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부추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부추속(Isoetes)은 물부추목 물부추과에 속하는 속으로, 주로 맑은 연못이나 유속이 느린 개울에서 자라는 수생 또는 반수생 식물이다. 잎은 속이 비어 있고 깃털 모양이며, 뿌리는 구근 모양의 지하 줄기에 뭉쳐 있다. 물부추속은 포자를 통해 번식하며, 이형포자성 식물로 대포자와 소포자를 생성한다. 전 세계적으로 64~400종이 있으며, 일본에는 4종(변종, 잡종 제외)이 분포한다. 일부 종은 수족관에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송문 - 인목
인목은 석탄기에 번성한 30m 높이의 거대한 석송류 식물로, 비늘처럼 촘촘한 잎痕, 2개씩 갈라지는 가지와 뿌리, 포자 번식, 스티그마리아 지하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탄산기 말에 멸종했다. - 석송문 - 부처손
부처손은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암벽이나 나무 위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착생식물로, 고사리와 비슷하지만 비늘 조각 모양의 잎을 가지며 지혈제로 쓰이거나 분재로 재배되고 류큐 열도에는 근연종이 존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물부추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Isoetes L. |
과 | 미즈니라과 (Isoetaceae) |
속 | 미즈니라속 (Isoetes) |
영어 이름 | Quillworts |
분류 | |
계 | 식물계 |
아계 | 관다발식물아계 |
문 | 석송문 |
강 | 히카게노카즈라강 (Lycopodiopsida) |
목 | 미즈니라목 (Isoetales) |
종 | |
분포 | |
화석 범위 | 쥐라기 - 현대, (최초: 후기 페름기) |
2. 형태
물부추는 맑은 연못과 유속이 느린 개울에서 주로 수생 또는 반수생 식물로 자란다. 하지만 일부 종(예: ''I. butleri'', ''I. histrix'' 및 ''I. nuttallii'')은 여름에 마르는 습한 땅에서도 자란다. 물부추는 포자를 생성하는 식물이며 물에 의한 포자 확산에 크게 의존한다. 환경에 따라 포자를 퍼뜨리는 다양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물부추 잎은 속이 비어 있고 깃털 모양이며, 윗면 기저부에 작은 설(잎혀)이 있다.[5] 중앙 괴경에서 돋아나며, 포자낭은 잎자루 기부에 깊숙이 박혀 있다. 각 잎은 작고 많은 포자를 가지거나, 크고 적은 포자를 가진다. 두 종류의 잎이 각 식물에서 발견된다.[6] 잎은 좁고, 길이는 2cm에서 20cm (예외적으로 최대 100cm)이며, 폭은 0.5mm에서 3mm이다. 잎은 상록, 겨울 낙엽성, 또는 건기 낙엽성일 수 있다. 총 바이오매스의 4%인 잎 끝 부분만이 엽록소를 가진다.[7]
물부추는 맑은 연못과 유속이 느린 개울에서 주로 수생 또는 반수생 식물로 자란다. 하지만 일부 종(''I. butleri'', ''I. histrix'', ''I. nuttallii'')은 여름에 마르는 습한 땅에서도 자란다.[5] 물부추 잎은 속이 비어 있고 깃털 모양이며, 윗면 기저부에 작은 설(잎혀)이 있다.[5] 중앙 괴경에서 돋아난다. 포자낭은 잎자루 기부에 깊숙이 박혀 있다. 각 잎은 좁고, 길이는 2cm 에서 20cm (예외적으로 최대 100cm)이고, 폭은 0.5mm 에서 3mm이다. 잎은 상록, 겨울 낙엽성, 또는 건기 낙엽성일 수 있다. 총 바이오매스의 4%인 잎 끝 부분만이 엽록소를 가진다.[7]
뿌리는 최대 5mm 폭으로 부풀어 오른 기부로 넓어지며, 이 부분에서 대부분의 물부추 종의 특징인 구근 모양의 지하 뿌리줄기에 뭉쳐서 부착된다. 하지만 일부 종(예: ''I. tegetiformans'')은 퍼지는 매트를 형성한다. 이 부풀어 오른 기부에는 또한 얇고 투명한 덮개(''벨럼'')로 보호되는 수포자낭과 여포자낭이 들어 있으며, 이는 물부추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 물부추는 이형포자성이다. 현미경으로 거대포자를 검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식별 방법이다. 또한 서식지, 질감, 포자 크기, 벨럼은 물부추 분류군을 구별하는 특징을 제공한다.[8] 또한 괴경 모양의 줄기 기저부에서 흔적 형태의 이차 성장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부추가 더 큰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음을 시사한다.[9]
물부추속의 종은 논이나 호수에 서식하는 침수 식물 또는 습생 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부추와 같은 선형 잎을 기부에서 뭉쳐서 낸다. 잎의 길이는 종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며, 2~100cm로 폭이 넓다. 잎의 기부에 포자낭을 가진다.
