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종자'는 프란츠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로, 작가의 친구 막스 브로트가 유고를 정리하여 '아메리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이 소설은 16세의 카를 로스만이 하녀와의 관계로 미국으로 쫓겨나, 예상치 못한 사건들에 휘말리며 방황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카를은 미국 사회에서 소외와 고독을 느끼며, 억압적인 시스템과 부조리한 현실에 직면한다. 작품은 자본주의 비판,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차례 영화, 연극, 오페라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 심판 (소설)
프란츠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 《심판》은 은행원 요제프 K가 30세 생일에 영문도 모른 채 체포되어 부조리한 재판에 휘말리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부조리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불안과 소외를 다룬 주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 성 (소설)
프란츠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 《성》은 측량사 K가 성에 고용되었다 주장하며 눈 덮인 마을에 도착하여 클람과 연락하려 노력하지만 관료주의 장벽과 마을 사람들과의 관계로 혼란을 겪는 이야기로, 관료주의, 소외, 구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형태로 각색되었다. - 사후에 출판된 소설 - 심판 (소설)
프란츠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 《심판》은 은행원 요제프 K가 30세 생일에 영문도 모른 채 체포되어 부조리한 재판에 휘말리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부조리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불안과 소외를 다룬 주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사후에 출판된 소설 - 해류 속의 섬들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기획한 "바다 3부작" 중 하나인 소설 《해류 속의 섬들》은 미국인 화가의 삶과 고뇌를 바하마, 쿠바 등을 배경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그린 작품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헤밍웨이 자신의 경험이 반영되어 1970년 사후 출간되었고, 1977년 영화화되기도 했다. - 과학 소설 - 심판 (소설)
프란츠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 《심판》은 은행원 요제프 K가 30세 생일에 영문도 모른 채 체포되어 부조리한 재판에 휘말리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부조리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불안과 소외를 다룬 주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 과학 소설 - 하드 SF
하드 SF는 과학적 정확성, 논리성, 엄밀성을 핵심으로 하며, 현재 과학 기술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적이거나 이론적으로 가능한 기술, 현상, 시나리오를 다루는 SF의 한 갈래이다.
| 실종자 (소설) | |
|---|---|
| 기본 정보 | |
![]() | |
| 원제 | Der Verschollene |
| 다른 제목 | 아메리카 |
| 저자 | 프란츠 카프카 |
| 국가 | , |
| 언어 | 독일어 |
| 장르 | 장편 소설 |
| 발표 형태 | 미완성, 사후 출판 |
| 출판 | 1927년 (쿠르트 볼프) (독일어) 1938년 (라우틀리지) (영어) |
| 미디어 유형 | 인쇄 |
| ISBN | 978-0-8112-1569-5 |
| OCLC | 58600742 |
| 출판 정보 | |
| 최초 출판 | 제1장 '화부 - 어느 단편' 1913년 |
| 최초 출판사 | 쿠르트 볼프 사 ('화부') |
| 번역가 | 나카이 마사후미 |
| 영어 제목 | Lost in America |
| 출판사 | Vitalis Verlag |
| 출판 연도 | 2010년 |
| ISBN | 978-80-7253-316-9 |
| 위치 | 프라하 |
| 번역가 | Anthony Northey |
2. 줄거리
10대 소년 카를 로스만은 하녀에게 유혹당해 아이를 갖게 되고, 이 스캔들을 피하기 위해 가족에 의해 미국으로 보내진다. 미국에 도착한 카를은 배에서 만난 화부의 부당한 처우에 공감하여 그를 도우려 하지만, 오히려 자신의 삼촌인 야콥 상원의원을 만나게 된다.[20]
카프카는 이 소설을 《실종자》( Der Verschollenede )라고 불렀으나,[6] 그의 친구 막스 브로드가 유고를 정리하여 출판하면서 《아메리카》라는 제목을 붙였다.[6] 대한민국에서는 원제에 가까운 《실종자》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으며, 카프카 연구자들 역시 이 제목을 선호한다. 일본에서는 《실종자》와 《아메리카》 두 가지 제목 모두 사용되고 있다.
