평지부터 경사가 급한 곳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고무 농장이 운영된다.[15]
현재 스리랑카의 고무 경작지는 약 12만 헥타르에 달하며, 이 중 대다수는 소농이 보유하고 있다.[15] 지난 20년간 칼루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지역에서 고무 생산량이 각각 29%, 25% 감소하는 등 감소세를 보였다.[15]
스리랑카의 고무 생산량은 지난 20년간 감소세를 보여왔다. 특히 칼루타라와 라트나푸라에서는 생산량이 29% 감소했으며, 케갈레에서도 25% 감소했다.[15]
현재 스리랑카 고무 경작지의 40%는 지역 공공 플랜테이션 기업이, 60%는 민간 영역이 소유하고 있다. 성숙한 고무나무가 있는 경작지는 전체의 78%이고, 미성숙한 고무나무 경작지는 22%이다.[15]
고무 농장은 크기에 따라 8 헥타르 미만의 소규모 농장과 8 헥타르 이상의 대규모 농장으로 분류된다. 2005년 기준으로 소규모 농장이 전체의 65%, 대규모 농장이 35%를 차지했다.[15]
지역 | 2014 | 2010 | 1992 | 1982 |
---|---|---|---|---|
콜롬보 | 6,466 | 6,320 | 10,084 | 10,317 |
감파하 | 3,289 | 3,835 | 4,840 | 3,364 |
칼루타라 | 24,195 | 28,765 | 41,237 | 47,632 |
캔디 | 1,643 | 1,854 | 2,079 | 2,127 |
마탈레 | 1,190 | 4,005 | 2,530 | 6,637 |
누와라엘리야 | 27 | 6 | 224 | |
갈 | 4,356 | 5,982 | 11,234 | 14,637 |
마타라 | 3,101 | 4,005 | 5,299 | 6,637 |
함반토타 | 210 | 155 | 23 | 67 |
쿠루네갈라 | 3,244 | 3,018 | 3,229 | 3,290 |
푸탈람 | 17 | 193 | ||
바둘라 | 1,601 | 1,626 | 340 | 969 |
모나라갈라 | 5,876 | 4,805 | 1,539 | 2,192 |
라트나푸라 | 22,065 | 26,605 | 29,926 | 29,329 |
케갈레 | 34,453 | 37,165 | 45,794 | 45,919 |
3. 1. 재배 지역 및 환경
스리랑카의 고무 재배 지역은 콜롬보, 감파하, 칼루타라, 캔디, 마탈레, 갈, 마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등지에 분포해 있으며, 주로 습지에 밀집되어 있다.[15] 각 지역의 중간 지대에도 고무 농장이 존재하며, 평지부터 경사가 급한 곳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고무 농장이 운영된다.[15]현재 스리랑카의 고무 경작지는 약 12만 헥타르에 달하며, 이 중 대다수는 소농이 보유하고 있다.[15] 지난 20년간 칼루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지역에서 고무 생산량이 각각 29%, 25% 감소하는 등 감소세를 보였다.[15]
2005년 기준으로 전체 고무 농장 면적의 65%인 77,000 헥타르가 소규모 농장이었으며, 35%인 37,000 헥타르는 대규모 농장이었다.[15]
지역 | 2014 | 2010 | 1992 | 1982 |
---|---|---|---|---|
콜롬보 | 6,466 | 6,320 | 10,084 | 10,317 |
감파하 | 3,289 | 3,835 | 4,840 | 3,364 |
칼루타라 | 24,195 | 28,765 | 41,237 | 47,632 |
캔디 | 1,643 | 1,854 | 2,079 | 2,127 |
마탈레 | 1,190 | 4,005 | 2,530 | 6,637 |
누와라엘리야 | 27 | 6 | 224 | |
갈 | 4,356 | 5,982 | 11,234 | 14,637 |
마타라 | 3,101 | 4,005 | 5,299 | 6,637 |
함반토타 | 210 | 155 | 23 | 67 |
쿠루네갈라 | 3,244 | 3,018 | 3,229 | 3,290 |
푸탈람 | 17 | 193 | ||
바둘라 | 1,601 | 1,626 | 340 | 969 |
모나라갈라 | 5,876 | 4,805 | 1,539 | 2,192 |
라트나푸라 | 22,065 | 26,605 | 29,926 | 29,329 |
케갈레 | 34,453 | 37,165 | 45,794 | 45,919 |
3. 2. 생산량 감소 및 소유 형태
스리랑카의 고무 생산량은 지난 20년간 감소세를 보여왔다. 특히 칼루타라와 라트나푸라에서는 생산량이 29% 감소했으며, 케갈레에서도 25% 감소했다.[15]현재 스리랑카 고무 경작지의 40%는 지역 공공 플랜테이션 기업이, 60%는 민간 영역이 소유하고 있다. 성숙한 고무나무가 있는 경작지는 전체의 78%이고, 미성숙한 고무나무 경작지는 22%이다.[15]