3. 생태
뿌리는 최대 5mm 폭으로 부풀어 오른 기부로 넓어지며, 이 부분에서 대부분의 물부추 종의 특징인 구근 모양의 지하 뿌리줄기에 뭉쳐서 부착된다. 하지만 일부 종(예: ''I. tegetiformans'')은 퍼지는 매트를 형성한다. 이 부풀어 오른 기부에는 또한 얇고 투명한 덮개(''벨럼'')로 보호되는 수포자낭과 여포자낭이 들어 있으며, 이는 물부추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 물부추는 이형포자성이다. 물부추 종은 일반적인 외형으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현미경으로 거대포자를 검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식별 방법이다. 또한 서식지, 질감, 포자 크기, 벨럼은 물부추 분류군을 구별하는 특징을 제공한다.[8] 괴경 모양의 줄기 기저부에서 흔적 형태의 이차 성장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부추가 더 큰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음을 시사한다.[9] 물부추속의 종은 논이나 호수에 서식하는 침수 식물 또는 습생 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부추와 같은 선형 잎을 기부에서 뭉쳐서 낸다. 잎의 길이는 종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며, 2~100cm로 폭이 넓다. 잎의 기부에 포자낭을 가진다.
4. 생식
물부추속은 다른 석송류와 마찬가지로 포자로 번식한다.[15] 물부추속과 부처손과는 이형포자성이며, 석송과는 동형포자성이다.[16] 이형포자성 식물인 물부추속 포자체는 대포자와 소포자를 생산하며, 이들은 각각 대포자낭과 소포자낭에서 발달한다.[17] 이 포자들은 매우 화려하며 종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이지만, 복잡한 표면 패턴의 기능적 목적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다.[18] 대포자낭은 식물의 가장 바깥쪽 소엽 내에 존재하고, 소포자낭은 가장 안쪽 소엽에서 발견된다.[19] 이러한 발달 패턴은 더 무거운 대포자의 분산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5]
포자는 발아하여 대 및 소 배우체로 분열한다.[17][20][21] 소 배우체에는 정자가 생성되는 장정기가 있고,[21] 대 배우체에는 난세포를 생성하는 장란기가 있다.[21] 수정은 소 배우체에서 나온 운동성 정자가 대 배우체의 장란기를 찾아 내부로 헤엄쳐 들어가 난자를 수정할 때 발생한다.
다른 양치식물과 구별되는 물부추속(및 ''Selaginella'')의 특징은 배우체가 포자 안에서 자란다는 것이다.[17][21][19] 이는 배우체가 포자를 분산시키는 보호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우자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로 외포자를 약간만 깬다. 이것은 양치식물의 배우체가 환경에 노출된 광합성 식물이라는 점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는 물부추속에 별도의 문제를 일으키는데, 배우체가 스스로 에너지를 얻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물부추속 포자체는 전분 및 기타 영양소를 포자에 제공하여 최종 배우체를 위한 에너지 비축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21][22] 비록 상동 과정은 아니지만, 이 과정은 씨앗 식물에서 열매 및 종자와 같은 자손 자원 투자의 다른 방식과 다소 유사하다.
