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비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비노기는 켈트 신화를 배경으로 한 넥슨의 실시간 3D MMORPG로, 2002년 처음 공개되어 2003년부터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거쳐 2004년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인간, 엘프, 자이언트 세 종족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킬 중심의 전투와 생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현실 시간과 연동되는 게임 내 시간, 요일별 특성, 환생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 2008년 부분 유료화 전환 이후 다양한 업데이트와 서비스 방식을 거쳤으며, 2020년 기준 전 세계 2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비노기 - 마비노기 영웅전
    마비노기 영웅전은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켈트 신화 배경의 3D 액션 RPG로, 소스 엔진을 사용하여 현실적인 액션과 지형지물을 활용한 전투를 제공하며 다양한 캐릭터로 던전을 공략하고 스토리를 진행하는 게임이다.
  • 마비노기 - 리르의 딸 브란웬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리르의 딸 브란웬은 아일랜드 왕과의 정략결혼으로 평화를 도모하려 했으나 불행과 전쟁을 겪는 여성 영웅으로, 가족애, 희생 정신, 한국 문화와의 유사성을 보여준다.
  • 취소된 엑스박스 360 게임 - 오리와 눈먼 숲
    흰색 수호령 오리와 정령 나무의 빛 세인을 조작하여 니벨 숲의 균형을 되찾는 2D 플랫폼 메트로배니아 게임인 오리와 눈먼 숲은 탐험, 아이템 수집, 능력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지역을 탐험하는 게임플레이, 아름다운 비주얼, 몰입감 있는 스토리, 뛰어난 레벨 디자인으로 비평가들의 극찬과 다양한 수상 경력을 얻었다.
  • 취소된 엑스박스 360 게임 - 모탈 컴뱃 X
    모탈 컴뱃 X는 2015년에 출시된 격투 게임으로, 특수 기술, 페이탈리티, 캐릭터 변형 등의 시스템을 통해 두 명의 플레이어가 대결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2015년 미국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 넥슨의 게임 - 크레이지 아케이드
    크레이지 아케이드는 물풍선으로 상대를 공격하는 멀티플레이 온라인 게임으로, 다양한 캐릭터와 맵, 팀워크, 매너 모드 및 자유 모드를 제공하며, 레벨 및 래더 랭크 시스템, 몬스터 모드, 협공 배틀, 히든 캐치 등 다양한 게임 모드와 미디어 믹스를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고, PC 및 모바일 플랫폼에서 서비스되지만 봄버맨 표절 논란이 있다.
  • 넥슨의 게임 - 메이플스토리
    메이플스토리는 2003년 4월 29일 서비스를 시작한 2D 횡스크롤 MMORPG로, 전 세계 1억 8천만 명 이상이 이용하며 퀘스트, 몬스터 사냥, 다른 플레이어와의 상호 작용을 특징으로 하고, 다양한 업데이트와 미디어 믹스를 통해 콘텐츠를 확장해 왔으며 2024년 확률형 아이템 판매 관련 제재를 받았다.
마비노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비노기 로고
마비노기 로고
장르MMORPG
모드멀티플레이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개발
개발사데브캣
넥슨 코리아
엔진플레이오네 엔진, 사하라 엔진 -> 언리얼 엔진 (예정)
유통
배급사넥슨 코리아
넥슨
세기천성
넥슨 아메리카
출시
대한민국2004년 6월 22일
일본2005년 4월 26일
중화민국/홍콩2005년 7월 21일
중화인민공화국2005년 8월 29일
미국/캐나다2008년 3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2008년 6월 20일
유럽/이스라엘2010년 5월 26일
제작진
디자이너강영화
시리즈
시리즈마비노기 시리즈
기타
원작마비노기온
입력 장치마우스, 키보드
후속작마비노기 2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이용 등급KMRB: 12세 이용가

2. 역사

2002년 12월 12일, 대한민국 게임대전 2002카멕스 2002/KAMEX 2002영어에서 최초로 관련 영상이 공개되고 시연되었다.[62]

클로즈 베타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003년 12월 18일 오픈 베타 테스트와 함께 안정화 페이즈가 시작되었고, 2004년 2월 1일 컨텐츠 페이즈가 시작되었다. 2004년 3월 3일 컨텐츠 페이즈 1차 메이저 업데이트, 2004년 3월 19일 컨텐츠 페이즈 2차 메이저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2008년 8월 1일 G9 "연금술사" 업데이트와 함께 서비스가 완전 유료에서 부분 유료화 및 아이템 판매 방식으로 전환되었다.[63]

챕터 6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업데이트이다.

2. 1.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2002년 12월 12일, 대한민국 게임대전 2002카멕스 2002/KAMEX 2002영어에서 최초로 관련 영상이 공개되고 시연되었다.[62]

클로즈 베타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003년 12월 18일 오픈 베타 테스트와 함께 안정화 페이즈가 시작되었고, 2004년 2월 1일 컨텐츠 페이즈가 시작되었다. 2004년 3월 3일 컨텐츠 페이즈 1차 메이저 업데이트, 2004년 3월 19일 컨텐츠 페이즈 2차 메이저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2008년 8월 1일 G9 "연금술사" 업데이트와 함께 서비스가 완전 유료에서 부분 유료화 및 아이템 판매 방식으로 전환되었다.[63]

챕터 6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업데이트이다.

2. 1. 1. 사전 제작 기간

2002년 12월 12일: 대한민국 게임대전 2002카멕스 2002/KAMEX 2002영어에서 최초로 관련 영상 공개 및 공개 시연[62]

2. 1. 2. 베타 테스트 기간

2003년 12월 18일에 오픈 베타 테스트와 함께 안정화 페이즈가 시작되었고, 2004년 2월 1일에는 컨텐츠 페이즈가 시작되었다. 2004년 3월 3일에는 컨텐츠 페이즈 1차 메이저 업데이트가, 2004년 3월 19일에는 컨텐츠 페이즈 2차 메이저 업데이트가 진행되었다.

2. 1. 3. 챕터 1 (C1)

2. 1. 4. 챕터 2 (C2)

2. 1. 5. 챕터 3 (C3)

2008년 8월 1일에 G9 "연금술사"가 업데이트되었다. 동시에 서비스가 완전 유료에서 부분 유료화 및 아이템 판매 방식으로 전환되었다.[63]

2. 1. 6. 챕터 4 (C4)

2. 1. 7. 챕터 5 (C5)

2. 1. 8. 챕터 6 (C6)

챕터 6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업데이트이다.

2. 1. 9. 챕터 7 (C7)

2. 2. 일본

일본의 마비노기는 2005년 1월 31일부터 2월 11일까지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2월 25일부터 2월 28일까지 부하 테스트를 거쳤다.[22] 2005년 3월 16일에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으며,[22] 같은 해 4월 26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22] 2005년 12월 15일에는 기본 요금이 무료화되었다.[22]

2006년 4월 27일에는 대규모 업데이트 '챕터 2' G4가 구현되었고,[22] 2007년 10월 11일부터는 한게임에서도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22] 2008년 12월 11일에는 대규모 업데이트 '챕터 3' G9가 구현되었다.[22]

마리, 르엘리, 탈라크 서버는 2005년 3월 16일 베타 테스트 시작부터 존재했으며, 모리안과 키홀 서버는 2005년 4월 1일에, 트리아나 서버는 2006년 12월 7일에 생성되었다. 2014년 5월 29일, 마리와 모리안, 르엘리와 트리아나, 탈라크와 키홀 서버가 통합되었다. 각 서버별로 7~11개 정도의 채널이 있으며, 서버 간 데이터는 격리되지만 채널 간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21] 모든 서버의 1채널은 플레이어 간 거래 장소로 이용된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G10S1+EX "THE GODDESS of LIGHT", G11S1+EX "SWORD of the GODS", G12S1+EX "Return of the Hero", G12S2, G13 "Hamlet", G14 "Romeo and Juliet", G15 "The First Contract", G16 "맥베스", G17S1+S2 "The Classic: 운명의 실, 인형술사", G17S3 "Shamala", G18S1 IRIA THE DRAMA, G18S2 "IRIA2", G19 "신의 기사단", G20 "성역의 문", G21 "수호자의 길", G22 "아포칼립스", G23 "템페스트", G24 "클라이맥스", G25 "이클립스", G26 "Winds of Fate"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22] 2010년 7월 15일에는 하우징이 구현되었다.[22]

