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아는 높이 1m 내외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며, 6~8월에 백색 꽃이 원추꽃차례로 핀다. 봄에 어린 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박완서의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기재된 식물 - 벼과
벼과는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풀의 한 종류로, 원통형 줄기, 평행맥 잎, 작은이삭 꽃, 곡과 열매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 식량 생산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1895년 기재된 식물 - 육포등아과
육포등아과는 마편초과에 속하며, 육포등속, 콩게아속, 스페노데스메속 등을 포함하고 덩굴성 식물이 주를 이루는 아과이다. - 마디풀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마디풀과 - 흰꽃여뀌
흰꽃여뀌는 마디가 부풀어 오른 줄기와 피침형 잎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8~11월에 흰색 꽃이 피며, 한국 남부, 일본, 중국, 타이완 등의 습지나 습한 초원에서 서식하고, 자가불화합성인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있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싱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Koenigia alpina |
학명 명명자 | ((All.) T.M.Schust. & Reveal) |
이명 | Aconogonon alpinum (All.) Schur Aconogonon alpinum var. elephantinum Stepanov Aconogonon diffusum (Pall. ex Spreng.) Tzvelev Aconogonon dshawachischwilii (Kharkev.) Soják Aconogonon jeholense (Kitag.) H.Hara Aconogonon polymorphum (Ledeb.) Nakai Gononcus undulatus Raf. Persicaria alpina (All.) H.Gross Persicaria dshawachischwilii (Kharkev.) Cubey Persicaria undulata (Raf.) H.Gross Pleuropteropyrum jeholense Kitag. Pleuropteropyrum undulatum (Raf.) Á.Löve & D.Löve Polygonum alpinum All. Polygonum diffusum Pall. ex Spreng. Polygonum dshawachischwilii Kharkev. Polygonum polymorphum Ledeb. |
속 | 싱아속 |
종 | 싱아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석죽목 |
과 | 마디풀과 |
2. 생태
싱아는 높이가 1m 내외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3] 대체로 곧추 자라며 둥글고 단단하다.[4]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3] 잎의 길이는 6~10cm, 너비는 2.5~5cm이다.[4]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커다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작고 꽃이 각각 2~3개 달린다.[3]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꽃차례가 달리는데 양성화이다. 열매는 수과로 7~8월쯤 여문다.[4]
2. 1. 형태
싱아는 높이가 1m 내외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3] 대체로 곧추 자라며 둥글고 단단하다.[4]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3] 잎의 길이는 6~10cm, 너비는 2.5~5cm이다.[4]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커다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작고 꽃이 각각 2~3개 달린다.[3]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꽃차례가 달리는데 양성화이다. 열매는 수과로 7~8월쯤 여문다.[4]2. 2. 분포
싱아는 높이 1m 내외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다.[3] 대체로 곧추 자라며 둥글고 단단하다.[4]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3] 잎의 길이는 6~10cm, 너비는 2.5~5cm이다.[4]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고 커다란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양성화가 핀다. 포는 작고 꽃이 각각 2~3개 달린다.[3] 열매는 수과로 7~8월쯤 여문다.[4]3. 쓰임새
봄에 뜯은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4] 어린 대는 신맛이 있어 날로 먹는다.[3] 한방에서 수렴제, 폐렴·기침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5]
4. 문화
박완서의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싱아는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4. 1. 문학 속의 싱아
박완서의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싱아는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01-25
[2]
eFloras
Aconogonon alpinum
[3]
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씨식물-싱아
[4]
서적
한국식물대사전
여강출판사
2001-08-01
[5]
서적
길과 숲에서 만나는 우리나라 야생화 이야기
도서출판 이비컴
2008-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