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펙트럼 반지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펙트럼 반지름은 복소 정방 행렬의 고유값 절댓값 중 최댓값으로 정의되며, 바나흐 환의 원소나 유계 선형 연산자로 확장될 수 있다. 스펙트럼 반지름은 행렬의 거듭제곱 수열의 수렴성을 결정하며, 겔판트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인접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으로 그래프의 스펙트럼 반지름을 정의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펙트럼 이론 - 스펙트럼 기하학
  • 스펙트럼 이론 - 스펙트럼 정리
    스펙트럼 정리는 에르미트 행렬, 정규 행렬, 자기 수반 연산자 등의 고유 벡터와 고유값의 존재를 다루며, 행렬 대각화 및 힐베르트 공간 작용소 분석에 활용되고 함수 미적분학 정의에도 기여한다.
  • 수리물리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리물리학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스펙트럼 반지름

2. 정의

복소 정방 행렬 A \in \mathbb{C}^{n \times n}의 고윳값을 \lambda_1, \dots, \lambda_n이라고 할 때, ''A''의''' 스펙트럼 반지름''' ρ(''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ho(A) := \max_i(|\lambda_i|)

일반적으로,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원소 ''A''에 대하여 '''스펙트럼''' σ(''A'') = {λ ∈ '''C''' | ''I'' λ - ''A''는 역행렬을 갖지 않음} 에 포함되는 수의 절댓값의 상한 ρ(''A'') 이 ''A'' 의 스펙트럼 반지름이라고 불린다(여기서 ''I''는 바나흐 대수의 단위원소이다).

유계 작용소 ''A'' 와 작용소 노름 ||·|| 에 대하여, 다음 식이 성립한다.

:\rho(A) = \lim_{k \to \infty}\|A^k\|^{1/k}.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는, 그 스펙트럼 반지름이 수치역반경과 일치하는 경우, '''스펙트럼형 작용소'''(spectraloid operator영어)라고 불린다. 이러한 작용소의 예로는 정규 작용소가 있다.

2. 1. 행렬

복소 정방 행렬 A \in \mathbb{C}^{n \times n}의 고윳값을 \lambda_1, \dots, \lambda_n이라고 할 때, 스펙트럼 반지름 \rho(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ho(A) = \max \left \{ |\lambda_1|, \dotsc, |\lambda_n| \right \}.

즉,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고윳값의 절댓값 중 최댓값이다.[1]

스펙트럼 반지름은 행렬의 모든 노름의 하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모든 자연 행렬 노름 \|\cdot\|에 대해 \rho(A) \leqslant \|A\| 이고, 겔판드의 공식에 따르면 \rho(A) = \lim_{k\to\infty} \|A^k\|^{1/k} 이다.[1]

그러나 스펙트럼 반지름은 임의의 벡터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를 반드시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 r > 1을 임의로 선택하고 행렬

: C_r = \begin{pmatrix} 0 & r^{-1} \\ r & 0 \end{pmatrix}

을 고려하자. C_r 의 특성 다항식은 \lambda^2 - 1 이므로, 고유값은 \{-1, 1\}이고 따라서 \rho(C_r) = 1이다. 그러나 C_r \mathbf{e}_1 = r \mathbf{e}_2이다. 결과적으로,

: \| C_r \mathbf{e}_1 \| = r > 1 = \rho(C_r) \|\mathbf{e}_1\|. [1]

겔판드 공식의 예시로, k가 짝수이면 C_r^k = I이고, k가 홀수이면 C_r^k = C_r이므로 \|C_r^k\|^{1/k} \to 1 (k \to \infty)임을 주목하자.[1]

A에르미트 행렬이고 \|\cdot\| 가 유클리드 노름일 때, 모든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인 특별한 경우가 있다. 이는 모든 에르미트 행렬이 유니터리 행렬에 의해 대각화 가능하고, 유니터리 행렬이 벡터 길이를 보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 \|A\mathbf{v}\| = \|U^*DU\mathbf{v}\| = \|DU\mathbf{v}\| \leqslant \rho(A) \|U\mathbf{v}\| = \rho(A) \|\mathbf{v}\| .[1]

2. 2. 유계 선형 연산자

바나흐 공간에서 정의된 유계 선형 연산자 A의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sigma(A) = \left\{ \lambda \in \Complex: A - \lambda I \; \text{is not bijective} \right\}

여기서 I는 항등 연산자이다.

