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의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는 23개의 주(provincia)와 1개의 자치시(ciudad autónoma)인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이다. 각 주는 자체 헌법, 행정, 사법, 입법 기관을 가지며, 1820년 아나키 시기에 13개 주로 시작하여 점차 확대되었다. 주는 연방 정부에 위임하지 않은 모든 권한을 가지며, 자체적인 주법과 사법 제도, 주지사, 의회 등을 운영한다. 반란, 폭동 등 위협 시에는 연방 개입이 가능하며, 20세기에는 일부 주에서 특정 가문이 장기간 통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ISO 3166-2:AR
ISO 3166-2:AR은 아르헨티나의 23개 주와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의 행정 구역 코드를 정의하며, 각 구역은 고유한 코드와 스페인어 표기로 표시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아르헨티나의 주 | |
---|---|
개요 | |
국가 | 아르헨티나 |
유형 | 행정 구역 |
관할 | 아르헨티나 |
수 | 23개 주와 1개의 자치 도시 |
정부 | 주 정부 |
하위 구역 |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코무나 (15개)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파르티도 (135개) 기타 주: 군 (378개) |
통계 | |
최대 면적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307,571 km² |
최소 면적 | 티에라델푸에고 주, 21,263 km² (주), 부에노스아이레스, 203 km² (자치시) |
최대 인구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17,569,053명 |
최소 인구 | 티에라델푸에고 주, 190,641명 |
2. 역사
아르헨티나 주의 역사는 크게 초기 행정 구역 형성과 국가 영토의 주 승격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을 거치면서 주요 도시와 주변 지역이 카빌도의 개입을 통해 주(Province)로 승격되었다. 1820년 아나키로 이 과정이 완료되어 최초의 13개 주가 형성되었다. 1834년 후후이 주가 살타 주에서 분리되어 14개 주가 되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주는 10년간 분리되었다가 1861년에 아르헨티나 헌법을 수용하고 다시 연방에 합류했으며, 1880년에는 수도가 연방 영토가 되었다.[1]
1862년, 연방 통제하에 있지만 주의 경계 밖에 있는 영토를 국가 영토로 지정하는 법이 제정되었다.[4] 1884년에는 이 법에 따라 미시오네스, 포르모사, 차코, 라팜파, 네우켄, 리오네그로, 추붓, 산타크루스, 티에라델푸에고에 지사(governorate)가 설립되었다.[5] 1900년, 칠레와의 국경 분쟁 합의로 로스안데스 국가 영토가 생겨났고, 1943년에 후후이, 살타, 카타마르카 주에 편입되었다.[4] 이후 라팜파 주와 차코 주는 1951년에, 미시오네스 주는 1953년에, 포르모사 주, 네우켄 주, 리오네그로 주, 추붓 주, 산타 크루스 주는 1955년에 각각 주가 되었다. 마지막 국가 영토였던 티에라델푸에고는 1990년에 티에라델푸에고, 남극 및 남대서양 제도 주가 되었다.[4]
2. 1. 초기 행정 구역 형성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 동안 주요 도시들과 그 주변 지역은 해당 지역의 카빌도의 개입을 통해 주로 승격되었다. 1820년 아나키는 이 과정을 완료하여 최초의 13개 주를 형성했다. 1834년 후후이 주는 살타 주에서 분리되어 14개 주가 되었다. 10년 동안 분리되었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는 1861년 1853년 아르헨티나 헌법을 수용했으며, 그 수도는 1880년에 연방 영토가 되었다.[1]2. 2. 국가 영토의 주 승격
1862년의 법은 연방 통제하에 있지만 주의 경계 밖에 있는 영토를 국가 영토로 지정했다.[4] 1884년에 이들은 미시오네스, 포르모사, 차코, 라팜파, 네우켄, 리오네그로, 추붓, 산타크루스, 티에라델푸에고의 지사(governorate) 설립의 기반이 되었다.[5] 1900년 칠레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합의로 로스안데스 국가 영토가 생겨났고, 그 영토는 1943년에 후후이, 살타, 카타마르카에 편입되었다.[4] 라팜파와 차코는 1951년에 주가 되었다. 미시오네스는 1953년에, 포르모사, 네우켄, 리오네그로, 추붓, 산타 크루스는 1955년에 주가 되었다. 마지막 국가 영토인 티에라델푸에고는 1990년에 티에라델푸에고, 안타르티다 e 이슬라스 델 아틀란티코 수르 주가 되었다.[4]2. 3. 