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틀랜드의 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틀랜드의 꽃은 스코틀랜드의 독립 의지를 담은 노래로,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가 잉글랜드에 승리한 역사를 기린다. 영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트어 가사로 존재하며, 특히 "에드워드 왕의 군대에 항거하여 이를 본국으로 몰아낸다"는 구절이 특징적이다. 럭비와 축구 경기에서 스코틀랜드 대표팀의 응원가로 사용되며, 2010년과 201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스코틀랜드 팀의 승리 곡으로 사용되었다. 스코틀랜드의 공식 국가로 인정받지는 않았지만, 다른 후보곡들을 제치고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노래 - 용감한 스코틀랜드
    용감한 스코틀랜드는 19세기 후반에 유래하여 스코틀랜드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곡으로, 브리티시 컬럼비아 드래군스의 공식 행진곡이자 코먼웰스 게임에서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곡으로 사용되었으며 영화와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노래 - Wild Mountain Thyme
    "Wild Mountain Thyme"은 "Will ye go, lassie, go?"라는 반복 구절로 시작하는 스코틀랜드 민요로, 연인에게 자연 속에서 야생 백리향을 꺾으며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프랜시스 맥피크와 매기 피어스를 통해 널리 알려져 평화, 사랑,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 스코틀랜드의 노래 - 애니 로리
    1700년경 윌리엄 더글러스가 안나 로리라는 여인에 대한 사랑을 담아 작사한 스코틀랜드 민요 애니 로리는 안나 로리와 더글러스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배경으로 1838년 앨리시아 스코트 부인이 곡을 붙여 현재 형태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크림 전쟁 당시 자선 활동에 사용되며 인기를 얻어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스코틀랜드의 노래 - 용감한 스코틀랜드
    용감한 스코틀랜드는 19세기 후반에 유래하여 스코틀랜드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곡으로, 브리티시 컬럼비아 드래군스의 공식 행진곡이자 코먼웰스 게임에서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곡으로 사용되었으며 영화와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스코틀랜드의 상징 - 유니콘
    유니콘은 이마에 뿔이 달린 흰 말의 모습을 한 전설 속 동물로, 순결과 처녀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뿔은 마법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고, 스코틀랜드 왕가와 LGBTQ+ 커뮤니티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스코틀랜드의 상징 - 스코틀랜드의 왕실 문장
    스코틀랜드의 왕실 문장은 12세기부터 사용된 스코틀랜드 왕국의 상징으로, 사자 문양에서 기원하여 군주에 따라 변화했으며, 제임스 6세 이후 유니콘과 사자 지지자를 함께 사용하는 관행이 이어져 현재까지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한다.
스코틀랜드의 꽃 - [음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스코틀랜드 국기
스코틀랜드 국기
종류애국가 (비공식)
국가스코틀랜드
작사로이 윌리엄슨
작사 시기1966–1967년
작곡로이 윌리엄슨
작곡 시기1966–1967년
발표1967년
배경
주제배넉번 전투

2. 역사적 배경

"스코틀랜드의 꽃"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의 중요한 분기점인 배넉번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 이 노래는 잉글랜드의 침략에 맞서 싸운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주의적 정서를 담고 있다.

역사적으로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로부터 여러 차례 침공을 받았다. 명예혁명으로 스코틀랜드 혈통인 제임스 2세가 왕위에서 쫓겨났고, 그의 아들 제임스 3세와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왕위를 요구하며 일으킨 재커바이트의 반란은 실패했다. 1692년 글렌코의 대학살은 잉글랜드의 억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꽃"은 단순한 노래를 넘어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적 자긍심과 독립 의지를 상징하는 곡으로 자리 잡았다.

2. 1. 배넉번 전투

가사 1절에서는 1314년 6월 23일~24일에 스코틀랜드 배넉번에서 스코틀랜드 왕 로버트 1세가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2세의 침공을 막아낸 배넉번 전투에서의 승리를 다루고 있다. 'Proud Edward's army'는 배넉번에서 참패하고 돌아간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가리킨다.[4] 이 전투에서의 승리를 통해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의 침공을 물리치고 독립을 지킬 수 있었다.

