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운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특히 《마비노기》 제1가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비노기》에서 프위르는 실수로 아라운의 영역에 들어가 아라운의 사냥개들을 쫓아낸 후, 아라운에게 보상을 받기 위해 그의 라이벌인 하프간을 쓰러뜨리는 것을 돕는다. 아라운은 이후 이야기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프위르와의 몸을 바꾸는 사건을 통해 신비주의를 드러낸다. 아라운은 웨일스 신화에서 가을, 겨울, 초봄에 하늘을 가로지르는 사냥개 무리의 왕 쿤 안눈과 연관되기도 한다. 아라운은 아서 왕 이야기인 《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 로이드 알렉산더의 《프라이딘 연대기》,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등 다양한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남신 - 구이디온 밥 돈
    구이디온 밥 돈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마법, 전쟁, 레우 라우 기페스의 탄생과 관련된 인물이며, 남쪽과의 전쟁을 일으키고 블로데우에드와의 갈등을 겪으며 나무들의 전투에서 활약하고 현대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재해석된다.
  • 웨일스의 남신 - 마스 밥 마소누이
    마스 밥 마소누이는 그위디온, 아리안로드, 레우 라우 기페스, 블로데우에드 등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사랑, 배신, 운명, 권력, 복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이야기이다.
아라운
개요
이름아라운
웨일스어 표기Arawn
발음 (IPA)/ˈarau̯n/
설명웨일스 신화에서 아눈의 저승 세계의 왕
신화 속 역할
역할아눈의 왕

2. 웨일스 전통에서의 역할

웨일스 신화에서 쿤 안눈(Cŵn Annwn), 즉 "안눈의 사냥개"는 가을, 겨울, 초봄에 하늘을 가로지르며 질주한다. 사냥개의 울부짖음은 철새의 울음소리와 동일시되었고, 사냥개들의 사냥감은 안눈으로 쫓겨가는 떠도는 영혼들이었다. 그러나 아라운은 이러한 전승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이후 이 신화는 기독교화되어 "인간의 영혼을 사로잡고 저주받은 영혼을 안눈으로 쫓아내는 것"을 묘사하게 되었고, 안눈은 기독교 전통의 "지옥"과 동일시되었다.[4]

로버트 그레이브스를 비롯한 일부 작가들은 아마에손이 아라운으로부터 개, 꺅도요, 그리고 흰 노루를 훔쳐, 아라운이 아마에손과 그의 형제인 구이디온에게 패배한 카드 고데우(나무들의 전투)로 이어진 사건을 썼다. 탈리에신의 서에 실린 '카드 고데우'의 표준 텍스트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웨일스 삼제시는 고데우 전투를 "영국 섬의 세 가지 헛된 전투 중 하나...암캐, 노루, 물떼새 때문에 일어났다"고 기록하고 있으며,[5] 레이디 샬롯 게스트는 그녀의 ''마비노기온''에서 미브리안 고고학에 실린 기록[6]을 통해 이 전투가 "흰 노루와 강아지 때문에 일어났으며, 그들은 지옥에서 왔고, 아마타온 압 돈이 그들을 데려왔다. 그래서 아마타온 압 돈과 안눈(지옥)의 왕 아라운이 싸웠다. 그리고 그 전투에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으면 이길 수 없는 남자가 있었고, 반대편에는 아크렌이라는 여자가 있었는데, 그녀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으면 그녀의 편이 이길 수 없었다. 그리고 귀디온 압 돈은 그 남자의 이름을 알아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2. 1. 마비노기온 제1가지

마비노기 제1가지에서 프위르는 실수로 아르웬의 영역으로 들어가 붉은 귀를 가진 흰 사냥개들이 수사슴을 먹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프위르는 사냥개들을 쫓아냈지만, 그 사냥개들이 아르웬의 사냥개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르웬은 프위르에게 잘못을 갚기 위해 1년과 1일 동안 그의 자리를 바꾸어 아르웬의 라이벌인 하프간을 쓰러뜨려 달라고 요청한다. 아르웬은 이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동안 아르웬은 프위르의 자리를 대신해 디페드의 영주가 된다. 프위르가 아르웬의 모습으로 변했을 때 아르웬의 아내와 잠자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르웬과 프위르는 좋은 친구가 된다.[4]