고무 농장은 크기에 따라 8 헥타르 미만의 소규모 농장과 8 헥타르 이상의 대규모 농장으로 분류된다. 2005년 기준으로 소규모 농장이 전체의 65%, 대규모 농장이 35%를 차지했다.[15]
지역 | 2014 | 2010 | 1992 | 1982 |
---|---|---|---|---|
콜롬보 | 6,466 | 6,320 | 10,084 | 10,317 |
감파하 | 3,289 | 3,835 | 4,840 | 3,364 |
칼루타라 | 24,195 | 28,765 | 41,237 | 47,632 |
캔디 | 1,643 | 1,854 | 2,079 | 2,127 |
마탈레 | 1,190 | 4,005 | 2,530 | 6,637 |
누와라엘리야 | 27 | 6 | 224 | |
갈 | 4,356 | 5,982 | 11,234 | 14,637 |
마타라 | 3,101 | 4,005 | 5,299 | 6,637 |
함반토타 | 210 | 155 | 23 | 67 |
쿠루네갈라 | 3,244 | 3,018 | 3,229 | 3,290 |
푸탈람 | 17 | 193 | ||
바둘라 | 1,601 | 1,626 | 340 | 969 |
모나라갈라 | 5,876 | 4,805 | 1,539 | 2,192 |
라트나푸라 | 22,065 | 26,605 | 29,926 | 29,329 |
케갈레 | 34,453 | 37,165 | 45,794 | 45,919 |
3. 3. 지역별 고무 경작지 분포
스리랑카의 고무 재배 지역은 콜롬보, 감파하, 칼루타라, 캔디, 마탈레, 갈, 마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등 습윤 지대에 주로 분포한다.[15] 이 외 지역의 중간 지대에도 고무 농장이 존재하며, 평지부터 경사가 급한 곳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고무가 재배된다.[15]2014년 기준 스리랑카의 고무 경작지 면적은 약 12만 헥타르 이상이며, 이 중 상당수는 소농이 보유하고 있다.[15] 특히 칼루타라, 라트나푸라, 케갈레 지역은 지난 20년간 고무 생산량이 각각 29%, 29%, 25% 감소하는 등 감소세가 두드러진다.[15]
지역 | 2014 | 2010 | 1992 | 1982 |
---|---|---|---|---|
콜롬보 | 6,466 | 6,320 | 10,084 | 10,317 |
감파하 | 3,289 | 3,835 | 4,840 | 3,364 |
칼루타라 | 24,195 | 28,765 | 41,237 | 47,632 |
캔디 | 1,643 | 1,854 | 2,079 | 2,127 |
마탈레 | 1,190 | 4,005 | 2,530 | 6,637 |
누와라엘리야 | 27 | 6 | 224 | |
갈 | 4,356 | 5,982 | 11,234 | 14,637 |
마타라 | 3,101 | 4,005 | 5,299 | 6,637 |
함반토타 | 210 | 155 | 23 | 67 |
쿠루네갈라 | 3,244 | 3,018 | 3,229 | 3,290 |
푸탈람 | 17 | 193 | ||
바둘라 | 1,601 | 1,626 | 340 | 969 |
모나라갈라 | 5,876 | 4,805 | 1,539 | 2,192 |
라트나푸라 | 22,065 | 26,605 | 29,926 | 29,329 |
케갈레 | 34,453 | 37,165 | 45,794 | 45,919 |
2005년 기준으로 고무 농장의 65% (약 77,000 헥타르)는 소규모 농장(8 헥타르 미만)이며, 35% (약 37,000 헥타르)는 대규모 농장(8 헥타르 이상)으로 분류되었다.[15] 2014년 기준, 전체 고무 경작지의 40% (47,000 헥타르)는 지역 공공 플랜테이션 기업이, 나머지 68,000 헥타르는 민간 영역이 소유하고 있다.[15]
4. 고무 제조
과거에는 고무나무 묘목을 직접 심는 방식으로 재배했지만, 현재는 영양번식을 이용한 고무 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 고무 경작량의 70%를 차지한다.[17][7] PB 86 품종이 주로 재배되지만, 고무 연구소가 개발한 RRIC 100 시리즈(RRIC 121 등) 및 RRISL 2000 시리즈와 같은 개량 품종도 새로 심거나 다시 심는 데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7] 이러한 신품종들은 생산량이 많고 여러 가지 이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7][7]
4. 1. 제조 방식
과거에는 고무나무 묘목을 직접 심는 방식으로 재배했지만, 현재는 영양번식을 이용한 고무 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 고무 경작량의 70%를 차지한다.[17][7] PB 86 품종이 주로 재배되지만, 고무 연구소가 개발한 RRIC 100 시리즈(RRIC 121 등) 및 RRISL 2000 시리즈와 같은 개량 품종도 새로 심거나 다시 심는 데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7] 이러한 신품종들은 생산량이 많고 여러 가지 이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7][7]4. 2. 품종 개량