현재의 행정 구역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 동안 주요 도시들과 그 주변 지역은 해당 지역의 카빌도의 개입을 통해 주로 주(province)가 되었다. 1820년 아나키는 이 과정을 완료하여 최초의 13개 주를 형성했다. 후후이는 1834년 살타에서 분리되었고, 13개 주는 14개 주로 되었다. 10년 동안 분리되었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는 1861년 1853년 아르헨티나 헌법을 수용했으며, 그 수도는 1880년에 연방 영토가 되었다.[5]1862년의 법은 연방 통제하에 있지만 주의 경계 밖에 있는 영토를 국가 영토로 지정했다. 1884년에 이들은 미시오네스, 포르모사, 차코, 라팜파, 네우켄, 리오네그로, 추붓, 산타크루스, 티에라델푸에고의 지사(governorate) 설립의 기반이 되었다. 1900년 칠레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합의로 로스안데스 국가 영토가 생겨났고, 그 영토는 1943년에 후후이, 살타, 카타마르카에 편입되었다.[5] 라팜파와 차코는 1951년에 주가 되었다. 미시오네스는 1953년에, 포르모사, 네우켄, 리오네그로, 추붓, 산타 크루스는 1955년에 주가 되었다. 마지막 국가 영토인 티에라델푸에고는 1990년에 티에라델푸에고, 안타르티다 e 이슬라스 델 아틀란티코 수르 주가 되었다.[5]
기 | 주 | 주도 | 부주도[6] | 약자 | 인구 (2022)[7] | 면적 | 인구 밀도 (명/km2) |
---|---|---|---|---|---|---|---|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DF | 3,120,612 | 203km2 | 15,372.47 | |
부에노스아이레스 | 라플라타 | 라 마탄사 및 헤네랄 푸에이레돈 | BA | 17,569,053 | 307571km2 | 57.12 | |
카타마르카 | 산 페르난도 델 바예 데 카타마르카 | 티노가스타 | CT | 429,556 | 102602km2 | 4.18 | |
차코 | 레시스텐시아 | 프레시덴시아 로케 사엔스 페냐 | CC | 1,142,963 | 99633km2 | 11.47 | |
추부트 | 라우스온 |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 CH | 603,120 | 224686km2 | 2.68 | |
코르도바 | 코르도바 | 리오 콰르토 | CB | 3,978,984 | 165321km2 | 24.06 | |
코리엔테스 | 코리엔테스 | 고야 | CN | 1,197,553 | 88199km2 | 13.57 | |
엔트레 리오스 | 파라나 | 콩코르디아 | ER | 1,426,426 | 78781km2 | 18.10 |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FM | 606,941 | 72066km2 | 8.42 | |
후후이 | 산 살바도르 데 후후이 | 산 페드로 데 후후이 | JY | 797,955 | 53219km2 | 14.99 | |
라 팜파 | 산타 로사 | 헤네랄 피코 | LP | 366,022 | 143440km2 | 2.55 | |
라리오하 | 라리오하 | 칠레시토 | LR | 384,607 | 89680km2 | 4.28 | |
멘도사 | 멘도사 | 구아야옌 | MZ | 2,014,533 | 148827km2 | 13.53 | |
미시오네스 | 포사다스 | 오베라 | MN | 1,280,960 | 29801km2 | 42.98 | |
네우켄 | 네우켄 | 쿠트랄 코 | NQ | 726,590 | 94078km2 | 7.72 | |
리오네그로 | 비에드마 | 산 카를로스 데 바릴로체 | RN | 762,067 | 203013km2 | 3.75 | |
살타 | 살타 | 산 라몬 데 라 누에바 오란 | SA | 1,440,672 | 155488km2 | 9.26 | |
산후안 | 산후안 | 카우세테 | SJ | 818,234 | 89651km2 | 9.12 |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SL | 540,905 | 76748km2 | 7.04 | |
산타크루스 | 리오 갈레고스 | 칼레타 올리비아 | SC | 333,473 | 243943km2 | 1.36 | |
산타페 | 산타페 | 로사리오 | SF | 3,556,522 | 133007km2 | 26.73 |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라 반다 | SE | 1,054,028 | 136351km2 | 7.73 | |
티에라델푸에고, 안타르티다 에 이슬라스 델 아틀란티코 수르 | 우수아이아 | 리오 그란데 | TF | 190,641 | 21263km2 | 8.96 | |
투쿠만 | 산 미겔 데 투쿠만 | 몬테로스 | TM | 1,703,186 | 22524km2 | 75.61 |
아르헨티나는 23개의 주와 하나의 자치시인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다. 주는 행정 목적으로 데파트멘토와 지방 자치체로 나뉜다. 부에노스아이레스주는 파르티도와 ''localidades''(지방)로 나뉜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자체는 코무나(''comuna'')와 비공식 바리오(''barrios'')로 나뉜다.
