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 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전이는 액체가 고체와 유사한 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냉각 또는 압축을 통해 발생한다. 이 과정은 재료의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지만 구조적 변화는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유리 전이 온도는 물질의 종류와 냉각 속도에 따라 다르며, 고분자, 규산염 유리, 금속 유리 등 다양한 물질에서 나타난다. 유리 전이는 열역학적 평형 상태 간의 전이가 아닌, 동적 현상으로 간주되며, 시간과 온도는 상호 교환 가능한 양으로 취급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온생물학 - 인공수정
    인공수정은 정자를 인위적으로 자궁에 주입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난임 치료에 사용되며 윤리적, 사회적 문제 및 법적 제한과 관련이 있고, 동물 인공수정은 가축 개량 등에 활용된다.
  • 저온생물학 - 저체온증
    저체온증은 심부 체온이 35.0℃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저온 노출, 알코올 섭취, 질병, 약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떨림, 의식 저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체온 측정과 재가온 치료가 중요하다.
  • 문턱 온도 - 녹는점
    녹는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로, 물질의 순도 확인 및 소재 개발에 활용되며, 압력, 불순물, 결정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
  • 문턱 온도 - 이슬점
    이슬점은 기압이 일정할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액체 물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공기 중 수증기량에 따라 습도를 나타내며, 이슬, 서리, 안개, 구름 생성과 관련되고, 기상 예보, 공압 기기 성능 평가, 인간의 쾌적함에 영향을 미친다.
  • 고무 - 가황
    가황은 고무 분자 사이에 가교 결합을 형성하여 강도, 내구성, 탄성 등을 향상시키는 화학적 공정으로, 주로 황 가황을 통해 이루어지며, 타이어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무 - 라텍스
    라텍스는 다양한 속씨식물과 일부 곰팡이 종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식물 보호 기능 외에 고무, 의류, 페인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도 있다.
유리 전이

2. 카우즈만 역설

액체과냉각될 때, 액체와 고체 상 사이의 엔트로피 차이는 감소한다. 과냉각 액체의 비열을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외삽하여 엔트로피 차이가 0이 되는 온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 온도를 '''카우즈만 온도'''라고 한다.

만약 액체가 카우즈만 온도 이하로 과냉각될 수 있고, 실제로 결정 상보다 낮은 엔트로피를 나타낸다면, 이는 액체 상이 결정 상과 동일한 진동 엔트로피를 가지지만 위치 엔트로피는 훨씬 더 높아야 한다는 점에서 역설적이다. 이를 '''카우즈먼의 역설'''(Kauzmann's paradox)이라고 하며, 1948년 월터 카우즈먼(Walter Kauzmann)이 처음 발표하였다.[83] 이 역설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해결되지 않았다.[44][45]

결정과 과냉각 액체 사이의 엔트로피 차이

2. 1. 카우즈만 역설의 해결

카우즈먼은 모든 과냉각 액체가 카우즈만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결정화되어야 한다는 가정을 통해 엔트로피 역설을 해결했다.[83]

카우즈만 온도에서 유리는 여전히 비정질이지만 장거리 비정질 질서를 가지고 있어 전체 엔트로피를 결정의 엔트로피 수준으로 낮추는 이상적인 유리 ''상''에 도달할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45][46] 이상적인 유리는 가설적으로 존재하지만, 형성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관찰될 수 없다. 증기 증착을 통해 형성된 "초안정 유리"에서 이상적인 유리에 근접한 것이 관찰되었다.[47]

액체의 엔트로피가 감소하기 전에 상전이가 일어나야 한다는 가설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전이 온도는 ''열량측정 이상적 유리 전이 온도'' ''T''0c로 알려져 있다. 이 관점에서 유리 전이는 단순한 속도론적 효과, 즉 용융체의 빠른 냉각의 결과일 뿐만 아니라 유리 형성에 대한 기본적인 열역학적 근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다음과 같다.

: T_g \to T_{0c} \text{ as } \frac{dT}{dt} \to 0.

카우즈만 온도 근처의 과냉각 액체의 열용량이 부드럽게 더 작은 값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과, 카우즈만 온도 이전에 다른 액체 상태로의 1차 상전이가 발생하고 이 새로운 상태의 열용량은 고온에서 외삽한 값보다 작을 것이라는 가설도 존재한다.

