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승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왕(Sangharaja)은 여러 국가와 시대에 걸쳐 불교 승가(승려 공동체)의 최고 지도자에게 부여된 지위이다. 승왕의 지위는 절대적인 수도원 선임 순위, 왕의 임명, 또는 승려나 신도들의 선출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부여된 권한과 책임은 국가별, 시대별로 다양하다. 승왕은 명목상의 역할, 국가 상가의 주요 문제 해결, 종교적 변화를 위한 역할 등을 수행하며, 미얀마, 스리랑카,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좌부 불교 - 왓 아룬
    왓 아룬은 "새벽 사원"으로도 불리는 방콕의 짜오프라야 강 서쪽에 위치한 불교 사원으로, 특히 크메르 양식의 쁘랑은 화려한 장식과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며,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존재하여 톤부리 왕조와 라마 2세, 3세에 의해 확장되었다.
  • 상좌부 불교 - 안거
    안거는 승려들이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한 곳에 머무르며 수행하는 방법이다.
  • 불교의 칭호 - 부처
    부처는 '깨달은 자'를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고통의 소멸의 길을 찾고 더 이상 배울 필요가 없는 경지에 이른 존재를 가리키며, 부처의 본성과 성불 과정에 대한 견해는 불교 종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 불교의 칭호 - 선사
    선사는 불교에서 수행 승려에 대한 존칭으로, 특히 선 수행을 통해 높은 경지에 이른 승려를 지칭하며, 선종의 스승이나 전법을 인정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승왕
상가라자 (승왕)
태국 승왕
태국 승왕
개요
종류불교 직함
의미승가의 우두머리, 최고의 승려
국가별 승왕
캄보디아부르 크리 (텝 봉에 의해 임명됨)
라오스(2개의 승가 계통이 있음)
태국솜데 팝 마하 티라찬
방글라데시상가라자
미얀마상가라자
스리랑카상가라자
추가 정보
관련 개념불교
관련 인물승려

2. 승왕의 역사와 역할

승왕(Sangharaja)의 지위는 여러 국가와 시대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부여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절대적인 수도원 선임 순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승려로서 가장 많은 안거(vassa)를 보낸 승려가 승왕이 됨을 의미한다. 다른 경우에는 왕의 임명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군주제가 불교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예: 태국) 왕이 승왕을 임명할 수 있다. 또는 수도승이나 신도들이 반민주적으로 승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승왕에게 부여된 권한과 책임 또한 다양하다. 어떤 경우에는 승왕이 주로 명목상의 인물이자 불교 신앙의 초점 및 대변인이며, 특별한 권한을 부여받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도 승왕은 존경과 직책을 활용하여 사회적, 종교적 변화를 위해 승려와 신도를 동원함으로써 테라바다 국가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캄보디아의 프레아 마하 고사난다(Preah Maha Ghosananda)가 이러한 유형의 승왕의 예시이다.

다른 경우에는 승왕이 국가 상가의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책임을 지는 국가 또는 지역 계층의 일부일 수 있다. 태국의 최고 대주교는 시민 정부와 연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스리랑카에서는 지난 2세기 동안 승왕이 임명되지 않아 현재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 시암 니카야(Siyam Nikaya), 아마라푸라 니카야(Amarapura Nikaya), 라마나 니카야(Ramanna Nikaya)의 세 주요 종파의 수석 고승인 마하나야카(Mahanayaka) 테로스가 스리랑카에서 최고위 불교 승려로 여겨진다.

3. 나라별 승왕

미얀마의 승왕 직함은 ''타타나바잉''(သာသနာပိုင်my, 문자 그대로는 '사사나의 관리자') 또는 공식적으로 ''마하상가라자''(မဟာသံဃာရာဇာmy)라고 불렸으며, 영어로는 '수장', '대주교' 또는 '최고 총대주교'로 번역되었다. 미얀마의 타타나바잉은 식민지 이전 미얀마의 불교 승가(비쿠)의 수장으로 활동했으며, 1938년 영국 식민지 미얀마의 영국 당국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1980년에 최고 총대주교 제도가 시작되었다. 현재 미얀마의 다섯 번째 최고 총대주교는 탄린 민장 사야도이다.