포자 산포는 주로 물(수생 산포)에서 일어나지만, 동물 부착(동물 산포)과 섭식(내부 동물 산포)을 통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15][23] 일부 저자들은 특정 패턴이 물새와 같은 관련 동물에게 잘 부착되도록 적응되었다는 것을 입증했다.[23] 산포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일부 물부추속 종에서 대포자의 바깥 껍질에 소포자를 가두는 주머니가 있는 것을 관찰한 것인데, 이는 시냅토포리(synaptospory)로 알려진 상태이다.[23][24]
4. 1. 개요
모든 육상 식물과 마찬가지로, ''물부추속''(Isoetes)은 이배체 포자체 단계와 유성 단상 배우체 단계 사이에서 세대 교번을 거친다. 그러나 한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우위를 점하는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관다발 조직의 발달과 육상 식물의 후속적인 다양성은 포자체의 증가된 우세함과 배우체의 감소와 일치한다. ''물부추속''(Isoetes)은 석송강(Lycopodiopsida)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포자체 우성 생명 주기로의 전환을 반영하는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계통의 일부이다. 멸종된 ''레피도덴드론''(Lepidodendron)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계통에서, 포자는 바람에 의한 포자 확산을 위해 스트로빌리라고 불리는 대량의 포자낭을 통해 포자체에 의해 흩어졌다.[14] 그러나, ''물부추속''(Isoetes)은 크기가 작고, 이형 포자이며, 반수생 식물로서, 큰 나무와 같은 육상 식물과는 다른 생식 요구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4. 2. 상세
물부추는 맑은 연못과 유속이 느린 개울에서 주로 수생 또는 반수생 식물로 자란다. 하지만 일부 종(예: ''I. butleri'', ''I. histrix'' 및 ''I. nuttallii'')은 여름에 마르는 습한 땅에서도 자란다. 물부추는 포자를 생성하는 식물이며 물에 의한 포자 확산에 크게 의존한다. 물부추는 환경에 따라 포자를 퍼뜨리는 다양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5]
물부추 잎은 속이 비어 있고 깃털 모양이며, 윗면 기저부에 작은 설(잎혀)이 있다.[5] 중앙 괴경에서 돋아나며, 포자낭은 잎자루 기부에 깊숙이 박혀 있다. 각 잎은 작고 많은 포자를 가지거나, 크고 적은 포자를 가진다. 두 종류의 잎이 각 식물에서 발견된다.[6] 각 잎은 좁고, 길이는 2cm에서 20cm (예외적으로 최대 100cm), 폭은 0.5mm에서 3mm이다. 잎은 상록, 겨울 낙엽성, 또는 건기 낙엽성일 수 있다. 총 바이오매스의 4%인 잎 끝 부분만이 엽록소를 가진다.[7]
뿌리는 최대 5mm 폭으로 부풀어 오른 기부로 넓어지며, 이 부분에서 대부분의 물부추 종의 특징인 구근 모양의 지하 뿌리줄기에 뭉쳐서 부착된다. 하지만 일부 종(예: ''I. tegetiformans'')은 퍼지는 매트를 형성한다. 이 부풀어 오른 기부에는 또한 얇고 투명한 덮개(''벨럼'')로 보호되는 수포자낭과 여포자낭이 들어 있으며, 이는 물부추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 물부추는 이형포자성이다. 물부추 종은 일반적인 외형으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현미경으로 거대포자를 검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식별 방법이다. 또한 서식지, 질감, 포자 크기, 벨럼은 물부추 분류군을 구별하는 특징을 제공한다.[8] 또한 괴경 모양의 줄기 기저부에서 흔적 형태의 이차 성장을 나타내는데, 이는 물부추가 더 큰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음을 시사한다.[9]
다른 석송류와 마찬가지로, 물부추속은 포자로 번식한다.[15] 석송류 중에서, 물부추속과 부처손과는 이형포자성이며, 나머지 석송류 과인 석송과는 동형포자성이다.[16] 이형포자성 식물인 물부추속 포자체는 대포자와 소포자를 생산하며, 이는 대포자낭과 소포자낭에서 발달한다.[17] 이 포자들은 매우 화려하며 종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이지만, 복잡한 표면 패턴의 기능적 목적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다.[18] 대포자낭은 식물의 가장 바깥쪽 소엽 (단일 맥 잎) 내에 존재하고, 소포자낭은 가장 안쪽 소엽에서 발견된다.[19] 이러한 발달 패턴은 더 무거운 대포자의 분산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5] 이 포자들은 발아하여 대 및 소 배우체로 분열한다.[17][20][21] 소 배우체에는 정자가 생성되는 장정기가 있고,[21] 대 배우체에는 난세포를 생성하는 장란기가 있다.[21] 수정은 소 배우체에서 나온 운동성 정자가 대 배우체의 장란기를 찾아 내부로 헤엄쳐 들어가 난자를 수정할 때 발생한다.