수십 년 전만 해도 고무나무 묘목을 직접 심었지만, 현재는 영양번식을 이용한 고무가 전체 고무 경작량의 70%를 차지한다.[17][7] 고무 연구소에서 개발한 RRIC 100 시리즈 (RRIC 121 등) 및 RRISL 2000 시리즈의 클론이 새로운 식재 및 재식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7] 이러한 새 품종은 다수확성 등 여러 좋은 형질을 지니고 있다.[17]5. 고무 수출
현재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고무 60% 가량이 국내에서 소비되며, 나머지는 수출된다. 1992년에 내수 비율이 42%인 것과 비교하면, 최근 스리랑카 내 고무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다. 고무는 스모크 시트, 크레이프 고무, 크레이트 라텍스, 공업규격화 고무(테크니컬리 스페시파이드 러버/Technically Specified Rubber영어) (TSR)의 형태로 수출되고 있다.[18] 2019년 기준, 고무 수출은 스리랑카의 경제에서 8억 9000만 달러를 기여하였으며,[18] 스리랑카 정부는 2025년까지 고무 수출량을 2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19]
5. 1. 수출 현황
현재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고무의 60% 가량이 국내에서 소비되며, 나머지는 스모크 시트, 크레이프 고무, 크레이트 라텍스, 공업규격화 고무(테크니컬리 스페시파이드 러버/Technically Specified Rubber영어) (TSR)의 형태로 수출된다.[18] 1992년에 내수 비율이 42%였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스리랑카 내 고무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9년 기준, 고무 수출은 스리랑카의 경제에서 8억 9000만 달러를 기여하였으며,[18] 스리랑카 정부는 2025년까지 고무 수출량을 2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19]연도 | 천연고무 수출량 (미국 달러)[20] | 총 수출량 (미국 달러) |
---|---|---|
2000 | 2550만 | 2억 2000만 |
2001 | 1500만 | 2억 500만 |
2002 | 1960만 | 2억 1400만 |
2003 | 3470만 | 2억 7500만 |
2004 | 5450만 | 3억 5300만 |
2005 | 4300만 | 4억 1400만 |
2006 | 8660만 | 5억 700만 |
2007 | 9650만 | 5억 8700만 |
2008 | 1억 1100만 | 6억 5200만 |
2009 | 8560만 | 4억 8700만 |
2010 | 1억 5100만 | 7억 2200만 |
2011 | 1억 9300만 | 10억 7000만 |
2012 | 1억 1500만 | 9억 3800만 |
2013 | 6840만 | 9억 4700만 |
2014 | 4490만 | 9억 700만 |
2015 | 2900만 | 7억 2800만 |
2016 | 3340만 | 7억 6800만 |
2017 | 4320만 | 8억 2400만 |
2018 | 3950만 | 7억 9400만 |
2019 | 8억 9000만 | |
2020 | 7억 8600만 |
5. 2. 경제 기여도 및 정부 정책
현재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고무의 약 60%는 국내에서 소비되며 나머지는 수출된다.[18] 1992년 내수 비율이 42%였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스리랑카 내 고무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8] 고무는 스모크 시트, 크레이프 고무, 크레이트 라텍스, 공업규격화 고무(Technically Specified Rubber영어, TSR)의 형태로 수출된다.[18]2019년 기준, 고무 수출은 스리랑카의 경제에 8억 9000만 달러를 기여하였다.[18] 스리랑카 정부는 2025년까지 고무 수출량을 2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19]
연도 | 천연고무 수출량 (미국 달러)[20] | 총 수출량 (미국 달러) |
---|---|---|
2000 | 2550만 | 2억 2000만 |
2001 | 1500만 | 2억 500만 |
2002 | 1960만 | 2억 1400만 |
2003 | 3470만 | 2억 7500만 |
2004 | 5450만 | 3억 5300만 |
2005 | 4300만 | 4억 1400만 |
2006 | 8660만 | 5억 700만 |