3. 정치 조직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헌법 제61조는 "''선거는 자유롭고, 평등하며, 비밀이며, 보편적이고, 의무적이며, 축적될 수 없다. 외국인 거주자는 이 권리를, 이 지역에 등록된 아르헨티나 시민과 동일한 조건으로, 법에 의해 정해진 조건으로, 상응하는 의무와 함께 누린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
3. 1. 주의 권한
아르헨티나의 주는 연방 정부에 위임하지 않기로 결정한 모든 권한을 보유한다. 주는 대표적인 연방이어야 하며 헌법에 위배되어서는 안 된다. 이 외에 주는 완전한 자율성을 가진다. 즉, 자체 헌법을 제정하고, 지역 정부를 자유롭게 조직하며, 천연 자원과 재정을 소유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각 주는 자체적인 주법과 사법 제도, 대법원, 주지사, 자율적인 경찰력, 그리고 의회를 갖는다. 8개 주에서는 입법부가 양원제로,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나머지 15개 주와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에서는 단원제로 운영된다.[1]
반란, 폭동, 영토 침공 또는 주나 연방 수도에 대한 국가의 법에 대한 기타 위협의 경우, 의회는 해당 지역에 대해 연방 개입을 선언할 권한을 갖는다. 이는 해당 지역의 공식 요청이 없을 경우에도 가능하다. 의회가 휴회 중이어서 개입할 수 없을 경우 대통령은 그러한 개입을 결정할 권한을 갖지만, 이 행정 명령은 양원의 즉각적인 재소집에 따라 의회의 거부를 받을 수 있다. 개입이 선언되면 해당 지역의 정부는 의회의 결정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가 즉시 해산되며 대통령은 비상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짧은 기간 동안 임명될 대표 또는 중재자를 임명한다. 1983년 이후 카타마르카, 코리엔테스(두 번), 산티아고델에스테로(두 번), 투쿠만 등 4개 주에 연방 개입이 있었다.[2]
20세기 동안 일부 주에서는 전통적으로 한 가족이 통치하는 정부가 있었다(예: 카타마르카의 사디 가족, 네우켄의 사파그 가족). 2009년 현재까지도 같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산루이스 주는 1983년 12월부터 거의 끊임없이 로드리게스 사아 가족의 통치를 받았다.[3]
3. 2. 주의회
각 주는 자체적인 의회를 갖는다. 8개 주에서는 입법부가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로 운영되며, 나머지 15개 주와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에서는 단원제로 운영된다.[1]
3. 3. 연방 개입
반란, 폭동, 영토 침공 또는 주나 연방 수도에 대한 국가 법에 대한 기타 위협이 있을 경우, 의회는 해당 지역에 대해 연방 개입을 선언할 권한을 갖는다.[2] 이는 해당 지역의 공식 요청이 없을 경우에도 가능하다. 의회가 휴회 중이어서 개입할 수 없을 경우 대통령은 그러한 개입을 결정할 권한을 갖지만, 이 행정 명령은 양원의 즉각적인 재소집에 따라 의회의 거부를 받을 수 있다. 개입이 선언되면 해당 지역의 정부는 의회의 결정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가 즉시 해산되며 대통령은 비상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짧은 기간 동안 임명될 대표 또는 중재자를 임명한다. 1983년 이후 카타마르카, 코리엔테스(두 번), 산티아고델에스테로(두 번), 투쿠만 등 4개 주에 개입했다.[2]
4. 제1차 행정구역
아르헨티나는 23개의 주(provincia)와 1개의 자치시(ciudad autónoma)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이다. 이들은 1차 행정 구역으로, 독자적인 헌법을 가지고 있으며 행정, 입법, 사법 기관을 운영한다.