3. 유리 전이

액체과냉각시키면 액체상과 고체상, 두 가지 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액체가 고체처럼 변하는 것을 유리 전이라고 하며, 냉각 또는 압축으로 발생한다.[9] 유리 전이는 결빙이나 결정화와 같은 1차 상전이와 달리, 열역학적 및 동역학적 특성의 불연속성이 없는 2차 상전이이다.[10]

결정을 가열하면 녹는점에서 액체로 변하고, 고체와 액체가 함께 있는 동안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 비정질 고체를 가열하면 특정 온도 범위에서 강성과 점도가 급격히 변하며 유동성이 증가하는데, 이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라고 한다.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으면 '''유리 상태''', 높으면 액체 또는 '''고무 상태'''가 된다.

열팽창계를 이용한 ''T''g 측정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T''g(A점의 온도) 측정


과냉각 액체의 비열을 외삽하여 두 상의 엔트로피 차이가 0이 되는 온도를 '''카우즈먼 온도'''라고 하며, 이 온도 아래에서는 고체 결정보다 낮은 엔트로피를 가져 역설이 발생한다.

많은 고분자처럼 결정 상태가 뚜렷하지 않은 재료는 느린 냉각이나 압축에도 쉽게 유리를 형성하는데, 이를 유리 형성 능력이라고 하며, 강성 이론으로 예측할 수 있다.[11]

액체-유리 전이는 열역학적 평형 상태 간의 전이가 아니며, 유리는 운동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열 이력에 따라 엔트로피, 밀도 등이 달라진다. 유리 전이는 주로 동적 현상이며, 시간-온도 중첩 원리로 표현된다.

3. 1. 유리 전이의 정의

유리 및 유리 전이에 대한 정의는 확립되지 않았으며, 지난 세기 동안 많은 정의가 제시되었다.[23]

  • 프란츠 시몬:[24] 유리는 좁은 온도 범위에서 과냉각 액체를 고정시켜 얻은 단단한 물질이다.

  • 윌리엄 홀더 자하리아젠:[25] 유리는 위상적으로 무질서한 네트워크이며, 그에 상응하는 결정에서와 동등한 단거리 질서를 갖는다.[26]


유리는 "고정된 액체"(즉, 에르고딕성이 깨진 액체)이며, 충분히 긴 시간 동안 과냉각 액체 상태로 자발적으로 완화된다.

유리는 열역학적으로 비평형이며 운동학적으로 안정화된 비정질 고체로, ''T*'' 온도에서 해당 과냉각 용융 상태에 상응하는 분자적 무질서 및 열역학적 특성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T*''는 실제 온도 ''T''와 다르다.[27]

유리는 유리 전이를 나타내는 비평형, 비결정질 응축 물질의 상태이다. 유리의 구조는 모액체인 과냉각 액체(SCL)와 유사하며, SCL 상태로 자발적으로 완화된다. 궁극적으로는 고체화, 즉 결정화된다.[23]

액체를 어느 정도의 유한한 속도로 냉각하면 결정화되지 않고 과냉각액체가 된다. 냉각을 더 진행하면 결정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준안정한 비정질 고체, 즉 '''유리'''가 된다. 이 과냉각액체에서 유리로 변화하는 것을 '''유리 전이'''라고 한다.[77]

고체결정을 가열하면 녹는점에서 액체로 변하기 시작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동안은 온도가 녹는점으로 유지되고, 고체가 모두 액체로 변하면 다시 온도가 상승한다.

하지만 비정질 고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는 결정과 마찬가지로 단단하여(강성률이 크고) 유동성이 없다(점도가 측정 불가능할 정도로 컸다). 그러나 어떤 좁은 온도 범위에서 강성과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이다. 유리 전이 온도보다 저온의 비정질 상태를 '''유리 상태'''라고 하며, 유리 전이 온도보다 고온에서는 물질은 액체 또는 '''고무 상태'''가 된다.

