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문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16년에는 아기공룡 둘리 테마역으로 조성되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도봉구민회관, 창동시장, 덕성여자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창동역
창동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녹천역
녹천역은 1985년에 개업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학교, 아파트 단지, 공원이 위치하고,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1985년 개업한 철도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쌍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역 이름 | 쌍문역 |
| 한자 표기 | 雙門驛 |
| 로마자 표기 | Ssangmunnyeok |
| 노선 | 4호선 |
| 역 번호 | 413 |
| 주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486-1 (창1동) |
| 개업일 | 1985년 4월 20일 |
| 역 구조 | |
| 구조 | 지하역 |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 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
| 이용 정보 |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65,642명 |
| 일일 승하차객 (2015년 기준) | 63,699명 |
| 승차인원 (2015년 기준) | 34,258명 |
| 인접 역 | |
| 이전 역 | 창동역 |
| 다음 역 | 수유역 |
| 역간 거리 | 창동역: 1.3 km 수유역: 1.5 km |
| 이미지 | |
![]() | |
![]() | |
| 기타 정보 | |
| 전철화 | 교류 25000V 60Hz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진접(경복대) 기점 19.1 km |
2. 역사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한성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쌍문역의 영업이 시작되었다.[5] 2016년 11월 25일에는 아기공룡 둘리를 주제로 역 디자인을 개선하였다.[6]
2. 1. 연혁
- 1983년 9월 13일: '''쌍문역'''으로 역명 결정[5]
-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한성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6년 11월 25일: 출구 주변, 대합실 내부, 역명판 디자인 개선(아기공룡 둘리 테마역 조성)[6]
2. 2. 아기공룡 둘리 테마역 조성
2016년 11월 25일 출구 주변, 대합실 내부, 역명판을 아기공룡 둘리를 주제로 디자인을 개선하였다.[6]3. 역 구조
(대합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