이형포자성 외에도, 다른 양치식물과 구별되는 물부추속(및 ''Selaginella'')의 특징은 배우체가 포자 안에서 자란다는 것이다.[17][21][19] 이는 배우체가 포자를 분산시키는 보호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우자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로 외포자 (포자의 외부 층)를 약간만 깬다. 이것은 양치식물과는 근본적으로 다른데, 양치식물의 배우체는 환경 요소에 노출된 광합성 식물이다. 그러나 억제는 물부추속에 별도의 문제를 일으키는데, 배우체가 스스로 에너지를 얻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물부추속 포자체는 전분 및 기타 영양소를 포자에 제공하여 최종 배우체를 위한 에너지 비축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21][22] 상동 과정은 아니지만, 이 과정은 씨앗 식물에서 열매 및 종자와 같은 자손 자원 투자의 다른 방식과 다소 유사하다. 대포자에 제공된 자원이 새로운 포자체의 성장을 얼마나 지원하는지는 물부추속에서 알려져 있지 않다.
4. 3. 포자 분산
물부추속은 다른 석송류와 마찬가지로 포자로 번식한다.[15] 석송류 중에서 물부추속과 부처손과는 이형포자성이며, 나머지 석송류 과인 석송과는 동형포자성이다.[16] 이형포자성 식물인 물부추속 포자체는 대포자와 소포자를 생산하며, 이는 대포자낭과 소포자낭에서 발달한다.[17] 이 포자들은 매우 화려하며 종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이지만, 복잡한 표면 패턴의 기능적 목적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다.[18] 대포자낭은 식물의 가장 바깥쪽 소엽 (단일 맥 잎) 내에 존재하고, 소포자낭은 가장 안쪽 소엽에서 발견된다.[19] 이러한 발달 패턴은 더 무거운 대포자의 분산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5]
이러한 포자는 발아하여 대 및 소 배우체로 분열한다.[17][20][21] 소 배우체에는 정자가 생성되는 장정기가 있다.[21] 대 배우체에는 난세포를 생성하는 장란기가 있다.[21] 수정은 소 배우체에서 나온 운동성 정자가 대 배우체의 장란기를 찾아 내부로 헤엄쳐 들어가 난자를 수정할 때 발생한다.
이형포자성 외에도, 다른 양치식물과 구별되는 물부추속(및 ''Selaginella'')의 특징은 배우체가 포자 안에서 자란다는 것이다.[17][21][19] 이는 배우체가 포자를 분산시키는 보호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우자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로 외포자 (포자의 외부 층)를 약간만 깬다. 이것은 양치식물과는 근본적으로 다른데, 양치식물의 배우체는 환경 요소에 노출된 광합성 식물이다. 그러나 억제는 물부추속에 별도의 문제를 일으키는데, 배우체가 스스로 에너지를 얻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물부추속 포자체는 전분 및 기타 영양소를 포자에 제공하여 최종 배우체를 위한 에너지 비축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21][22]
포자 산포는 주로 물(수생 산포)에서 일어나지만, 동물 부착(동물 산포)과 섭식(내부 동물 산포)을 통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15][23] 일부 저자들은 특정 패턴이 물새와 같은 관련 동물에게 잘 부착되도록 적응되었다는 것을 입증했다.[23] 산포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일부 물부추속 종에서 대포자의 바깥 껍질에 소포자를 가두는 주머니가 있는 것을 관찰한 것이다. 이는 시냅토포리(synaptospory)로 알려진 상태이다.[23][24]
5. 분류
{
이름 | 분포 | 비고 |
---|---|---|
좀개물부추 | 일본 | 멸종 위기종 |
한라물부추 | 일본 외산 | |
물부추 | 일본 | 멸종 위기종 |
제주물부추 | 일본 외산 | |
물부추아재비 | 일본 | |
미치노쿠물부추 | 일본 | 물부추와 물부추아재비의 잡종 |
중국물부추 | 일본 | |
넓은잎중국물부추 | 일본 | 중국물부추의 변종, 멸종 위기종 |
대만물부추 | 일본 외산 |
루이지애나 물부추와 매트 형성 물부추(''I. tegetiformans'')와 같은 많은 종들은 멸종 위기 종이다. 몇몇 종의 물부추속은 일반적으로 '''멀린의 풀'''이라고 불리며, 특히 호수물부추가 그렇게 불린다.
