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리간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간테스는 고대 브리타니아에 존재했던 부족으로, 그 이름은 여신 브리간티아와 '높은, 고상한'을 의미하는 원시 켈트어 어근에서 유래했다. 로마 이전 시대부터 존재했으나 정확한 역사는 기록이 부족하며, 로마 시대에는 카르티만두아 여왕과 베누티우스 사이의 갈등, 로마의 정복 시도 등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브리간테스는 브리타니아에서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으며, 주요 도시로는 에보라쿰(요크), 이수리움 브리간툼(앨드보로) 등이 있었다. 또한 아일랜드에도 브리간테스족이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켈트족 - 리구리아인
    리구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이탈리아 북서부와 프랑스 남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 활동을 하였고, 켈트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에 복속되어 로마 군대의 보조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고대 켈트족 - 실루레스
    철기 시대 웨일스 남부에 거주하며 로마에 격렬히 저항했던 켈트계 부족인 실루레스는 로마 지배 후 로마화되어 웨일스 왕국들의 기원이 되었고, 부족명은 지질 시대인 실루리아기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
브리간테스
개요
브리간테스족의 영역 지도
브리간테스족의 대략적인 영역
이름브리간테스
수도이수리움 브리간툼(앨드버러)
위치요크셔, 랭커셔, 노섬벌랜드, 더럼
통치자카르티만두아, 베누티우스, 벨로카투스

2. 어원

브리간테스(Brigantes, Βρίγαντεςgrc)라는 이름은 여신 브리간티아와 같은 원시 켈트어 어원을 공유하며, 는 '높은, 숭고한'을 뜻한다. Brigantiumxtg이라 불리는 정착지가 은유적인 의미에서 '고귀한 자들'로, 혹은 문자 그대로 '고지대 사람들'이나 물리적으로 높은 요새의 거주민들을 가리키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재구성된 원시 인도 유럽어 어원은 이다.[3] 이 단어는 게르만어 와 이란어 Alborzira(고대 이란어 Hara Berezaitiae)와 관련이 있다.

현대 웨일스어에서 braintcy라는 단어는 '특권, 위신'을 의미하며, 같은 어원 에서 유래했다. 다른 관련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웨일스어 brenincy '왕'(< )
  • 웨일스어/콘월어/브르타뉴어 bricy '위신, 명성, 명예, 존엄'
  • 스코틀랜드 게일어 brìghgd '진수, 힘'
  • 아일랜드어 bríga '에너지, 중요성'
  • 맨어 breegv '힘, 에너지'(모두 < )
  • 웨일스어/콘월어/브르타뉴어 brecy '언덕'(< )

고대 아일랜드어 Brigitsga(현대 아일랜드어 Brídga)에서 유래한 브리짓이라는 이름 역시 에서 유래했으며, 영국의 강 이름인 Brent와 그 인접 지역인 브렌트포드 역시 마찬가지이다.

유럽에는 Brigantiumxtg으로 명명된 여러 고대 정착지가 있으며, 현대의 여러 지역과 일치한다(많은 지명이 동족어 관계에 있다). 여기에는 알라바 (스페인)의 베르간자, 갈리시아(스페인)의 아 코루냐와 베르간티노스, 포르투갈브라간사브라가, 프랑스의 브리앙송,[4][5] 슬로바키아헝가리의 경계에 있는 브리게티오],[6] 남부

3. 역사

로마의 브리튼 정복 이전 브리간테스에 대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존재했는지는 알기 어렵다. 이 지역의 주요 고고학 유적들은 초기부터 지속적인 거주 흔적을 보여주며, 이는 브리간테스족의 세력 확대가 급작스러운 정복보다는 점진적인 과정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원전 430년경 허더스필드 캐슬 힐에 있던 대규모 언덕 요새가 불에 탄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38]