스리랑카에서는 폴론나루와 왕국(13세기) 시대부터 상가라자 칭호가 위대한 파라크라마바후 1세 국왕에 의해 만들어졌다. 초기에 이 상가라자 칭호는 또한 전국 승가 공동체의 수장인 ''마하사미''로도 알려졌다. 이 칭호를 가진 최초의 스리랑카 불교 승려는 딤불라갈라 마하 카사파 마하 테로였다. 그러나 일부 자료에 따르면 토타가무웨 스리 라훌라 테라는 파라크라마바후 6세 국왕에 의해 스리랑카 최초의 상가라자 직위에 임명되었다고 한다. 킬티 스리 라자싱하 국왕에 의해 1753년에 이 직위에 임명된 웰리비타 스리 사라난카라 테로가 스리랑카의 마지막 상가라자였다.

캄보디아와 과거 크메르 왕국에서, 상가라자( sangkhareach)는 국왕이 임명한 고위 승려로, 국가의 수도원 공동체의 수장이었다. 1855년부터 크메르 루즈 시대 초까지, 캄보디아의 담마유티카 니까야 분파와 마하 니까야 분파에 각각 한 명의 상가라자가 존재했다. 담마유티카 교단은 왕실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크메르 승려의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에서 공식적으로 우위를 점했다.

크메르 루즈 시대 동안, 불교가 크메르 루즈에 의해 공식적으로 탄압받으면서 상가라자의 역할은 사실상 사라졌다. 베트남이 지원하는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은 통치에 대한 더 넓은 대중적 지지를 얻기 위해 입장을 바꾸기 시작했고, 1981년 정부는 존경받는 텝 봉을 새로운 상가라자로 임명하여 두 니까야를 하나의 통일된 교단으로 통합했다.

1991년 망명에서 돌아온 시하누크 국왕은 보르 크리를 담마유티카 교단의 상가라자로 임명하여 캄보디아를 두 명의 대승정 체제로 되돌렸다. 캄보디아에서 군주제가 더 이상 정부 지위를 갖지 않으므로, 두 공동체는 이제 공식적으로 동등하다. 마하 니까야의 최고 대승정의 정식 명칭은 '삼데치 프라 수메다디파티'이며, 담마유티카 니까야의 최고 대승정의 정식 명칭은 '삼데치 프라 수간다디파티'이다.

태국 상가라자(; )는 전통적으로 국왕이 임명하며, 현대 시대의 첫 번째 상가라자는 라마 1세에 의해 1782년에 임명되었다. 라마 5세 재위 기간 중 1902년 상가 법 통과 이후, 이 직책은 다수의 마하나카야 승단과 소수의 탐마윳티카니카야 승단 소속의 비구 간에 번갈아 임명되는 경향을 보였다. 후자는 몽꿋 왕자가 출가하여 바지라얀노라는 승명으로 아비가 된 후, 라마 4세로 즉위하기 위해 출가 생활을 포기하면서 더 큰 승단 내에서 개혁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라오스 상가라자는 전통적으로 라오스 국왕(루앙프라방 군주제)에 의해 임명되었다.

3. 1. 미얀마

전근대 미얀마에서 승왕의 직함은 타하나빙(သာသနာပိုင်my), 또는 공식적으로 마하상가라자(မဟာသံဃာရာဇာmy)으로 알려져 있었다. 미얀마의 타하나빙은 1938년 영국 당국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미얀마 승려들의 수장 역할을 했다. 1980년에 최고 총대주교 제도가 다시 시작되었다.