소설 <실종자>에는 카를 로스만, 야코프, 로빈슨과 델라마르셰, 브루넬다,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카를은 삼촌과 함께 지내지만, 삼촌의 허락 없이 친구를 방문했다가 버려진다. 방황하던 카를은 로빈슨, 델라마르셰와 같은 부랑자들과 만나지만, 그들에게 이용당하고 버려진다. 호텔에서 엘리베이터 보이로 일하게 되지만, 술 취한 로빈슨을 숨겨주려다 해고당한다.[20]
델라마르셰와 함께 사는 부유한 여인 브루넬다의 하인으로 억류되지만, 탈출을 시도하다 실패한다. 마지막으로 카를은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 광고를 보고, 모든 사람에게 일자리를 약속한다는 말에 희망을 품고 지원한다. 카를은 "네그로"라는 가명으로 극장에 채용되어 기차를 타고 오클라호마로 향하던 중 실종된다.[20]
3. 제목
4. 등장인물
4. 1. 카를 로스만
16세 (혹은 17세)의 독일 소년으로, 이 소설의 주인공이다. 순진하고 정의감이 강하지만, 세상 물정에 어둡고 쉽게 속아 넘어가는 면모를 보인다. 고향 프라하에서 연상의 하녀에게 유혹당해 아이까지 갖게 된 카를은 부모의 손에 이끌려 미국으로 쫓겨났다.[1]
뉴욕 항구에 도착한 카를은 배에서 우산을 잊은 것을 깨닫고 되돌아가 화부와 만나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가 굴욕적인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의분에 찬 카를은 배의 상사에게 격렬하게 호소했지만, 화부는 평소 근무 태도가 좋지 않았고 흥분하여 자신의 주장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했다. 그때 한 신사가 카를에게 말을 걸었는데, 그는 상원 의원이자 카를의 친삼촌인 에드워드 야코브였다. 야코브는 그 자리를 정리하고 카를을 데려가기로 했다.[2]
유복한 백부 밑에서 카를은 아무런 어려움 없는 생활을 했다. 백부는 큰 사무실에서 중개업을 경영하고 있었고, 카를의 교육에도 매우 열성적이었다. 카를은 영어에 이어, 백부의 지인인 맥 씨에게서 승마를 배우게 되었다. 어느 날, 카를은 백부의 거래 상대인 은행가 폴란더 씨에게 자택으로 초대를 받는다. 하지만 백부는 왠지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폴란더 씨의 간청도 있어 결국 하룻밤을 묵고 가기로 했지만, 카를은 백부가 걱정스러웠다.[3]
카를과 폴란더 씨는 자택 현관에서 폴란더 씨의 딸 클라라의 영접을 받았다. 클라라는 그린 씨가 방문했음을 알린다. 폴란더 씨는 분개했지만, 넷이서 저녁 식사를 함께 하기로 한다. 식사 후, 카를은 클라라에게 방으로 안내되지만, 우연한 일로 몸싸움이 벌어진다. 그러나 클라라는 레슬링 기술을 익히고 있었고, 카를은 제압당하고 만다. 클라라의 방에 갈 마음이 들지 않아 저택을 배회하던 카를은 폴란더 씨와 그린 씨에게 가서 "백부님을 위해 빨리 돌아가고 싶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린 씨는 "12시가 되면 돌려보내 주겠다"고 말하고, 카를은 화를 내지만 시간까지 클라라의 방으로 가게 된다. 내키지 않는 채로 클라라에게 이제 막 배운 피아노를 들려주는 카를에게 놀리는 듯한 반 박수가 쏟아졌다. 상대는 맥 씨였고, 그는 클라라의 약혼자였다. 시간이 되어 그린 씨를 만나자, 그는 "12시에 카를에게 넘겨주라"고 적힌 백부의 편지를 내밀었다. 거기에는 자신의 의지에 반하는 카를을 내쫓는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카를은 트렁크와 우산을 들고, 갈 곳도 없이 밤의 거리로 뛰쳐나갔다.[4]