스펙트럼 반지름은 스펙트럼 원소의 절댓값의 상한으로 정의된다.[1]

:\rho(A) = \sup_{\lambda \in \sigma(A)} |\lambda|

2. 3. 그래프

유한 그래프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해당 인접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꼭짓점의 차수가 제한된 무한 그래프의 경우로 확장된다(즉, 그래프의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C보다 작은 실수 C가 존재한다). 이 경우 그래프 G에 대해 다음을 정의한다.

: \ell^2(G) = \left \{ f : V(G) \to \mathbf{R} \ : \ \sum\nolimits_{v \in V(G)} \left \|f(v)^2 \right \| < \infty \right \}.

γ를 G의 인접 연산자라고 하자.

: \begin{cases} \gamma : \ell^2(G) \to \ell^2(G) \\ (\gamma f)(v) = \sum_{(u,v) \in E(G)} f(u) \end{cases}

G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유계 선형 연산자 γ의 스펙트럼 반지름으로 정의된다.

3. 성질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원소 ''A''에 대해 스펙트럼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rho(A) = \lim_{k \to \infty}\|A^k\|^{1/k}.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가 그 스펙트럼 반지름이 numerical radius|수치 반지름영어과 일치하면, spectraloid operator|스펙트럼형 작용소영어라고 부른다.[1] 정규 작용소가 이러한 작용소의 예시이다.[1]

행렬 A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모든 행렬 노름의 하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모든 자연 행렬 노름 \|\cdot\|에 대해 \rho(A) \leqslant \|A\| 이고,[1] 겔판트의 공식에 따르면 \rho(A) = \lim_{k\to\infty} \|A^k\|^{1/k} 이다.[1]

하지만, 스펙트럼 반지름은 임의의 벡터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를 항상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1]

A에르미트 행렬이고 \|\cdot\| 가 유클리드 노름이면, 모든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가 성립하는 특별한 경우가 있다.[1] 이는 모든 에르미트 행렬이 유니터리 행렬로 대각화 가능하고, 유니터리 행렬은 벡터 길이를 보존하기 때문이다.[1]

바나흐 공간에서 정의된 유계 선형 연산자 맥락에서, 고윳값은 연산자의 스펙트럼의 원소로 대체된다.[1]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sigma(A) = \left\{ \lambda \in \Complex: A - \lambda I \; \text{is not bijective} \right\}

스펙트럼 반지름은 스펙트럼 원소의 절댓값의 상한으로 정의된다.

:\rho(A) = \sup_{\lambda \in \sigma(A)} |\lambda|

3. 1.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과 여러 가지 성질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원소 ''A''에 대하여, 스펙트럼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ho(A) = \lim_{k \to \infty}\|A^k\|^{1/k}.[1]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는, 그 스펙트럼 반지름이 numerical radius|수치 반지름영어과 일치하는 경우, spectraloid operator|스펙트럼형 작용소영어라고 불린다.[1] 이러한 작용소의 예로는 정규 작용소가 있다.[1]

행렬 A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행렬의 모든 노름의 하한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모든 자연 행렬 노름 \|\cdot\|에 대해 \rho(A) \leqslant \|A\| 이고,[1] 겔판드의 공식에 따르면 \rho(A) = \lim_{k\to\infty} \|A^k\|^{1/k} 이다.[1]

그러나 스펙트럼 반지름은 임의의 벡터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를 반드시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1]