2007 | 9650만 | 5억 8700만 |
2008 | 1억 1100만 | 6억 5200만 |
2009 | 8560만 | 4억 8700만 |
2010 | 1억 5100만 | 7억 2200만 |
2011 | 1억 9300만 | 10억 7000만 |
2012 | 1억 1500만 | 9억 3800만 |
2013 | 6840만 | 9억 4700만 |
2014 | 4490만 | 9억 700만 |
2015 | 2900만 | 7억 2800만 |
2016 | 3340만 | 7억 6800만 |
2017 | 4320만 | 8억 2400만 |
2018 | 3950만 | 7억 9400만 |
2019 | 8억 9000만 | |
2020 | 7억 8600만 |
참조
[1]
웹사이트
Natural Rubber and Rubber Based Products from Sri Lanka – EDB Sri Lanka
https://www.srilanka[...]
2021-02-19
[2]
웹사이트
The elasticity of truth: Will Sri Lanka's rubber industry bounce back? {{!}} Daily FT
http://www.ft.lk/col[...]
2021-02-19
[3]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rrisl.gov[...]
2021-02-19
[4]
서적
The Plantation Rubber Industry in the Middle Eas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5
[5]
서적
Agriculture of Sri Lanka
Weerartna
[6]
서적
Survey on Agriculture Crops and Lives stock 1992/93
Rubber Development Department
[7]
서적
Progress and Potential of the Agriculture Sector
Sri Lank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8]
웹사이트
Sri Lanka rubber exports retains bounce on Coronavirus crisis
https://economynext.[...]
2021-03-04
[9]
웹사이트
Plastics and Rubber Institute of Sri Lanka, EDB, Smart Expos launch first-of-its-kind virtual expo {{!}} Daily FT
http://www.ft.lk/bus[...]
2021-03-04
[10]
웹사이트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by @HarvardGrwthLab
https://atlas.cid.ha[...]
2021-03-04
[11]
웹인용
Natural Rubber and Rubber Based Products from Sri Lanka - EDB Sri Lanka
https://www.srilanka[...]
2021-02-19
[12]
웹인용
Statistics
http://www.rrisl.gov[...]
2021-02-19
[13]
웹인용
The elasticity of truth: Will Sri Lanka’s rubber industry bounce back? {{!}} Daily FT
http://www.ft.lk/col[...]
2021-02-19
[14]
서적
The Plantation Rubber Industry in the Middle Eas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5
[15]
서적
Agriculture of Sri Lanka
Weerartna
[16]
서적
Survey on Agriculture Crops and Lives stock 1992/93
Rubber Development Department
[17]
서적
Progress and Potential of the Agriculture Sector
Sri Lank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8]
웹인용
Sri Lanka rubber exports retains bounce on Coronavirus crisis
https://economynext.[...]
2021-03-04
[19]
웹인용
Plastics and Rubber Institute of Sri Lanka, EDB, Smart Expos launch first-of-its-kind virtual expo {{!}} Daily FT
http://www.ft.lk/bus[...]
2021-03-04
[20]
웹인용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by @HarvardGrwthLab
https://atlas.cid.ha[...]
2021-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