2. 3. 북미/오세아니아

2008년 1월 30일부터 2008년 2월 5일까지 비공개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2008년 3월 5일 공개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고, 2008년 3월 27일 G1 업데이트와 함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북미/오세아니아 서버는 메리, 르엘리, 탈라크, 알렉시나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 2월 13일에는 G9, 2010년 6월 9일에는 G10, 2010년 8월 11일에는 G11, 2010년 10월 20일에는 G12까지 업데이트되었다. 2012년 10월 25일에는 G17S1 "Classic" 및 G17S2 인형술사 업데이트가, 2012년 12월 18일에는 G17S3 "Shamala"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2. 4. 유럽

2010년 1월, 모리건과 마하 두 개의 게임 서버를 가진 ''마비노기'' 유럽판의 공개 베타가 시작되었으며, 2세대 확장팩이 출시되었다. 게임이 정식 서비스 단계에 진입하면 3세대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이는 캐시샵 오픈과 함께 이루어졌다. 넥슨 유럽은 5월 26일에 ''마비노기''를 정식 출시했다.[9] 10월에는 북미와 동시에 12세대 업데이트를 출시했는데, 이 대규모 업데이트는 새로운 주요 퀘스트와 스킬을 특징으로 했다. 그 직후, 넥슨 유럽은 마하 서버의 이용자가 부족하여 5개의 채널 중 2개를 제거했다.

넥슨 유럽은 이용자 수 증가와 수익 부족으로 인해 2012년 4월 유럽 서버를 폐쇄했으며,[10] 기존 이용자들은 원할 경우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여 북미 서버에서 플레이할 수 있었지만, 캐릭터 이전은 불가능했다. [10] 그 후 넥슨 아메리카는 ''마비노기''에 대한 유럽 IP 차단을 해제했다.[11] ''마비노기''의 게임 서비스와 고객 지원은 7월에 종료되었다.[12]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09년 12월 2일 - G1 구현,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 시작.
  • 2010년 1월 27일 - G2 구현, 오픈 베타 테스트 시작.
  • 2010년 5월 26일 - G3 구현, 정식 서비스 시작.
  • 2010년 9월 15일 - G4~G11이 "미지의 땅(Uncharted Lands)"으로 일괄 구현.
  • 2010년 10월 15일 - G12 "영웅의 귀환(Return of the Hero)" 구현.
  • 2012년 7월 13일 - 서비스 종료.

3. 세계관 및 배경

《마비노기》는 켈트 신화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특히 마을의 이름이나 등장인물의 이름(모리안, 누아자, 밀레시안 등)들은 신화에서 차용된 경우가 많다. 마비노기는 원래 웨일스에서 전해 내려오던 이야기들을 일컫는 말이다. 음유 시인의 노래를 통해서 전해져 내려왔으며, 그것을 채록한 《마비노기온》(Mabinogion영어)이라는 책이 있다.

제목의 모티브인 《마비노기온》은 웨일스 신화인데 에린, 울라 등 배경과 등장인물들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장소와 인물들이다. 또한 자이언트엘프는 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종족이다.

하지만 G9부터는 켈트신화와는 많이 다른 연금술사와 셰익스피어 챕터가 나오면서 본 켈트신화와는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형편이다.

기존 무직업 스킬업 시스템을 파훼하고 표면적인 직업은 없지만 직업과 같은 뉘앙스로 장래희망이 업데이트되었다. 후에 이것은 재능으로 변경되었다.

슈터와 드릴이 추가됨에 따라 과거 판타지라이프와 신화적인 느낌이 많이 퇴화되었다. 최근에는 켈트신화와 관련없는 닌자재능과 수리검이 추가되었다.

2022년 8월 11일 아르카나 재능이 추가되었다.[50] 2023년 8월 10일 2차 아르카나 재능 업데이트가 추가되었다.[51] 2024년 7월 18일에는 3차 아르카나 재능 업데이트로 "점성술사"가 공개되었다.

《마비노기》의 세계는 에린, 소울 스트림, 저 세상, 그림자 세계, 팔리아스, 아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에린은 주로 사람들이 플레이하는 마비노기의 주 무대가 되는 세계로, 울라 대륙과 이리아 대륙, 벨바스트 월드로 나뉜다. 울라 대륙은 G1, G2, G3 게임 플레이와 메인스트림의 배경이 되는 대륙이며, 티르코네일, 던바튼, 반호르, 이멘마하, 탈틴, 타라, 카브 항구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리아 대륙은 G4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탐험이 중심이 되며, 엘프 종족의 마을 필리아와 자이언트 종족의 마을 발레스, 코르 마을과 켈라 베이스 캠프, 칼리다 탐사 캠프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벨바스트 월드는 G15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교역이 중심이 되는 벨바스트와 그 뒷쪽에 있는 무시무시한 몬스터들이 존재하는 스카하가 있다.

소울 스트림은 밀레시안의 영혼이 지나가는 곳으로, 처음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환생할 때 볼 수 있으며, 나오가 있다. 저 세상은 과거 낙원이라 불렸지만 현재는 폐허가 된 곳으로, 티르코네일과 매우 비슷한 티르나노이와 반호르와 매우 비슷한 마을이 있다. 그림자 세계는 에린의 평행세계로, 탈틴과 타라에 있는 스톤헨지를 통해 입장할 수 있다. 팔리아스는 신들의 도시로, 반신화나 스파크로 힘을 받은 신들의 무기 '브류나크'와 '팔리아스의 조각'이 있어야만 출입할 수 있다. 아본은 셰익스피어가 유배된 곳으로, 글로브 극장과 불타는 검, 종이로 만들어진 동물들이 있다.

3. 1. 개요

3. 2. 지역

에린은 울라 대륙, 이리아 대륙, 벨바스트 섬으로 나뉜다.

; 울라 대륙

: G1, G2, G3 게임 플레이와 메인스트림의 배경이 되는 대륙이다. 티르코네일, 던바튼, 반호르, 이멘 마하, 탈틴, 타라, 카브 항구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 북아일랜드아일랜드의 울스터 지방, 렌스터 지방의 지명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이리아 대륙

: G4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탐험이 중심이다. 엘프 종족의 마을 필리아자이언트 종족의 마을 발레스, 코르 마을, 켈라 베이스 캠프, 칼리다 탐사 캠프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 벨바스트 섬

: G15에서 새롭게 구현된 섬이다. G15 메인 스토리 퀘스트와 G15에서 구현된 거래 시스템에서 이용하게 되는 섬이다. 주요 지역은 상점과 거래소가 있는 항구 도시 "벨바스트 자치령", 마녀가 사는 동굴이 있는 "스카하 해안", "토리 협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 메인 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새로운 지역이 이 좁은 섬에 몰려들어 온 탓에, G25 현재로는 도시 바로 앞에 세계수가 솟아 있는 성지 "아발론", 마왕 바롤이 태어난 마계 "토리 협곡", 이세계 신의 거대 요새 "크롬바스" 등이 나란히 존재하는 엄청난 상황이 되어 있다.

; 기타 지역

: 소울 스트림, 저 세상, 그림자 세계, 팔리아스, 아본 등의 특수 지역도 존재한다.

:: 소울 스트림은 켈트 모양의 바닥의 끝없는 하늘과 계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부엉이들이 날고있는 세계인 소울 스트림은 밀레시안의 영혼이 지나가는 곳이며 처음으로 캐릭터를 만나서 접속할 때, 환생할 때 등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장소에는 나오가 있다.

:: 저 세상에서 예전에 낙원이라고 불리던 곳이지만 현재로는 거의 폐허가 된, 에린의 '티르코네일'과 매우 비슷한 마을인 티르 나 노이과 '반호르'와 매우 비숫한 마을이 있다. 티르 나 노이은 G1을 진행하면서 가는 장소이고 반호르와 비슷한 저 세상의 장소는 G3을 진행하면서 갈 수 있다.

:: 그림자 세계는 사람들이 발견한 에린의 평행세계이다. 메인에서는 G9때부터, 혹은 탈틴과 타라에 있는 스톤헨지에서 그림자 미션을 가지고 입장을 하면 출입할 수 있는 세계이다.