얼마 후, 카를은 식당을 겸한 싸구려 여관을 찾았다. 그곳에 묵기로 했지만, 방은 다인실이었고 이미 아일랜드인 로빈슨과 프랑스인 드라말슈가 있었다. 아침이 되어 숙소를 나선 세 사람은 버터포드의 농장 일을 돕거나, 캘리포니아에서 사금을 채취하는 일을 구하기 위해 함께 여행을 시작한다. 밤이 되어 노숙을 하게 되었고, 근처의 "호텔 옥시덴탈"에서 식료품과 술을 조달하라는 말을 들은 카를은 호텔로 향한다. 친절한 여직원이 호텔에 묵도록 권유했지만, 카를은 거절하고 밖으로 나온다. 그러나 세 사람은 다투게 되고, 카를은 혼자 호텔로 가게 된다.[5]
호텔에 도착하자 카를은 아까 만났던 동료이자 같은 국적의 조리 주임으로부터 엘리베이터 보이 제안을 받고 승낙했다. 타이피스트 테레제와도 친해지면서, 람세스 마을에서 카를의 새로운 생활이 시작되었다. 카를은 엘리베이터 보이 일을 능숙하게 해냈다. 테레제나 동료 자코모 등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한 달 반 정도가 흘렀다. 그러던 어느 날, 옆 엘리베이터 담당자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카를은 업무에 몹시 바빴다.[6]
거기에 로빈슨이 나타났다. 그는 멋을 낸 차림새였지만 술 냄새가 났다. 취해서 끈적하게 달라붙는 로빈슨은 카를에게 돈을 빌려달라고 했다. 카를은 두 번 다시 여기 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그날 팁을 건네주려 했다. 그때 로빈슨은 몸 상태가 나빠져 구토를 했다. 카를은 밖으로 데리고 나가려 했지만, 로빈슨은 걸을 수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대리인을 세워 자리를 비운 카를은, 엘리베이터 보이들의 침실에 로빈슨을 옮겨 눕혔다. 카를은 자기 자리로 돌아가자, 자신의 부재가 보이장에게 드러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무실로 가자, 카를은 보이장에게 해고를 통보받는다. 게다가 문지기 주임에게도 질책을 당하고, 조리 주임과 테레제에게도 카를의 실수가 전해졌다. 카를을 믿는 두 사람이었지만, 침실의 로빈슨이 난동을 부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더욱이 카를의 입장은 악화되어, 해고가 결정된다. 몰매를 맞아 상처투성이인 로빈슨을 데리고, 카를은 호텔을 나섰다.[7]
카를과 로빈슨은 드라말쉬의 아파트로 향했다. 그는 매우 비싼 방에 살고 있었고, 두 사람을 맞이하여 동거 상대인 브루넬다를 소개했다. 그녀는 극도로 비만이었고, 방에서 누워 있었다. 매우 제멋대로인 성격이지만, 드라말쉬는 능숙하게 다루고 있었다. 로빈슨은 카를에게 지금까지의 경위를 이야기했다. 두 사람이 구걸했던 상대가 브루넬다였고, 드라말쉬는 능숙하게 그녀에게 접근했다는 것이다. 로빈슨은 온정으로 사용인으로서 생활하고 있었다. 부상을 입은 로빈슨을 대신하여 카를도 사용인으로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날 밤, 판사 선거 후보의 연설이 열리고 있었다. 축제와 같은 소란에 카를은 매료되었다. 그러나 브루넬다에게 반항한 탓에 카를은 따돌림을 당했다. 한밤중에 옆방의 학생 멘델과 이야기를 나누며, 학업과 생활의 양립의 어려움을 알게 된다. 결국, 지금 당장 일해야 한다고 카를은 결심했다.[8]