- †''물부추속'' ''Isoetes beestonii'' (페름기, 오스트레일리아)[31][30]
- †''물부추속'' ''Isoetes bulbiformis'' (백악기, 오스트레일리아)[34]
- †''물부추속'' ''Isoetes ermayinensis'' (트라이아스기, 중국)[34]
- †''물부추속'' ''Isoetes gramineoides'' (트라이아스기, 미국)[34]
- †''물부추속'' ''Isoetes hillii'' (마이오세, 태즈메이니아)[35][36]
물부추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64종에서 400종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잡종을 만들기도 한다.[37]
5. 1.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현재 제안된 석송류의 계통 분류이다.[39]
다른 속에 비해, ''물부추속''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노르마 에타 파이퍼가 쓴 물부추속의 분류학에 관한 최초의 비평적 논문은 1922년에 출판되었으며, 21세기까지 표준 참고 자료로 남아 있었다.[26][27] 세포학, 주사 전자 현미경, 크로마토그래피 연구 이후에도 종을 식별하기 어려우며 계통 발생이 논쟁의 대상이다. 잎의 길이, 강성, 색상 또는 모양과 같이 다른 속을 구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채소 특성은 가변적이며 서식지에 따라 달라진다. ''물부추속''의 대부분의 분류 시스템은 포자 특성에 의존하며, 이는 현미경 없이는 종을 식별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28]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 속을 분리하여 남미 종 2종을 ''Stylites'' 속으로 분리했지만, 분자 데이터는 이러한 종을 다른 ''물부추속'' 종과 함께 배치하여 ''Stylites''가 분류학적 인정을 받을 가치가 없게 한다.[29]
5. 2. 진화
다음은 2019년 현재 제안된 석송류의 계통 분류이다.[39]
클론다이크 산맥 지층
속에 할당된 가장 초기의 화석은 약 2억 5200만 년 전인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후기 페름기에서 발견된 ''물부추속 베스토니''la이다.[30][31] 그러나 쥐라기 이전의 물부추강과 현대의 ''물부추속''의 관계는 다른 저자들에 의해 불분명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2] 북미 후기 쥐라기의 ''Isoetites rolandii''la는 길쭉한 줄기와 영양 잎의 손실을 포함하여 "현대 ''물부추속''을 결합하는 모든 주요 특징을 포함하는 물부추강 석송류의 가장 초기의 명확한 예"로 묘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물부추속''의 전체적인 형태가 적어도 쥐라기 이후부터 거의 변하지 않고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되었다.[2] 크라운 그룹의 기원 시기는 불확실하다. Wood 등(2020)은 ''물부추속'' 내 주요 분지군을 정의하는 형태학적 특징이 없으며, 크라운 그룹에 명확하게 할당할 수 있는 화석이 알려져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2] Wood 등은 분자 시계 추정에 따라 젊은 기원을 신생대 초기로 추정했지만,[2] Wikström 등(2023)은 분자 시계가 속의 기원 시점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지 못하며, 중생대 또는 심지어 고생대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간주하여 그 결과를 의문시했다(사용한 보정 방법에 따라 다름).[3]
5. 3. 하위 분류
{
루이지애나 물부추와 매트 형성 물부추(''I. tegetiformans'')와 같은 많은 종들은 멸종 위기 종이다. 몇몇 종의 ''물부추속''은 일반적으로 '''멀린의 풀'''이라고 불리며, 특히 ''I. lacustris''가 그렇게 불린다.
- †''물부추속(Isoetes) '' ''Isoetes beestonii'' (페름기, 오스트레일리아)[31][30]
- †''물부추속(Isoetes) '' ''Isoetes bulbiformis'' (백악기, 오스트레일리아)[34]
- †''물부추속(Isoetes) '' ''Isoetes ermayinensis'' (트라이아스기, 중국)[34]
- †''물부추속(Isoetes) '' ''Isoetes gramineoides'' (트라이아스기, 미국)[34]
- †''물부추속(Isoetes) '' ''Isoetes hillii'' (마이오세, 태즈메이니아)[35][36]
이름 | 분포 | 비고 |
---|---|---|
좀개물부추 | 일본 | 멸종 위기종 |
한라물부추 | 일본 외산 | |
물부추 | 일본 | 멸종 위기종 |
제주물부추 | 일본 외산 | |
물부추아재비 | 일본 | |
미치노쿠물부추 | 일본 | 물부추와 물부추아재비의 잡종 |
중국물부추 | 일본 | |
넓은잎중국물부추 | 일본 | 중국물부추의 변종, 멸종 위기종 |
대만물부추 | 일본 외산 |
6. 이용
물부추속의 각 종은 수족관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논문
The genus Isoetes (Isoetaceae): a provisional checklist of the accepted and unresolved taxa
[2]
논문
Phylogenomics indicates the "living fossil" Isoetes diversified in the Cenozoic
2020-06-18
[3]
논문
No phylogenomic support for a Cenozoic origin of the "living fossil" Isoetes
2023-01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http://www.iapt-taxo[...]