3. 2. 1. 울라 대륙

G1, G2, G3 게임 플레이와 메인스트림의 배경이 되는 대륙이다. 티르코네일, 던바튼, 반호르, 이멘 마하, 탈틴, 타라, 카브 항구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 북아일랜드아일랜드의 울스터 지방, 렌스터 지방의 지명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3. 2. 2. 이리아 대륙

G4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탐험이 중심이다. 엘프 종족의 마을 필리아자이언트 종족의 마을 발레스, 코르 마을, 켈라 베이스 캠프, 칼리다 탐사 캠프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마비노기

3. 2. 3. 벨바스트 섬

G15에서 새롭게 구현된 섬이다. G15 메인 스토리 퀘스트와 G15에서 구현된 거래 시스템에서 이용하게 되는 섬이다. 주요 지역은 상점과 거래소가 있는 항구 도시 "벨파스트 자치령", 마녀가 사는 동굴이 있는 "스카하 해안", "토리 협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새로운 지역이 이 좁은 섬에 몰려들어 온 탓에, G25 현재로는 도시 바로 앞에 세계수가 솟아 있는 성지 "아발론", 마왕 바롤이 태어난 마계 "토리 협곡", 이세계 신의 거대 요새 "크롬바스" 등이 나란히 존재하는 엄청난 상황이 되어 있다.

3. 2. 4. 기타 지역

; 소울스트림

: 올빼미가 날아다니는 아무것도 없는 하얀 공간으로, 누구든 에린에 발을 디디기 전에 한 번은 들르는 곳이다.

: 새롭게 생성된 캐릭터는 에린에서의 생활 방식을, 환생을 원하는 캐릭터나 펫은 환생에 대한 설명을 여기서 나오에게 들을 수 있다.

; 저승

: 특별한 방법으로만 갈 수 있는 특수 맵이다. 예전에는 현실 세계의 토요일에만 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요일에 관계없이 갈 수 있다.

: 맵의 형태는 현세와 거의 같지만, 몬스터가 거리를 활보하거나 상당수의 시설이 붕괴되는 등 불안정한 상태이다.

; 그림자 세계

: "챕터3"부터 구현된 특수 맵으로, 일종의 인스턴스 맵(공용이 아닌 일시 생성 영역)이다. 다른 파티의 플레이어가 들어오는 일은 없다.

: "저승"과 마찬가지로 맵의 형태는 울라 대륙과 큰 차이가 없지만, 항상 날씨가 나쁘고 불안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마족과 인간을 비롯한 연합군과의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플레이어는 게시판에서 퀘스트를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보상을 얻을 수 있다.

4. 시스템

《마비노기》는 데브켓 자체 개발 엔진인 플레이오네 엔진을 이용한 실시간 3D 게임이다. 스탯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한국 게임과는 달리, 기술 시스템이 적용된 스킬 중심 온라인 게임이다. 현재 적용되어 있는 스킬들은 크게 생활, 전투, 마법, 연금술, 격투술, 음악, 인형술, 듀얼건, 인술, 체인, 변신(팔라딘/다크나이트, 팔콘, 비스트), 반신화, 기사단 계열로 나뉜다. 또한 각 마을의 여러 NPC는 정해진 시간에 일정 인원에게 아르바이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던전 출입시 던전 내부의 제단에 통행증이나 물건을 제물로 놓으면 아이템에 따라 다른 던전이 생성되는 인스턴스 던전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던전에 사용자가 몰리지 않고 각기 다른 던전을 이용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는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기술을 스킬이란 이름으로 부른다. 《마비노기》에서 스킬은, 일반적인 MMORPG에서보다 그 역할이 훨씬 크다. 일반적인 MMORPG에서는 레벨을 올려 얻는 캐릭터 추가 능력치가 중요하지만, 《마비노기》에서는 많은 사용자가 환생을 통해 레벨을 초기화시켜서, 스킬을 올릴때 필요한 어빌리티 포인트(AP)를 얻기 위한 레벨업의 편의를 도모하므로, 레벨 자체의 중요성은 낮으며, 환생을 해도 초기화되지 않는 스킬의 중요성이 크다.

스킬에는 랭크가 있다. 랭크는 스킬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연습, F, E, D, C, B, A, 9, 8, 7, 6, 5, 4, 3, 2, 1 순서로 열여섯 단계가 있으나, 일부 스킬은 일부 랭크만 구현된 경우도 존재한다. 1랭크의 수련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 마스터 타이틀을 얻을 수 있다.[52] 1랭크 이후로 승단 시험을 통해 단을 딸 수 있는 스킬들이 존재하며, 1단, 2단, 3단의 세 단계가 있다.

액션은 스킬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캐릭터의 능력과 관계없이 동일한 일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액션은 스킬에 비해 부가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랭크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비노기》에는 현실의 시간과는 별개의 게임 내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낮과 밤이 바뀌고, 이는 게임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현실 시간의 요일에 따라서 게임 진행에 도움을 주는 여러 특성들이 활성화된다. 현실의 매주 토요일 낮 12시 마다 캐릭터는 나이를 먹는다. 게임 내의 지역에 따라 날씨가 달라지는데, 날씨도 게임 진행에 영향을 준다.

캐릭터는 일정한 조건이 되면 환생을 할 수 있다. G2까지는 캐릭터의 나이가 20세 이상이어야 환생할 수 있었으나, 그 후에는 환생 후 3주일이 지나면 환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C3 업데이트 후에는 캐릭터 카드 구입 후 환생 시 생성/환생 이후 1주일이 지나면 환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으나 드림프로젝트로 인하여 캐릭터 카드 없이 초보자(누적레벨 1000이하)는 하루에 한번으로 나머지는 일주일에 한번으로 변경되었고, 외형변경이 안 되는 제약이 있으나 무료 환생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환생포션의 등장으로 환생포션을 사용시 언제든 환생이 가능해 졌다. 외형변경을 위해서는 마비노기 내의 캐시 개념인 '폰'을 사용해 외형변경을 할 수 있다. 환생 시, 환생 전의 나이보다 높은 나이는 지정할 수 없다. 동물 캐릭터는 2살부터 다른 동물 캐릭터로 환생할 수 있으며, 환생을 하면 동물 캐릭터의 외형을 바꾸거나 나이 및 레벨을 초기화할 수 있다. 나이나 레벨을 초기화하더라도 이미 배워 둔 각종 스킬이나 스킬로 얻은 능력치, 가지고 있는 아이템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마비노기》는 각 캐릭터는 이벤트나 그 캐릭터가 처한 상황, 특정한 행동을 통해서 타이틀을 얻고 타이틀 장착 시 그에 따른 임시적인 능력치를 부여받는다. 예를 들면, 나이가 10살일 때 곰을 잡으면 "10살에 곰을 잡다"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고, 캐릭터의 나이가 18살이 되면, "성인"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다. 이러한 타이틀은 장착 시 게임상에서 표시되는 아이디의 앞에 붙게 된다.(북미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영문 버전 같은 경우는 타이틀이 캐릭터 이름 뒤에 붙는다.) 예를 들면, "10살에 곰을 잡은 위키백과"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동물 캐릭터에게도 타이틀이 있으나 이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붙는 것으로,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해서 장착할 수 없으며, 동물 캐릭터의 소환 해제 시 사라진다. 일부 몬스터들도 타이틀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타이틀이 없는 몬스터와 경험치, 골드, 능력치 등에 차이가 있다.

마비노기 음악은 《마비노기》 안에서 행해지는 모든 연주와 작곡의 형태를 일컬어 말하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MML 코드를 이용하여 작곡을 한다. 음악에 관여하는 스킬은 작곡, 악기연주, 음악적 지식이 있는데, 작곡과 음악적 지식의 랭크가 9 이상일 경우에는 작곡을 할 때 랜덤으로 마법 악보가 작성되고, 악기연주의 랭크가 9 이상일 경우에는 마법 악보를 장착하고 연주하면 일시적인 부가 효과를 주는 마법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마법 음악은 동료 파티원에게 도움을 주거나 몬스터를 길들일 수 있는 등의 독특한 능력을 지닌다.