카를은 로빈슨에게 깨어난다. 드라말슈와 함께, 제멋대로인 브루넬다를 달래면서 3명이 덤벼 그녀의 목욕을 돕는다. 목욕 후의 단장에서도, 브루넬다에게 호통을 당하는 카를들. 카를은 투창에 아침 식사를 준비하지만, 오히려 솜씨가 좋다고 브루넬다에게 칭찬을 받았다. 카를은 보상으로, 한 움큼의 과자를 받았다.[9]
어느 날 아침, 카를은 브루넬다를 환자용 손수레에 태워 현관을 나섰다. 남들의 눈에 띄지 않도록 이른 아침에 출발했다. 브루넬다를 회색 천으로 감싸 모습을 숨겼지만, 경찰관에게 붙잡힌다. 신분증을 보여주고 그 자리를 모면했지만, 행인들도 흥미롭게 쳐다본다. 내용물은 사과라고 우기며, 카를은 서둘러 길을 나선다. 이윽고 25번지 건물이 보였다. 관리인을 만나 카를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10]
카를은 길모퉁이에서 포스터를 보았다. 거기에는 오클라호마 극장이 클레이턴 경마장에서 단원을 모집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보수는 전혀 적혀 있지 않았지만, 카를은 "조건 불문"이라는 문구에 이끌렸다. 교통비를 계산하고 있는데, 낯선 신사가 어깨를 두드리며 클레이턴행을 격려해 주었다. 카를은 지하철로 클레이턴으로 향했다. 경마장 입구에서는 수백 명의 여자들이 하얀 천사 차림으로 트럼펫을 불고 있었다. 하지만 청중은 별로 없었고, 카를은 아내와 유모차에 아이를 태운 중년 남성에게 말을 걸었지만, 역시 응모자는 거의 없다고 했다. 남자의 아내에게 채용 절차 장소를 확인해 달라고 부탁받아 무대에 오른 카를은 천사 중 한 명에게 말을 걸었다. 그 여자는 그리운 여자 친구 패니였다. 재회를 축하하며 카를은 패니의 트럼펫을 빌렸다. 주위 사람들이 제멋대로 트럼펫을 부는 가운데, 카를은 능숙하게 연주할 수 있었다. 남자의 악단도 있다는 말을 듣지만, 패니는 배속되어도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오클라호마 극장은 범위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거대한 세계 최대의 대극장이라고 한다. 채용 장소가 심판석이라는 것을 알려주어, 카를은 인사 담당자를 만났다. 가족 동반의 남자도 받아들여 채용 면접이 시작되었다. 카를은 신분증을 가지고 있지 않아, 기술자로 자청했다. 그러나 기술자 "지망"이라는 것이 밝혀지자, 다른 창구로 넘겨졌다. 다시 다른 창구로 넘겨져, 결국 "유럽 중학교 졸업" 창구에서 채용되었다. 카를은 담당 주임에게 "네그로(흑인의 의미)"라는 가명을 댔다. 정식으로 채용이 결정되자, 밖으로 나오니 아까의 가족 동반 남자도 채용이 결정되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카를은 자신의 대장에게 전 직업은 사무실에 있었다는 것(주: 카를이 사무실에서 일했다는 기술은 앞 장이나 다른 단편에는 없고, 다른 삽화를 삽입할 예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거기서의 일에 만족하지 못했다는 것을 전했다. 면담 결과 카를(네그로)은 "기술 노동자"로 결정되었다. 패니에게 전하려고 했지만, 천사들은 이미 다음 장소로 출발했다고 한다. 채용자들에게 호화로운 회식이 베풀어졌고, 그중 한 명이 장황하게 답변을 말했다. 그 연회에서 카를은 자코모와 재회했다. 그는 엘리베이터 보이로 채용되었다고 한다. 그때 인사 주임이 단상에 나타나 오클라호마로의 출발을 알렸다. 채용자들은 서둘러 역으로 향해, 열차에 탑승했다.[11]
이틀 밤낮의 여정이 이어졌다. 카를은 자코모와 나란히 앉았고, 마주 앉은 소년들과도 친해졌다. 첫째 날, 열차는 산악 지대를 통과했다. 강폭이 넓은 계류 위를, 열차가 달린다. 수면에 가까운 곳을 달릴 때는 냉기가 카를의 얼굴에 닿았다.[12]