1314년배넉번 전투는 로버트 1세가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열세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 2세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에 승리하여 잉글랜드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한 전투이다.(참조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22]

2. 2.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에서 1314년 6월 23일~24일에 벌어진 배넉번 전투는 스코틀랜드 왕 로버트 1세가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2세의 침공을 막아낸 중요한 전투였다.[4] 이 전투의 승리로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의 침공을 물리치고 독립을 지킬 수 있었다.[4] '스코틀랜드의 꽃' 가사 1절은 이 배넉번 전투의 승리를 다루고 있으며, 'Proud Edward's army'는 배넉번에서 참패하고 돌아간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가리킨다.[4]

3. 가사

이 노래의 가사는 영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트어로 작성되었다. 가사는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정체성을 반영하며, 특히 잉글랜드로부터의 잦은 침공에 대한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주의적 정서를 담고 있다.[4]

1절에서는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스코틀랜드로버트 1세잉글랜드에드워드 2세의 침공을 막아낸 승리를 다룬다. 'Proud Edward's army'는 배넉번에서 패배하고 돌아간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가리킨다.[4]

2절에서는 'land that's lost now'라는 표현을 통해 잉글랜드에게 억압받았던 현실을 묘사한다. 명예혁명으로 스코틀랜드 혈통인 제임스 2세가 왕위에서 쫓겨나고, 그의 아들 제임스 3세와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일으킨 재커바이트의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다. 1692년 글렌코의 대학살은 이러한 억압을 대표하는 사건이다.[4]

3절에서는 비극적인 현실에 대한 극복과 재기 의지, 그리고 잉글랜드로부터의 독립(광복)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다. '배넉번 전투'라는 특정 사건을 통해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고 독립에 대한 희망을 담아냈기 때문에 이 노래는 큰 인기를 얻었다.[4]

대중가요로서의 원곡은 1절부터 3절까지 있지만, 국가로 불릴 때는 2절을 빼고 배넉번 전투의 승리를 다룬 1절과 독립에 대한 희망을 다룬 3절만 불린다.[4]

3. 1. 영어 가사



When will we see|웬 윌 위 시영어

Your like again,|유어 라이크 어게인,영어

That fought and died for|댓 포트 앤 다이드 포영어

your wee bit Hill and Glen|유어 위 비트 힐 앤드 글렌영어

And stood against him,|앤드 스투드 어게인스트 힘,영어

Proud Edward's Army,|프라우드 에드워즈 아미,영어

And sent him homeward,|앤드 센트 힘 홈워드,영어

Tae think again.|태 싱크 어게인.영어

The Hills are bare now,|더 힐스 아 베어 나우,영어

And Autumn leaves|앤드 오텀 리브스영어

Lie thick and still,|라이 씩 앤드 스틸,영어

O'er land that is lost now,|오어 랜드 댓 이즈 로스트 나우,영어

Which those so dearly held,|위치 도즈 소 디얼리 헬드,영어

That stood against him,|댓 스투드 어게인스트 힘,영어

Proud Edward's Army,|프라우드 에드워즈 아미,영어

And sent him homeward,|앤드 센트 힘 홈워드,영어

Tae think again.|태 싱크 어게인.영어

(2절은 대중가요로 불릴 때는 불리나, 국가로 불릴 때는 불리지 않는다.)

Those days are passed now,|도즈 데이즈 아 패스드 나우,영어

And in the past|앤드 인 더 패스트영어

They must remain,|데이 머스트 리메인,영어

But we can still rise now,|벗 위 캔 스틸 라이즈 나우,영어

And be the nation again,|앤드 비 더 네이션 어게인,영어

That stood against him,|댓 스투드 어게인스트 힘,영어

Proud Edward's Army,|프라우드 에드워즈 아미,영어

And sent him homeward,|앤드 센트 힘 홈워드,영어

Tae think again.|태 싱크 어게인.영어 [4]

1절 가사는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에드워드 2세의 잉글랜드 군대를 물리친 승리를 다루고 있다. 'Proud Edward's army'는 이 전투에서 패배하고 돌아간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가리킨다. 2절에서는 'land that's lost now'라는 표현을 통해 잉글랜드에게 억압받았던 현실을, 3절에서는 비극적인 현실 극복과 잉글랜드로부터의 독립(광복)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다.[4]

이 곡은 영어로 작곡되었고 불려지며, 스코틀랜드어 단어 하나("Tae"는 "To"의 의미)가 사용되었다.[6]

3. 2. 한국어 번역

한국어 번역 가사는 원문의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며, 스코틀랜드인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1]

