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성여자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성여자대학교는 1920년 차미리사가 설립한 근화학원을 모태로 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차미리사의 교육 철학을 계승하여, 1950년 정식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1987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현재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쌍문동 캠퍼스와 종로구 운니동 캠퍼스를 운영하며, 인문, 사회, 자연과학, 정보미디어, 약학, 예술·디자인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학교 - 서울도솔학교
    서울도솔학교는 1971년 개교한 시각 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로, 2018년 학생 학대 사건 이후 2019년 공립으로 전환되어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관리를 받으며 재정 안정과 교육 서비스 질 향상을 추구했지만, 학교폭력, 안전사고, 예산 집행, 원격 수업 운영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덕성여자대학교 - 차미리사
    차미리사는 여성 교육과 독립운동에 헌신한 교육가로, 근화여학교 등을 설립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여성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강조했다.
  • 덕성여자대학교 - 윤치호
    윤치호는 조선 말기 및 일제강점기의 계몽운동가, 교육자, 정치인, 사회운동가, 종교인으로, 개화 사상을 수용하여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등에서 활동하며 민권 운동과 교육 운동을 펼쳤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적을 보여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서울 종로구의 학교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서울과 수원에 캠퍼스를 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계승하여 근대 대학으로 개편 후 현재에 이르렀으며,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하고 삼성그룹이 재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학교 -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는 1989년 경남대학교 북한학과를 시작으로 2004년 설립되어 2005년 개교한 대학원대학교이며,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6개의 전공을 운영한다.
덕성여자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고
대학 이름덕성여자대학교
영문 대학 이름Duksung Women's University
한자 대학 이름德成女子大學校
로마자 표기Deokseong Yeoja Daehakgyo
설립일1920년
개교일1950년 5월 17일
학교 종류사립
위치본교: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종로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0
상징무궁화
캠퍼스 규모2캠퍼스, 6대학, 3대학원
설립자차미리사
학교 법인덕성학원
웹사이트덕성여자대학교 홈페이지
학교 현황 (2014년 기준)
총장김건희
학부생6,311명
대학원생388명
교직원 수191명 (2014년 4월 1일 기준)
교육 이념
교육 이념덕성을 갖춘 창의적 지식인 육성

2. 연혁

1920년 차미리사가 설립한 '''근화학원'''(槿花學園)이 덕성여자대학교의 모태이다. 설립자 차미리사는 3·1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여성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1920년 4월 19일 〈여자야학회〉를 열어 소외된 여성 교육에 힘썼다.

1938년, 일제 당국의 압력으로 대한민국국화무궁화를 의미하는 '근화'(槿花)라는 교명을 '덕성'으로 변경해야 했다.

1950년 운현궁 부지에 덕성여자초급대학이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며, 송금선 박사가 초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1952년에는 4년제 대학으로 승격하여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1984년 본교 캠퍼스를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으로 이전하였고, 1987년에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2014년에는 교육부로부터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되었으며,[2] 2018년에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으로 선정되어 조건부 일반재정지원을 받게 되었다.[3]

2020년,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우정사업본부에서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1]

2. 1. 설립 초기 (1920-1945)

1920년 차미리사가 설립한 '''근화학원'''(槿花學園)이 덕성여자대학교의 모태이다.

설립자 차미리사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독립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 특히 여성 교육이 시급하다고 여겼다. 그는 3·1 운동독립 정신을 이어받아 1920년 여성 교육을 위한 〈조선여자교육회〉를 결성하였다. 같은 해 4월 19일에는 종교 예배당을 빌려 〈'''여자야학회'''〉를 열어 소외된 여성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는 덕성여대 교육의 시작점이 되었다.

1921년 10월, 차미리사는 강연 등을 통해 모금한 기금으로 '근화여학교'를 정식으로 설립하고 교장으로 취임했다. 당시 조선총독부나 외국 선교단체의 지원 없이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강연, 음악회, 연극, 바자회 등 다양한 활동으로 기금을 마련하며 자력으로 학교를 운영했다.

