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동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1호선은 지상역, 4호선은 고가역으로 운영된다. 1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1호선은 1985년 환승역이 되었으며, 4호선은 1985년 개통되었다. 역 주변에는 서울시50플러스 북부캠퍼스, 서울창업허브 창동, 이마트 창동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녹천역
녹천역은 1985년에 개업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학교, 아파트 단지, 공원이 위치하고,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도봉구의 전철역 - 도봉역
도봉역은 서울 도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3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의정부, 광운대, 부천,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창동역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11길 77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
노선 | |
승강장 | 4 |
선로 | 6 |
구조 | 지상역 |
연혁 | |
1호선 개통 | 1911년 10월 15일 |
4호선 개통 | 1985년 4월 20일 |
이용객 수 (일일) | |
인접역 | |
1호선 |
2. 역사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의 첫 구간이 개통되면서 창동역이 영업을 시작했다.[9][10] 1967년 7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9]되었다가, 1968년 9월 11일 다시 재개[10]되었다. 그러나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은 다시 중지되었다.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이 '''창동역'''으로 결정[11]되었고,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 한성대입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4호선 창동역도 영업을 시작했다.
1985년 8월 22일, 1호선 성북(현 광운대역)-창동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같은 해 12월 22일에는 1호선 역사가 신축되었다. 2005년 12월 21일에는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7에서 116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9월 11일에는 1호선 승강장 위치가 변경되고 새로운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되기 시작했다.
2. 1. 1호선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개통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9][10] 1967년 7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9]되었다가 1968년 9월 11일 재개[10]되었으나, 2007년 11월 1일 다시 중지되었다. 1985년 8월 22일 1호선 성북(현 광운대역)-창동 구간 개통에 따라 환승역이 되었으며,[11] 같은 해 12월 22일 1호선 역사가 신축되었다. 2005년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7에서 116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9월 11일에는 1호선 승강장 위치가 변경되고 새로운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되기 시작했다.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평상시에는 안쪽 2선이 사용된다. 바깥쪽 승강장 중 하나는 오전에 운행하는 급행열차가, 다른 하나는 창동 종착 열차가 정차한다. 승강장 1면당 2곳씩 계단이 설치되어 동쪽 또는 서쪽 개찰구와 연결된다. 2010년 7월 16일 승강장 위치가 녹천역 방면으로 약 160m 이전되었다. 현재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출구(개찰구)는 없으며, 교상의 환승 통로를 통해 서울교통공사 관할의 동쪽과 서쪽 개찰구에 연결된다.
2. 2. 4호선
1911년 10월 경원선 개통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9] 1967년 7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9]되었다가 1968년 9월 11일 재개[10]되었다.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창동역'''으로 결정[11]하였고,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 한성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7] 1985년 8월 22일에는 1호선 성북(현 광운대역)~창동 구간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고,[7] 1985년 12월 22일 1호선 역사가 신축되었다.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7]4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동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1곳, 서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2곳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없다.
3. 역 구조
서울교통공사의 수도권 전철 4호선 개찰구를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공유한다. 출구는 2개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용 시에도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개찰구 안으로 들어온 경우 환승으로 인정된다.
- '''1번 출구''': 노곡중학교, 노원구청, 도봉경찰서, 도봉구청 별관, 상계고등학교, 서울월천초등학교, 은혜간호학원, 자운초등학교, 창4동주민센터, 창4동복지센터, 하이마트 창동점, 자운고등학교, 동아청솔아파트
- '''2번 출구''': 도봉구청, 도봉등기소, 동아그린아파트,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이마트 창동점, 창4동성당, 서울창동초등학교
개찰구는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며, 동쪽과 서쪽에 두 곳이 있다. 관할은 서울교통공사이다. 출구는 동쪽에 1번 출구가, 서쪽에 2번 출구가 있다.
=== 1호선 승강장 ===
창동역 1호선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현재 부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깥쪽 2개 승강장을 사용하고 있다. 바깥쪽 승강장 중 하나는 오전에 운행하는 급행열차와 일부 특별 열차를 대피하는 일반열차가 정차하고, 또 다른 하나는 창동역 시·종착 열차가 드나든다.
안쪽 2개 승강장은 승강장 공사 및 스크린도어 설치가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공사가 중지되어 철거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2021년 9월부터 창동역 민자역사 공사 재개로 승강장 계량 공사가 진행되어, 타는 곳이 1, 4번으로 변경되었고, 2, 3번 승강장은 선로와 승강장 자체가 철거된 상태였다. 이후 2,3번 선로가 재개되었고, 1,4번 승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가, 현재는 2,3번 승강장을 이용할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관할 출구(개찰구)가 없으며, 환승 통로를 통해 서울교통공사 관할 출구로 연결된다. 2010년 7월 16일부터 승강장 위치가 녹천역 방향으로 약 160m 이전되었다.