A에르미트 행렬이고 \|\cdot\| 가 유클리드 노름일 때, 모든 \mathbf{v} \in \mathbb{C}^n 에 대해 \|A\mathbf{v}\| \leqslant \rho(A) \|\mathbf{v}\| 인 특별한 경우가 있다.[1] 이는 모든 에르미트 행렬이 유니터리 행렬에 의해 대각화 가능하고, 유니터리 행렬이 벡터 길이를 보존하기 때문이다.[1]

바나흐 공간에서 정의된 유계 선형 연산자 의 맥락에서, 고유값은 연산자의 스펙트럼의 원소로 대체되어야 한다.[1]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sigma(A) = \left\{ \lambda \in \Complex: A - \lambda I \; \text{is not bijective} \right\}[1]

스펙트럼 반지름은 스펙트럼 원소의 크기의 상한으로 정의된다.

:\rho(A) = \sup_{\lambda \in \sigma(A)} |\lambda|[1]

겔판트 공식(Gelfand's formula)은 스펙트럼 반지름 공식이라고도 하며, 유계 선형 연산자에도 적용된다.[1] \|\cdot\|를 연산자 노름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rho(A) = \lim_{k \to \infty}\|A^k\|^{\frac{1}{k}}=\inf_{k\in\mathbb{N}^*} \|A^k\|^{\frac{1}{k}}.[1]

다음 명제는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에 대한 간단하지만 유용한 상한을 제공한다.[1]

'''명제.''' 스펙트럼 반지름이 \rho(A)이고 일관 행렬 노름이 \|A\|인 행렬 A \in \mathbb{C}^{n \times n}가 주어질 때, 각 정수 k \geqslant 1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1]

::\rho(A)\leq \|A^k\|^{\frac{1}{k}}.[1]

3. 2. 겔판트 공식 (Gelfand's formula)

이스라엘 젤판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겔판트 공식(Gelfand's formula)은 행렬 노름의 극한으로 스펙트럼 반지름을 제공한다.[3]

임의의 행렬 노름 \|\cdot\|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3]

:\rho(A)=\lim_{k \to \infty} \left \|A^k \right \|^{\frac{1}{k}}.

또한, 일관성 있는 행렬 노름의 경우 \lim_{k \to \infty} \left \|A^k \right \|^{\frac{1}{k}}는 위에서부터 \rho(A)에 접근한다(실제로, 그 경우 모든 k에 대해 \rho(A) \leq \left \|A^k \right \|^{\frac{1}{k}}이다).

임의의 \varepsilon>0에 대해, 다음 두 행렬을 정의한다.

:A_{\pm}= \frac{1}{\rho(A) \pm\varepsilon}A.

따라서,

:\rho \left (A_{\pm} \right ) = \frac{\rho(A)}{\rho(A) \pm \varepsilon}, \qquad \rho (A_+) < 1 < \rho (A_-).

\lim_{k \to \infty} A_+^k=0. 이므로,

모든 k \ge N_+에 대해, N_+ \in \mathbb{N}이 존재하여,

:\left\|A_+^k \right \| < 1.

임을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left \|A^k \right \|^{\frac{1}{k}} < \rho(A)+\varepsilon.

마찬가지로, \|A_-^k\|가 유계가 아니며, 모든 k \ge N_-에 대해, N_- \in \mathbb{N}이 존재하여

:\left\|A_-^k \right \| > 1.

임을 함축한다.

그러므로,

:\left\|A^k \right\|^{\frac{1}{k}} > \rho(A)-\varepsilon.

N = \max\{N_+, N_-\} 라고 하면,

:\forall \varepsilon>0\quad \exists N\in\mathbf{N} \quad \forall k\geq N \quad \rho(A)-\varepsilon < \left \|A^k \right \|^{\frac{1}{k}} < \rho(A)+\varepsilon,

즉,

:\lim_{k \to \infty} \left \|A^k \right \|^{\frac{1}{k}} = \rho(A).

이다.

3. 3. 거듭제곱 수열의 수렴성

복소 행렬 A에 대해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정리:''' A \in \mathbb{C}^{n \times n}이고 스펙트럼 반지름이 \rho(A)라고 하면, \rho(A) < 1인 경우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만 다음이 성립한다.

