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골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진골어류는 골어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레피도갈락시아스목, 원극기류, 앨퉁이류, 꼬리치목, 홍메치목, 샛비늘치목, 그리고 극기류를 포함한 다양한 분류군으로 나뉜다. 범-진골어류에는 여러 속이 포함되며, 계통 분류는 연구에 따라 다르게 제시된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은어목은 신진골어류의 자매군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기어류 - 앨퉁이류
앨퉁이류는 앨퉁이목과 뱀장어목을 포함하는 어류 분류군으로, 앨퉁이목은 다양한 과를 포함하며 대부분 민물에서 산란하고 뱀장어목 어류 중 일부는 생물 발광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 조기어류 - 레피도갈락시아스 살라만드로이데스
레피도갈락시아스 살라만드로이데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 산성 물 웅덩이에 서식하며, 육식성으로 수생 곤충 유충을 먹고 건기에는 피부 호흡을 하며 생존하는 작은 물고기이다.
신진골어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신진골어류 | |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Euteleostei |
명명자 | Greenwood 외, 1966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이명 | Euteleosteomorpha Greenwood 외, 1966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Hauterivian절부터 현재까지. 후기 트라이아스기 기원으로 추정 |
2. 하위 분류
신진골어류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레피도갈락시아스아군 (Lepidogalaxii)
- * 레피도갈락시아스목 (Lepidogalaxiiformes)
- 원극기아군 (Protacanthopterygii)
- * 샛멸목 (Argentiniformes)
- * 갈락시아스목 (Galaxiiformes)
- * 민물꼬치고기목 (Esociformes)
- * 연어목 (Salmoniformes)
- 앨퉁이아군 (Stomiati)
- * 바다빙어목 (Osmeriformes)
- * 앨퉁이목 (Stomiiformes)
- 최신진골어아군 (Neoteleostei)
- * 꼬리치하군 (Ateleopodia)
- ** 꼬리치목 (Ateleopodiformes)
- * Eurypterygia 또는 Eurypterygii
- ** 홍메치목 (Aulopiformes)
- ** 샛비늘치목 (Myctophiformes)
- ** 이악어목 (Lampriformes)
- ** 측극기류 (Paracanthopterygii)
- ** 턱수염금눈돔목 (Polymixiiformes)
- ** 극기류 (Acanthopterygii)
다음 분류군은 알려져 있다.[1]
- 분기군 '''범-진골어류'''
- * 속 †''Avitosmerus''
- * 속 †''Barcarenichthys''
- * 속 †''Beurlenichthys''
- * 속 †''Casieroides''
- * 속 †''Chardonius''
- * 속 †''Erihalcis''
- * 속 †''Gaudryella''
- * 속 †''Gharbouria''
- * 속 †''Helgolandichthys''
- * 속 †''Parawenzichthys''
- * 속 †''Santanasalmo''
- * 속 †''Scombroclupeoides''
- * 속 †''Tchernovichthys''
- * 속 †''Wenzichthys''
- * 군 '''진골어류'''
- ** 상위목 Lepidogalaxi
- ** 상위목 Protacanthopterygii
- ** 분기군 Stomiati
- ** 분기군 Neoteleostei
계통도의 분기 시점은 Near 외 (2012)에 근거하며, 위상은 Betancur-Rodriguez 외 (2016)에 근거한다.[5] Near 외 (2012)의 위상에서 은어목은 Neoteleostei의 자매군으로 밝혀졌다. Near 외 (2012)는 9개의 비연결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모든 주요 계통의 계통 발생 및 분기 시점을 연구했다. Near 외 또한 화석 기록에서 얻은 36개의 신뢰할 수 있는 절대 시간 측정을 통해 이 계통도의 분기 시간을 보정(실제 값 설정)했다.[6]
3. 계통 분류
신진골어류의 계통 분류는 2016년, 2023년 연구에 따라 달라졌으며, 여러 하위 분류군을 포함한다.[1]
2016년과 2023년의 계통 분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계통도 분기 시점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5][6]
- 범-진골어류: †''Avitosmerus'', †''Barcarenichthys'', †''Beurlenichthys'', †''Casieroides'', †''Chardonius'', †''Erihalcis'', †''Gaudryella'', †''Gharbouria'', †''Helgolandichthys'', †''Parawenzichthys'', †''Santanasalmo'', †''Scombroclupeoides'', †''Tchernovichthys'', †''Wenzichthys'' 속 등을 포함한다.
