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루엣 애니메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흑백 또는 다채로운 색상으로 표현된 인물이나 사물의 윤곽(실루엣)을 활용하는 애니메이션 기법이다. 1909년 찰스 암스트롱의 단편 영화 "The Sporting Mice"를 시작으로 로테 라이니거의 "아흐메드 왕자 이야기"(1926)와 같은 작품을 통해 발전했다. 전통적인 컷아웃 애니메이션 기법을 사용하거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되기도 하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루엣 -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
    로테 라이니거 감독의 그림자 실루엣 애니메이션 영화인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은 아라비안 나이트 설화를 바탕으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애니메이션 역사에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실루엣 - 프린스 앤 프린세스
    프린스 앤 프린세스는 미셸 오슬로 감독의 옴니버스 형식 그림자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로, 여러 국가에서 상영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특별상 수상 후 재개봉되기도 했다.
  • 애니메이션 기법 -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은 예산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제한된 움직임과 단순화된 그림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기법이며, 코마우치, 부위 애니메이션, 싱크로 복스 등의 기법이 활용되어 일본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스타일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 애니메이션 기법 - 키 프레임
    키 프레임은 영상 편집, 애니메이션, 3D 그래픽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특정 시점의 매개변수 값을 정의하여 부드러운 변화를 만들거나, 영상 압축 시 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실루엣 애니메이션
실루엣 애니메이션 정보
그림자 인형 애니메이션
그림자 인형 애니메이션
특징
정의인물이 검은 실루엣으로만 보이는 애니메이션 기법
기법컷아웃 애니메이션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의 일종으로 간주됨
역사20세기 초부터 존재
예시로테 라이니거의 작품
미셸 오슬로의 키리쿠와 마녀
미셸 오슬로의 아주르와 아스마르
모모이로 클로버 Z의 오프닝 영상
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갓 오브 워의 '잊혀진 화로' 지역의 숨겨진 이야기
관련 용어
그림자 인형극유사한 시각적 스타일을 가진 공연 예술 형태

2. 역사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유럽에서 여러 사람들에 의해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명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럽의 그림자극 (중국 그림자극)과 실루엣 컷팅 (에티엔 드 실루엣, 요한 카스파르 라바터)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영국 영화 감독 찰스 암스트롱의 단편 영화 ''The Sporting Mice''(1909)가 초기 작품 중 하나이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은 같은 감독의 ''The Clown and His Donkey''(1910)이다. 이 영화들은 검은색 배경에 흰색 실루엣으로 제작되었다.[1]

독일 애니메이터 로테 라이니거는 1919년 ''Das Ornament des verliebten Herzens''(사랑에 빠진 심장의 장식)를 통해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많은 부분을 확립했다.[1] 그녀의 장편 영화 ''Die Geschichte des Prinzen Achmed''(1926)는 세계 최초의 장편 실루엣 애니메이션 영화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실루엣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일본에서도 라이니거의 영향으로 스즈키 토시오의 ''Yonjunin no Tozoku''(40인의 도적)(1928)이 제작되었고, 그 이전인 1924년에는 오쿠다 히데히코, 우치다 토무, 키무라 하쿠잔의 ''Kanimanji Engi''(게만지 연기)가 제작되었다.[6]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서도 몇 편의 실루엣 영화를 제작했다.

오늘날, 전문적으로 제작된 순수한 실루엣 영화는 드물며, 그 틀 안에서 주로 작업하는 애니메이터는 더욱 적다. 그러나 디지털 및 드로잉 실루엣 애니메이션 시퀀스는 ''사우스 파크'', ''모나 더 뱀파이어''(1999), ''Sayonara Zetsubō-Sensei''(2007) 등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다.

3. 기법

로테 라이니거가 개발한 전통적인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컷아웃 애니메이션의 일종으로, 스톱 모션 기법을 사용한다.[1] 판지나 금속판으로 만든 인물을 실, 철사, 종이 패스너 등으로 연결하여 관절을 만들고, 이를 애니메이션 스탠드 위에서 프레임 단위로 움직여 로스트럼 카메라로 촬영한다.[3] 오오후지 노부로와 브루노 J. 뵈트게같은 제작자들도 이러한 기법을 사용했다.[7]

미셸 오슬로는 컷아웃과 셀 애니메이션, 실사, 클레이 애니메이션 등을 결합한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도 했다.[3] 그의 텔레비전 시리즈 ''시네 시''(1989)는 캐릭터가 스스로 말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데 성공한 최초의 실루엣 애니메이션이었다. (전통적으로는 인터타이틀 또는 내레이션이 사용되었다).[8]