3. 2. 유리 전이 온도 (Tg)

액체과냉각되면 액체상과 고체상의 엔트로피 차이가 작아진다. 과냉각 액체의 비열을 외삽하여 두 상의 엔트로피 차이가 0이 되는 온도를 '''카우즈먼 온도'''라고 하는데, 이 온도 이하에서는 고체 결정보다 낮은 엔트로피를 가지게 되어 역설이 발생한다.[9] 액체가 고체와 같은 상태로 유리 전이하는 것은 냉각 또는 압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전이는 결빙 또는 결정화와는 다르게, 재료의 점도가 부드럽게 증가하며 1차 상전이에서 나타나는 부피, 에너지, 점도 등의 불연속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많은 고분자와 같이 결정 상태가 잘 정의되지 않은 재료는 느린 냉각이나 압축에도 쉽게 유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향을 유리 형성 능력이라고 하며, 강성 이론으로 예측할 수 있다.[11]

전이 온도 범위 이하에서는 유리 구조가 냉각 속도에 따라 완화되지 않는다. 유리 상태의 팽창 계수는 결정질 고체와 거의 같다. 느린 냉각 속도는 구조 완화 시간을 증가시켜 밀도가 높은 유리 제품을 생성한다. 어닐링을 통해 유리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형 밀도에 접근한다. ''T''g는 유리 상태의 냉각 곡선과 과냉각 액체의 교차점에 위치한다.[12][13][14][15][16] 이 온도 범위에서 유리의 구성은 평형 구조를 향해 천천히 변화한다. 깁스 자유 에너지 최소화 원리는 변화에 필요한 열역학적 구동력을 제공한다. ''T''g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는 평형 구조가 빠르게 달성되지만, 낮은 온도에서는 유리의 구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액체-유리 전이는 열역학적 평형 상태 사이의 전이가 아니며, 유리는 운동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열적 이력에 따라 엔트로피, 밀도 등이 달라진다. 유리 전이는 주로 동적 현상이며, 시간-온도 중첩 원리로 표현된다. 액체를 냉각하면 내부 자유도가 평형 상태를 벗어난다.

최근 모델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액체 매트릭스의 진동하는 요소 사이의 가장 큰 개구부가 요소의 가장 작은 단면보다 작아지는 온도에 해당한다. ''T''g0는 압력에만 의존하는 무질서한 상태의 고정된 재료 상수이다. 분자 매트릭스의 관성이 증가하면 열 평형 설정이 지연되어, 일반적인 측정 방법은 높은 ''T''g 값을 제공한다. 온도 변화 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측정된 ''T''g 값은 ''T''g0에 가까워진다.[21] 동적 기계 분석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22]

시차주사열량계(DSC) 그래프에서 ''T''g는 곡선상의 A점에 해당한다.[28]

유리 전이 온도(''T''g)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되고 측정될 수 있다. 점도를 기준으로 ''T''g를 1013 포아즈(또는 1012 Pa·s)로 고정하기도 하는데, 이는 많은 유리의 어닐링 점과 가깝다.[29]

열팽창, 열용량, 전단 계수 등은 유리 전이 온도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T''g를 정의할 수 있으며, 냉각 또는 가열 속도를 지정해야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의는 시차주사열량계(DSC)에서 가열 시 방출되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료는 먼저 10 K/min으로 냉각한 후 동일한 속도로 가열한다. 열팽창계의 굴곡점을 사용하기도 하며(위 그림 참조) 3~5 K/min의 가열 속도가 일반적이다.

고체 결정은 가열하면 녹는점에서 액체로 변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동안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 비정질 고체를 가열하면 특정 온도 범위에서 강성과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유동성이 증가하는데, 이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이다. 유리 전이 온도보다 저온에서는 '''유리 상태''', 고온에서는 액체 또는 '''고무 상태'''가 된다.

유리 전이점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 TMA 등: 시료의 온도를 조절하며 역학적 물성 변화 측정
  • DSC, DTA: 시료 온도 변화에 따른 흡열/발열 측정
  • 메카니컬 스펙트로스코피(동적 점탄성 측정): 주기적 힘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 측정


유리 전이점에서 급격히 변하는 물성을 측정하여 온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유리 전이점을 결정한다. DSC가 널리 사용된다. 유리 전이점은 비평형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며, 온도 범위와 변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실용적으로는 그래프 피크 위의 점(예: 피크 정점)을 유리 전이점으로 정의한다.

고분자에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깁스 자유 에너지가 고분자 요소의 협동적 운동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를 초과하는 온도로 표현된다. 힘이 가해질 때 분자 사슬이 서로 미끄러져 지나갈 수 있다. 단단한 화학기(예: 벤젠 고리)는 유동 과정을 방해하여 Tg를 증가시킨다.[53]

다림질에서 직물은 이 전이를 통해 가열되어 고분자 사슬이 이동성을 갖게 된다. 다리미의 무게는 바람직한 방향을 부여한다. Tg가소제 첨가로 감소될 수 있다. 가소제 분자는 고분자 사슬 사이에 끼어들어 간격과 자유 부피를 증가시키고 낮은 온도에서 서로 지나갈 수 있게 한다.

