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길라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길라리아는 중기 데본기 또는 석탄기 후기부터 초기 페름기 시대까지 생존했던 멸종된 나무 같은 식물 속이다. 이 식물은 최대 30m까지 자랐으며, 잎은 줄기에 직접 붙어 나선형으로 자랐다. 잎이 떨어진 자국은 다이아몬드 모양의 무늬를 남겼다. 시길라리아는 포자를 통해 번식했으며, 지하 구조는 스티그마리아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시길라리아는 석탄 늪에서 서식했으며, 빠르게 성장하여 수년 안에 성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송강 - 좀다람쥐꼬리
    좀다람쥐꼬리는 바늘 모양 잎과 나선형 배열, 방사형 포자낭을 가진 식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핀란드 전통 의학에서 구토제 등으로 사용되었고, 한국 자생 여부는 불분명하다.
  • 페름기의 식물 - 글로소프테리스
    글로소프테리스는 혀 모양의 잎과 그물맥을 가지는 멸종된 종자 식물로, 곤드와나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하는 화석 증거가 되었다.
  • 페름기의 식물 - 은행나무속
    은행나무속은 은행나무를 포함하는 겉씨식물 속으로, 약 2억 7천만 년 전 페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 기록을 가지며, 한국에서는 씨앗의 과육을 식용으로 사용한다.
시길라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스토니아 자연사 박물관, 탈린, 에스토니아에 있는 Sigillaria mamillaris sp.의 껍질 조각."
학명Sigillaria
명명자Brongniart (1822)
분류
식물계
석송문
석송강
인목목
시길라리아과
종 정보
시길라리아속 (Sigillaria)
화석 기록
시대석탄기-페름기, 가능한 데본기 기록

2. 화석 기록

이 식물 속은 데본기 중기 또는 석탄기 후기[9]부터 페름기 초 (383.7Ma에서 254Ma 전 사이)까지 생존해 화석 기록으로 남아 있다.[10] 화석은 영국, 미국, 캐나다, 중국, 한국, 탄자니아, 짐바브웨에 분포해 있다.[11]

3. 특징

복원도


시길라리아의 세로 방향 홈들 사이로 늘어선 여러 개의 잎 기부를 보여준다.


시길라리아는 높이가 30m에 달하는 나무 같은 식물이다.[9] 시길라리아가 속한 화석 석송류는 최대 50m 높이까지 생장 가능하다.[12] 이 석송류는 목질부가 결핍되어 있거나 거의 없고, 높은 원줄기에서 단 하나,[10] 또는 두 갈래의 가지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는 원줄기의 외피 바로 아래의 촘촘하게 들어 찬 엽저층에서 나왔으며, 중앙부는 고갱이가 채워져 있다. 풀처럼 생긴 길고 얇은 잎[13]은 원줄기에 직접 붙어 있고 줄기를 따라 나선형으로 자란다.[9][10] 오래된 잎의 기부는 시길라리아가 직경생장(줄기의 둘레가 커지고 키가 커지는 생장)을 함에 따라 같이 형태가 바뀌어 다이아몬드 모양의 무늬를 남기는데, 이는 화석에서도 두드러진다. 이 떨켜 자국은 세로 줄로 배열되어 있다.[9] 줄기 표면에는 광합성이 가능한 조직이 있었기 때문에 녹색 계열의 빛을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원줄기 맨 위에는 키 큰 풀처럼 생긴 미세엽(微細葉)이 기둥처럼 꼿꼿이 솟아 있어[13] 꽤 키가 큰 포크 모양의 쇠뜨기처럼 보였을 것이다. 이 식물은 줄기에 매달린 구과[13]포자(종자가 아님)를 담아두고 있다.[10][14]

시길라리아와 인목이 속하는 인목류의 지하부는 스티그마리아(''Stigmaria'')라는 이름의 인상화석 분류군으로 묶인다. 인목류는 뿌리줄기 또는 싹을 닮은 헛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고리 형태의 뿌리흔에 달라붙어 있는 지상부 옆구리 하단에 난 부속물이 지하로 파고 들어가 옆뿌리처럼 가지를 펼쳐 망을 형성한다. 스티그마리아식 측근은 물부추속''(Isoetes)''의 것과 유사한 헛뿌리에서 이분지되어 있는 모습이었고, 이러한 모습의 화석은 석송류 화석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석탄 늪의 숲 지대 도처에 널리 퍼져 있다. 스티그마리아 화석에서 식별할 수 있는 뿌리흔에서 뻗어 나온 세근은 인목류가 살아 있던 시절부터 붙어 있었다.[15]

많은 화석 석송류와 마찬가지로 시길라리아는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다. 빠르게 생장해 수 년 안으로 성숙에 도달한다(速成). 시길라리아는 일임성 식물(monocarpic)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번식 시기가 지난 후 죽었음을 의미하나 실제 사실로는 증명되지 않았다.[13] 이는 석탄기 시절의 석탄 늪에서 살았던 인목 및 기타 화석 석송류와 연관이 있다.[9]

4. 지하 구조 (스티그마리아)

인목류의 지하부는 스티그마리아(''Stigmaria'')라는 이름의 인상화석 분류군으로 묶인다. 인목류는 뿌리줄기 또는 싹을 닮은 헛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고리 형태의 뿌리흔에 달라붙어 있는 지상부 옆구리 하단에 난 부속물이 지하로 파고 들어가 옆뿌리처럼 가지를 펼쳐 망을 형성했다. 스티그마리아식 측근은 물부추속''(Isoetes)''의 것과 유사하게 헛뿌리에서 이분지되어 있는 모습이었고, 이러한 모습의 화석은 석송류 화석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석탄 늪의 숲 지대 도처에 널리 퍼져 있었다. 스티그마리아 화석에서 식별할 수 있는 뿌리흔에서 뻗어 나온 세근은 인목류가 살아 있던 시절부터 붙어 있었다.[15]