3. 1.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

최근에는 CGI 실루엣 영화가 제작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조시 말리스는 2D, 벡터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며,[2] 미셸 오슬로의 지구 침입자들(Earth Intruders)(2007)과 아주르와 아스마르(Azur et Asmar)(2006)의 한 장면은 실루엣으로 렌더링된 3D 인물을 사용하고, 안토니 루카스의 아카데미상 후보작인 재스퍼 모렐로의 신비한 지리 탐험(The Mysterious Geographic Explorations of Jasper Morello)(2005)은 2D 캐릭터와 3D 배경을 혼합하며, 이 둘 모두 실사와 CGI의 조합이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은 또한 동남아시아의 와양 쿨리트 스타일의 그림자극을 더 명시적으로 참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캐릭터를 조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막대를 추가했다(아이러니하게도 CGI에서는 그 반대다). 이는 얀 코스터의 ''우리 안의 남자 닐바나'' (2006)와 디즈니 장편 영화 ''정글북 2''(2003)의 오프닝에서 사용되었다.

디지털 및 드로잉 실루엣 애니메이션 시퀀스는 예를 들어, 불이 꺼질 때의 ''사우스 파크'', ''모나 더 뱀파이어''(1999) 에피소드, 그리고 ''안녕 절망선생''(2007)의 애니메이션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다. 컴퓨터 애니메이션 팬 영화 ''Emesis Blue''는 오리지널 배경 캐릭터와 주인공에 사용된 스톡 Source Filmmaker 에셋을 구별하기 위해 백라이팅과 실루엣을 사용했다.[2]

3. 2. 색상의 활용

실루엣 영화는 전통적으로 흑백으로 제작되었으며, 전경은 진한 검정색이고 배경은 다양한 회색 음영을 사용했다. 요소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회색 음영이 옅어져서 깊이감을 표현했다.[4] 로테 라이니거의 Die Geschichte des Prinzen Achmed (1926)에서는 각 장면을 구분하기 위해 다른 색상으로 착색했다.[4]
아흐메드 왕자 이야기(1926)는 장면을 구분하기 위해 착색을 사용했다.


라이니거는 잭과 콩나무(1955)에서 검은색 실루엣과 함께 스테인드 글라스 효과를 내기 위해 반투명 유색 재료를 사용한 컬러 배경을 사용했다. 하지만, 그녀는 이 방식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이후 대부분 흑백 영화로 돌아갔다.[4] 이후 오카생과 니콜레트(1976)에서 반투명 플라스틱 조각을 사용한 절제된 색상 팔레트를 사용했다.

다른 후대 영화 제작자들은 한 가지 색상의 다양한 음영이나 두 가지 보색을 사용하는 배경을 활용하여 컬러 실루엣 영화를 제작했다.

4. 주요 작품 목록

다음은 주요 실루엣 애니메이션 작품 목록이다.

주요 작품 목록
제목감독제작 연도국가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로테 라이니거1926독일
피노키오우고 아마도로1930
굴뚝 청소부 페로다나카 키지1930일본
나비 부인의 환상아라이 와고로1940일본
석가의 생애오후지 노부로1961일본
왕자와 공주미셸 오슬로2000프랑스
밤의 이야기미셸 오슬로2011프랑스
토니 사그의 연감토니 사그1921-1923
실루엣 판타지1916
홈리스 홈2020



이 외에도 《사우스 파크》, 《모나 더 뱀파이어》, 《안녕 절망선생》 등에서 실루엣 애니메이션 기법이 사용되었다.

4. 1. 장편


  •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 (Die Geschichte des Prinzen Achmed, 1926) - 로테 라이니거 감독[1]
  • 피노키오 (1930) - 우고 아마도로 감독 (미완성)[1]
  • 석가의 생애 (Shaka no Shōgai, 1961) - 오후지 노부로 감독[1]
  • 왕자와 공주 (Princes et princesses, 2000) - 미셸 오슬로 감독[1]
  • 밤의 이야기 (Tales of the Night, 2011) - 미셸 오슬로 감독[1]

4. 2. 단편


  • 토니 사그의 연감 (1921-1923): 17편의 무성 영화.
  • 실루엣 판타지 (1916)
  • 아라이 와고로의 나비 부인의 환상 (1940)
  • 홈리스 홈 (2020)
  • 다나카 키지의 굴뚝 청소부 페로 (1930)

참조

[1] 서적 The Silhouette Film Le Mani
[2] 간행물 Mercs and Mortality: Emesis Blue, a Fan-Made Team Fortress 2 Horror Flick https://brightlights[...] Bright Lights Film Journal 2024-04-16
[3] 서적 2D and Beyond RotoVision
[4] 영상 Lotte Reiniger: Homage to the Inventor of the Silhouette Film https://www.imdb.com[...] British Film Institute 1999
[5] 서적 The Silhouette Film Le Mani
[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8] 서적 2D and Beyond https://archive.org/[...] RotoVision
[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