《마비노기》는 NPC와의 대화나 이벤트를 통해서 키워드를 얻고, 이를 통해서 NPC와 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람이 아르바이트를 얻고 싶을 때, NPC와의 대화에서 '아르바이트에 대하여'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아르바이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몇몇 NPC아르바이트를 제공한다. 모든 아르바이트에는 등급과 등급별 정원이 있으며, 아르바이트의 성공률과 회수에 따라 등급이 조정된다. 아르바이트의 수행 내용은 배달, 제작, 수집 등이 있다.

플레이할 수 있는 종족으로는 평균적인 능력치와 거의 모든 스킬을 고루 사용할 수 있는 인간, 활과 마법계열에 치중된 엘프, (근접)전투,격투계열에 치중된 자이언트의 세 종족이 있다.

각 종족이 특화됐다는 점이 제대로 드러나는 부분은 엘프의 경우 근접 전투스킬이 대미지도 안나오고 수련항목도 다른 두 종족보다 더 많아 올리기 매우 힘들며, 양손검 같이 무거운 무기는 들 수 없을 정도로 근접 무기 계열은 들지 못하는 류가 많다. 하지만 원거리 공격을 할 때 한 번에 두개의 화살을 쏘는 등 활을 이용한 공격에선 엘프를 넘을 수 없다. 반대로 자이언트의 경우 활을 사용할 수 없고 마법스킬의 경우엔 마나가 부족하다는 애로사항이 꽃피지만 근접 공격 스킬의 데미지 퍼센트가 다른 종족보다 훨씬 높다. 인간의 경우 활로는 엘프를 넘을 수 없고 근접 전투에선 자이언트를 이길 수 없지만 두 종족이 각기 사용할 수 없는 스킬이나 무기 등을 가장 다채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대신 두 종족의 특화무기(종족 전용)는 사용 불가능 하다.

종족은 있지만 직업 구분이 없다. 어떤 스킬을 주력으로 찍는가에 따라 성향이 달라진다. 레인지 컴뱃 마스터리나 솜씨스텟을 올려주는 스킬을 찍으면 궁수, 마법스킬이나 지력 위주로 스킬을 찍으면 마법사, 이런 식으로 직업을 구분한다. 재능이 직업 계열을 대신 나뉘어 주지만 다른 스킬을 사용 못한다든가 하는 것도 아니므로 사실상 버프일 뿐이다

마비노기의 스킬은 생활/전투/마법/연금술/격투술/음악/인형술/듀얼건/인술/체인/팔라딘(다크나이트/야수화)/반신화/기사단 탭으로 나뉜다. 특정 퀘스트를 클리어 하면 잠시동안 캐릭터의 스탯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켜주는 변신스킬을 획득한다. 인간의 경우 팔라딘(다크나이트)로 변신이 가능하며, 엘프와 자이언트는 야수화를 사용할 수 있고, 한번 사용하면 게임 속 시간인 에린 시간으로 오전 6시가 되기 전까지 변신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전 종족이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반신화 스킬이 존재한다.

캐릭터 생성이나 환생시 선택할 수 있는 나이는 10살에서 17살까지이며 토요일 오후 12:00이 되면 나이를 1살씩 먹는다. 최저 나이는 10살이며 최고 나이는 25살. 25살을 초과하면 (XX년째)라는 표기가 붙는다. 나이를 먹을때마다 능력치가 상승하고 일정량의 AP를 얻으며 나이에 따라서 레벨업했을 때 오르는 수치도 다르다. 25살부터는 레벨업을 해도 오직 AP만을 얻을 수 있고 능력치가 오르지 않기 때문에 환생이 필수적이다.

마비노기 고유의 특징으로 환생 시스템이 있는데, 이를 통해 캐릭터의 현재 레벨과 현재 탐험 레벨을 1로 초기화하고(초기화시 기존 레벨은 누적레벨에 포함돼서 정보창에 표기된다.) 캐릭터의 성별이나 나이, 외모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 때문에 캐릭터 성장의 제한과 만렙이 없으며 일반 레벨을 중요하지 않게 여긴다. 엄밀하게 말해 일반 레벨은 200이 만렙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환생으로 일반 레벨을 초기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의미가 없다. 일반 레벨의 레벨 제한은 원래 없었으나, 2008년 12월 17일 만렙이 200으로 패치되었다. 업데이트에 따라 추가되는 스킬들을 올리고 올리다 보면 캐릭터가 끝도 없이 강해지게 되는 것. 이 게임이 직업에 관계없이 모든 스킬을 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게임의 플레이어가 추구하는 궁극점은 올 스킬 1랭크라고 볼 수 있다.

자신이 구매한 동물 캐릭터 카드로 만들어진 동물 캐릭터도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소환시간과 연동되어 그 시간을 전부 사용하면 그 동물 캐릭터는 다음날 소환시간이 충전될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4. 1. 전투 시스템

마비노기는 전투는 액션성이 강하며, 「근접」「마법」「궁술」「수리검」 등 15개 이상의 다양한 스킬을 활용한다.

초기에는 「공격은 방어에 약하다」「방어는 강타에 약하다」「강타는 공격에 약하다」는 식의 가위바위보와 같은 상성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턴제에 가까운 전투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윈드밀」, 「애로 리볼버」, 「파이널 히트」 등 상성 관계를 무시하는 상급 스킬의 등장으로 밸런스가 무너져 2012년에 전투 시스템이 개편되었다.

현재는 초반에는 턴제 요소가 남아 있지만, 중반부터는 액션 게임에 가깝다. 고난이도 던전이나 미션에서는 다양한 무기, 스킬, 펫을 조합하고 마우스도 병용해야 하므로 조작 난이도가 높다. 신규 사용자가 어려움을 느껴 진입 장벽이 된다는 지적도 있으나, 실력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는 것에 재미를 느끼는 사용자도 많다. 어느 정도 단계까지는 몇 개의 키와 마우스만으로도 충분히 전투가 가능하여, 처음부터 고도의 조작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조작 복잡화에 대해서는 한국 마비노기 프로듀서도 "마치 비행기 조종석 같다"고 언급하며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2023년 직업 시스템 '알카나'를 도입하여 조작 간소화를 시도하고 있다.

4. 2. 스킬

마비노기의 스킬은 생활, 전투, 마법, 연금술, 격투술, 음악, 인형술, 듀얼건, 인술, 체인, 변신(팔라딘/다크나이트, 팔콘, 비스트), 반신화, 기사단 계열로 나뉜다. 랭크는 연습, F, E, D, C, B, A, 9, 8, 7, 6, 5, 4, 3, 2, 1 순서로 열여섯 단계이다. 1랭크 이후 승단 시험을 통해 단을 딸 수 있는 스킬들이 존재하며, 1단, 2단, 3단의 세 단계가 있다.

4. 3. 환생

마비노기에서 환생은 캐릭터의 현재 레벨과 탐험 레벨을 1로 초기화하고, 성별, 나이, 외모를 전환하는 시스템이다. 일반 레벨은 200이 최대 레벨이나, 환생을 통해 초기화할 수 있어 최대 레벨의 의미는 없다.

스킬 연마 후 랭크업 조건을 갖춘 뒤, 레벨업(탐험 레벨 포함)을 통해 얻는 AP(어빌리티 포인트)를 소비하여 스킬 랭크를 올릴 수 있다. 스킬 랭크업 시 캐릭터의 능력치가 상승하거나 경험치를 얻는 경우도 있다. 능력치 상승은 환생해도 유지되기에, 이를 위해 스킬 랭크를 올리는 플레이어도 있다.

캐릭터는 환생을 통해 스킬 랭크와 누적 AP를 유지하며 레벨, 나이 등을 초기화하고 다시 레벨업하여 AP를 획득, 스킬 랭크를 올리는 플레이가 일반적이다. 2022년 육성 리뉴얼 이후 스토리 진행에 따라 캐릭터가 자동 강화되고 스킬도 익히도록 바뀌어 환생의 주목도가 낮아졌다. 현재는 육성 후반부 마무리나 알카나 재능 레벨업을 목적으로 환생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 환생 후 6일이 지나면 무료 환생이 가능하며, 퀘스트와 미션에서 얻는 환생 포션으로 언제든 환생할 수 있다. Chapter 3 이전에는 유료였고, 식사를 통한 능력치 상승이 가능해 환생을 최소화하는 플레이도 있었으나, Chapter 3 시작 직전 수정되었다. 현재는 6일 주기로 무료 환생이 가능하여 환생하지 않고 육성하는 것의 장점은 거의 없다.