4. 2. 야코프
로스만의 삼촌은 미국에서 큰 사무실을 운영하며 중개업을 하는 성공한 사업가이다. 로스만의 교육에 매우 열성적이었으며, 로스만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자신의 지인인 맥 씨를 통해 승마를 배우게 했다.[1] 어느 날, 로스만은 백부의 거래 상대인 폴란더 씨의 집에 초대받지만, 백부는 이를 왠지 탐탁지 않아 했다.[1] 폴란더 씨의 간청으로 결국 로스만은 하룻밤을 묵고 가기로 하지만, 백부를 걱정한다.[1]
폴란더 씨의 집에서 로스만은 폴란더 씨의 딸 클라라, 그리고 그린 씨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한다.[1] 이후 로스만은 클라라와 몸싸움을 벌이다 제압당하고, 폴란더 씨와 그린 씨에게 "백부님을 위해 빨리 돌아가고 싶다"고 말한다.[1] 그러나 그린 씨는 "12시가 되면 돌려보내 주겠다"고 말하며, 로스만에게 백부의 편지를 보여준다.[1] 편지에는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로스만을 내쫓는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고, 결국 로스만은 밤거리로 뛰쳐나가게 된다.[1]
4. 3. 로빈슨과 델라마르셰
카를 로스만을 이용하고 착취하는 부랑자들이다. 로빈슨과 델라마르셰는 카를에게 일자리를 찾아주겠다고 약속하지만, 그의 양복을 팔고 음식을 빼앗아 먹는 등 카를의 순진함을 악용한다. 결국 카를은 호텔 옥시덴탈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면서 그들과 헤어진다. 하지만 로빈슨은 술에 취해 카를의 직장에 나타나 돈을 요구하고, 카를은 그를 숨겨주려다 해고당한다. 이후 카를은 델라마르셰와 함께 사는 브루넬다의 하인으로 들어가지만, 탈출을 시도하다 구타당한다.
4. 4. 브루넬다
델라마르셰와 함께 살면서 카를을 하인으로 부리는 뚱뚱하고 변덕스러운 부자 여인이다.[1] 카를이 하인이 되는 것을 거절하자 델라마르셰는 강제로 그를 집에 머물게 했고, 카를은 아파트에 갇히게 된다.[1] 브루넬다는 제멋대로인 성격이지만, 델라마르셰는 그녀를 능숙하게 다루고 있었다.[2] 델라마르셰는 브루넬다에게 능숙하게 접근하여 그녀의 하인으로 지내게 되었고, 부상당한 로빈슨을 대신하여 카를도 하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2] 브루넬다는 카를에게 솜씨가 좋다며 칭찬하고, 보상으로 과자를 주기도 한다.[3]
4. 5.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의 사람들
카를은 길모퉁이에서 오클라호마 극장이 클레이턴 경마장에서 단원을 모집한다는 포스터를 보았다. "조건 불문"이라는 문구에 이끌린 카를은 지하철로 클레이턴으로 향했다. 경마장 입구에서는 수백 명의 여자들이 하얀 천사 차림으로 트럼펫을 불고 있었다. 오클라호마 극장은 범위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거대한 세계 최대의 대극장이라고 한다. 카를은 인사 담당자를 만나 면접을 보았고, 신분증이 없었지만 "유럽 중학교 졸업" 창구에서 "네그로(흑인을 뜻함)"라는 가명으로 채용되었다. 면담 결과 "기술 노동자"로 결정되었다. 채용자들에게는 호화로운 회식이 베풀어졌고, 인사 주임은 오클라호마로의 출발을 알렸다. 채용자들은 서둘러 역으로 향해 열차에 탑승하여 이틀 밤낮의 여정을 시작했다.