1934년 2월에는 근화학원을 설립하고 이사장에 취임했으며, '근화여학교'를 '근화여자실업학교'로 확대 개편하였다. 그러나 '근화'(槿花)라는 이름이 대한민국국화무궁화를 의미한다는 이유로, 1938년 일제 당국의 압력을 받아 학교 이름을 '덕성학교'로 변경해야만 했다.

1945년 광복을 맞이하자, 덕성여자실업학교는 덕성여자중학교덕성여자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또한 차미리사는 여성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2. 2. 해방 이후 (1945-1980)

1945년 대한민국이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 광복을 맞이하자, 설립자 차미리사는 여성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추진했다. 이는 3·1 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여성 교육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던 그의 오랜 염원이 반영된 것이었다.[1]

1950년, 운현궁 부지에 덕성여자초급대학이 정식으로 설립되며 덕성여자대학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국어국문학과와 가정학과가 개설되었고, 송금선 박사가 초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같은 해 한국 전쟁이 발발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1952년에는 4년제 대학으로 승격하여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틀을 마련했다. 1955년에는 교육 기회를 넓히기 위해 주간대학과 야간대학으로 나누어 운영하기 시작했다. 주간대학은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가정학과, 음악학과, 약학과로 개편되었고, 야간대학에는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가정학과가 신설되었다.

1956년에는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제1회 학위 수여식을 거행했다. 1961년에는 학문 연구의 심화를 위해 대학원을 설립하고, 영어영문학과, 가정학과, 약학과에 석사 과정을 개설했다. 대학원 초대 원장은 송금선 박사가 겸임했다.

1980년에는 시대 변화에 발맞춰 학문 분야를 확장했다. 독일어학과, 일본어학과, 사학과, 무역학과, 수학과, 화학과를 신설하며 종합대학으로 나아가는 기반을 다졌고, 졸업 정원도 980명으로 증원되었다.

2. 3. 발전 및 성장 (1982-현재)


  • 1982년: 쌍문동 캠퍼스에 미술대학 건물(8170m2)을 완공하고 미술대학을 이전했다.
  • 1984년: 운현궁 터의 운현동 캠퍼스에 평생교육원을 개원했으며, 본교 캠퍼스를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으로 이전했다.
  • 1987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 1988년: 야간대학을 폐지하고,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통계학과를 신설했다.
  • 1996년: 강의동(5418m2), 유아교육과 건물(2126m2), 발전소(1451m2), 캠퍼스 운동장 앞 스탠드(569m2)를 완공하고 기숙사(3580m2)를 증축했다.
  • 1997년: 김용래 박사가 제4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학과제를 도입하여 미술사학과, 인류학과, 경제학과, 사회복지학과, 정치외교학과를 신설했다. 도서관학과는 문헌정보학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예술대학 산업미술학과는 실내디자인전공, 시각디자인전공, 염직디자인전공으로 개편했다.
  • 1999년: 1998학년도 종합대학평가에서 종합대학교(대학 및 대학원) 인가를 획득했다. 인문사회대학을 인문대학(인문계열, 어문계열, 영어영문학과)과 사회과학대학(상경계열, 사회계열, 유아교육과)으로 개편했다. 의류직물전공을 의류디자인전공으로, 염직디자인전공을 텍스타일아트전공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 2003년: 신상전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 2005년: 컴퓨터, 어학, 교양 교육 시설을 갖춘 참빛관(14248m2, 지상 4층, 지하 1층)을 준공했다.
  • 2006년: 여성부 장관을 지낸 지은희가 제7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멀티미디어 어학 교육 및 인문학 교육을 제공하는 덕성어학원(6307.49m2, 지상 6층, 지하 1층)을 완공했으며, 대학신문네트워크에서 2006년 교육혁신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 2007년: 인적자원개발원을 설립했다.
  • 2010년: 덕성하나누리관과 라온센터를 건축하고, 개교 9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
  • 2011년: 약학대학 기공식을 가졌다.
  • 2014년: 교육부로부터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되었다.[2]
  • 2018년: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으로 선정되어 조건부 일반재정지원을 받게 되었다.[3]
  • 2018년–2022년: 교육부 주관 '글로벌 코리아 장학사업(GKS) 프로그램' 한국어 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2019년–2021년: 교육부 주관 '대학 혁신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 2020년: 서울시 주관 '캠퍼스 타운 사업'에 선정되었다.
  • 2020년: 교육부 주관 '국제협력 선도대학 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 2020년: 우정사업본부는 덕성여자대학교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다.[1]