4. 4. 종족

《마비노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종족은 인간, 엘프, 자이언트 세 가지가 있으며, 하나의 계정에 여러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세 종족의 캐릭터를 모두 만들어 즐길 수도 있다. 각 종족의 외모는 큰 차이를 보이며, 특화된 계열도 서로 다르고, 사용할 수 있는 장비와 스킬, 액션에도 차이가 있다. 현재는 엘프와 자이언트는 서로 공격하지 않는다. 하지만 엘프 자이언트 PVP는 유지되고 있다. 반족은 마비노기 종족이지만 캐릭터는 생성 할 수 없다.

; 인간

: 균형 잡힌 종족. 근접형, 원거리형, 마법형 스킬을 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엘프자이언트에 비해 이동 속도가 약간 느리다. 도검을 이용한 이중검술이 가능하다.

; 엘프

: 원거리형에 특화된 종족. 인간과 다른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발이 빠르다. 사격 전투 스킬 준비 시간이 짧고, 탑승 상태에서 활로 공격할 수 있는 등 사격에 뛰어나다. 다른 두 종족과 비교하여 초기 마나량 및 성장률이 높아 마법형에도 특화되어 있다. 중장갑과 양손검은 장비할 수 없다. 또한, "이중검술"을 사용할 수 없고 내구력이 부족하지만, 현재 게임 밸런스에서는 최종적으로 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만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 자이언트

: 근접형에 특화된 종족. 근접전에 뛰어나다. 과 현악기, 관악기는 장비할 수 없지만, 둔기로 이중검술이 가능하다. 또한 양손검을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패와 병용이 가능하다. 같은 파티 내에 있고 자이언트를 지지하는 인간을 어깨에 태운 채 이동할 수 있으며, 엘프만큼은 아니지만 인간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다. 인간과 엘프와는 체격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장비할 수 있는 옷과 갑옷이 그들에 비해 적다. 새로운 장비는 기본적으로 모든 종족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오래된 의상은 거의 인간과 엘프 전용이다.

4. 4. 1. 인간

균형 잡힌 종족이다. 근접형, 원거리형, 마법형 스킬을 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엘프나 자이언트에 비해 이동 속도가 약간 느리다. 도검을 이용한 이중검술이 가능하다.

4. 4. 2. 엘프

원거리형에 특화된 종족이다. 인간과 다른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발이 빠르다. 사격 전투 스킬 준비 시간이 짧고, 탑승 상태에서 활로 공격할 수 있는 등 사격에 뛰어나다. 다른 두 종족과 비교하여 초기 마나량 및 성장률이 높아 마법형에도 특화되어 있다. 중장갑과 양손검은 장비할 수 없다. 또한, "이중검술"을 사용할 수 없고 내구력이 부족하지만, 현재 게임 밸런스에서는 최종적으로 활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만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4. 4. 3. 자이언트

근접 공격에 특화된 종족이다. 근접전에 뛰어나다. 활과 현악기, 관악기는 장비할 수 없지만, 둔기로 이중검술이 가능하다. 또한 양손검을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패와 병용이 가능하다. 같은 파티 내에 있고 자이언트를 지지하는 인간을 어깨에 태운 채 이동할 수 있으며, 엘프만큼은 아니지만 인간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다. 인간과 엘프와는 체격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장비할 수 있는 옷과 갑옷이 그들에 비해 적다. 새로운 장비는 기본적으로 모든 종족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오래된 의상은 거의 인간과 엘프 전용이다.

4. 5. 변신

특정 퀘스트를 클리어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한 캐릭터는 '''변신'''할 수 있다. 시스템적으로는 스킬의 일부이지만, 일반 스킬과는 크게 다른 취급을 받는다. 변신 시 화려한 이펙트와 함께 외형이 크게 변화하며, 전투 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사용 제한 및 시간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종의 필살기와 같은 위치에 있다. 변신 효과를 높이려면 캐릭터 레벨업으로 얻는 전용 포인트를 각 변신용 스킬에 분배해야 한다.

분류:마비노기/시스템

4. 5. 1. 종족 고유 변신

하얗게 빛나는 갑옷을 걸친 빛의 기사. 변신 가능한 종족은 인간이다. 다양한 능력치의 밸런스가 좋으며, 모든 상황에서 안정적인 전투력을 기대할 수 있다. 다크나이트가 되려면 먼저 팔라딘이 될 필요가 있지만, 다크나이트가 되면 다시는 팔라딘으로 변신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새까만 갑옷을 걸친 어둠의 기사. 변신 가능한 종족은 인간이다. 변신 후 능력치가 변신할 때마다 무작위로 변동하는 것 외에도, 변신 시간을 초과하면 라이프가 감소하기 시작하며(라이프가 0이 되면 자동으로 해제됨)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 몬스터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는 전용 스킬을 사용 가능하다.

깃털로 뒤덮인 야수. 변신 가능한 종족은 엘프이다. 뛰어난 마나 상승량을 자랑하며, 마법과 사격을 조합한 전용 스킬을 가지고 있다. 반면, 내구력은 다른 종족과 비교하면 다소 떨어진다.

모피로 뒤덮인 야수. 변신 가능한 종족은 자이언트이다. 팔콘과는 정반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근접 전투 능력에 뛰어나다(라이프 상승량이 최고치이지만, 마나 상승량은 최저치임). 전용 스킬은 주변의 적들을 한꺼번에 베어넘기는 강력한 범위 공격이다.

4. 5. 2. 종족 공용 변신

; 반신화

: 신의 힘을 흡수한 형태. 지원 중인 여신에 따라 사용 가능한 스킬이 변화한다(변경 가능). 변신해도 날개가 생긴 반투명한 흰 오라에 덮일 뿐 캐릭터 자체의 외모는 변하지 않는다. 공격 계열 스킬은 성능이 낮지만 방어 스킬은 반칙적인 성능을 자랑하며, 어떤 공격이든 완전히 무효화하는 배리어를 항상 펼치고 싸울 수 있다. 엄청나게 강력한 형태이지만 공격을 막을 때마다 원래 받았어야 할 데미지에 상응하는 수련치(레벨업으로 충전)를 소모하므로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 이신화

: 이세계의 신을 본뜬 형태. 변신 중에는 이계의 신의 사도와 비슷한 이형의 모습이 된다. 공격을 받았을 때의 넘어짐・다운이 없어지지만, 변신 중에는 4개의 전용 스킬(별로 강하지 않다)과 신성 스킬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고 펫 탑승도 할 수 없는 등 단점이 크다. 전용 장비 「아이도스」에 의해 외형을 바꿀 수 있다.

4. 6. 기타 시스템

현실의 요일에 따라 게임 진행에 도움을 주는 특성이 활성화된다. NPC와의 대화, 선물 등을 통해 호감도를 높이면 대화 내용이 바뀌거나 특별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타이틀을 얻고, 장착 시 능력치가 변화한다.

플레이어는 최대 8명(일반/던전 파티) 또는 16명(합주/결사대 파티)까지 파티를 구성할 수 있다. 파티를 구성하면 경험치 분배, 미니맵 위치 표시, 던전 입장, 파티 퀘스트, 생산 스킬 보너스, 합주 스킬(합주 파티 한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길드 생성에는 길드 생성 허가증과 5인 파티가 필요하며, 초기 길드 회원 수는 최대 5명이지만 골드와 길드 포인트를 사용하여 최대 250명까지 늘릴 수 있다. 길드에 가입하면 길드 채팅과 길드 홀을 이용할 수 있다.

PvP(플레이어 간 대전)는 부가 기능 정도로 취급되며, 아레나, 팔라딘/다크나이트, 1대1 PvP(결투), 종족 간 PvP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 아레나: 전용 필드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서로 적이 되어 싸우는 방식이다.
  • 팔라딘과 다크나이트: Generation 2 및 3의 메인 스토리를 완료하면 마을이나 필드에서 PvP가 가능하지만, PvP를 허용한 상대끼리만 가능하다.
  • 1대1 PvP: 상대 캐릭터에게 대전 신청을 하고 상대가 동의해야 하며, 애완동물과 함께 대전할 수 있다.
  • 종족 간 PvP: 엘프와 자이언트는 적대 관계이므로 종족 간 PvP가 가능하며, 어느 한 종족을 지지하는 인간도 참여할 수 있다.