냉각 시 고무는 '액체-유리 전이'('고무-유리 전이')를 겪는다.

3. 2. 1.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물질

다음은 특정 재료 종류의 특징적인 ''T''g 값을 요약한 것이다.

재료유리 전이 온도 Tg (°C)유리 전이 온도 Tg (°F)상품명
타이어 고무-70°C[30]약 -70.0°C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35°C[32]약 -35.0°C
폴리프로필렌(무정형 PP)-20°C[31]약 -20.0°C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20°C[32]약 -20.0°C
폴리프로필렌(등정형 PP)0°C[31]약 0.0°C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15°C[31]약 15.0°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30°C[31]약 30.0°C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45°C[32]약 45.0°C
폴리아미드(PA)47°C - 60°C약 47.2°C - 약 60.0°C나일론-6,x
폴리락트산(PLA)60°C - 65°C약 60.0°C - 약 65.0°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70°C[31]약 70.0°C
폴리염화비닐(PVC)80°C[31]약 80.0°C
폴리비닐 알코올(PVA)85°C[31]약 85.0°C
폴리스티렌(PS)95°C[31]약 95.0°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무정형 PMMA)105°C[31]약 105.0°C플렉시글라스, 퍼스펙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105°C[33]약 105.0°C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115°C[34]약 115.0°C테플론
폴리카보네이트(PC)145°C[31]약 145.0°C렉산
폴리설폰185°C약 185.0°C
폴리노르보르넨215°C[31]약 215.0°C



건조된 나일론-6의 유리 전이 온도는 47°C이다.[35] 건조 상태의 나일론-6,6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70°C이다.[36][37] 반면 폴리에틸렌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는 -130°C ~ -80°C이다.[38]

위 값들은 평균값일 뿐이며, 유리 전이 온도는 냉각 속도와 분자량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첨가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온에서 60~80% 결정성을 띠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반결정성 물질의 경우, 언급된 유리 전이 온도는 냉각 시 물질의 비정질 부분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나타낸다.

재료Tg (°C)Tg (°F)
칼코겐화물 GeSbTe150°C[39]약 150.0°C
칼코겐화물 AsGeSeTe245°C약 245.0°C
ZBLAN 불화물 유리235°C약 235.0°C
이산화 텔루륨280°C약 280.0°C
불화알루미늄산염400°C약 400.0°C
소다석회 유리520°C - 600°C약 520.0°C - 약 600.0°C
융용 실리카 (근사치)1200°C[40]약 1200.0°C



실리카(화학식 SiO2)는 석영 구조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결정 형태를 갖는다. 거의 모든 결정 형태는 서로 다른 배열로 공유 꼭짓점을 통해 연결된 사면체 SiO4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슈티쇼바이트는 연결된 SiO6 팔면체로 구성되어 있는 주요 예외이다). Si-O 결합 길이는 결정 형태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α-석영의 결합 길이는 161pm인 반면, α-트리디마이트에서는 154pm ~ 171pm 범위이다. Si-O-Si 결합각 또한 α-트리디마이트의 140°에서 α-석영의 144°, β-트리디마이트의 180°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표준 매개변수에서의 어떤 편차도 미세 구조적 차이 또는 변화를 구성하며, 비정질, 유리 또는 유리상 고체에 접근하는 것을 나타낸다.

규산염의 유리 전이 온도 ''T''g공유 결합의 비정질(또는 무작위 네트워크) 격자에서 공유 결합을 끊고 다시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T''g는 유리의 화학적 조성에 의해 분명히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B, Na, K 또는 Ca과 같이 원자가가 4보다 작은 원소를 실리카 유리에 첨가하면 네트워크 구조를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어 ''T''g를 낮춘다. 반대로, 원자가가 5인 P은 규칙적인 격자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어 ''T''g를 높인다.[48]