3. 교육 및 연구

덕성여자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 과정은 여러 단과대학을 통해 제공되며, 대학원 과정과 특수대학원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3. 1. 학부

덕성여자대학교의 학부 과정은 다음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자연과학대학
  • 정보미디어대학
  • 약학대학
  • 예술·디자인대학

3. 2.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은 1979년에 설립되었다. 남학생도 석사 및 박사 과정에 입학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한국식품연구원과 연계하여 대학-연구소 협력 연구를 위한 석사 및 박사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한 일반대학원 평가에서 대학원 분야 우수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4년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대학원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분전공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유아교육, 상담심리, 영양교육, 평생교육
문화산업대학원FT마케팅, FT상품디자인, 임상약학, 아동상담, 임상 및 상담심리



이 외에 특수 대학원 과정도 제공된다.

3. 3.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은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석사 및 박사 과정에는 남학생도 입학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한국식품연구원과 연계하여 대학-연구소 협력 연구를 위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학원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한 일반대학원 평가에서 대학원 분야 우수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4. 캠퍼스

덕성여자대학교의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한 주 캠퍼스와 종로구에 위치한 평생교육원 및 학교법인으로 나뉜다. 본교 캠퍼스는 1984년 운현궁 부지에서 현재의 도봉구 쌍문동으로 이전하였으며, 대부분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이 이곳에 자리 잡고 있다.[1] 주 캠퍼스 근처에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4.19 국립묘지(덕성여대)역이 있다. 종로구 운니동 캠퍼스에는 평생교육원, 일부 대학원, 법인 사무국 등이 위치해 있다.

4. 1. 쌍문동 캠퍼스

덕성여자대학교의 주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북부 도봉구 쌍문동에 자리 잡고 있다. 북한산도봉산이 가까이 있다. 캠퍼스에는 단과대학과 대학원이 위치해 있다.

캠퍼스 주소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쌍문동 419)이며, 수유리 4.19탑에서 우이동 방향으로 약 300m 거리에 있다.

1982년, 쌍문동 캠퍼스에 미술대학 건물(2,471.5평)이 완공되어 미술대학이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1996년에는 강의동(1,639평), 유아교육과 건물(643평), 발전소(439평), 운동장 앞 스탠드(172평)가 새로 지어졌고 기숙사(1,083평)가 증축되었다.

4. 2. 운니동 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11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종로2가 탑골공원에서 북쪽으로 약 300m 거리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캠퍼스는 덕성여자대학교가 1950년 처음 대학으로 설립되었던 운현궁 부지에 해당하며, 현재 교육대학원, FTB대학원, 평생교육원, 법인 사무국 등이 이곳에 있다.

5. 학생 활동

덕성여자대학교에는 다양한 분야의 학생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동아리는 다음과 같다.