3. 3. 스코틀랜드 게일어 및 스코트어 가사



Whan will we see|환 윌 위 시sco

Yer like again,|여 라이크 어게인,sco

That focht and dee'd for,|댓 포흐트 앤 디드 포,sco

Your wee bit Hill an Glen,|유어 위 빗 힐 앤 글렌,sco

An stuid agin him,|앤 스튀드 어긴 힘,sco

Prood Edward's Airmie,|프루드 에드워즈 아미,sco

An sent him hamewart,|앤 센트 힘 하메와트,sco

Tae 'hink again.|태 힝ㅋ 어게인.sco

The Hills is bare nou,|더 힐즈 이즈 베어 나우,sco

An Autumn leafs|앤 오텀 맆스sco

Lies thick an still,|라이즈 씩 앤 스틸,sco

Ower land that is lost nou,|오워 랜드 댓 이즈 로스트 나우,sco

That thae sae dearlie held,|댓 대 새 데얼리 헬드,sco

That stuid agin him,|댓 스튀드 어긴 힘,sco

Prood Edward's Airmie,|프루드 에드워즈 아미,sco

An sent him hamewart,|앤 센트 힘 하메와트,sco

Tae 'hink again.|태 힝ㅋ 어게인.sco

Thir days is past nou,|씨어 데이즈 이즈 패스트 나우,sco

An in the past|앤 인 더 패스트sco

Thay maun remain,|대 마운 리메인,sco

But we can aye rise nou,|벗 위 캔 애 라이즈 나우,sco

An be the naition again,|앤 비 더 네이션 어게인,sco

That stuid agin him,|댓 스튀드 어긴 힘,sco

Prood Edward's Airmie,|프루드 에드워즈 아미,sco

An sent him hamewart,|앤 센트 힘 하메와트,sco

Tae 'hink again.|태 힝ㅋ 어게인.sco

O Fhlùir na h-Alba,|오 루어 나 할바,gd

cuin a chì sinn|퀸 아 히 신gd

an seòrsa laoich|안 셔사 레이흐gd

a sheas gu bàs 'son|아 헤스 구 바스 손gd

am bileag feòir is fraoich,|암 빌렉 페어 이스 프레이흐,gd

a sheas an aghaidh|아 헤스 안 아게gd

feachd uailleil Iomhair|페흐트 우알릴 이오와르gd

's a ruaig e dhachaidh|스 아 루악 에 가헤gd

air chaochladh smaoin?|에르 헤흐라흐 스므인?gd

Na cnuic tha lomnochd|나 크뤽 하 롬노흐트gd

's tha duilleach Foghair|스 하 둘레흐 포어gd

mar bhrat air làr,|마르 브랏 에르 라-ㄹgd

am fearann caillte|암 페아란 카일테gd

dan tug na seòid ud gràdh,|단 툭 나 셔드 우드 그라-gd

a sheas an aghaidh|아 헤스 안 아게gd

feachd uailleil Iomhair|페흐트 우알릴 이오와르gd

's a ruaig e dhachaidh|스 아 루악 에 가헤gd

air chaochladh smaoin.|에르 헤흐라흐 스므인.gd

Tha 'n eachdraidh dùinte|하 느흐트레 뒨테gd

ach air dìochuimhne|아흐 에르 됴흐네gd

chan fheum i bhith,|한 움 이 비,gd

is faodaidh sinn èirigh|이스 파데 신 에이레gd

gu bhith nar Rìoghachd a-rìs|구 비 나르 리오흐트 아-리스gd

a sheas an aghaidh|아 헤스 안 아게gd

feachd uailleil Iomhair|페흐트 우알릴 이오와르gd

's a ruaig e dhachaidh|스 아 루악 에 가헤gd

air chaochladh smaoin.|에르 헤흐라흐 스므인.gd

이 가사는 스코틀랜드잉글랜드로부터 침공받았던 역사와 그에 대한 저항을 담고 있다. 1절은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에드워드 2세의 잉글랜드 군대를 물리친 승리를, 2절은 잉글랜드에 의해 잃어버린 땅에 대한 슬픔을, 3절은 스코틀랜드가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희망을 노래한다. 특히, 'Proud Edward's army'는 배넉번 전투에서 패배한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가리킨다.[1]

3. 4. 가사 내용 분석

"스코틀랜드의 꽃" 가사는 배넉번 전투에서 잉글랜드 군대에 맞서 승리한 스코틀랜드인들의 용맹함을 기리고, 잉글랜드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노래한다.