브리간테스족은 브리튼 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했던 부족으로, 요크셔 해안의 가브란토비체스[39], 하드리아누스 방벽 인근 사우스타인강 상류의 텍스토베르디[40] 등 여러 하위 부족들을 포함했다. '포르투스 세탄티오룸'과 '코리아 로포카룸'이라는 지명은 각각 랭커셔 해안과 타인강에 위치했던 세탄티족과 라포카레스족을 가리킨다. '코리오노토타이족'이라는 부족명[41]도 기록되어 있으나, '부족의 군대' 또는 '사람들의 군대'를 뜻하는 ''*Corion Touta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어, 부족 이름이라기보다는 로마에 맞서 싸운 군대나 저항 세력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컴브리아 지역에 살았던 카르베티족은 또 다른 하위 부족이거나 브리간테스족과는 관련 없는 부족으로 추정된다. 카르베티족은 로마 통치 시기에 별도의 키비타스를 구성했기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서기 47년, 브리타니아 총독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는 노스웨일스의 데케안글리족을 공격하려던 중, 당시 로마와 동맹 관계였던 브리간테스족 지도자들 사이의 '불화'로 인해 원정을 포기해야 했다. 무기를 들었던 일부 브리간테스족은 처형되었고 나머지는 사면되었다.[42] 51년에는 로마에 패배한 브리튼족 저항군 지도자 카라타쿠스가 브리간테스의 여왕 카르티만두아에게 피난처를 구했지만, 카르티만두아는 그를 쇠사슬로 묶어 로마에 넘겨줌으로써 충성심을 과시했다.[43] 그녀와 남편 베누티우스는 "로마의 무기로 보호받고 있다"라고 묘사될 정도로 충성스러웠으나, 훗날 이혼하게 되면서 베누티우스는 처음에는 전 아내에게, 나중에는 그녀를 보호하는 로마에게 맞서 싸웠다. 아울루스 디디우스 갈루스 총독 재임 기간(52년–57년) 동안, 베누티우스는 군대를 일으켜 카르티만두아의 왕국을 침공했다. 로마는 카르티만두아를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여 베누티우스의 반란을 진압했다.[44] 이혼 후, 카르티만두아는 베누티우스의 방패지기였던 벨로카투스와 재혼하여 그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베누티우스는 69년 네 명의 황제의 해 당시 로마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틈타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이 때 로마는 보조군만 파견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카르티만두아를 구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베누티우스와 그의 반(反)로마 세력에게 왕국을 빼앗기고 말았다.[45]

노스요크셔의 스탠윅 요새 발굴 결과, 1950년대 모티머 휠러는 이 곳을 베누티우스의 수도로 추정했다. 그러나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더럼 대학교 발굴 조사 결과, 콜린 할스그로브와 퍼시벌 턴불은 스탠윅이 카르티만두아의 권력 중심지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좀 더 이른 시기로 추정했다.[46]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즉위 후,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알리스가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브리간테스족 정복이 시작되었다.[47] 이 정복은 수십 년에 걸쳐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78년–84년 총독)는 브리간테스족 영토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48] 2세기 초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로마인 아버지가 아들에게 브리간테스족 요새 파괴를 재촉하는 모습을 묘사했다.[49]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초기 북쪽에서 반란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브리간테스족의 봉기는 요크에 주둔했던 제9군단이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자주 언급된다. 하드리아누스 방벽(122년 건설 시작)은 브리간테스족과 현재 스코틀랜드 저지대에 있던 다른 부족들 간의 연락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138년–161년)는 브리간테스족이 로마와의 동맹을 상대로 이유 없는 전쟁을 일으키자 이들을 격퇴시켰다고 한다.[50] 이는 안토니누스 방벽(142년–144년) 건설로 이어진 군사 작전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다.

타키투스는 칼레도니아 지도자 칼가쿠스의 입을 빌려 브리간테스족이 "여자의 지도 아래" 로마군을 거의 격퇴시킬 뻔했다고 언급했다.[51]

3. 1. 로마 이전 시대

로마의 브리튼 정복 이전 브리간테스에 대한 어떠한 기록물도 존재하지 않아, 이들이 정치적 실체로서 얼마나 오랫동안 존재했는지 평가하기 어렵다. 이 지역의 주요 고고학 유적지 대부분은 초기부터 지속적이고 방해받지 않은 점유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그들의 권력 상승은 갑작스럽고 극적인 정복이라기보다는 점진적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원전 430년경 허더스필드 캐슬 힐의 대규모 언덕 요새 소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8]