분과동아리명주요 활동
학술 분과고고학 연구반역사 유적 현장 조사 및 문화 유산과 전통 연구
학술 분과덕영회(DECAS)영어 회화 연습
학술 분과Current English Study Club국제 문제 연구 및 영어 능력 향상
학술 분과별이별이천체 관측 및 연구
사회 봉사 분과한국사 연구반한국 현대사 연구
사회 봉사 분과떼오사랑농촌 봉사 및 농촌 생활 연구
사회 봉사 분과KUSA저소득층을 위한 방과 후 활동 등 사회 봉사
사회 봉사 분과참우리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회 봉사
사회 봉사 분과호우허재활 시설 장애인을 위한 사회 봉사
종교 분과덕불회불교 사상 연구 및 전파
종교 분과CAM (Christs Ambassador Mission)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데레사 (가톨릭 학생회)가톨릭 전파
종교 분과CBA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CCC (Campus Crusade for Christ)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IVF (Inter-Varsity Christian Fellowship)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SFC (Student for Christ)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YWAM (Youth With A Mission)기독교 전파
종교 분과JOY기독교 전파
생활 문화 분과문라이트클래식 음악 감상
생활 문화 분과백운한국 전통 무술 훈련
생활 문화 분과운산 (산악 동아리)등산을 통한 심신 수련
생활 문화 분과HAM (아마추어 무선 통신)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통한 국내외 회원 교류
생활 문화 분과유스호스텔유스호스텔 활동
공연 예술 분과솔바람민요 연구 및 보급
공연 예술 분과돋움민요 가락의 리듬 운동 보급
공연 예술 분과하나 인형극 동아리인형극을 통한 대학 문화 진흥
공연 예술 분과한대놀이농악기 연주 공연 보급
공연 예술 분과CADEMU대중가요 연구 및 보급
공연 예술 분과운현 클래식 기타 동아리클래식 기타 기법 학습
공연 예술 분과운현 연극 연구반연극을 통한 대학 문화 진흥
공연 예술 분과Folk록 앤 롤 밴드
전시 창작 분과여르미만화를 통한 대학 문화 발전 기여
전시 창작 분과운지 문학 동아리문학 이론 학습 및 창작 활동
전시 창작 분과한빛사진 작품 제작 및 전시
전시 창작 분과운현 서예서예 기법 연마
전시 창작 분과미예뜰십자수테디베어 제작 연구
전시 창작 분과예원순수 미술 연구 및 창작 활동



동아리방은 학생회관 3층에 위치한다.

6. 시설

캠퍼스 중앙에 위치한 도서관은 1,589석의 좌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46만여 권의 동양서, 9만여 권의 서양서, 6,848종의 정기간행물 및 학술 논문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오디오/비디오 자료, 슬라이드, CD-ROM 등 10만여 점의 미디어 자료도 보유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을 통해 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자료 검색 및 웹 데이터베이스 전문 검색이 가능하다. 도서관에 없는 자료는 국내외 도서관과의 상호 대차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도서관은 서울 동북부 지역 사립대학들과 공동 목록 및 상호 대차 서비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하나누리관에 위치한 피트니스 센터는 2010년 2월 신축되었으며, 런닝머신, 사이클, 스텝퍼,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에어로빅 운동 기구 등을 갖추고 있다. 실내 육상 트랙도 마련되어 있다. 학생들의 건강 관리를 위해 개인별 운동 지도와 체성분 분석 서비스도 제공한다.

학생회관 1층에는 보건진료소가 위치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의사 진료
  • 응급 처치, 응급 약품 제공, 응급 환자 병원 이송
  • 건강, 비만, 금연 상담
  • 자연 요법, 질병 예방 교육, 예방 접종
  • 회복실 운영


보건진료소 운영 시간

  • 학기 중: 월요일 ~ 금요일, 10:00 ~ 18:30
  • 방학 중: 월요일 ~ 금요일, 11:00 ~ 13:30


덕성여자대학교 기숙사는 1인실과 2인실로 구성되어 있다. 10명에서 13명이 함께 사용하는 각 1인실 유닛에는 공용 라운지와 주방이 있으며, 냉장고, 전기밥솥, 가스레인지, 식탁, 조리 도구가 갖춰져 있다. 그 밖에 공용 세탁실, TV 시청실, 체력 단련실, 열람실, 인터넷실 등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제어학원은 신축 건물과 기숙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영어 및 한국어 교육을 전공한 석·박사 학위 소지 교수진과 외국인 교원으로 구성된 연구진이 교육을 담당한다.

7. 저명한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KPC3446: 100th Anniversary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https://koreastampso[...] Korea Stamp Society 2020-04-16
[2] 뉴스 학자금대출·국가장학금 못받는 경영부실 7개대 선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8-29
[3] 뉴스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