:\lim_{k \to \infty} A^k = 0.

반면에, \rho(A) > 1이면, \lim_{k \to \infty} \|A^k\| = \infty이다. 이 명제는 \mathbb{C}^{n \times n}에 대한 모든 행렬 노름 선택에 적용된다.

'''증명'''

A^kk가 무한대로 갈 때 0으로 수렴한다고 가정하고, \rho(A) < 1임을 보이자. (v, \lambda)A의 고유벡터-고유값 쌍이라고 하면, A^k v = \lambda^k v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begin{align}

0 &= \left(\lim_{k \to \infty} A^k \right) \mathbf{v} \\

&= \lim_{k \to \infty} \left(A^k\mathbf{v} \right ) \\

&= \lim_{k \to \infty} \lambda^k\mathbf{v} \\

&= \mathbf{v} \lim_{k \to \infty} \lambda^k

\end{align}



가정에 의해 v \ne 0이므로, 다음을 얻어야 한다.

:\lim_{k \to \infty}\lambda^k = 0,

이는 |\lambda| < 1임을 의미한다. 이는 모든 고유값 \lambda에 대해 참이어야 하므로, \rho(A) < 1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제 A의 반지름이 1보다 작다고 가정하자. 조르당 표준형 정리에 따르면, 모든 A \in \mathbb{C}^{n \times n}에 대해, V, J \in \mathbb{C}^{n \times n}가 존재하며 V는 비특이 행렬이고, J는 블록 대각 행렬이다. 즉, 다음을 만족한다.

:A = VJV^{-1}

여기서

:J=\begin{bmatrix}

J_{m_1}(\lambda_1) & 0 & 0 & \cdots & 0 \\

0 & J_{m_2}(\lambda_2) & 0 & \cdots & 0 \\

\vdots & \cdots & \ddots & \cdots & \vdots \\

0 & \cdots & 0 & J_{m_{s-1}}(\lambda_{s-1}) & 0 \\

0 & \cdots & \cdots & 0 & J_{m_s}(\lambda_s)

\end{bmatrix}

이고,

:J_{m_i}(\lambda_i)=\begin{bmatrix}

\lambda_i & 1 & 0 & \cdots & 0 \\

0 & \lambda_i & 1 & \cdots & 0 \\

\vdots & \vdots & \d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lambda_i & 1 \\

0 & 0 & \cdots & 0 & \lambda_i

\end{bmatrix}\in \mathbf{C}^{m_i \times m_i}, 1\leq i\leq s.

다음이 성립함을 쉽게 알 수 있다.

:A^k=VJ^kV^{-1}

그리고 J가 블록 대각 행렬이므로,

:J^k=\begin{bmatrix}

J_{m_1}^k(\lambda_1) & 0 & 0 & \cdots & 0 \\

0 & J_{m_2}^k(\lambda_2) & 0 & \cdots & 0 \\

\vdots & \cdots & \ddots & \cdots & \vdots \\

0 & \cdots & 0 & J_{m_{s-1}}^k(\lambda_{s-1}) & 0 \\

0 & \cdots & \cdots & 0 & J_{m_s}^k(\lambda_s)

\end{bmatrix}

이제, m_i \times m_i 조르당 블록의 k 거듭제곱에 대한 표준 결과는, k \geq m_i-1일 때 다음과 같다.

:J_{m_i}^k(\lambda_i)=\begin{bmatrix}

\lambda_i^k & {k \choose 1}\lambda_i^{k-1} & {k \choose 2}\lambda_i^{k-2} & \cdots & {k \choose m_i-1}\lambda_i^{k-m_i+1} \\

0 & \lambda_i^k & {k \choose 1}\lambda_i^{k-1} & \cdots & {k \choose m_i-2}\lambda_i^{k-m_i+2} \\

\vdots & \vdots & \ddots & \ddots & \vdots \\

0 & 0 & \cdots & \lambda_i^k & {k \choose 1}\lambda_i^{k-1} \\

0 & 0 & \cdots & 0 & \lambda_i^k

\end{bmatrix}

따라서, \rho(A) < 1이면, 모든 i에 대해 |\lambda_i| < 1이다. 따라서 모든 i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lim_{k \to \infty}J_{m_i}^k=0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lim_{k \to \infty} J^k = 0.