두 영역의 우정은 프위르가 죽은 후에도 오랫동안 유지된다. 네 번째 가지에서 프위르의 아들이자 디페드 왕국의 영주인 프리데리는 아르웬으로부터 다른 세상의 돼지를 선물받았다. 이 돼지들은 결국 베네도티안 마법사이자 트릭스터인 구이디온 압 돈에 의해 도난당한다. 구이디온은 음유시인으로 위장해 시와 음악에 대한 보상으로 프리데리가 소유한 돼지를 요구한다. 프리데리에 따르면 그는 여전히 아르웬과 계약을 맺고 있으며 누구에게도 돼지를 줄 수 없다. 그러자 구이디온은 프리데리를 속여 돼지를 교환하게 한다(이는 아르웬과의 계약에서 허용된다). 결국 이로 인해 프리데리가 기네드를 침략하게 된다. 이어진 전쟁에서 구이디온은 단독 전투에서 프리데리를 죽인다.[4]

아르웬은 마비노기의 두 번째 가지부터 네 번째 가지까지 눈에 띄게 등장하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원문의 누락된 부분 때문이며 아르웬과 마비노기 첫 번째 가지의 사건이 프위르의 아들 프리데리의 탄생으로 직접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프리데리의 탄생이 프위르와 아르웬의 만남의 결과였다는 점에 대한 설명이 원문에 누락된 이유는 마비노기의 4분의 1이 아르웬의 신비로운 다른 세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마비노기의 다른 가지에서는 언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번역들이 이야기 내에서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마비노기가 번역된 《리브르 귀안》에 근거하지 않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에 동의하지 않는다.[4]

아라운은 《마비노기》 제1가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그의 성격은 퓨일(그리고 잠재적으로 프레이데리)의 배경 설정을 강화하는 역할에 가깝고, 이후 《마비노기》 가지들의 이야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마비노기》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신비주의는 아라운과 퓨일이 1년 동안 몸을 바꾸는 사건을 통해 처음 드러난다.[4]

2. 2. 다른 전설들

마비노기 제1가지에서 프위르는 실수로 아르웬의 영역으로 들어가 붉은 귀를 가진 흰 사냥개들이 수사슴을 먹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프위르는 사냥개들을 쫓아냈지만, 그 사냥개들이 아르웬의 사냥개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르웬은 프위르에게 잘못을 갚기 위해 1년과 1일 동안 그의 자리를 바꾸어 아르웬의 라이벌인 하프간을 쓰러뜨려 달라고 요청한다. 아르웬은 이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동안 아르웬은 프위르의 자리를 대신해 디페드의 영주가 된다. 프위르가 아르웬의 모습으로 변했을 때 아르웬의 아내와 잠자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르웬과 프위르는 좋은 친구가 된다.[4]

두 영역의 우정은 프위르가 죽은 후에도 오랫동안 유지된다. 네 번째 가지에서 프위르의 아들이자 디페드 왕국의 영주인 프리데리는 아르웬으로부터 다른 세상의 돼지를 선물받았다. 이 돼지들은 결국 베네도티안 마법사이자 트릭스터인 구이디온 압 돈에 의해 도난당한다. 구이디온은 음유시인으로 위장해 시와 음악에 대한 보상으로 프리데리가 소유한 돼지를 요구한다. 프리데리에 따르면 그는 여전히 아르웬과 계약을 맺고 있으며 누구에게도 돼지를 줄 수 없다. 그러자 구이디온은 프리데리를 속여 돼지를 교환하게 한다(이는 아르웬과의 계약에서 허용된다). 결국 이로 인해 프리데리가 기네드를 침략하게 된다. 이어진 전쟁에서 구이디온은 단독 전투에서 프리데리를 죽인다.[4]

아르웬은 마비노기의 두 번째 가지부터 네 번째 가지까지 눈에 띄게 등장하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원문의 누락된 부분 때문이며 아르웬과 마비노기 첫 번째 가지의 사건이 프위르의 아들 프리데리의 탄생으로 직접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프리데리의 탄생이 프위르와 아르웬의 만남의 결과였다는 점에 대한 설명이 원문에 누락된 이유는 마비노기의 4분의 1이 아르웬의 신비로운 다른 세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마비노기의 다른 가지에서는 언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번역들이 이야기 내에서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마비노기가 번역된 《리브르 귀안》에 근거하지 않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에 동의하지 않는다.[4]