이름 | 스페인어 | 주도 | 인구[7] | 면적[7] | 인구 밀도 |
---|---|---|---|---|---|
부에노스아이레스 | Ciudad Autónoma de Buenos Aires | (자치시. 수도) | 203km2 | 15372.47 | |
부에노스아이레스주 | Provincia de Buenos Aires | 라플라타 | 307571km2 | 57.12 | |
카타마르카주 | Provincia de Catamarca | 산페르난도델바예데카타마르카 | 102602km2 | 4.18 | |
차코주 | Provincia del Chaco | 레시스텐시아 | 99633km2 | 11.47 | |
추부트주 | Provincia del Chubut | 라우손 | 224686km2 | 2.68 | |
코르도바주 | Provincia de Córdoba | 코르도바 | 165321km2 | 24.06 | |
코리엔테스주 | Provincia de Corrientes | 코리엔테스 | 88199km2 | 13.57 | |
엔트레리오스주 | Provincia de Entre Ríos | 파라나 | 78781km2 | 18.10 | |
포르모사주 | Provincia de Formosa | 포르모사 | 72066km2 | 8.42 | |
후후이주 | Provincia de Jujuy | 산살바도르데후후이 | 53219km2 | 14.99 | |
라팜파주 | Provincia de La Pampa | 산타로사 | 143440km2 | 2.55 | |
라리오하주 | Provincia de La Rioja | 라리오하 | 89680km2 | 4.28 | |
멘도사주 | Provincia de Mendoza | 멘도사 | 148827km2 | 13.53 | |
미시오네스주 | Provincia de Misiones | 포사다스 | 29801km2 | 42.98 | |
네우켄주 | Provincia del Neuquén | 네우켄 | 94078km2 | 7.72 | |
리오네그로주 | Provincia de Río Negro | 비에드마 | 203013km2 | 3.75 | |
살타주 | Provincia de Salta | 살타 | 155488km2 | 9.26 | |
산후안주 | Provincia de San Juan | 산후안 | 89651km2 | 9.12 | |
산루이스주 | Provincia de San Luis | 산루이스 | 76748km2 | 7.04 | |
산타크루스주 | Provincia de Santa Cruz | 리오가예고스 | 243943km2 | 1.36 | |
산타페주 | Provincia de Santa Fe | 산타페 | 133007km2 | 26.73 | |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 Provincia de Santiago del Estero | 산티아고델에스테로 | 136351km2 | 7.73 | |
티에라델푸에고주 | Provincia de Tierra del Fuego, Antártida e Islas del Atlántico Sur | 우수아이아 | 21263km2 | 8.96 | |
투쿠만주 | Provincia de Tucumán | 산미겔데투쿠만 | 22524km2 | 75.61 |
4. 1. 주 목록
기 | 주 | 주도 | 부주도[6] | 약어 | 인구[7] | 면적 | 인구 밀도 (명/km²) |
---|---|---|---|---|---|---|---|
부에노스아이레스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DF | 203km2 | 15372.47 | ||
부에노스아이레스 | 라플라타 | 라 마탄사, 헤네랄 푸에이레돈 | BA | 307571km2 | 57.12 | ||
카타마르카 | 산페르난도델바예데카타마르카 | 티노가스타 | CT | 102602km2 | 4.18 | ||
차코 | 레시스텐시아 | 프레시덴시아 로케 사엔스 페냐 | CC | 99633km2 | 11.47 | ||
추부트 | 라우손 |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 CH | 224686km2 | 2.68 | ||
코르도바 | 코르도바 | 리오 콰르토 | CB | 165321km2 | 24.06 | ||
코리엔테스 | 코리엔테스 | 고야 | CN | 88199km2 | 13.57 | ||
엔트레 리오스 | 파라나 | 콩코르디아 | ER | 78781km2 | 18.10 |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FM | 72066km2 | 8.42 | ||
후후이 | 산살바도르데후후이 | 산 페드로 데 후후이 | JY | 53219km2 | 14.99 | ||
라 팜파 | 산타 로사 | 헤네랄 피코 | LP | 143440km2 | 2.55 | ||
라리오하 | 라리오하 | 칠레시토 | LR | 89680km2 | 4.28 | ||
멘도사 | 멘도사 | 구아야옌 | MZ | 148827km2 | 13.53 | ||
미시오네스 | 포사다스 | 오베라 | MN | 29801km2 | 42.98 | ||
네우켄 | 네우켄 | 쿠트랄 코 | NQ | 94078km2 | 7.72 | ||
리오네그로 | 비에드마 | 산 카를로스 데 바릴로체 | RN | 203013km2 | 3.75 | ||
살타 | 살타 | 산 라몬 데 라 누에바 오란 | SA | 155488km2 | 9.26 | ||