그러므로,

:\lim_{k \to \infty}A^k=\lim_{k \to \infty}VJ^kV^{-1}=V \left (\lim_{k \to \infty}J^k \right )V^{-1}=0

반면에, \rho(A)>1이면, k가 증가함에 따라 J 안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경계로 유지되지 않으므로, 명제의 두 번째 부분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스펙트럼 반지름은 행렬의 거듭제곱 수열의 수렴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3. 4. 상한

스펙트럼 반지름은 행렬의 노름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명제.''' 스펙트럼 반지름이 \rho(A)이고 일관 행렬 노름이 \|\cdot\|인 행렬 A \in \mathbb{C}^{n \times n}가 주어지면, 각 정수 k \geqslant 1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rho(A)\leq \|A^k\|^{\frac{1}{k}}.

'''증명'''

(\mathbf{v}, \lambda)를 행렬 ''A''의 고유벡터-고유값 쌍이라고 하자. 행렬 노름의 하위 곱셈성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lambda|^k\|\mathbf{v}\| = \|\lambda^k \mathbf{v}\| = \|A^k \mathbf{v}\| \leq \|A^k\|\cdot\|\mathbf{v}\|.

\mathbf{v} \neq 0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lambda|^k \leq \|A^k\|

따라서

:\rho(A)\leq \|A^k\|^{\frac{1}{k}}.

이것으로 증명이 완료된다.

복소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과 임의의 행렬 노름 ||·||에 관하여, 다음 식이 성립한다(Gelfand, 1941).

:\rho(\boldsymbol{A})=\lim_{k \to \infty}\|\boldsymbol{A}^k\|^{1/k}.

이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된다. ''ε'' > 0을 임의의 양의 실수라고 하자. 이 때,

:\tilde{\boldsymbol{A}}=(\rho(\boldsymbol{A}) + \epsilon)^{-1} \boldsymbol{A}.

에 대해

:\rho(\tilde{\boldsymbol{A}}) = \frac{\rho(\boldsymbol{A})}{\rho(\boldsymbol{A})+\epsilon} < 1

이므로, #등비수열의 수렴에 의해,

:\lim_{k \to \infty}\tilde{\boldsymbol{A}}^k=0

이 성립한다. 따라서, 어떤 자연수 N_1 \in \mathbb{N}이 존재하여,

:\forall k\geq N_1 \Rightarrow \|\tilde{\boldsymbol{A}}^k\| < 1

이 성립한다. 이는

:\forall k\geq N_1 \Rightarrow \|\boldsymbol{A}^k\|^{1/k} < \rho(\boldsymbol{A})+\epsilon.

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 \check{\boldsymbol{A}} = \frac{\boldsymbol{A}}{\rho(\boldsymbol{A}) - \epsilon}

를 고려함으로써, 어떤 자연수 N_1 \in \mathbb{N}이 존재하여,

:\forall k\geq N_1 \Rightarrow \|\check{\boldsymbol{A}}^k\| > 1

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forall \epsilon>0, \exists N\in\mathbb{N}: \forall k\geq N \Rightarrow \rho(\boldsymbol{A}) - \epsilon < \|\boldsymbol{A}^k\|^{1/k} < \rho(\boldsymbol{A})+\epsilon

가 성립하는데, 이는

:\lim_{k \to \infty}\|\boldsymbol{A}^k\|^{1/k} = \rho(\boldsymbol{A})

임을 나타낸다.

또한 ||·||가 일관성을 가질 경우, 임의의 복소 행렬 A \in M_n \mathbb{C}k \in \mathbb{N}에 대해

:\rho(A)\leq \|\boldsymbol{A}^k\|^{1/k}

이 성립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A''의 고유 벡터 \mathbf{v}와 대응하는 고유값 \lambda에 대하여, 행렬 노름의 일관성으로부터 다음 식을 얻는다.