5. 집필 배경 및 과정
카프카는 1911년 말부터 『실종자』 집필을 시작하여 1912년에 초고를 완성했으나, 이 초고는 카프카 본인이 파기하여 남아있지 않다.[12] 1912년 9월 26일부터 다시 집필을 시작했으며, 이는 단편 「선고」를 완성한 직후였다.[12]
1913년, 카프카는 첫 번째 장인 "화부"를 단편 소설로 출판하였다.[12] "화부"는 카프카의 사촌 중 한 명이 14세 때 하녀와 아이를 가진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12] 주인공 카를 로스만의 나이는 초고에서 17세였으나 "화부" 발표 시 15세로, 최종적으로는 16세로 수정되었다.[12]
카프카는 1914년까지 소설 전체를 집필하다가 중단했고, 결국 작품은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12] 카프카는 미국에 가본 적이 없었지만,[12] 그의 작품 속 미국의 모습은 그의 상상력과 간접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12]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을 즐겨 읽었으며,[10] 사촌들의 미국 이민 경험과 여행 서적 등을 통해 미국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12]
카프카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실종자』를 구상했다.[12] 그는 현대 사회의 부조리함을 더욱 날카롭게 묘사하고자 했다.[12]
6. 주요 주제 및 상징
Der Verschollenede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몰락해 가는 한 소년의 섬뜩한 이야기를 다룬다. 열일곱 살 카를 로스만은 고향 프라하에서 하녀에게 유혹당해 아이를 갖게 되고, 부모는 그를 미국으로 보낸다. 카를은 착취와 경쟁이 난무하는 비인간적인 세계에서 일자리를 얻으려 하지만, 결국 몰락한다. 그는 권위와 갈등을 겪고 추방당하며, 마지막에는 오클라호마 극장에 채용된 사람들과 기차 여행 중 실종된다.[1] 이는 순응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예언과도 같다.
6. 1. 소외와 고독
카를은 낯선 미국 사회에서 끊임없이 소외와 고독을 경험한다. 열일곱 살의 카를 로스만은 고향 프라하에서 서른다섯 살 하녀에게 유혹당한다. 그 결과 아이가 태어나고, 카를의 부모는 양육비 부담과 자신들에게 밀어닥칠 추문을 피하고자 카를을 배에 태워 미국으로 보낸다.[1] 카를은 착취와 경쟁이 난무하고 비인간화된 세계에서 일자리를 얻기 위해 투쟁하지만, 철저하게 몰락의 길을 걷는다.[1] 그는 가족, 친구, 직장 등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방황한다. 마지막에 카를은 오클라호마 극장에 채용된 사람들과 함께 기차 여행을 하던 도중에 실종된다.[1]6. 2. 부조리한 현실
카프카는 이 소설을 통해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사회 시스템, 예측 불가능하고 불합리한 상황들을 묘사한다.[9] 《실종자》에서 멸시받는 개인은 종종 멀리 떨어져 있고 신비로운 권위자들 앞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해야 한다. 그러나 카를은 술에 취한 로빈슨을 호텔에서 쫓아내는 대신 돕고, 로빈슨의 택시비를 지불하고, 들라마르쉐의 집으로 가는 등 자발적으로 그러한 대우를 받기도 한다.[9]이야기 속에서 자유의 여신상은 칼을 들고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을 카프카가 미국이 가지고 있다고 믿었을지도 모르는 "힘이 정의다" 철학으로 해석한다.[9]
6. 3. 자본주의 비판
카를 로스만은 자본주의 사회의 착취와 경쟁 속에서 희생되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의 몰락은 자본주의의 폐해를 드러낸다. 특히, 자유의 여신상이 칼을 들고 있는 모습은 미국 사회의 "힘이 정의다"라는 철학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9]6. 4.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
로스만은 길모퉁이에서 오클라호마 극장이 클레이턴 경마장에서 단원을 모집한다는 포스터를 보았다. "조건 불문"이라는 문구에 이끌린 로스만은 클레이턴으로 향했다. 경마장 입구에서는 수백 명의 여자들이 하얀 천사 차림으로 트럼펫을 불고 있었고, 로스만은 그곳에서 그리운 여자 친구 패니를 만났다. 오클라호마 극장은 세계 최대의 대극장이라고 한다.채용 면접에서 로스만은 신분증이 없어 기술자 지망생으로 자청했지만, 결국 "유럽 중학교 졸업" 창구에서 "네그로"라는 가명으로 채용되었다. 로스만은 자신의 대장에게 전 직업은 사무실에 있었다고 말했다. 면담 결과 로스만(네그로)은 "기술 노동자"로 결정되었다.