산후안 | 산후안 | 카우세테 | SJ | 89651km2 | 9.12 |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SL | 76748km2 | 7.04 | ||
산타크루스 | 리오가예고스 | 칼레타 올리비아 | SC | 243943km2 | 1.36 | ||
산타페 | 산타페 | 로사리오 | SF | 133007km2 | 26.73 |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라 반다 | SE | 136351km2 | 7.73 | ||
티에라델푸에고, 안타르티다 에 이슬라스 델 아틀란티코 수르 | 우수아이아 | 리오 그란데 | TF | 21263km2 | 8.96 | ||
투쿠만 | 산미겔데투쿠만 | 몬테로스 | TM | 22524km2 | 75.61 |
4. 2. 하위 행정 구역
기 | 주 | 주도 | 부주도[6] | 약어 | 면적 | 인구 밀도 (명/km²) |
---|---|---|---|---|---|---|
부에노스아이레스 자치시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DF | 203km2 | 15372.47 | |
부에노스아이레스 | 라플라타 | 라 마탄사, 헤네랄 푸에이레돈 | BA | 307571km2 | 57.12 | |
카타마르카 | 산 페르난도 델 바예 데 카타마르카 | 티노가스타 | CT | 102602km2 | 4.18 | |
차코 | 레시스텐시아 | 프레시덴시아 로케 사엔스 페냐 | CC | 99633km2 | 11.47 | |
추부트 | 라우스온 |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 CH | 224686km2 | 2.68 | |
코르도바 | 코르도바 | 리오 콰르토 | CB | 165321km2 | 24.06 | |
코리엔테스 | 코리엔테스 | 고야 | CN | 88199km2 | 13.57 | |
엔트레 리오스 | 파라나 | 콩코르디아 | ER | 78781km2 | 18.10 |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포르모사 | FM | 72066km2 | 8.42 | |
후후이 | 산 살바도르 데 후후이 | 산 페드로 데 후후이 | JY | 53219km2 | 14.99 | |
라 팜파 | 산타 로사 | 헤네랄 피코 | LP | 143440km2 | 2.55 | |
라리오하 | 라리오하 | 칠레시토 | LR | 89680km2 | 4.28 | |
멘도사 | 멘도사 | 구아야옌 | MZ | 148827km2 | 13.53 | |
미시오네스 | 포사다스 | 오베라 | MN | 29801km2 | 42.98 | |
네우켄 | 네우켄 | 쿠트랄 코 | NQ | 94078km2 | 7.72 | |
리오네그로 | 비에드마 | 산 카를로스 데 바릴로체 | RN | 203013km2 | 3.75 | |
살타 | 살타 | 산 라몬 데 라 누에바 오란 | SA | 155488km2 | 9.26 | |
산후안 | 산후안 | 카우세테 | SJ | 89651km2 | 9.12 |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산루이스 | SL | 76748km2 | 7.04 | |
산타크루스 | 리오 갈레고스 | 칼레타 올리비아 | SC | 243943km2 | 1.36 | |
산타페 | 산타페 | 로사리오 | SF | 133007km2 | 26.73 |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 라 반다 | SE | 136351km2 | 7.73 | |
티에라델푸에고, 안타르티다 에 이슬라스 델 아틀란티코 수르 | 우수아이아 | 리오 그란데 | TF | 21263km2 | 8.96 | |
투쿠만 | 산 미겔 데 투쿠만 | 몬테로스 | TM | 22524km2 | 75.61 |
참조
[1]
웹사이트
Legislaturas de la Ciudad de Buenos Aires y provinciales – República Argentina
https://web.archive.[...]
Universidad del Salvador
2009-09-19
[2]
뉴스
Intervenciones en la historia
http://www.lanacion.[...]
La Nación
2004-04-11
[3]
웹사이트
Archivo Histórico – Gobernadores provinciales de la República Argentina 1983–2007
https://web.archive.[...]
Ministerio del Interior – Presidencia de la Nación
2009-06-08
[4]
웹사이트
Constitución de la Ciudad Autónoma de Buenos Aires
http://www.legislatu[...]
Ciudad Autónoma de Buenos Aires
2007-12-13
[5]
웹사이트
Provinces of Argentina
http://www.statoids.[...]
2015-09-28
[6]
웹사이트
División política, superficie y población
https://www.ign.gob.[...]
Instituto Geográfico Nacional
2024-03-21
[7]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