:|\lambda|^k\|\boldsymbol{v}\| = \|\lambda^k \boldsymbol{v}\| = \|\boldsymbol{A}^k \boldsymbol{v}\| \leq \|\boldsymbol{A}^k\|\cdot\|\boldsymbol{v}\|

여기서, \mathbf{v} \neq 0이므로, 임의의 고유값 λ에 대해 다음 식을 얻는다.

:|\lambda|^k\leq \|\boldsymbol{A}^k\|

따라서,

:\rho(\boldsymbol{A})\leq \|\boldsymbol{A}^k\|^{1/k}

이 성립한다. 또한, 힐베르트 공간 상의 작용소 노름에 대해서는

:\rho(\boldsymbol{A}^* \boldsymbol{A}) = \| \boldsymbol{A}^* \boldsymbol{A} \| = \| \boldsymbol{A} \|^2

이 성립한다.

Gelfand의 공식은, 유한 개의 행렬의 곱의 스펙트럼 반지름에 대해서도 고려할 수 있다. 모든 행렬이 교환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rho(\boldsymbol{A}_1 \boldsymbol{A}_2 \dotsb \boldsymbol{A}_n) \leq \rho(\boldsymbol{A}_1) \rho(\boldsymbol{A}_2) \dotsb \rho(\boldsymbol{A}_n).


3. 5. 대칭 행렬

실수 값을 갖는 대칭 행렬 A에 대해, \rho(A) = {\|A\|}_{2}가 성립한다. 여기서 {\|\cdot\|}_{2}는 스펙트럼 노름을 나타낸다.

'''정리.''' A \in \mathbb{R}^{n \times n}을 대칭 행렬, 즉 A = A^T라고 하자. 그러면 \rho(A) = {\|A\|}_{2}가 성립한다.

'''증명'''

(v_i, \lambda_i)_{i=1}^{n}을 ''A''의 고유쌍이라고 하자. ''A''의 대칭성으로 인해, 모든 v_i\lambda_i는 실수 값을 가지며, 고유 벡터 v_i정규 직교이다. 스펙트럼 노름의 정의에 의해, x \in \mathbb{R}^{n}이 존재하여 {\|x\|}_{2} = 1이고 {\|A\|}_{2} = {\| A x \|}_{2}이다. 고유 벡터 v_i\mathbb{R}^{n}의 기저를 형성하므로, 계수 \delta_{1}, \ldots, \delta_{n} \in \mathbb{R}^{n}이 존재하여 \textstyle x = \sum_{i = 1}^{n} \delta_{i} v_{i}가 성립하며, 이는 A x = \sum_{i = 1}^{n}\delta_{i} A v_{i} = \sum_{i = 1}^{n} \delta_{i} \lambda_{i} v_{i}를 의미한다.

고유 벡터 v_i의 정규 직교성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 A x\|}_{2} = \| \sum_{i = 1}^{n} \delta_{i} \lambda_{i} v_{i}\|_{2} = \sum_{i = 1}^{n}

\cdot

\cdot {\| v_{i}\|}_{2} = \sum_{i = 1}^{n}

\cdot



그리고

:{\|x\|}_{2} = \| \sum_{i = 1}^{n} \delta_{i} v_{i} \|_{2} = \sum_{i = 1}^{n}

\cdot {\| v_{i} \|}_{2} = \sum_{i = 1}^{n}

.

x{\|Ax\|}_{2}를 최대화하면서 {\|x\|}_{2} = 1을 만족하도록 선택되었으므로, \delta_{i}의 값은 \textstyle \sum_{i = 1}^{n}

\cdot

를 최대화하면서 \textstyle \sum_{i = 1}^{n}

= 1을 만족해야 한다. 이는 k = \mathrm{arg\,max}_{i=1}^{n}

에 대해 \delta_{k} =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delta_{i} = 0으로 설정함으로써 달성되며, {\|Ax\|}_{2} =

= \rho(A)의 값을 얻는다.