펫은 전투, 회복, 아이템 생산, 이동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하루에 소환 가능한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5. 서비스

5. 1. 요금제

마비노기》는 2008년 7월 31일까지 총 4가지의 정액제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를 받는 경우 메인스트림이라고 불리는 게임상의 퀘스트를 진행해 나갈 수 있었고, 결제한 기간에 플레이가 가능했다. 별도의 결제를 하거나 넥슨 가맹 PC방에 가지 않아도, 모든 등록 사용자는 하루 2시간의 무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단, 무료 사용자는 메인스트림의 진행을 할 수 없었고, 메인스트림에 관련된 아이템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었다. 변신 스킬의 사용과 정령무기의 일부 기능의 사용 역시 불가능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는 4가지로 세분되어 있었다. 넥슨과 계약을 맺거나, 《마비노기》에 대해서만 계약을 맺은 PC방에서는 일부 기능을 제외한 판타지 라이프 클럽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 '''엑스트라 스토리지''':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추가적인 아이템(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길드를 만들고 자신의 집을 소유할 수 있다.
  • '''어드밴스드 플레이''': 매일 특별한 아이템을 선택 혹은 랜덤으로 받을 수 있다.
  • '''나오의 서포트''': NPC 나오가 일주일에 한 번씩 액세서리를 주고, 게임 시간으로 하루에 3번까지 부활이 가능하다.
  • '''판타지라이프 클럽''': 위의 세 가지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2008년 8월 1일, 기존의 정액 요금제를 폐지하고 24시간 무료 서비스 시행과 새로운 게임 서비스 상품을 도입하는 형태의 서비스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가지 정액 요금제를 대체하는 2종류의 패키지 상품과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샵이 도입되었다. 또한, 메인스트림과 캐릭터 변신 기능, 정령무기 사용 기능을 무료화하고, 일부 제약이 따르는 무료 환생 기능을 도입하는 등 기존에 유료로 이용해야 했던 일부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G17부터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이 등장 되어서 3종류의 플러스 키트로 구성이 되었다.

2015년 3월 19일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과 프리미엄 플러스 팩의 혜택이 업그레이드 되었다[53].

  •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캐릭터 인벤토리의 확장을 위한 아이템인 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상점 개설이 가능하다. (기존의 엑스트라 스토리지와 유사)

현재는 무료 서비스 상태이다

  •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의 기능과 함께 매일 어드밴스드 아이템을 받을 수 있고, 나오의 생일 선물과 나오의 20세 생일 선물, 그리고 길드를 생성, 운영할 수 있으며, 하우징 입주가 가능하고, 필드에서 사냥 시 캠핑 페널티, 마을 페널티를 받지 않고, 전투 경험치를 10%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추가 제스처를 사용할 수 있다.(기존의 판타지 라이프 클럽과 유사)[54].
  •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의 기능과 함께 Plus존의 인벤토리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교역중에 로그아웃시 페널티를 받지 않는 기능이 추가 되었다.

2012년 8월 27일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를 무료로 단행한다고 말했다. 우선 2012년 9월 3일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를 무료로 한다고 말하였다.[55]

5. 1. 1. 정액 요금제 폐지 이전

마비노기》는 2008년 7월 31일까지 총 4가지의 정액제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를 받는 경우 메인스트림이라고 불리는 게임상의 퀘스트를 진행해 나갈 수 있었고, 결제한 기간에 플레이가 가능했다. 별도의 결제를 하거나 넥슨 가맹 PC방에 가지 않아도, 모든 등록 사용자는 하루 2시간의 무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단, 무료 사용자는 메인스트림의 진행을 할 수 없었고, 메인스트림에 관련된 아이템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었다. 변신 스킬의 사용과 정령무기의 일부 기능의 사용 역시 불가능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는 4가지로 세분되어 있었다. 넥슨과 계약을 맺거나, 《마비노기》에 대해서만 계약을 맺은 PC방에서는 일부 기능을 제외한 판타지 라이프 클럽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 '''엑스트라 스토리지''':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추가적인 아이템(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길드를 만들고 자신의 집을 소유할 수 있다.
  • '''어드밴스드 플레이''': 매일 특별한 아이템을 선택 혹은 랜덤으로 받을 수 있다.
  • '''나오의 서포트''': NPC 나오가 일주일에 한 번씩 액세서리를 주고, 게임 시간으로 하루에 3번까지 부활이 가능하다.
  • '''판타지라이프 클럽''': 위의 세 가지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서비스 초기에는 기본 접속 요금 + 플랜 요금 + 캐릭터 요금 시스템이었지만, 2005년 12월 15일부터 기본 접속료 무료 + 플랜 요금(2012년 8월 22일 내용 변경) + 캐릭터 요금, 2006년 4월 27일부터 위에 언급된 요금 시스템 + 아이템 판매로 변경되었다. 모두 넥슨 캐시[23]로 구매한다.

  • '''플랜 요금'''


구매 시점부터 30일 동안 특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 가지 플랜으로 구성된다. 길드 생성 및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길드 패키지"(100원)와, 상기 패키지에 14가지 특전이 추가된 "어드밴스드 플레이 패키지"(800원), 그리고 이러한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추가로 6가지 특전이 더 포함된 "마비노기 판타지 라이프 클럽 패키지"(1000원)가 있다.

  • '''캐릭터 요금'''


게임 시작 시 또는 캐릭터를 모두 삭제할 때 부여되는 캐릭터 카드, 엘프와 자이언트의 어시스턴트 캐릭터 카드를 사용하여 생성한 캐릭터를 제외하고,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경우에는 목표 종족에 맞는 "캐릭터 카드"를 구매해야 한다. 환생은 마지막 환생 이후 1주일(환생 경험이 없는 캐릭터는 캐릭터 생성 시점부터 1주일)이 지나면 무료로 가능하지만, 성별을 변경할 경우에도 "캐릭터 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환생이 가능하다.

캐릭터의 외모는 드레스룸 이용 시 또는 환생 시, 포인트샵에서 판매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 '''아이템 판매'''


게임 내에서는 판매하지 않는 특수 아이템을 포인트샵에서 구매할 수 있다.

5. 1. 2. 정액 요금제 폐지 이후

2008년 8월 1일, 기존의 정액 요금제를 폐지하고 24시간 무료 서비스 시행과 새로운 게임 서비스 상품을 도입하는 형태의 서비스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4가지 정액 요금제를 대체하는 2종류의 패키지 상품과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샵이 도입되었다. 또한, 메인스트림과 캐릭터 변신 기능, 정령무기 사용 기능을 무료화하고, 일부 제약이 따르는 무료 환생 기능을 도입하는 등 기존에 유료로 이용해야 했던 일부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G17부터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이 등장 되어서 3종류의 플러스 키트로 구성이 되었다.

2015년 3월 19일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과 프리미엄 플러스 팩의 혜택이 업그레이드 되었다[53].

  •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캐릭터 인벤토리의 확장을 위한 아이템인 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상점 개설이 가능하다. (기존의 엑스트라 스토리지와 유사)

현재는 무료 서비스 상태이다

  •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의 기능과 함께 매일 어드밴스드 아이템을 받을 수 있고, 나오의 생일 선물과 나오의 20세 생일 선물, 그리고 길드를 생성, 운영할 수 있으며, 하우징 입주가 가능하고, 필드에서 사냥 시 캠핑 페널티, 마을 페널티를 받지 않고, 전투 경험치를 10%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추가 제스처를 사용할 수 있다.(기존의 판타지 라이프 클럽과 유사)[54].
  •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의 기능과 함께 Plus존의 인벤토리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교역중에 로그아웃시 페널티를 받지 않는 기능이 추가 되었다.


서비스 초기에는 기본 접속 요금 + 플랜 요금 + 캐릭터 요금 시스템이었지만, 2005년 12월 15일부터 기본 접속료 무료 + 플랜 요금(2012년 8월 22일 내용 변경) + 캐릭터 요금, 2006년4월 27일부터 위에 언급된 요금 시스템 + 아이템 판매로 변경되었다. 모두 넥슨 캐시[23]로 구매한다.