웨일스 신화에서, 쿤 안눈(Cŵn Annwn), 즉 "안눈의 사냥개"는 가을, 겨울, 초봄에 하늘을 가로지르며 질주한다. 사냥개의 울부짖음은 철새의 울음소리와 동일시되었고, 사냥개들의 사냥감은 안눈으로 쫓겨가는 떠도는 영혼들이었다. 그러나 아라운은 이러한 전승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이후 이 신화는 기독교화되어 "인간의 영혼을 사로잡고 저주받은 영혼을 안눈으로 쫓아내는 것"을 묘사하게 되었고, 안눈은 기독교 전통의 "지옥"과 동일시되었다.[4]

로버트 그레이브스를 비롯한 일부 작가들은 아마에손이 아라운으로부터 개, 꺅도요 그리고 흰 노루를 훔쳐, 아라운이 아마에손과 그의 형제인 구이디온에게 패배한 카드 고데우(나무들의 전투)로 이어진 사건을 썼다. 탈리에신의 서에 실린 '카드 고데우'의 표준 텍스트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웨일스 삼제시는 고데우 전투를 "영국 섬의 세 가지 헛된 전투 중 하나...암캐, 노루, 물떼새 때문에 일어났다"고 기록하고 있으며,[5] 레이디 샬롯 게스트는 그녀의 ''마비노기온''에서 미브리안 고고학에 실린 기록[6]을 통해 이 전투가 "흰 노루와 강아지 때문에 일어났으며, 그들은 지옥에서 왔고, 아마타온 압 돈이 그들을 데려왔다. 그래서 아마타온 압 돈과 안눈(지옥)의 왕 아라운이 싸웠다. 그리고 그 전투에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으면 이길 수 없는 남자가 있었고, 반대편에는 아크렌이라는 여자가 있었는데, 그녀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으면 그녀의 편이 이길 수 없었다. 그리고 귀디온 압 돈은 그 남자의 이름을 알아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문학 작품에 미친 영향

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에서 가웨인과 그의 주최자인 베르틸락(실제로는 녹색 기사), 그리고 베르틸락의 아내 사이의 상호 작용은 푸일과 아라운의 만남과 매우 유사하다. 이 경우 아라운은 베르틸락/녹색 기사의 기초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가웨인은 푸일과 매우 유사했다. 녹색 기사와 아라운 사이의 유사점은 "새로운 사람"을 대하는 방식까지 이어진다. 두 이야기 모두 기사/아라운의 아내는 새로운 사람과 잠자리를 가지려 하지만, 둘 다 기사/아라운에게 충실함을 유지한다. 두 이야기 모두 충실함의 결과로 새로운 사람은 기사/아라운의 호의를 받는다.[7]

로이드 알렉산더의 연작 프라이딘 연대기에 등장하는 죽음의 군주 아라운 캐릭터는 마비노기의 아라운 왕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아라운은 사악한 통치자로 묘사되면서, 이 책들 안에서 많은 캐릭터 특성이 변경되었다. 이 이야기들은 여전히 그가 다른 세계의 왕이며, 다른 왕으로부터 땅을 빼앗으려는 투쟁을 벌인다는 생각을 유지하고 있다. 이 이야기에서 아라운은 마비노기에서처럼 그의 왕국을 차지하는 대신, 적들에게 패배한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웨일스어 번역본인 브루트 이 브렌헤닌드에서 아라운 밥 킨바르크는 제프리의 버전에서 앵거셀루스가 맡았던 역할과 유사하게 "이스고틀론트"(스코틀랜드)의 왕으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처음에는 유서 펜드라곤에 의해 왕이 되었고, 아서가 카엘레온에서 궁정을 열었을 때 나타나며, 그렇지 않을 때는 아서의 동맹으로 행동하며, 로마인에 대한 그의 원정에 병력을 보낸다.[8]

4. 이름

고대 웨일스 이름인 아라운(Araun)은 860년에 보존된 두 개의 헌장에 증언되었으며, 란다프의 서에 기록되어 있다.[9] 일부 학자들은 아라운과 사냥의 연관성을 들어 그를 갈리아 신 케르눈노스와 연관짓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Araw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1-01
[2] 문서 Cydymaith i Lenyddiaeth Cymru
[3]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4] 서적 The Mabinogi and Other Medieval Welsh Ta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5] 문서 The Welsh Triads
[6] 웹사이트 The Mabinogion http://www.maryjones[...]
[7] 서적 King Arthur's Children: A Study in Fiction and Tradition Loving Healing Press 2010
[8] 서적 Brut y Brenhinedd, Cotton Cleopatra Version https://cdn.ymaws.co[...] THE MEDIAEVAL ACADEMY OF AMERICA 2024-07-18
[9] 간행물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OUP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