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만섭은 1932년 대구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 정치에 입문했다. 1963년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3선 개헌에 반대하며 박정희 대통령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이후 여러 정당을 거치며 국회의장과 국민신당 총재를 역임했으며, 2004년 정계 은퇴 후 2015년 사망했다. 8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여러 저서를 남기고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천 이씨 - 이상희 (1932년)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인 이상희는 산림청장, 대구직할시장,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건설부 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했으며, 지방재정 및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 합천 이씨 - 이만기 (씨름 선수)
이만기는 1980년대 씨름계를 석권하며 '모래판의 황제'로 불린 씨름 선수 출신 방송인이자 교수로, 천하장사 10회 등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했고 은퇴 후 교수, 해설위원, 방송인,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륜중학교 동문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륜중학교 동문 - 문희갑
문희갑은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에서 예산실장과 경제기획국장을 지내며 경제 정책 수립에 참여했고, 국회의원과 대구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방자치단체경영대상 수상 및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에 기여했다. - 동아일보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동아일보 -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현재 1923년과 1924년 18세 이하부 여자 단체전 우승팀 기록만 일부 남아 있어 상세한 역사 규명을 위한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이만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만섭 |
한자 표기 | 李萬燮 |
호 | 청강/靑江 |
출생일 | 1932년 02월 2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중구역 |
사망일 | 2015년 12월 14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합천 |
학력 | 연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
직업 | 언론인 출신의 정치인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나자렛의 요셉) |
정치 활동 | |
의원 선수 | 8 |
의원 대수 | 6·7·10·11·12·14·15·16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6) 경북 대구시 중구(7·8) 경북 대구시 중구·서구·북구(10) 경북 대구시 중구·서구(11) 대구 중구·서구(12) 대구 달서구(13) (14) (15) (16) |
기타 |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헌정회 프로필 |
2. 어린 시절
이만섭은 1932년 2월 25일에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 대륜중학교 4학년 때 약 1년간 김재규가 체육교사로 부임하여 사제 인연을 맺었다. 당시 김재규는 육사 2기 졸업 후 임관하였다가 잠시 군을 떠나 있을 때였다. 당시 농구선수이자 학업 성적이 우수했던 이만섭을 김재규는 좋아했으며, 이때의 인연이 훗날까지 이어져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서로 의논하는 사이로 발전했다고 이만섭은 그의 저서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에서 밝히고 있다.[5]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57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여 정치부 기자로서 주일 및 주미 특파원을 역임했다. 5·16 군사 쿠데타 취재를 통해 박정희와 친분을 맺었고, 1963년 11월 26일에 실시된 제6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당시 당선된 의원들 중 최연소였다.
1951년에 연희대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하여 졸업한 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기자로 활약했다.
3. 정치 입문
3. 1. 5.16 군사정변
5.16 군사 정변 직후 발탁되어 1963년 10월에 공화당에 입당, 박정희 대선 후보의 지지 유세와 찬조연설을 다녔다.[6][7] 그해 11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에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고,[8] 이후 제7·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9][10] 1968년 국제의원연맹 제5차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3. 2. 3선 개헌
박정희 대통령의 3선 헌법 개헌에 반대하며, 개헌 허용 조건으로 김형욱의 축출과 중앙정보부 기능 축소를 요구했다. 이에 김형욱이 이만섭의 암살을 지시했으나, 박정희 대통령이 저지했다.[2]
3. 2. 1. 대통령 독대
박정희와 1969년 6월 29일에 면담을 갖고, 3선개헌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11] 2시간 30분 동안 4.19혁명으로 몰락한 이승만 정권의 예를 들며, 헌법을 준수하여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후계자에게 권력을 물려주었다가 4년 뒤 다시 집권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나, 박정희의 개헌 의지가 확고하여 설득에 실패했다.[12]
3. 2. 2. 3선 개헌 선행 조건 5가지
독대를 가진 후 뜻을 바꾼 이만섭은 1969년 7월 29일, 비공개로 진행된 영빈관 의원총회에서 '3선개헌 선행조건' 5가지를 제안하였다.[13] 이 제안은 의원총회에서 의결되어 공식 입장으로 결정되었고 박정희 대통령에게 전달되었다.
순서 | 내용 |
---|---|
첫째 | 권력형 부정부패의 책임자인 이후락, 김형욱은 그 책임을 지고 즉각 물러날 것.[14][15] |
둘째 | 중앙정보부는 대공사찰에만 전념하고 정치사찰은 일절 하지 말 것. |
셋째 | 당 체질을 명실공히 창당 이념에 맞도록 올바르게 개혁할 것. |
넷째 | 국민투표는 지는 한이 있더라도 공명정대하게 실시할 것. |
다섯째 | 권오병 문교부 장관 불신임 파동 때 제명당한 예춘호, 양순직, 박종태, 정태성, 김달수 등 제명의원 5명을 복당시킬 것.[16] |
3. 2. 3. 암살 위기
의원총회를 도청하여[17] 이 소식을 접한 김형욱은 분노하며 이만섭 암살 지령을 중앙정보부 간부에게 내렸다.[18][19] 다행히도 암살 제보를 김성곤 의원이 접하고 뒤늦게 박정희에게 이 사실을 알렸으며 박정희가 개입하면서 암살 시도는 제지당했다.[20]3. 3. 신군부 시절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대구시 중구·서구·북구에서 당선되었고, 그해 민주공화당의 당무위원이 되었다. 1980년 민주공화당이 신군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과거 민주공화당 출신과 유신정우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한국국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으로 당선되었고, 1985년에 한국국민당 총재를 지냈다.[2]하지만 한국국민당은 1987년 10월부터 소속 의원들이 대거 탈당하여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하며 점차 와해되기 시작했고, 다음 해 제13대 총선에서 본인을 비롯하여 모두 낙마하였다.