플랜 요금은 구매 시점부터 30일 동안 특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 가지 플랜으로 구성된다. 길드 생성 및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길드 패키지"(100원)와, 상기 패키지에 14가지 특전이 추가된 "어드밴스드 플레이 패키지"(800원), 그리고 이러한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추가로 6가지 특전이 더 포함된 "마비노기 판타지 라이프 클럽 패키지"(1000원)가 있다.

캐릭터 요금은 게임 시작 시 또는 캐릭터를 모두 삭제할 때 부여되는 캐릭터 카드, 엘프와 자이언트의 어시스턴트 캐릭터 카드를 사용하여 생성한 캐릭터를 제외하고,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경우에는 목표 종족에 맞는 "캐릭터 카드"를 구매해야 한다. 환생은 마지막 환생 이후 1주일(환생 경험이 없는 캐릭터는 캐릭터 생성 시점부터 1주일)이 지나면 무료로 가능하지만, 성별을 변경할 경우에도 "캐릭터 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환생이 가능하다. 캐릭터의 외모는 드레스룸 이용 시 또는 환생 시, 포인트샵에서 판매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포인트샵에서 게임 내에서는 판매하지 않는 특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5. 2. 포인트샵

챕터2 업데이트를 통해 넥슨 캐시[23]를 사용하여 특수 아이템(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상점이 추가되었다.[23]

매일 지급되는 어드밴스 아이템의 추가 구매나 외형 나이를 변경하는 포션, 스킬 훈련이 용이해지는 포션 등을 개별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2006년 8월 31일 시몬의 랜덤 박스, 2006년 10월 26일에는 알렉시나의 랜덤 박스가 추가되었고, 그 후에도 여러 랜덤 박스가 추가되었다.[23] 이들은 1개당 100pt(100엔에 상당)로 구매할 수 있으며, 사용하면 게임 내에 등장하는 아이템이 무작위로 나타나는 아이템인데, 일정 확률로 박스에서만 획득 가능한 희귀 아이템(주로 무기나 의상이지만, 일반 아이템과 외관상 차이 외에는 다른 점이 없고 게임 내 거래도 가능)도 등장하는 방식이다.[23] 한국에서는 2007년에 한 번 도입이 시도되었지만, 현금으로 플레이어 간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꺼리는 유저들의 항의로 당일 아이템 상점 자체가 사라지는 소동이 발생했다.[23] 하지만 현재는 한국에서도 챕터3와 동시에 이루어진 과금 체계 변경으로 인해 아이템 과금을 하고 있으며, 일본의 랜덤 박스와 같은 과금 아이템도 추가되어 있다.[23]

챕터4 이후로는 과금 아이템과 가챠 한정 장비의 지나치게 강력한 성능이 끊임없이 문제가 되었다.[23] 챕터4에 추가된 「세공 도구」(데미지가 최대 수 배로 증가하는 등 강력한 옵션 효과를 장비에 부여할 수 있는 유료 가챠 아이템)는 한국에서 처음 판매를 시작하여 전 세계에 도입되었다.[23] 이 세공 시스템은 요구 과금액이 매우 크고, 효과가 너무 강력하여 캐릭터를 강하게 만드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라는 점 때문에, 추가된 후 수년간 논란이 되었다.[23] 특히 「속성 세공」은 게임 밸런스를 깨뜨리는 성능 때문에 비판을 받았고, 결국 챕터5 이후의 몬스터는 속성 세공이 원칙적으로 무효화되었지만, 넥슨 측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23]

세공 도구는 특정 옵션이 붙지 않는 버그도 여러 번 발생했고, 그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했다.[23] 2021년에는 한국 유저들이 대규모 시위(일명 트럭 시위)를 벌인 결과 대형 언론에도 보도되고, 한국 국회에서 「악성 가챠의 사례」로 언급될 정도에 이르렀다.[23] 이를 계기로 개선이 진행되어, 2023년 현재는 과금 버전의 약 80% 효과를 무과금으로도 얻을 수 있도록 완화되었다.[23]

챕터5 이후의 랜덤 박스는 이전까지의 화려한 아이템 중심에서 벗어나,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강 무기와 맞먹는 성능을 가진 장비가 등장하기 시작했다.[23] 처음에는 이러한 장비 아이템의 획득 확률 설정이 지나치게 높았기 때문에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대부분의 장비가 가치를 잃을 정도의 밸런스 붕괴를 일으켜, 챕터5 이후 급격한 플레이어 감소로 이어졌다.[23]

6. 평가 및 수상 경력

2004년 11월 30일 영상물등급위원회 선정 ‘올해의 좋은 영상물’상을 수상하였고,[70] 같은 해 11월 '이달의 우수게임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2004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최우수상과 기술/창작상(기획/시나리오 부문)을 수상하였다.[71] 2005년 10월 27일에는 중국 차이나조이 2005 우수게임 평가상 금깃털상을 수상했다.[72]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2천만 명이 넘는 등록 사용자가 있으며,[13] 2021년 기준으로 이 게임은 평생 수익으로 6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14]

7. 비판

초기 마비노기의 세계관은 판타지 라이프와 신화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이후 업데이트된 콘텐츠들이 기존의 세계관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73][74] 예를 들어, 아일랜드 신화와는 거리가 있는 연금술사, 셰익스피어, 쌍권총 등의 등장이 이질감을 준다는 지적이다. 메인스트림에서도 설정 모순이나 변경된 부분이 발견된다.[73][74]

일본 서버에서는 2009년 4월 30일 "고양이 섬(NEKOJIMA)"이라는 일본 독자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다.[24] 이는 "Japan Generation"이라는 기획명으로 개발되었으며, 만냥이나 토리이 구조물 등을 배치하여 일본 플레이어들을 의식한 콘텐츠였다.[24]

각 국가별로 업데이트 시기는 다르지만, 고양이 섬을 제외한 기본적인 게임 사양은 전 세계 공통이다. 그러나 과금 관련 정책은 국가별로 차이가 큰데, 일본 서버에서는 컴플리트 가챠 규제로 인해 가챠 한정 장비의 성능이 변경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게임 밸런스가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2006년 말부터는 원인 불명의 대규모 지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42] 매일 정시에 발생하는 대규모 지연과 불규칙적인 소규모 지연이 발생하여 플레이에 지장을 주고 있다. 넥슨은 상황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으나,[43]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서버 불안정으로 인해 아이템이 소실되는 경우도 발생하지만, 운영진의 보상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44][45]