브리타니아에서 영토가 가장 큰 부족인 브리간테스는 요크셔 해안의 가브란토비체스[39]하드리아누스 방벽 근처 사우스 타인 강 상류 계곡의 텍스토베르디[40]와 같은 하위 부족 또는 셉트를 포함했다. ''Portus Setantiorum''과 ''Coria Lopocarum''이라는 이름은 각각 랭커셔 해안과 타인 강에 위치한 세탄티이와 로포카레스라는 다른 집단을 암시한다. ''코리오노토테''라는 이름도 기록되어 있지만, 이 이름은 "부족 군대" 또는 "인민 군대"를 의미하는 ''*Corion Toutas''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어떤 부족이나 하위 부족이라기보다는 로마에 대한 군사력 또는 저항을 의미했을 수 있다. 현재 컴브리아를 점령한 카르베티이는 또 다른 하위 부족이었거나 브리간테스와 별개였을 수 있다. 카르베티이가 로마 통치 하에서 별도의 자치 도시를 구성했기 때문에 이는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된다.[41]

3. 2. 로마 시대

서기 47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 기간 동안 총독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는 로마와 동맹을 맺고 있던 브리간테스족 지도자들 사이의 '불만' 때문에 노스웨일스의 데케안글리족에 대한 원정을 포기해야 했다. 무기를 든 브리간테스족 일부는 처형되었고 나머지는 사면되었다.[42]

51년, 로마에 패배한 브리튼족 저항군 지도자 카라타쿠스는 브리간테스의 여왕 카르티만두아에게 망명을 요청했으나, 그녀는 그를 쇠사슬로 묶어 로마에 넘겨주며 충성심을 보여주었다.[43] 그녀와 남편 베누티우스는 충성스럽고 "로마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다"라고 묘사되었지만, 이후 이들은 이혼했고 베누티우스는 처음에는 전 아내에게, 다음에는 그녀의 로마 보호자들을 상대로 무기를 들었다. 아울루스 디디우스 갈루스 총독 임기(52년–57년) 동안, 그는 군대를 모아 카르티만두아의 왕국을 침공했다. 로마인들은 카르티만두아를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베누티우스의 반란을 진압하였다.[44] 이혼 후, 카르티만두아는 베누티우스의 갑옷 지참인 벨로카투스와 결혼하여 그를 왕위에 올렸다.

베누티우스는 69년, 네 명의 황제의 해 당시 로마의 불안정한 상황을 틈타 또 다른 반란을 일으켰다. 이 당시 로마는 보조병만을 보낼 수 있었는데, 이들은 카르티만두아를 대피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베누티우스와 그의 반(反)로마 지지자들이 왕국을 장악했다.[45]

노스요크셔의 스탠윅에 있는 광대한 철기 시대 요새는 1950년대 모티머 휠러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그는 베누티우스가 이 장소를 그의 수도로 삼았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더럼 대학교의 후기 발굴 조사 결과 콜린 헤이즐그로브와 퍼시벌 턴불은 스탠윅이 카르티만두아의 권력 중심지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약간 더 이른 시기를 제시했다.[46]

베스파시아누스 즉위 후,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알리스가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브리간테스 정복이 시작되었다.[47] 이 정복은 완료하는 데 수십 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총독 78년–84년)는 브리간테스 영토에서 전쟁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48] 타키투스는 칼레도니아 지도자 칼가쿠스의 입을 빌려, "여성의 지도력 아래" 브리간테스가 로마인들을 거의 패배시켰다고 언급했다.[51] 2세기 초에 글을 쓴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로마인 아버지가 아들에게 브리간테스의 요새를 파괴하여 영광을 얻으라고 격려하는 모습을 묘사한다.[49]

하드리아누스 통치 초기에 북부에서 반란이 일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브리간테스의 봉기는 요크에 주둔했던 제9군단의 소멸에 대한 설명으로 자주 제시되어 왔다. 하드리아누스 방벽(122년 시작)의 목적 중 하나는 브리간테스가 현재 스코틀랜드 저지대에 있는 부족들과 교류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을 수 있다. 파우사니아스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138년–161년)가 로마 동맹국을 상대로 도발적인 전쟁을 시작한 후 그들을 물리쳤다고 전하며,[50] 아마도 안토니누스 방벽 건설(142년–144년)로 이어진 캠페인의 일부였을 것이다.