''T''g는 결합 강도에 정비례한다. 예를 들어, 결합의 준평형 열역학적 매개변수, 즉 구성 요소(끊어진 결합)의 엔탈피 ''H''d와 엔트로피 ''S''d에 따라 달라진다. ''T''g = ''H''d / (''S''d + R ln[(1 - ''f''c)/ ''f''c])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이고 ''f''c는 퍼콜레이션 임계값이다. SiO2와 같은 강한 용융체의 경우 위 식에서 퍼콜레이션 임계값은 3차원 공간에서 보편적인 Scher–Zallen 임계 밀도, 즉 ''f''c = 0.15이지만, 취성 재료의 경우 퍼콜레이션 임계값은 재료에 따라 달라지고 ''f''c ≪ 1이다.[49] 구성 요소(끊어진 결합)의 엔탈피 ''H''d와 엔트로피 ''S''d는 점도에 대한 사용 가능한 실험 데이터에서 찾을 수 있다.[50]

고분자에서 유리 전이 온도(Tg)는 종종 깁스 자유 에너지가 고분자의 50개 정도 요소의 협동적 운동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를 초과하는 온도로 표현된다. 이를 통해 힘이 가해질 때 분자 사슬이 서로 미끄러져 지나갈 수 있다. 이 정의에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화학기(예: 벤젠 고리)를 도입하면 유동 과정이 방해되어 Tg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53]

다림질에서 직물은 이 전이를 통해 가열되어 고분자 사슬이 이동성을 갖게 된다. 그런 다음 다리미의 무게는 바람직한 방향을 부여한다. Tg가소제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함으로써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 작은 가소제 분자는 고분자 사슬 사이에 끼어들어 간격과 자유 부피를 증가시키고 더 낮은 온도에서도 서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냉각 시 고무는 '액체-유리 전이'를 겪는데, 이는 '고무-유리 전이'라고도 한다.

4. 유리 전이의 성질

액체가 냉각 또는 압축되면 고체와 같은 상태로 유리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9] 이 과정에서 재료의 점도는 500K의 온도 범위 내에서 최대 17 차수만큼 부드럽게 증가하지만, 재료 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10] 이는 결빙 또는 결정화와는 다르다. 에렌페스트 분류에서 1차 상전이는 부피, 에너지, 점도 등 열역학적 및 동적 특성이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반면, 유리 전이는 그렇지 않다. 빠른 냉각은 결빙 전이를 억제하고 유리 전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고분자처럼 결정 상태가 잘 정의되지 않은 재료는 느린 냉각이나 압축에도 쉽게 유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리 형성 능력은 재료 구성에 따라 다르며, 강성 이론으로 예측할 수 있다.[11]

유리 구조는 전이 온도 범위 이하에서 냉각 속도에 따라 완화되지 않으며, 팽창 계수는 결정질 고체와 거의 같다. 구조 완화(분자간 재배열)는 느린 냉각 속도에서 더 많은 시간이 주어져 밀도가 높은 유리를 만든다. 어닐링은 느린 구조적 완화를 유도하여 유리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냉각 액체의 평형 밀도에 접근하게 한다. ''T''g는 유리 상태의 냉각 곡선(부피 대 온도)과 과냉각 액체의 교차점으로 정의된다.[12][13][14][15][16]

유리의 구성은 이 온도 범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형 구조로 천천히 변화한다. 깁스 자유 에너지 최소화 원리는 변화를 일으키는 열역학적 구동력을 제공한다. ''T''g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는 평형 구조가 빠르게 형성되지만, 낮은 온도에서는 유리의 구성이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액체-유리 전이는 열역학적 평형 상태 간의 전이가 아니다. 평형 상태는 항상 결정질이라고 믿어지며, 유리는 운동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열적 이력에 따라 엔트로피, 밀도 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리 전이는 주로 동적 현상이며, 시간과 온도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시간-온도 중첩 원리). 액체 냉각 시 내부 자유도가 평형 상태를 벗어난다. 무한히 긴 완화 시간에서 2차 상전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7][18][19][20]

최근 모델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액체 매트릭스 요소 간 개구부가 요소 단면보다 작아지는 온도이다. 열에너지 입력에 따른 진동 교란으로 일시적 공동("자유 부피")이 생기며, 수와 크기는 온도에 의존한다. 유리 전이 온도 ''T''g0는 압력에만 의존하는 무질서한 상태의 재료 상수이다. ''T''g0 근처에서 분자 매트릭스 관성 증가로 열 평형 설정이 지연되어, 일반적 측정 방법은 ''T''g 값을 높게 측정한다. 느린 온도 변화 속도는 측정된 ''T''g 값을 ''T''g0에 가깝게 만든다.[21] 동적 기계 분석 등으로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22]



1971년 젤러(Zeller)와 포흘(Robert Otto Pohl)은[42] 유리의 비열이 매우 낮은 온도(~1K)에서 선형 성분(c \approx c_1 T + c_3 T^3)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데바이 모델(c \propto T^3)을 따르는 결정성 물질과는 다른 현상으로, 두 수준계 시스템 가설[43]로 설명된다.