1절은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군대가 에드워드 2세의 잉글랜드 군대를 물리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Proud Edward's Army"는 에드워드 2세의 군대를 지칭하며, 이들을 "집으로 돌려보내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는 표현은 스코틀랜드의 승리와 독립 의지를 강조한다.[4]

2절에서는 잉글랜드의 침략과 억압으로 인해 스코틀랜드가 겪은 고통스러운 역사를 "황량해진 언덕"과 "잃어버린 땅"이라는 시구를 통해 묘사하고 있다. 특히 1692년 글렌코의 대학살은 이러한 억압을 대표하는 사건으로 볼 수 있다.[4]

3절은 과거의 아픔을 뒤로하고 다시 일어서서 스코틀랜드의 독립과 번영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일어설 수 있다"는 가사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나타낸다.[4]

이러한 가사 내용은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주의 정서를 자극하여, "스코틀랜드의 꽃"이 로지스 어브 프린스 찰리와 함께 큰 인기를 얻고 국가처럼 불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4. 상징

"스코틀랜드의 꽃"이라는 노래 제목은 스코틀랜드의 국화엉겅퀴를 상징한다. 이 곡은 1314년 배넉번 전투를 소재로 하는데, 이 전투에서 로버트 1세가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은 에드워드 2세가 이끄는 잉글랜드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잉글랜드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22]

4. 1. 엉겅퀴

'스코틀랜드의 꽃'이라는 제목은 스코틀랜드의 국화엉겅퀴를 가리킨다. 밤에 스코틀랜드를 공격하려던 맨발의 바이킹들이 엉겅퀴 가시를 밟아 고통에 소리를 질렀고, 이 덕분에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침략 위험을 알아챘다는 전설이 있다.[22]

5. 수용과 영향

코먼웰스 국가들은 '여왕 폐하 만세'를 국가로 사용하지만, 이 곡은 잉글랜드의 국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스코틀랜드 사람들에게 '여왕 폐하 만세'를 스코틀랜드 국가로 부르는 것은 민족 감정에 어긋나는 일이었다. '여왕 폐하 만세' 6절은 잉글랜드의 스코틀랜드 침략(자코바이트·가톨릭교도 반란 진압을 명분으로 한 침략)을 노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꽃'이 스코틀랜드 국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꽃'은 스포츠 경기와 공식 행사에서 널리 사용되며, 사실상 스코틀랜드 국가로 인식된다. 특히 럭비축구 경기에서 스코틀랜드 대표팀 응원가로 자주 불린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에든버러 성에서 소년 합창단이 이 노래를 불러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곡으로 소개되었다.[23]

5. 1. 스포츠 행사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대표팀은 1974년 브리티시 라이온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투어에서 윙어 빌리 스틸이 팀 동료들에게 이 노래를 부르도록 격려한 이후 국가로 사용해왔다.[8] 1990년 파이브 네이션스 챔피언십 경기 전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처음에는 프랑스와의 첫 홈 경기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9] 이후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머레이필드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사용되어 스코틀랜드가 13-7로 승리하며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10][11]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는 1993년에 처음으로 "스코틀랜드의 꽃"을 경기 전 국가로 사용했고, 1997년에 공식 채택했다.[12][13]

1974년, 더 콜리즈는 '스코틀랜드의 꽃'을 싱글로 발표했다. 같은 해, 럭비 영국 연합 팀인 라이언스(Lions)의 남아프리카 원정에 참가한 한 스코틀랜드인 선수가 팀 동료와 이 곡을 불렀고, 그 영상이 영국 TV에 방송되었다. 이 남아프리카 원정에서 라이언스는 압승했고, 그 기억과 함께 이 '스코틀랜드의 꽃'도 럭비 팬들 사이에 퍼졌다. 오늘날에도 스코틀랜드 대표팀의 찬가로 불리고 있다.

2017년 호주 대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전에 연주되고 불려지는 스코틀랜드의 꽃

5. 2. 공식 국가 논쟁

스코틀랜드에는 공식적인 국가(國歌)가 없지만, "스코틀랜드의 꽃"은 여러 후보곡들과 함께 사실상의 국가로 여겨진다.[16] 이 곡은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가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에드워드 2세의 잉글랜드군을 물리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스코틀랜드인의 민족주의적 정서를 담고 있다.[23]

1990년대부터 스포츠 경기에서 널리 불리기 시작했으며, 특히 럭비축구 경기에서 스코틀랜드 대표팀의 응원가로 사용된다.[18] 1993년부터 축구 경기에서 불려지기 시작했고, 1997년에는 공식 찬가로 지정되었다.