4. 주요 도시 및 정착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브리간테스족의 주요 '폴리스' 아홉 곳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라틴어 지명현대 지명현대 행정 구역 명칭
에피아쿰위틀리캐슬[52]컴브리아주
비노비움빈체스터[52]더럼주
카투락토니움캐터릭[52]노스요크셔주
칼라툼버로[52]랭커셔주
이수리움 브리간툼앨드보로[52]노스요크셔주
리고두눔알려지지 않음그레이터맨체스터주
올리카나 또는 올레나쿰알려지지 않음웨스트요크셔주
에보라쿰시티 오브 요크[52]노스요크셔주
캄보두눔알려지지 않음웨스트요크셔주



브리간테스족의 영토에 있던 것으로 알려진 그 밖의 취락들은 다음과 같다.


  • 셰필드 경계의 윈코뱅크
  • 브레메테나쿰 베테라노룸 (랭크셔주의 립체스터)
  • 칼카리아(노스요크셔주의 태드캐스터) – 안토니누스 순례기와 라벤나 코스모그라피아에서 언급됨
  • 루구발리움 (컴브리아주칼라일) – 카르베티족의 취락으로 추정
  • 코리아 (노섬벌랜드주의 코브리지) – 로포카레스족의 취락으로 추정

5. 아일랜드의 브리간테스족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2세기에 쓴 '지리학'에는 아일랜드와 브리타니아 양쪽에서 브리간테스족이 확인되지만,[53] 아일랜드 브리간테스족과 브리타니아 브리간테스족 사이에 어떤 연결 고리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T. F. 오라힐리는 아일랜드의 브리간테스족이 후대의 Uí Bairrche 씨족의 기원이라 주장하며, 자신의 아일랜드 선사 시대 이론에 따르면 갈리아족 및 브리타니아의 벨가이족의 후예라고 가정한 에란족(Érainn,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베르니)이 아일랜드 브리간테스족의 기원이라고 믿었다.[54] 존 T. 코흐 교수는 로마-브리타니아 여신 브리간티아를 아일랜드의 브리이드와 동일시하고 킬케니주 스토니퍼드에 있는 로마 혹은 로마-브리타니아 매장지를 강조하며, 브리타니아와 아일랜드 집단 간의 연결 고리를 사실로 여겼다. 그는 아일랜드의 브리간테스족을 중세 초에 있었던 Uí Brigte 씨족과 동일하게 보았다.[55]

6. 대중 문화


  • 2020년, 잉글랜드의 럭비 리그 팀인 위건 워리어스는 브리간테스족을 '위건 도시의 뿌리이자 혈통'이라 주장하며 브리간테스의 전사를 자신들 팀의 로고라 설명하였다.[56]
  • 2010년 영화 ''센츄리온''은 백인대장 퀸투스 디아스의 시점에서 본 제9군단의 운명을 따른다. 제9군단과 디아스는 브리간테스 전사 에테인(올가 쿠릴렌코)의 음모에 휘말리는데, 그녀는 정찰병으로 활동하다가 결국 그들을 픽트족에게 배신한다.
  • 로즈메리 서트클리프의 1954년 소설 ''제9군단의 독수리''에서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은 브리간테스 족장의 포로 아들인 에스카로, 그는 로마 군인 마르쿠스 아퀼라와 함께 하드리아누스 장벽 북쪽으로 가서 히스파나 제9군단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낸다. 이 캐릭터는 1977년 BBC 각색에서 크리스티안 로드스카가, 2011년 영화 각색 ''더 이글''에서는 제이미 벨이 연기했다.
  • L. 론 허버드의 1982년 SF 소설 ''배틀필드 어스''에는 브리간테스라고 자칭하는 먼 미래의 소규모 등장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아프리카 어딘가에서 온, 간교한 용병이자 식인종으로 묘사되며, 역사적인 브리간테스족과의 연관성이나 그들이 선택한 이름의 의미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