채용자들에게는 호화로운 회식이 베풀어졌고, 로스만은 그곳에서 자코모와 재회했다. 그는 엘리베이터 보이로 채용되었다고 한다. 인사 주임은 오클라호마로의 출발을 알렸고, 채용자들은 서둘러 역으로 향해 열차에 탑승했다. 이틀 밤낮의 여정 동안 로스만은 자코모와 나란히 앉았고, 마주 앉은 소년들과도 친해졌다.
7. 미완성 소설
카프카는 이 소설을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의 친구이자 전기 작가인 막스 브로트에 따르면, 카프카는 "오클라호마 자연 극장" 챕터를 마지막으로 하여 화해의 분위기로 소설을 끝맺으려 했다고 한다.[8] 카프카는 이 "거의 무한한" 극장 안에서 그의 젊은 영웅이 어떤 천상의 마법에 의해 직업, 의지할 곳, 자유, 심지어 그의 옛 집과 부모를 다시 찾게 될 것이라고 암시하곤 했다.[8]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원고는 여러 단편들과 미완성 챕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말은 명확하지 않다. 브루넬다와의 카알의 행적을 묘사하는 두 개의 큰 조각이 남아있지만, 빈 부분을 채우지는 못한다. 카프카는 처음 여섯 개의 챕터만 나누어 제목을 붙였다.[8]
카프카의 초고에는 제1장부터 제6장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장 제목이 붙어 있으며, 여기에 이어진다고 생각되는 2편의 제목 없는 단장("차가 멈췄다"로 시작하는 것과 "일어나, 일어나"로 시작하는 것) 및 전후 연결이 불분명한 3개의 단편("브루넬다의 출발"이라는 제목이 있는 하나와 제목 없는 두 개)이 존재한다.[20]
8. 각색
이 소설은 여러 차례 영화, 연극, 오페라 등으로 각색되었다.
- Michael Kreihslde 감독의 1990년 단편 영화 "A Licensed Liberty"가 있다.[13]
- 1994년에는 Vladimír Michálek 감독, Martin Dejdar 주연의 체코 영화 ''Amerika''가 제작되었다.
- 장 마리 스트로브와 다니엘 위예 감독의 1984년 흑백 독일어 영화 ''Klassenverhältnisse''(계급 관계)가 있다.
-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 ''인터뷰''는 이 소설의 각색을 가상으로 촬영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 로만 하우벤슈토크-라마티의 오페라 《아메리카》가 있다.
- 마츠모토 오사무의 구성·연출로 무대화되었다. 2001년과 2003년에는 《AMERIKA》, 2007년과 2013년에는 《실종자》라는 제목으로 상연되었으며, 요미우리 연극 대상 우수 작품상 및 연출가상을 수상했다.