5. 생장과 번식



시길라리아는 높이가 30m에 달하는 나무 같은 식물이다.[9] 시길라리아가 속한 화석 석송류는 최대 50m 높이까지 자랄 수 있다.[12] 이 석송류는 목질부가 거의 없고, 높은 원줄기에서 하나,[10] 또는 두 갈래의 가지를 가지고 있다. 원줄기 외피 바로 아래에 촘촘하게 들어찬 엽저층이 지지부 역할을 했고, 중앙부는 고갱이로 채워져 있었다. 풀처럼 생긴 길고 얇은 잎[13]은 원줄기에 직접 붙어 줄기를 따라 나선형으로 자랐다.[9].[10] 오래된 잎의 기부는 시길라리아가 직경생장(줄기의 둘레가 커지고 키가 커지는 생장)을 함에 따라 형태가 바뀌어 다이아몬드 모양의 무늬를 남겼는데, 이는 화석에서도 두드러진다. 이 떨켜 자국은 세로 줄로 배열되어 있다.[9] 줄기 표면에는 광합성이 가능한 조직이 있어 녹색 계열의 빛을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원줄기 맨 위에는 키 큰 풀처럼 생긴 미세엽(微細葉)이 기둥처럼 꼿꼿이 솟아 있어[13] 꽤 키가 큰 포크 모양의 쇠뜨기처럼 보였을 것이다. 이 식물은 줄기에 매달린 구과[13]포자(종자가 아님)를 담아 번식했다.[10][14]

시길라리아와 인목이 속하는 인목류의 지하부는 스티그마리아(''Stigmaria'')라는 이름의 인상화석 분류군으로 묶인다. 인목류는 뿌리줄기 또는 싹을 닮은 헛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고리 형태의 뿌리흔에 달라붙어 있는 지상부 옆구리 하단에 난 부속물이 지하로 파고 들어가 옆뿌리처럼 가지를 펼쳐 망을 형성했다. 스티그마리아식 측근은 물부추속''(Isoetes)''의 것과 유사한 헛뿌리에서 이분지되어 있는 모습이었고, 이러한 모습의 화석은 석송류 화석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석탄 늪의 숲 지대 도처에 널리 퍼져 있었다. 스티그마리아 화석에서 식별할 수 있는 뿌리흔에서 뻗어 나온 세근은 인목류가 살아 있던 시절부터 붙어 있었다.[15]

많은 화석 석송류와 마찬가지로 시길라리아는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아, 빠르게 성장해 수 년 안에 성숙한다(속성). 시길라리아는 일임성 식물(monocarpic)로 추정되는데, 이는 번식 시기가 지난 후 죽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증명되지 않았다.[13] 시길라리아는 석탄기 시절의 석탄 늪에서 살았던 인목(''Lepidodendron'') 및 기타 화석 석송류와 연관이 있다.[9]

6. 종

프라하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Sigillaria trigona''의 화석


이 속의 종은 다음과 같다:[16][8]


7. 사진

시길라리아 석송류 화석.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조긴스)


스티그마리아식 뿌리(고대 석송류의 헛뿌리)가 붙어 있는 시길라리아 원줄기 화석


펜실베이니아 주립박물관에 전시 중인 시길라리아 (펜실베이니아주 머서 카운티 샤론)


펜실베이니아 주립박물관에 전시 중인 시길라리아 수피 (펜실베이니아주 라카와나 스크랜턴)


시길라리아 모식표본 복제본 (아 코루냐 대학 소유)


노바스코샤주 펜실베이니아 조긴스 층의 고대 석송류 화석 (시길라리아로 추정)


''S. notata''의 엽흔 확대 사진


''S. mammillaris''


''S. elegans''


시길라리아 복원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조긴스 절벽에 보존된 시길라리아 화석 발굴 모습


위스콘신 데본기 중반기 지층에서 발견된 석송류 수피 화석의 잎자국 (시길라리아 초기 종으로 추정)


복원도

참조

[1] 웹사이트 Hans' Paleobotany Pages - The clubmoss tree Sigillaria http://steurh.home.x[...]
[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global.britan[...]
[3] 웹사이트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2021-12-18
[4] 서적 Geografiia rastenii s osnovani botaniki (Geography of plants and basics of botany) https://books.google[...] Gos. nauchno-pedagog. izd-vo 1961
[5] 서적 El Bosque Petrificado de Olta: 300 millones de años después https://books.google[...] 2014
[6] 간행물 Networks of highly branched stigmarian rootlets developed on the first giant trees 2016
[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life https://web.archive.[...] 2015-07-19
[8] 웹사이트 Hans' Paleobotany Pages - Species of Sigillaria http://steurh.home.x[...]
[9] 웹사이트 Hans' Paleobotany Pages - The clubmoss tree Sigillaria http://steurh.home.x[...]
[1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global.britan[...]
[11] 웹인용 Paleobiology Database http://www.fossilwor[...] 2024-05-29
[12] 서적 Geografiia rastenii s osnovani botaniki (Geography of plants and basics of botany) https://books.google[...] Gos. nauchno-pedagog. izd-vo 2020-10-05
[13] 웹인용 Encyclopedia of life http://media.eol.org[...] 2024-05-29
[14] 서적 El Bosque Petrificado de Olta: 300 millones de años después https://books.google[...] 2014
[15] 저널 Networks of highly branched stigmarian rootlets developed on the first giant trees 2016
[16] 웹사이트 Hans' Paleobotany Pages - Species of Sigillaria http://steurh.hom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