고체 결정을 가열하면 녹는점에서 액체로 변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동안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 비정질 고체는 저온에서 결정처럼 단단하지만(강성률이 크고 점도가 매우 높음), 특정 온도 범위에서 강성과 점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이며, 이보다 낮은 온도의 비정질 상태를 '''유리 상태''', 높은 온도를 액체 또는 '''고무 상태'''라고 한다.

유리 전이와 유리 상태의 특성은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비열의 유한한 도약
  • 유리 상태의 엔트로피 잔류 문제 (카우즈만 역설)
  • 승온·강온 속도에 의존하는 유리 전이점
  • 평형 상태 도달 시간 발산
  • 동적 비균질성
  • 스트링 모션
  • 유리 상태 유지 용이성 차이
  • 보존 피크라고 불리는 저에너지 여기

4. 1. 폴리아모피즘

폴리아모피즘은 유리-유리 전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이 4℃에서 밀도가 최대가 되는 이유는 유리-유리 전이의 영향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따라 폴리아모피즘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물이 고밀도 과냉각 액체 상태와 저밀도 과냉각 액체 상태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도 그중 하나이다.

5. 유리 전이 측정 방법

유리 전이점을 측정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시료의 온도를 서서히 올리거나 내리면서 역학적 물성의 변화를 측정한다. (예: TMA)
  • 시료의 온도를 서서히 올리거나 내리면서 흡열이나 발열을 측정한다. (예: DSC, DTA)
  • 메카니컬 스펙트로스코피(동적 점탄성 측정): 시료에 가하는 주기적 힘의 주파수를 바꾸면서 그 응답을 측정한다.


강성과 점도 외에도 유리 전이점에서 급격히 변하는 물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하는 물성을 측정하여 온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유리 전이점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유리 전이점에서는 흡열이나 발열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DSC가 널리 사용된다.[77] 융점은 온도 축의 한 점이며 고체와 액체라는 서로 다른 상이 공존하여 평형 상태인 온도로서 정확한 한 점으로 정해지지만, 유리 전이점은 비평형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며, 점이 아니라 어떤 온도 범위이고, 또한 온도 변화 속도에도 따라 달라진다.[77] 즉, 유리 상태와 액체 상태가 일정한 온도에서 공존하여 평형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실용적으로는, 측정하는 물성의 온도 변화 그래프에 나타나는 피크 위의 어떤 점(예를 들어 피크 정점)을 유리 전이점으로 정의한다.[77]

6. 사슬 모양 고분자의 유리 전이 현상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등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으로 불리는 화합물은 실이나 사슬처럼 길고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사슬 모양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고온의 액체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저분자 액체처럼 분자 간 위치가 자유롭게 변하며 유동성을 갖지만, 사슬 모양 분자 간 얽힘으로 인한 점성 때문에 저분자 액체와는 다른 거동을 보이기도 한다. 사슬 분자의 장축에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은 얽힌 사슬 모양 분자들이 서로 방해하여 억제되고, 장축을 따라 운동하는 '''사행 운동'''만 가능하다.

온도를 낮춰 융점 이하로 내려도 결정화 속도가 느려 일부분만 결정화되는 경우가 많다. 결정화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 사행 운동이 억제되고, 얽힘점에서 사슬 모양 분자들이 결합하여 가교점이 된 그물 구조를 형성하여 '''고무 탄성(엔트로피 탄성)'''을 갖게 된다. 이를 고무 상태라고 하며, 가교점에서 분자들이 결합되어 있지만 가교점 사이의 사슬 부분은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이 가교는 가황 고무의 화학 결합에 의한 가교('''화학적 가교''')와 구별하여 '''물리적 가교'''라고 한다.