참조

[1] 뉴스 Celtic Ireland in the Iron Age http://www.wesleyjoh[...] WesleyJohnston.com 2007-10-24
[2] 문서 Geographia Book IV Chap. 6 Strabo
[3] 서적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https://archive.org/[...] Francke Verlag 1959
[4] 뉴스 The Brigantes http://www.roman-bri[...] Roman-Britain.co.uk 2007-10-24
[5] 뉴스 Brigantium http://personal.tele[...] Terra.es 2007-10-24
[6] 뉴스 Brigetio (Szöny) Komárom https://www.perseus.[...] The Princeton encyclopedia
[7] 뉴스 Brigobanne Germany https://www.perseus.[...] The Princeton encyclopedia
[8] 뉴스 Vindelicia map http://cartotecadigi[...] Europeana
[9] 간행물 A Geologic Time Scale 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0] 간행물 Castle Hill, Almondbury; A Brief Guide to the Excavations 1939–1972 Tolson Memorial Museum 1973
[11] 문서 Geographia II, 3, 4
[12] 간행물 The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Oxford 1965
[13] 간행물 Britanno-Roman Inscriptions with Critical Notes 1863
[14] 문서 Annals https://www.perseus.[...]
[15] 문서 Annals https://www.perseus.[...]
[16] 문서 Annals https://www.perseus.[...]
[17] 문서 Histories https://www.perseus.[...]
[18] 간행물 Stanwick North Yorkshire, Part I : Recent Research and Previou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Royal Archaeological Institute
[19] 문서 Agricola https://www.perseus.[...]
[20] 문서 Agricola https://www.perseus.[...]
[21] 문서 Agricola https://www.perseus.[...]
[22] 문서 Satires
[23]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4]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Ptolemy https://www.roman-br[...] 2023-09-03
[25] 문서 Geographia https://penelope.uch[...]
[26]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27]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8] 웹사이트 The Why and How https://wiganwarrior[...] 2020-11-01
[29] 웹사이트 Compendium https://battlefielde[...]
[30] 뉴스 Celtic Ireland in the Iron Age http://www.wesleyjoh[...] WesleyJohnston.com 2007-10-24
[31] 문서 Geographia Book IV Chap. 6 Strabo
[32] 뉴스 The Brigantes http://www.roman-bri[...] Roman-Britain.co.uk 2007-10-24
[33] 뉴스 Brigantium http://personal.tele[...] Terra.es 2007-10-24
[34] 뉴스 Brigetio (Szöny) Komárom https://www.perseus.[...] The Princeton encyclopedia
[35] 뉴스 Vindelicia map http://cartotecadigi[...] Europeana
[36] 뉴스 Brigobanne Germany https://www.perseus.[...] The Princeton encyclopedia 1976
[37] 서적 A Geologic Time Scale 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8] 간행물 Castle Hill, Almondbury; A Brief Guide to the Excavations 1939–1972 Tolson Memorial Museum 1973
[39] 문서 Geographia II, 3, 4
[40] 서적 The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Oxford 1965
[41] 서적 Britanno-Roman Inscriptions with Critical Notes 1863
[42] 웹사이트 로마 편년사 https://www.perseus.[...]
[43] 웹사이트 편년사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편년사 https://www.perseus.[...]
[45] 웹사이트 동시대사 https://www.perseus.[...]
[46] 문서 Stanwick North Yorkshire, Part I : Recent Research and Previou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Royal Archaeological Institute
[47] 웹사이트 아그리콜라전 https://www.perseus.[...]
[48] 웹사이트 아그리콜라전 https://www.perseus.[...]
[49] 문서 풍자
[50]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51] 웹사이트 아그리콜라전 https://www.perseus.[...]
[52] 웹인용 The Geography of Ptolemy https://www.roman-br[...] 2023-09-03
[53] 웹사이트 지리학 https://penelope.uch[...]
[54]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55]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56] 웹인용 The Why and How https://wiganwarrior[...] 2020-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