3. 6. 교환 행렬

만약 A_1, \ldots, A_n가 모두 교환하는 행렬이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rho(A_1 \cdots A_n) \leq \rho(A_1) \cdots \rho(A_n).

4. 예시

다음 행렬을 보자.

:A=\begin{bmatrix}

9 & -1 & 2\\


  • 2 & 8 & 4\\

1 & 1 & 8

\end{bmatrix}

이 행렬의 고윳값은 5, 10, 10이므로, 스펙트럼 반지름은 \rho(A) = 10이다. 겔판트 공식에 따라, \|A^k\|^{1/k}k가 증가함에 따라 10에 수렴한다.

아래 표는 k값의 변화에 따른 \|A^k\|^{\frac{1}{k}}의 값을 나타낸다. (이 행렬의 특성상 \|.\|_1=\|.\|_\infty이다.)

\| A^k \|^{1/k}
k\>.\|_1=\|.\|_\infty\>.\|_F\>.\|_2
11415.36229149610.681145748
212.64911064112.32829434810.595665162
311.93483191911.53245066410.500980846
411.50163316911.15100298610.418165779
511.21604315110.92124223510.351918183
\vdots\vdots\vdots\vdots
1010.60494442210.45591043010.183690042
1110.54867768010.41370221310.166990229
1210.50192183510.37862093010.153031596
\vdots\vdots\vdots\vdots
2010.29825439910.22550444710.091577411
3010.19786089210.14977692110.060958900
4010.14803164010.11212368110.045684426
5010.11825103510.08959882010.036530875
\vdots\vdots\vdots\vdots
10010.05895175210.04469950810.018248786
20010.02943256210.02232483410.009120234
30010.01961209510.01487769010.006079232
40010.01470546910.01115619410.004559078
\vdots\vdots\vdots\vdots
100010.00587959410.00446098510.001823382
200010.00293936510.00223024410.000911649
300010.00195948110.00148677410.000607757
\vdots\vdots\vdots\vdots
1000010.00058780410.00044600910.000182323
2000010.00029389810.00022300210.000091161
3000010.00019593110.00014866710.000060774
\vdots\vdots\vdots\vdots
10000010.00005877910.00004460010.000018232


5. 그래프의 스펙트럼 반지름

유한 그래프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해당 인접 행렬의 스펙트럼 반지름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꼭짓점의 차수가 제한된 무한 그래프의 경우로 확장된다(즉, 그래프의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C|C영어보다 작은 실수 C|C영어가 존재한다). 이 경우 그래프 G|G영어에 대해 다음을 정의한다.

: \ell^2(G) = \left \{ f : V(G) \to \mathbf{R} \ : \ \sum\nolimits_{v \in V(G)} \left \|f(v)^2 \right \| < \infty \right \}.

γ|γ영어를 G|G영어의 인접 연산자라고 하자.

: \begin{cases} \gamma : \ell^2(G) \to \ell^2(G) \\ (\gamma f)(v) = \sum_{(u,v) \in E(G)} f(u) \end{cases}

G|G영어의 스펙트럼 반지름은 유계 선형 연산자 γ|γ영어의 스펙트럼 반지름으로 정의된다.

그래프의 스펙트럼 반지름에 대한 상한은 정점의 수 ''n''과 변의 수 ''m''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frac{(k-2)(k-3)}{2} \leq m-n \leq \frac{k(k-3)}{2}

이며, 여기서 3 \le k \le n는 정수일 때,[2]

:\rho(G) \leq \sqrt{2 m-n-k+\frac{5}{2}+\sqrt{2 m-2 n+\frac{9}{4}}}

6. 관련 문서

참조

[1] 서적 Table of integrals, series, and products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 1980
[2] 논문 Sharp upper bounds of the spectral radius of a graph 2019
[3] 서적 Lemma IX.1.8 in Dunford Schwartz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