[5]
서적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A Guide to the Flora of the Cape Peninsula
Juta & Company, Limited
[7]
웹사이트
Tropical Alpine Environments: Plant Form and Function
https://books.google[...]
[8]
문서
Isoëtes Linnaeus, Sp. Pl. 2: 1100. 1753; Gen. Pl. ed. 5, 486, 1754.
[9]
웹사이트
The Formation of Wood in Forest Trees: The Second Symposium Held under the Auspices of the Maria Moors Cabot Foundation for Botanical Research
https://books.google[...]
[10]
서적
Ecology of High Altitude Wat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18
[11]
웹사이트
Quillwort genome highlights divergences in aquatic CAM photosynthesis
https://globalplantc[...]
2021-12-02
[12]
논문
Underwater CAM photosynthesis elucidated by Isoetes genome
2021
[13]
웹사이트
Secrets of quillwort photosynthesis could boost crop efficiency
https://btiscience.o[...]
[14]
서적
The origin and early diversification of land plants : a cladistic study
https://www.worldcat[...]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97
[15]
논문
Habitat, Evolution, and Speciation in Isoetes
https://www.jstor.or[...]
1992
[16]
논문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2016
[17]
논문
On Isoetes lacustris, L.
https://www.jstor.or[...]
1890
[18]
논문
Isoetes Megaspore Surface Morphology: Nomenclature, Variation, and Systematic Importance
http://dx.doi.org/10[...]
1986-01
[19]
논문
Morphology of the Megagametophyte and the Embryo Sporophyte Ofisoetes Lithophila
http://doi.wiley.com[...]
1933-04
[20]
논문
The Structure of Isoetes Hystrix
https://www.jstor.or[...]
1900
[21]
논문
Morphology and Orientation of the Embryo of Isoetes
https://www.jstor.or[...]
1937
[22]
논문
Notes on the Natural History and Reproductive Biology of Isoëtes malinverniana
https://www.jstor.or[...]
2010
[23]
논문
Dispersal and colonization in heterosporous lycophytes: palynological and biogeographical notes on the genusIsoetesin the Mediterranean region
http://dx.doi.org/10[...]
2016-06-16
[24]
논문
Synaptospory: A Hypothesis
http://dx.doi.org/10[...]
1979-04
[25]
논문
On the widespread capacity for, and functional significance of, extreme inbreeding in ferns
2016-04-20
[26]
논문
Monograph of the Isoetaceae
https://archive.org/[...]
2021-12-29
[27]
웹사이트
Secrets of quillwort photosynthesis could boost crop efficiency
https://news.cornell[...]
2023-03-12
[28]
서적
Ferns and Fern Allies of Canada
https://archive.org/[...]
Agriculture Canada
[29]
논문
Disentangling the Phylogeny of Isoetes (Isoetales), Using Nuclear and Plastid Data
[30]
논문
Permian and Triassic greenhouse crises
[31]
논문
Earliest Triassic origin of ''Isoetes'' and quillwort evolutionary radiation
https://www.cambridg[...]
[32]
웹사이트
"Isoetes {{small|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11-18
[33]
간행물
Checklist of Ferns and Lycophytes of the World
https://worldplants.[...]
2019-11-18
[34]
논문
Isoetalean lycopsid evolution: from the Devonian to the present
https://www.biodiver[...]
[35]
논문
Tertiary ''Isoetes'' from Tasmania
[36]
논문
"''Isoëtes reticulata'' RS Hill 1987 (Alcheringa 12: 158) is an illegitimate name."
https://www.biodiver[...]
[37]
간행물
"Biosystematic Studies on the Genus Isoetes (Isoetaceae) in Japan. IV. : Morphology and Anatomy of Sporophytes, Phytogeography and Taxonomy"
[38]
웹사이트
倉浩司・梶田忠 (2003-)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2013年3月20日)
http://bean.bio.chib[...]
[39]
저널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