- 진골어류: Lepidogalaxi, Protacanthopterygii, Stomiati, Neoteleostei 상위목을 포함한다.
3. 1. 2023년 기준
2023년 현재 신진골어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11][12]계통 분류 |
---|
3. 2. 2016년 기준
2016년 현재, 신진골어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3]
계통도의 분기 시점은 Near 외 (2012)에 근거하며, 위상은 Betancur-Rodriguez 외 (2016)에 근거한다.[5] Near 외 (2012)의 위상에서 은어목은 Neoteleostei의 자매군으로 밝혀졌다. Near 외 (2012)는 9개의 비연결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모든 주요 계통의 계통 발생 및 분기 시점을 연구했다. Near 외 또한 화석 기록에서 얻은 36개의 신뢰할 수 있는 절대 시간 측정을 통해 이 계통도의 분기 시간을 보정(실제 값 설정)했다.[6]
4. 진화
진골어류의 분기군은 범-진골어류이며, 여기에는 †Avitosmerus, †Barcarenichthys, †Beurlenichthys 등 여러 속이 포함된다.[1] 진골어류는 Lepidogalaxi 상위목, Protacanthopterygii 상위목, Stomiati 분기군, Neoteleostei 분기군으로 나뉜다.[1]
Near 외(2012)의 연구에 따르면, 진골어류는 약 2억 4천만 년 전에 분기되었으며, Protacanthopterygii는 약 2억 2천 5백만 년 전, Neoteleostei는 약 1억 7천 5백만 년 전에 분기되었다.[5]
다음은 진골어류의 계통도이다.[5]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진골어류 (2억 4천만 년 전)
|-
| Lepidogalaxii
| Lepidogalaxiiformes (샐러맨더피쉬)
|-
! colspan="2" | Protacanthopterygii (2억 2천 5백만 년 전)
|-
| Argentiniformes (실꼬리돔류)
|
{| class="wikitable"
|-
| 은어목 (화이트 베이트 및 머드피쉬)
|-
|
Esociformes (파이크) ![]() |
Salmoniformes (연어, 송어) ![]() |
|}
|-
! colspan="2" | Stomiati
|-
| Stomiiformes (dragonfish)
| Osmeriformes (빙어)
|-
! colspan="2" | Neoteleostei (1억 7천 5백만 년 전)
|-
| Ateleopodia
| Ateleopodidae (젤리노즈)
|-
! colspan="2" | Eurypterygia
|-
| Aulopa
| Aulopiformes (리자드피쉬)
|-
! colspan="2" | Ctenosquamata
|-
| Scopelomorpha
| Myctophiformes (미토피쉬)
|-
| colspan="2" | Acanthomorpha
|}
4. 1. 화석 기록
Near 외(2012)는 9개의 비연결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모든 주요 계통의 계통 발생 및 분기 시점을 연구했다. 또한 화석 기록에서 얻은 36개의 신뢰할 수 있는 절대 시간 측정을 통해 이 계통도의 분기 시간을 보정(실제 값 설정)했다.[6]5. 한국의 진골어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학술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2024-04-18
[2]
학술지
Resolution of ray-finned fish phylogeny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2012
[3]
학술지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4]
학술지
A reevaluation of early amniote phylogeny
[5]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6-12-30
[6]
학술지
Resolution of ray-finned fish phylogeny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2012
[7]
웹인용
Resolution of ray-finned fish phylogeny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http://www.pnas.org/[...]
2012
[8]
저널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10-20
[9]
저널
A reevaluation of early amniote phylogeny
[10]
문서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11]
뉴스
Study Resolves 50-Year Dispute of Teleost Fishes Ancestral Lineage
https://www.fau.edu/[...]
[12]
문서
Genome structures resolve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teleost fishes
https://hal.science/[...]
[13]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20-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