유리 전이 온도로 더욱 온도를 낮추면 사슬 부분의 운동이 매우 느려지고, 모든 부분이 그 위치에서 열 진동만 하는 유리 상태가 된다. 유리 전이 온도 이하에서도 α 전이점, β 전이점 등 물성이 급격히 변하는 온도가 존재하는 고분자가 많다.[1]

7. 황의 유리 전이

단일 황의 결정이나 용액 속의 황 분자는 S₈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액체 상태에서 159°C 이상에서는 S₈ 외에 사슬 모양 고분자도 존재하며, 약 200°C에서 점성이 가장 높아진다. 200°C에서의 중합도는 5~8×10⁵가 된다.[82] 이 사슬 모양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체를 융점 이하에서 상온까지 급냉각하면 비정형의 고무상 황이 된다. 액체 질소 등으로 더욱 저온까지 급냉각하면 유리 상태가 된다. 즉, 사슬 모양 고분자 황은 사슬 모양 고분자 합성수지와 마찬가지로 액체, 고무 상태, 유리 상태로 변화한다.

8. 시간-온도 중첩 원리

유리를 다룰 때 시간과 온도는 어느 정도 상호 교환 가능한 양으로 간주되며, 이는 시간-온도 중첩 원리로 표현된다.[17] 액체를 냉각하면 내부 자유도가 평형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17][18][19][20]