=== 4호선 승강장 ===
창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는 차량은 이 역에서 출발한다. 동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1곳, 서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2곳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없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1호선 승강장
창동역 1호선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현재 부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깥쪽 2개 승강장을 사용하고 있다. 바깥쪽 승강장 중 하나는 오전에 운행하는 급행열차와 일부 특별 열차를 대피하는 일반열차가 정차하고, 또 다른 하나는 창동역 시·종착 열차가 드나든다.
안쪽 2개 승강장은 승강장 공사 및 스크린도어 설치가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공사가 중지되어 철거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2021년 9월부터 창동역 민자역사 공사 재개로 승강장 계량 공사가 진행되어, 타는 곳이 1, 4번으로 변경되었고, 2, 3번 승강장은 선로와 승강장 자체가 철거된 상태였다. 이후 2,3번 선로가 재개되었고, 1,4번 승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가, 현재는 2,3번 승강장을 이용할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관할 출구(개찰구)가 없으며, 환승 통로를 통해 서울교통공사 관할 출구로 연결된다. 2010년 7월 16일부터 승강장 위치가 녹천역 방향으로 약 160m 이전되었다.
3. 2. 4호선 승강장
창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는 차량은 이 역에서 출발한다. 동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1곳, 서쪽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2곳이 있다. 엘리베이터는 없다.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이용객 변동
창동역의 이용객 변동은 1호선과 4호선의 승하차 인원을 합산하여 통계를 낸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13,869 | 10,077 | 8,489 | 8,539 | 9,826 | 9,911 | 10,388 | 10,644 | 10,687 | [12] | |||
하차 | 16,250 | 6,513 | 6,296 | 5,996 | 10,661 | 10,830 | 11,385 | 11,738 | 11,796 | |||||
4호선 | 승차 | 36,045 | 35,656 | 35,707 | 34,187 | 34,208 | 34,753 | 34,370 | 34,106 | 33,909 | 33,539 | [13] | ||
하차 | 36,922 | 37,094 | 37,310 | 36,429 | 36,461 | 36,904 | 36,657 | 36,419 | 36,388 | 36,174 | ||||
승하차 | 72,968 | 72,750 | 73,017 | 70,616 | 70,669 | 71,657 | 71,026 | 70,525 | 70,298 | 69,71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10,564 | 10,420 | 10,262 | 10,313 | 10,341 | 10,190 | 10,096 | 9,841 | 9,471 | 9,601 | 7,244 | 7,137 | [12] |
하차 | 11,649 | 11,473 | 11,253 | 11,296 | 11,278 | 11,146 | 10,980 | 10,664 | 10,286 | 10,362 | 7,856 | 7,749 | ||
4호선 | 승차 | 33,417 | 33,212 | 32,169 | 31,932 | 31,894 | 31,145 | 30,530 | 29,911 | 29,140 | [13] | |||
하차 | 35,956 | 35,707 | 34,616 | 34,433 | 34,374 | 33,613 | 32,800 | 31,876 | 31,062 | |||||
승하차 | 69,373 | 68,919 | 66,785 | 66,365 | 66,268 | 64,758 | 63,330 | 61,787 | 60,202 |
5. 역 주변
서울시50플러스 북부캠퍼스, 서울창업허브 창동, 노곡중학교, 상계고등학교, 서울도봉경찰서, 서울북부노동사무소, 서울북부지방법원 등기국, 서울창동초등학교, 서울특별시북부교육지원청, 서울월천초등학교, 서울자운초등학교, 창동고등학교, 렛츠런 CCC 창동지점, 이마트 창동점, 씨드큐브 창동, 서울외국어고등학교 등이 있다.
'''1번 출구'''에는 노곡중학교, 노원구청, 도봉경찰서, 도봉구청 별관, 상계고등학교, 서울월천초등학교, 서울자운초등학교, 창4동주민센터, 창4동복지센터, 하이마트 창동점, 자운고등학교, 동아청솔아파트가 있다.
'''2번 출구'''에는 도봉구청, 도봉등기소, 동아그린아파트, 서울특별시북부교육지원청, 이마트 창동점, 창4동성당, 서울창동초등학교가 있다.
6. 사진
7. 인접한 역
연천 방면
경원-경인선 완행
경부선 완행
인천, 서동탄 방면
동두천 방면
경원선 급행
인천 방면
진접(경복대) 방면
오이도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