8. 기타

2024년 11월 30일 20주년 기념 겨울 쇼케이스 '블록버STAR'가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exon - Do! Nexon http://company.nexon[...] 2008-12-05
[2] 웹사이트 Turkish and Russian users can play Mabinogi fro... http://mabinogi.nexo[...] 2009-11-29
[3] 웹사이트 Nexon Announces Mabinogi http://www.worldsinm[...] 2008-01-16
[4] 간행물 Mabinogi Open Beta Lands March 5 http://blog.wired.co[...] 2008-02-29
[5] 웹사이트 Commercial Launch Announced http://www.mmorpg.co[...] 2008-02-24
[6] 웹사이트 G*: Nexon Reveals Xbox 360 MMO Mabinogi, Talks Maple Story DS http://216.92.236.12[...] 2007-08-11
[7] 웹사이트 KR: 14 August 2008 - Thisisgame Interview http://mabinogiworld[...] 2008-08-14
[8] 웹사이트 Xbox360용 마비노기 프로젝트 중단 - 취재 - 디스이즈게임 http://www.thisisgam[...] 2016-08-13
[9] 웹사이트 News: Mabinogi Europe Launches http://www.gamershel[...]
[10] 웹사이트 Mabinogi Europe http://mabinogi.nexo[...]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abinogi.nexo[...]
[12] 웹사이트 [Notice] Mabinogi Customer Support Closure http://forum.nexoneu[...] 2012-07-13
[13] 뉴스 Investor Presentation Q2 2020 http://pdf.irpocket.[...] Nexon 2020-08-06
[14] 뉴스 Investor Presentation Q4 2021 https://pdf.irpocket[...] Nexon 2022-02-08
[15] 웹사이트 Mabinogi: Heroes Comes to NA in 2010 - MMORPG News - MMOsite.com http://news.mmosite.[...] 2016-08-13
[16] 웹사이트 (영상) 마비노기2를 위한 애니메이션 시스템 - 포토/동영상 - 디스이즈게임 http://www.thisisgam[...]
[17] 웹사이트 New combat trailer demonstrates Mabinogi 2 Arena battles http://i.massively.j[...]
[18] 웹사이트 Mabinogi II: Arena stops development http://massively.joy[...]
[19] 웹사이트 2022年9月30日発表の収益見通し https://pdf.irpocket[...]
[20] 문서 Master of Epic -The ResonanceAge Universe-의 2012년 7월 24일분 업데이트 관련 내용
[21] 문서 2010년 8월 12일 업데이트 관련 내용
[22] 웹사이트 업데이트 히스토리 http://mabinogi.nexo[...]
[23] 문서 Nexon 포인트 관련 설명
[24] 웹사이트 네크손、「마비노기」운영·개발팀 인터뷰 https://game.watch.i[...]
[25] 웹사이트 2007년 3월 8일 공식 발표 http://www.mabinogi.[...]
[26] 웹사이트 4Gamer 기사 (마비노기 4주년 기념 이벤트 관련) https://www.4gamer.n[...]
[27] 웹사이트 HackShield 도입 공지 http://www.mabinogi.[...]
[28] 웹사이트 2009년 8월 6일 기능 구현 관련 공지 http://www.mabinogi.[...] 2009-08-06
[29] 웹사이트 2013년 10월 17일 원타임 패스워드 서비스 변경 공지 http://mabinogi.nexo[...] 2013-10-17
[30] 웹사이트 2013년 11월 13일 게임 실행/로그인 방법 변경 공지 http://mabinogi.nexo[...] 2013-11-13
[31] 웹사이트 2013년 11월 21일 게임 실행/로그인 방법 변경 공지 http://mabinogi.nexo[...] 2013-11-21
[32] 웹사이트 12월 22일(화) 정기점검 종료 공지 http://mabinogi.nexo[...]
[33] 웹사이트 2009년 2월 5일 공식 발표 http://www.mabinogi.[...] 2009-02-05
[34] 웹사이트 2008년 아카운트 해킹 관련 게시판 글 http://www.mabinogi.[...]
[35] 웹사이트 2009년 6월 4일 공식 발표 http://www.mabinogi.[...] 2009-06-04
[36] 웹사이트 アカウントハックに遭ってしまった!(前編) 被害は救済されない。被害者になって見えてきた問題点と課題 https://game.watch.i[...]
[37] 웹사이트 アカウントハックに遭ってしまった!(後編) JOGAは「各社に任せる」方針。調べてわかったメーカーごとに大きく異なる対応内容 https://game.watch.i[...]
[38]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のアナウンス http://www.mabinogi.[...] 2011-02-07
[39] 웹사이트 ネクソン会員サービス利用規約 http://www.nexon.co.[...]
[40] 웹사이트 「不正アクセスNEXONポイント補償申請におけるご注意事項」の欄 http://www.nexon.co.[...]
[41] 웹사이트 公式サイト自由掲示板 http://www.mabinogi.[...]
[42]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のアナウンス http://www.mabinogi.[...] 2006-12-15
[43] 웹사이트 Q.ラグやBOTの対策については? https://dengekionlin[...] 2009-04-04
[44] 웹사이트 アナウンスすらされていない接続障害も多々ある http://www.mabinogi.[...]
[45] 웹사이트 ロスト http://www.mabinogi.[...]
[46] 뉴스 仮想通貨3600万円盗む 不正アクセスの高2少年逮捕 https://megalodon.jp[...] MSNニュース 2008-01-24
[47] 웹인용 캐릭터 디자이너의 꿈을 이룬 강영화씨 http://www.khgames.c[...] 경향게임스 2006-04-10
[48] 뉴스 언리얼 엔진으로 교체 중인 마비노기 현황 https://www.gamemeca[...] 게임메카 2024-06-29
[49] 뉴스 '마비노기' 6월말 정식 서비스 실시 http://www.gamechosu[...] 게임조선 2004-05-18
[50] 뉴스 마비노기 새로운 재능 꽃피운다… NEXT 아르카나 업데이트 https://www.seoulwir[...] 서울와이어 2022-08-12
[51] 뉴스 넥슨 '마비노기', 여름 2차 업데이트 실시…신규 아르카나 등장 https://www.newspim.[...] 뉴스핌 2023-08-11
[52] 웹인용 스킬일반론 - 플레이포럼 마비노기 웹 사이트 http://mabinogi.play[...] 2008-08-30
[53] 웹사이트 마비노기 공지사항 http://mabinogi.nexo[...]
[54] 뉴스 넥슨, '마비노기' 8월 1일부터 무료화 선언! http://aving.net/kr/[...] AVING Korea 2008-07-03
[55] 웹사이트 마비노기 공지사항 http://mabinogi.nexo[...]
[56] 뉴스 하반기 XBOX360 대작들이 몰려온다 http://www.gamedonga[...] 게임동아 2007-10-24
[57] 뉴스 넥슨, '지스타'에서 최대 규모 부스 열고 신작 공개 http://www.gamedonga[...] 게임동아 2007-10-31
[58] 뉴스 마비노기, Xbox360으로 등장 http://www.mud4u.com[...] 루리웹 비디오 게임 뉴스 2006-11-09
[59] 웹인용 에린워커 10호 http://www.mabinogi.[...] 2006-12-19
[60] 뉴스 XB360버전 '마비노기' 스크린심바 최초 공개 http://ruliweb.nate.[...] 루리웹 비디오 게임 뉴스 2007-11-06
[61] 뉴스 부활-연기-중단-개발, 희비 엇갈리는 마비노기 형제들 http://www.gamemeca.[...] 게임메카 2009-09-02
[62] 뉴스 넥슨 야심작 '마비노기' 공개 https://news.naver.c[...] 파이낸셜 뉴스 2002-12-10
[63] 뉴스 마비노기, 연금술사와 함께 하는 챕터3 http://www.betanews.[...] 베타뉴스 2008-07-16
[64] 문서 베니스의 상인은 최초의 거래의 메인스트림 퀘스트이다.
[65] 문서 신 여신강림은 과거 퍼스트 챕터의 제너레이션 1~3의 메인스트림을 현재의 상황에 맞게 리뉴얼한 것이다.
[66] 문서 이 챕터는 제너레이션 4(챕터2)의 배경은 같지만 스토리가 다르다. G17에는 1화~10화로 변경되었고, 매주 금요일 9시에 공개되었다.
[67] 문서 사이트 상으로 g18 7화로 소개 되었으나 프롤로그 악몽이 이리아의 프롤로그이면서 제너레이션 19가 신의 기사단의 첫번째 매인스트림의 제너레이션이므로 제너레이션 17이 맞다.
[68] 문서 원래는 4월 18일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었으나, 계속된 점검으로 4월 19일 새벽 1시에 업데이트가 되었다.
[69] 문서 6화로 축소 되었으며, 격주간으로 변경되었다.
[70] 뉴스 <마비노기> 영등위 선정 '올해의 좋은 영상물'상 수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보도자료) 2004-12-02
[71] 뉴스 '킹덤 언더 파이어', 올 최고 게임 등극...2004 대한민국 게임대상 https://news.naver.c[...] 아이뉴스 2004-12-09
[72] 뉴스 넥슨 마비노기, 중국 차이나조이 우수게임평가상 수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보도자료) 2005-11-01
[73] 뉴스 '김피탕' 된 마비노기, 시작은 아일랜드 신화였다 http://news.joins.co[...] 2018-06-18
[74] 뉴스 2세대 온라인게임의 선구자, 마비노기 http://gameabout.com[...] 2018-06-18
[75] 뉴스 [게시판] 넥슨 '마비노기' 20주년 쇼케이스 30일 개최 https://www.yna.co.k[...] 2024-11-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4. 11. 오전 7:58:44

[핫겜BN] 구관이 명관 ‘마비노기 모바일’ – 바이라인네트워크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