2006년 로열 스코티시 국립 오케스트라가 실시한 온라인 여론 조사에서 "스코틀랜드의 꽃"은 41%의 지지를 얻어 다른 후보곡들을 제치고 가장 인기 있는 국가 후보로 선정되었다.[17][24]

2006년 로열 스코티시 국립 오케스트라 국가 선호도 조사 결과[17]
후보곡지지율
스코틀랜드의 꽃41%
브레이브 스코틀랜드29%
Highland Cathedral16%
Scots Wha Hae6%
A Mans A Man for A That6%



그러나 "스코틀랜드의 꽃" 가사 중 "에드워드 왕의 군대에 항거하여 이를 본국으로 몰아낸다"는 구절은 반(反) 잉글랜드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3]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의 꽃"은 여전히 스코틀랜드 국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서도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노래로 소개되었다.

2015년에는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스코틀랜드의 꽃"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라는 청원이 제출되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는 국가 선정 문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밝혔다.[19]

5. 3. 올림픽

2012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이 노래는 스코틀랜드 전역의 학교에서 선발된 53명의 스코틀랜드 어린이들이 에든버러 성에서 불렀다.[15]

5. 4. 기타 용도

파리 생제르맹 FC 팬들은 스코틀랜드의 꽃 곡조에 맞춰 "Ô Ville Lumière"(Ô Ville Lumière|오 빛의 도시프랑스어)라는 응원가를 부른다.[20] 이 노래는 울프 톤스의 1983년 앨범 A Sense of Freedom에 수록되었다.[21]

참조

[1] 웹사이트 Scotland’s National Anthem: What is the Scottish National Anthem and why was it chosen? Lyrics and origins https://www.scotsman[...] 2024-04-27
[2] 웹사이트 EUROS 2024: Scotland has the most streamed national anthem https://nen.press/20[...] 2024-07-03
[3] 웹사이트 Scotland already have one thing over England: their pre-game anthem https://www.telegrap[...] 2024-07-03
[4] 웹사이트 The Corries website http://www.corries.c[...] 2007-08-28
[5] 웹사이트 Will Scotland ever have a national anthem? https://www.bbc.co.u[...] BBC 2011-05-24
[6] 서적 The Corries Complete Songbook 1990
[7] 웹사이트 The Corries - Flower of Scotland lyrics + English (Scots) translation https://lyricstransl[...]
[8] 웹사이트 SONGS OF THE SIX NATIONS http://sixnations.sp[...]
[9] 서적 The Grudge: Two Nations, One Match, No Holds Barred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2011-02-03
[10] 서적 The Scotland Rugby Miscellany Vision Sports Publishing Ltd 2007
[11] 뉴스 The Perfect Rugby Anthem – Flower of Scotland! http://www.walesonli[...] WalesOnline 2009-02-07
[12] 뉴스 BBC Sport Academy – The Flower of Scotland http://news.bbc.co.u[...] BBC Sport 2009-12-16
[13] 뉴스 Why SFA president wants to scrap Flower of Scotland 'dirge' http://www.heraldsco[...] 2007-06-03
[14] 뉴스 Glasgow 2014: Scotland open Games by winning four golds https://www.bbc.co.u[...]
[15] 뉴스 London 2012: Scottish choir sings for opening ceremony https://www.bbc.co.u[...] 2012-12-12
[16] 웹사이트 Flower of Scotland is first choice in RSNO anthem poll http://www.heraldsco[...] 2011-02-05
[17] 웹사이트 Background Info http://external.parl[...] 2022-09-20
[18] 웹사이트 Response to Petition https://archive2021.[...] 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2024-02-18
[19] 웹사이트 Official Report https://archive2021.[...] Scottish Parliament 2024-02-18
[20] 웹사이트 VIDÉOS - Les chants les plus emblématiques des supporters dans les stades de foot en France https://www.francebl[...] 2020-05-27
[21] 서적 Scotland and the Easter Rising Fresh Perspectives on 1916 Luath Press Limited 2016
[22] 웹사이트 2007 i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writing of Flower of Scotland http://www.corries.c[...] 2007-02-27
[23] 웹사이트 Scotland's national anthem http://news.scotsman[...] 2007-02-27
[24] 웹사이트 The RSNO National Anthem Poll Winner http://rsno.org.uk/c[...] 2007-02-13
[25] 문서
[26] 웹사이트 flower of scotland https://archive.toda[...]
[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orries.c[...] 2007-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