- 2016년, 미국의 록 밴드 영 더 자이언트는 카프카의 ''아메리카''에서 영감을 받아 "아메리카"라는 싱글을 발표했다.[19]
9.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카프카의 《실종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락으로 떨어져 가는 소년의 섬뜩한 이야기를 다룬다. 이는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 카를 로스만은 고향 프라하에서 하녀의 유혹으로 아이를 갖게 되고, 부모는 추문을 피해 카를을 미국으로 보낸다.[1]
카를은 미국에서 일자리를 얻기 위해 투쟁하지만, 착취와 경쟁이 난무하는 비인간적인 세계에서 철저히 몰락한다. 이러한 카를의 모습은 청년 실업, 비정규직 문제, 사회적 불평등 등 한국 사회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위계질서의 권위와 카를 사이의 갈등, 그리고 그로 인한 추방이라는 구도는 작품에서 계속 변주되며, 이는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웃, 특히 청년 세대의 어려움을 보여준다.[1]
카를은 마지막에 오클라호마 극장에 채용된 사람들과 함께 기차 여행을 하는 도중에 실종된다. 일자리를 얻기 위해 투쟁했지만, 결국 '실종'을 통해 미국이라는 거대한 처벌의 공간에서 해방된 것이다. 이는 그 어떤 일이 있더라도 순응하고 스스로를 순치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놀라운 예언이라고 할 수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 소설을 통해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웃, 특히 청년 세대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10. 번역
- 나카이 마사후미 역, 《아메리카》 (카도카와 문고), 1972년, 복간 1989년, 개정판 1992년. 전자책판, 2016년
- 치노 에이이치 역, 《카프카 전집 4 아메리카》 (신초샤), 1981년, 복간 1992년. 막스 브로트 편
- 이케우치 오사무 역, 《실종자 카프카 소설 전집 1》 (하쿠스이샤), 2001년
- 이케우치 오사무 역, 《실종자 카프카 컬렉션》 (하쿠스이 U 북스), 2006년
- 이케우치 오사무 역, 《카프카/크리스타 볼프》〈이케자와 나츠키=개인 편집 세계 문학 전집 Ⅱ-02〉(카와데 쇼보 신샤), 2009년
- 타니 토모유키 역, 《아메리카》 (구텐베르크21) (전자 출판)[21], 2015년
참조
[1]
서적
1996 English translation by Michael Hofmann
Penguin Books
[2]
서적
2008 English translation by Mark Harman
Schocken Books
[3]
서적
Lost in America
Vitalis Verlag
[4]
웹사이트
The Man Who Disappeared: Kafka Imagining Amerika
http://www.kafka.org[...]
[5]
문서
Kafka
[6]
문서
Kafka
[7]
뉴스
Israeli museum wants Kafka manuscript from Germany
https://www.cbc.ca/n[...]
[8]
문서
Kafka
[9]
서적
Franz Kafka: Geometrician of Metaphor
https://archive.org/[...]
Coda Press
[10]
문서
Kafka
[11]
뉴스
A la derecha, Franz Kafka, junto a un desconocido en la playa de Marielyst (Dinamarca).
http://cultura.elpai[...]
El País
2008-07-09
[12]
문서
Kafka
[13]
웹사이트
CurtainUp DC Review of America
http://www.curtainup[...]
2014-07-16
[14]
웹사이트
Amerika
https://www.tete-a-t[...]
[15]
웹사이트
"L'Amérique ou le disparu"
Les Éditions La Pastèque
2016-03-14
[16]
웹사이트
Amerika ! Conundrum Press
https://www.conundru[...]
2021-03-11
[17]
뉴스
" 'Theatre is awkward, weird and dirty': Nature Theatre of Oklahoma head this wa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5-01
[18]
웹사이트
Tate Modern! Past Exhibitions ! Martin Kippenberger
http://www.tate.org.[...]
2009-11-09
[19]
간행물
Young the Giant Talk Taking on 'Amerika' With New Immigrant-Themed LP
https://www.rollings[...]
2020-11-13
[20]
문서
池内紀訳『カフカ小説全集』は、この版
[21]
문서
元版は『世界文学全集 カフカ』講談社、1974年、新編版 1976年
[22]
문서
初版は1952年7月。のち度々改版
[23]
서적
1996 English translation by Michael Hofmann
New Directions
[24]
서적
2008 English translation by Mark Harman
Schocken Books
[25]
서적
Lost in America
Vitalis Verlag
[26]
웹사이트
The Man Who Disappeared: Kafka Imagining Amerika
http://www.kafk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