3. 2. 스리랑카

스리랑카에서는 폴론나루와 왕국(13세기)부터 파라크라마바후 대왕에 의해 승왕직이 신설되었다. 처음에, 이 승왕 칭호는 전국의 승가 공동체의 수장인 마하사미로 알려져 있다. 이 칭호를 가진 최초의 스리랑카 승려는 딤불라갈라 마하 카사파 마하 테오였다. 그러나 일부 자료는 파라크라마바후 6세에 의해 승왕직을 수여받은 토타가무웨 스리 라훌라 테라를 스리랑카의 초대 승왕으로 제시한다. 1753년에 키르티 스리 라자싱헤 왕에 의해 이 직위에 임명된 웰리비타 스리 사라난카라 테오가 스리랑카의 마지막 승왕이었다. 현재 스리랑카에서는 승왕 제도가 폐지되었고, 시암 니카야, 아마라푸라 니카야, 라마나 니카야의 세 주요 종파의 수석 고승으로 활동하는 마하나야카 테로스가 최고위 불교 승려로 여겨진다.

3. 3. 캄보디아

캄보디아와 옛 크메르 제국에서 승왕(សង្ឃរាជkm)은 왕이 임명한 원로 승려로, 국가 승원 친목회 중 하나를 이끌었다. 1855년부터 크메르 루주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승왕은 담마유티카 니카야의 캄보디아 지부를 위해 존재했고, 또 다른 승왕은 마하니카야를 위해 존재했다. 담마유티카 승단은 왕실과 더 가까운 관계를 누렸기 때문에, 크메르인 승려의 소수를 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캄보디아에서 우위를 점했다.

크메르 루주 시기에 불교가 탄압받으면서 승왕의 역할은 사실상 사라졌다. 베트남이 지원하는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은 국민들의 지지를 더 받기 위해 1981년 텝 봉을 새로운 승왕으로 임명하면서 두 니카야를 하나의 통일된 질서로 합쳤다.

1991년 망명에서 돌아온 노로돔 시아누크 왕은 부르 크시를 담마유티카 승단의 상하라자로 임명하여 캄보디아를 양가제로 복귀시켰다. 왕실이 캄보디아에서 더 이상 정부의 지위를 갖지 못함에 따라, 두 승단은 공식적으로 동등하게 되었다. 마하 니카야 승왕의 공식 직함은 '''삼데크 프레아 수메다디파티'''이고, 담마유티카 니카야 승왕의 공식 직함은 '''삼데크 프레아 수간다디파티'''이다.

3. 4. 태국

태국의 승왕(상카랏/พระสังฆราชth)은 1782년 라마 1세에 의해 처음 신설되었다. 라마 5세 치세인 1902년에 승가법이 통과된 이후, 이 직위는 마하 니카야의 다수 승단과 담마유티카 니카야의 소수 승단의 승려들을 번갈아 가며 서품하는 경향이 있었다. 담마유티카 니카야는 몽꿋 왕자가 라마 4세로 즉위하기 전 바지라냐오라는 서품명을 가진 승려였을 때 설립한 승단이다.

3. 5. 라오스

라오스의 승왕은 전통적으로 라오스 국왕(루앙프라방 왕정)에 의해 임명되었다.

4. 현대의 승왕

현대 미얀마의 ''상가라자''는 사야도 퓌아지 아신 칸티마비밤사이다. 현 태국의 ''상가라자''는 솜뎃 프라 아리야봉사아타나나이다. 전 캄보디아의 ''상가라자''(마하 니카야)는 프레아 마하 고사난다였다. 현 캄보디아 담마유티카 니카야의 ''상가라자''는 삼뎃 프레아 수간다아디파티 부르 크리이다. 현 캄보디아 마하 니카야의 ''상가라자''는 삼뎃 프레아 수메다아디파티 논 넷이다. 현 캄보디아의 ''아가 상가라자''는 삼뎃 프레아 아가 마하 상가라자아디파티 텝 봉이다.

1988년, 마하 고사난다는 파리에 있는 망명 승려들에 의해 최고 총장으로 선출되었지만, 이 지위는 캄보디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와 같은 시기에 텝 봉은 통합 캄보디아 승가에서 같은 직책을 맡았으며, 1991년 이후에는 마하 니카야의 최고 총장으로 재직했다.

5. 한국 불교와 종정

5. 1. 역대 종정

5. 2. 종정의 역할과 권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