3. 4. 국민신당
신한국당 총재서리로 임명되었고, 1997년 이인제를 지지하면서 신한국당을 탈당, 국민신당 총재가 되었다.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와 합당을 추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을 지내기도 했다.[2]4. 말년과 사망
2004년 제17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후 2015년 3월부터 새정치민주연합 고문 겸 당무위원 등을 지냈다.[22] '5·16과 10·26──박정희·김재규 그리고 나'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2015년 12월 14일, 지병으로 83세에 사망하였고, 장례는 국회장으로 치러졌다.[2]
5. 비판
이만섭은 8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 중 4번은 전국구로 당선되었고, 3번은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 제도로 당선되었다. 3번의 중대선거구 당선 중 2번은 2위로 당선되었다. 즉, 8번의 국회의원 당선 중 대부분은 유권자의 직접적인 정치적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결과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국구 및 중대선거구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할 때 이만섭의 사례가 인용되기도 한다.[23]
6. 저서
7. 상훈
8. 학력
8. 1. 명예 박사 학위
1989년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 이만섭을 연기한 배우
- 박칠용 - 1989년 (제2공화국), MBC 드라마
- 김봉근 - 1993년 (제3공화국), MBC 드라마
- 한규희 - 1995년 (제4공화국), MBC 드라마
- 김봉근 - 1998년 (삼김시대), SBS 드라마
- 정국진 - 2003년 (야인시대), SBS 드라마
- 오협 - 2005년 (영웅시대), MBC 드라마
이만섭은 2003년에 드라마 《야인시대》를 보고, 회의 틈틈이 국회의원 동료와 드라마 내용에 대해 이야기했다. 드라마를 높이 평가했지만, 드라마 속 자신을 연기한 배우가 자신보다 못생겼다고 말하기도 했다.[3]
10.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63년 총선 | 제6대 | 국회의원 | 민주공화당 | 3,112,985표 | 33.5% | 전국구 17번 | 당선 | 초선 | |
1967년 총선 | 제7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중구 | 민주공화당 | 24,562표 | 50.62% | 1위 | 당선 | 재선 |
1971년 총선 | 제8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중구 | 민주공화당 | 20,265표 | 41.52% | 2위 | 낙선 | |
1978년 총선 | 제10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중구·서구·북구 | 민주공화당 | 38,826표 | 24.83% | 2위 | 당선 | 3선 |
1981년 총선 | 제11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중구·서구 | 한국국민당 | 74,176표 | 30.99% | 1위 | 당선 | 4선 |
1985년 총선 | 제12대 | 국회의원 | 대구 중구·서구 | 한국국민당 | 78,305표 | 23.42% | 2위 | 당선 | 5선 |
1988년 총선 | 제13대 | 국회의원 | 대구 달서구 | 한국국민당 | 44,742표 | 33.04% | 2위 | 낙선 | |
1992년 총선 | 제14대 | 국회의원 | 민주자유당 | 7,923,718표 | 38.5% | 전국구 6번 | 당선 | 6선 | |
1996년 총선 | 제15대 | 국회의원 | 신한국당 | 6,783,730표 | 34.5% | 전국구 3번 | 당선 | 7선 | |
2000년 총선 | 제16대 | 국회의원 | 새천년민주당 | 6,780,359표 | 35.9% | 비례대표 4번 | 당선 | 8선 |
11. 가족 관계
배우자 | 한윤복 |
---|---|
아들 | 이승민, 이승욱 |
딸 | 이승희, 이승인 |
12. 에피소드
2003년에 드라마 《야인시대》를 보고, 회의 시간에 틈틈이 국회의원 동료와 드라마 내용에 대해 이야기했다. 드라마를 높이 평가했지만, 드라마 속 자신을 연기한 배우가 자신보다 못생겼다고 말하기도 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28
[2]
웹사이트
이만섭(李萬燮)
https://encykorea.ak[...]
2023-05-27
[3]
웹사이트
나보다 못생겼어...
https://www.ytn.co.k[...]
2023-09-10
[4]
뉴스
한국정치 산 증인'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
http://www.yonhapnew[...]
2015-12-14
[5]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6]
뉴스
민주공화당에 입당 동아일보 이만섭씨
경향신문
1963-10-03
[7]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8]
뉴스
공화당, 과반수선 넘어
경향신문
1963-11-27
[9]
뉴스
당선 확정자
동아일보
1967-06-09
[10]
뉴스
10대 총선 당선 154인의 얼굴들
경향신문
1978-12-13
[11]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2]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3]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4]
서적
성곡 김성곤전
동아출판사
1995-02-25
[15]
서적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12-19
[16]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7]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8]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19]
서적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12-19
[20]
서적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
나남
2009-08-15
[21]
서적
비록 박정희 시대 1
중원문화사
1984-11-25
[22]
뉴스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
http://news.khan.co.[...]
2015-12-14
[23]
간행물
비사·전국구 39년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