참조

[1] 논문 SUMMARY OF WORK ON ATOMIC ARRANGEMENT IN GLASS* https://ceramics.onl[...] 1941-08-01
[2] 간행물 Plastics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Part 2: Determination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99-01-01
[3] 웹사이트 The Glass Transition https://web.archive.[...] Polymer Science Learning Center 2009-10-15
[4] 논문 Supercooled liquids and the glass transition
[5] 논문 Relaxation in glassforming liquids and amorphous solids http://lib.dr.iastat[...] 2018-09-06
[6] 논문 Glass formation in amorphous SiO2 as a percolation phase transition in a system of network defects
[7] 논문 Definitions of terms relating to crystalline polymers (IUPAC Recommendations 2011) https://www.degruyte[...] 2018-06-25
[8] 백과사전 glass transition GoldBook
[9] 서적 Theory of Simple Liquid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6-09-23
[10] 서적 Chalcogenide Glass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7-05-02
[11] 논문 Topology of covalent non-crystalline solids I: Short-range order in chalcogenide alloys
[12] 서적 The Glass Transition and the Nature of the Glassy State Ann. N.Y. Acad. Sci.
[13] 논문 Perspective on the glass transition
[14] 논문 Supercooled Liquids and Glasses
[15] 논문 Formation of Glasses from Liquids and Biopolymers
[16] 논문 A Topographic View of Supercooled Liquids and Glass Formation
[17] 서적 Glasses and the Vitreous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9-23
[18] 서적 Thermodynamic and Kinetic Aspects of the Vitreous State CRC Press
[19] 서적 Modern Aspects of the Vitreous State Butterworth
[20] 논문 Connectivity and glass transition in disordered oxide systems
[21] 논문 Microscopic-Phenomenological Model of Glass Transition I. Foundations of the model (Revised and enhanced version) (Former title: Microscopic Model of Glass Transformation and Molecular Translations in Liquids I. Foundations of the Model-October 2015) http://rgdoi.net/10.[...] 2017-01-01
[22] 웹사이트 What is Dynamic Mechanical Testing (DMA)? https://coventivecom[...] 2020-12-09
[23] 논문 The glassy state of matter: Its definition and ultimate fate https://linkinghub.e[...] 2017-09-01
[24] 논문 Zum Prinzip von der Unerreichbarkeit des absoluten Nullpunktes https://doi.org/10.1[...] 1927-04-01
[25] 논문 The Atomic Arrangement in Glass https://pubs.acs.org[...] 1932-10-01
[26] 논문 Non-crystalline solids: glasses and amorphous solids https://linkinghub.e[...] 1996-02-01
[27] 서적 The Vitreous State: Thermodynamics, Structure, Rheology, and Crystalliza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01-01
[28] 웹사이트 Tg measurement of glasses http://www.glassprop[...] 2012-06-29
[29] 백과사전 glass-transition temperature GoldBook
[30] 특허 TYRE COMPRISING A CYCLOOLEFIN POLYMER, TREAD BAND AND ELASTOMERIC COMPOSITION USED THEREIN http://patentscope.w[...]
[31] 서적 PVC Handbook https://books.google[...] Hanser Verlag 2016-09-23
[32] 서적 THERMOPLASTIC MATERIALS Properties,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lications CRC Press
[33] 웹사이트 ABS https://web.archive.[...]
[34] 서적 The Chemistry of Polymers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09-10
[35] 웹사이트 nylon-6 information and properties http://www.polymerpr[...] 2012-06-29
[36] 논문 Supplementary Materials for Artificial Muscles from Fishing Line and Sewing Thread
[37] 간행물 Measurement of Moisture Effec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66 Nylon https://web.archive.[...] TA Instruments
[38] 웹사이트 PCL | Applications and End Uses | Polythene https://web.archive.[...] 2012-06-29
[39] 웹사이트 EPCOS 2007: Glass Transition and Crystallization in Phase Change Materials https://web.archive.[...] 2012-06-29
[40] 논문 High-temperature Brillouin scattering in fused quartz
[41] 보고서 Lattice vibrations in noncrystalline solids https://www.osti.gov[...] Cornell Univ., Ithaca, N.Y. (USA). Lab. of Atomic and Solid State Physics 1973-08-01
[42] 논문 Thermal Conductivity and Specific Heat of Noncrystalline Solids https://link.aps.org[...] 1971-09-15
[43] 논문 Anomalous low-temperature thermal properties of glasses and spin glasses http://www.tandfonli[...] January 1972
[44] 논문 The Nature of the Glassy State and the Behavior of Liquids at Low Temperatures
[45] 웹사이트 Ideal Glass Would Explain Why Glass Exists at All https://www.quantama[...] 2020-04-03
[46] 논문 Nature of the Glass Transition and the Glassy State https://pubs.aip.org[...] 1958-03-01
[47] 논문 Organic Glasses with Exceptional Thermodynamic and Kinetic Stability https://www.science.[...] 2007-01-19
[48] 논문 Configurons: thermodynamic parameters and symmetry changes at glass transition http://www.mdpi.org/[...] 2009-09-25
[49] 논문 Configurons: thermodynamic parameters and symmetry changes at glass transition http://www.mdpi.org/[...]
[50] 논문 Thermodynamic parameters of bonds in glassy materials from viscosity–temperature relationships http://eprints.white[...]
[51] 논문 Multi-scale dynamics at the glassy silica surface
[52] 논문 A universal origin for secondary relaxations in supercooled liquids and structural glasses
[53] 서적 Polymers: Chemistry and Physics of Modern Materials CRC Press
[54] 논문 Free Volume in a PVME Polymer–Water Solution
[55] 서적 Introduction to Chemical Physics Martindell Press
[56] 논문 On the stability of crystal lattices. I
[57] 논문 Thermodynamics of Crystals and Melting
[58] 서적 Kinetic Theory of Liquid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Oxford
[59] 서적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Inorganic Glasses Wolters – Noordhoof
[60] 논문 Correlation between the low temperature phonon mean free path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amorphous solids
[61] 서적 Low Temperature Solid State Physics Clarendon Press, Oxford
[62] 논문 Ultrasonic Propagation in Liquids
[63]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lasses
[64] 논문 Orientational ordering of local shear stresses in liquids: A phase transition?
[65] 논문 Point Defects, Lattice Structure and Melting 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 2005
[66] 논문 The Resistance of Liquid Metals
[67] 논문 On the calculation of molecular natural frequencies
[68] 논문 Non-crystalline Structure in Solidified Gold–Silicon Alloys
[69] 논문 Continuous Series of Metastable Solid Solutions in Silver-Copper Alloys http://authors.libra[...]
[70] 논문 Metastable Electron Compound in Ag-Ge Alloys https://authors.libr[...]
[71] 논문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etallic glasses
[72] 논문 Glassy metals
[73] 논문 Electron-Phonon Dynamics and Transport Anomalies in Random Metal Alloys
[74] 논문 Amorphous Solid Formation and Interstitial Solution Behavior in Metallic Alloy System
[75] 논문 Role of chemical bonding in metallic glasses
[76] 논문 Polymorphic bonding and thermal stability of elemental noncrystalline solids
[77] 간행물 ガラス転移とモード結合理論
[78] 서적 ガラス転移 岩波書店
[79] 서적 ガラス状態 岩波書店
[80] 서적 ガラス状態 平凡社
[81] 서적 ガラス状態 平凡社
[82]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無機化学 培風館
[83] 서적 The Nature of the Glassy State and the Behavior of Liquids at Low Temperatu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