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미겔데투쿠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미겔데투쿠만은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562년 스페인 정복자에 의해 건설되었다. 1816년 아르헨티나 독립이 선언된 장소로, 투쿠만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인 곳이기도 하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에 속하며, 연중 온화한 기온과 강수량을 보인다. 문화적으로는 투쿠만 국립 대학교를 중심으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며, 다양한 예술가와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축구 클럽으로는 클루브 아틀레티코 산 마르틴 데 투쿠만과 클루브 아틀레티코 투쿠만이 있으며, 럭비 유니언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교통은 버스, 공항, 철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주도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도 - 라플라타
    라플라타는 페드로 베누아가 설계한 아르헨티나의 계획 도시로, 중앙 공원과 대각선 도로, 프랙탈적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라틴 아메리카 최초로 전기 가로등이 설치되고 라플라타 대학교가 설립되어 부에노스아이레스주의 주도 역할을 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산미겔데투쿠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산미겔데투쿠만
위에서부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산미겔데투쿠만 대성당, 투쿠만 독립 기념관, 산프란시스코 대성당, 7월 9일 공원, 투쿠만 국립 대학교, 투쿠만 정부 청사, 바리오 노르테의 전망과 호세 에우세비오 콜롬브레스 주교의 집.
다른 이름투쿠만
위치아르헨티나 투쿠만 주
면적90km² (34.88mi²)
도시 면적480km² (209.3mi²)
해발 고도431m (1300ft)
시간대ART
우편 번호T4000
기후Cwa
웹사이트https://smt.gob.ar
행정
국가아르헨티나
투쿠만 주
수도군
시장로사나 찰라 (PJ)
인구
인구 (2010년 기준)548,866명
도시권 인구830,000명
인구 밀도5862.3명/km²
인구 (2023년 추정치)527,150명
경제
GDP (PPP, 2015년 불변 가치)2023년 203억 달러
역사
설립1565년, 1685년

2. 역사

1565년 스페인 정복자 디에고 데 비야로엘이 처음 도시를 세웠으며, 1685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산미겔데투쿠만은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12년에는 도시 근처에서 벌어진 투쿠만 전투에서 마누엘 벨그라노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스페인 군대를 격파하여 독립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투쿠만은 라플라타 연합주(오늘날 아르헨티나의 전신)의 독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투쿠만 회의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1816년 7월 9일, 이곳의 투쿠만 하우스에서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 이로 인해 투쿠만은 '아르헨티나 독립의 요람'으로 불리기도 한다. 1820년에는 잠시 투쿠만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19세기 후반부터 도시는 빠르게 성장했다. 1870년 철도가 개통되고 유럽중동 등지에서 온 많은 이민자들이 정착하면서 인구가 크게 늘어났으며, 도시 경관도 신고전주의 건축 등 다양한 양식으로 변화했다. 20세기 초에는 대규모 공원이 조성되는 등 도시 확장이 계속되었다.

2. 1. 초기 역사

1565년 5월 31일, 스페인 정복자 디에고 데 비야로엘(Diego de Villarroel)이 현재 도시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 60km 떨어진 이바틴 캄포스(Ibatín Campos)에 '산 미겔 데 투쿠만 이 누에바 티에라 데 프로미시온'(San Miguel de Tucumán y Nueva Tierra de Promisiónes)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시를 세웠다. 그러나 1685년 이바틴 지역의 수질 문제로 인해 도시는 '라 토마'(La Tomaes)라고 불리는 현재의 위치, 즉 오늘날 구시가지(Casco Histórico|카스코 히스토리코es)가 있는 곳으로 이전되었다.

독립 운동 시기 투쿠만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12년 9월 24일, 도시 근처에서 투쿠만 전투가 벌어졌다. 마누엘 벨그라노 장군이 이끄는 군대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로부터 코르도바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투쿠만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상부 페루에서 내려온 스페인 왕당파 군대에 맞서 싸웠다. 벨그라노의 군대는 제대로 무장되지 않았고 지쳐 있었지만, 지역 가우초(스스로를 '투쿠만의 결연한 자들'이라 불렀다)들의 지원을 받아 스페인 군대를 격파하고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 승리 이후 벨그라노 군대는 살타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헤라르도 플로레스 이발디의 "투쿠만 1812". 그림에는 당시의 카빌도와 산 프란시스코 교회가 묘사되어 있다.


투쿠만 전투 이후 벨그라노는 현재 독립 광장(Plaza Independencia)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라 시우다델라'(La Ciudadelaes)라는 원형 요새를 건설했다. 이곳은 애국 군대의 병영이자 라플라타 강 유역과 상부 페루,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를 잇는 중간 지점이었기 때문에, 산 미겔 데 투쿠만은 독립 문제를 논의할 투쿠만 회의의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1816년 7월 9일, 투쿠만 하우스(Casa de Tucumán, 또는 독립의 집 'Casa Histórica')에서 라플라타 연합주(오늘날 아르헨티나의 전신)의 독립이 스페인 및 다른 모든 외세로부터 선언되었다. 스페인은 1862년까지 이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독립 선언이 이루어진 투쿠만 하우스는 이후 국립 기념물로 재건되었다. 1820년 중앙 정부가 붕괴된 후, 잠시 동안 존속했던 투쿠만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독립이 선언된 투쿠만 하우스.


1850년 무렵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하자, 1870년에는 도시를 확장하고 새로운 경계를 설정하는 계획이 제안되었다. 같은 해, 영국 자본의 코르도바 중앙 철도가 개통되면서 투쿠만은 철도로 다른 지역과 연결되었다. 이 시기 스페인, 아랍, 유대인, 이탈리아인 등 많은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도시의 건축 양식에도 변화가 생겨, 기존의 스페인 식민지 건축 양식 대신 신고전주의 건축, 절충주의 건축 등 다양한 유럽 스타일이 도입되었다.

1890년경 아르헨티나 북서부 철도가 건설한 투쿠만 역.


20세기 초에는 도시의 레크리에이션 공간 확보를 위해 400ha 규모의 부지가 추가되었고, 파리런던의 공원을 모델로 한 대규모 공원이 조성되었다. 1930년까지 도시 인구는 다시 두 배로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2. 2. 독립 운동과 투쿠만 회의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 시기, 산미겔데투쿠만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12년 9월 24일, 마누엘 벨그라노가 이끄는 군대는 상부 페루에서 진격해 온 스페인 군대와 투쿠만 전투를 벌였다. 당시 벨그라노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로부터 코르도바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투쿠만 주민들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스페인 군대에 맞서기로 결정했다.[1]

벨그라노의 군대는 수적으로 열세였고 무장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으며 피로에 지친 상태였다. 하지만 '투쿠만의 결연한 자들'(Los decididos de Tucumánes)이라 불린 지역 가우초들의 용맹한 지원에 힘입어 스페인 군대를 격파하고 아르헨티나의 독립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 승리 이후 벨그라노가 이끄는 군대는 살타에서도 스페인 군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1]

투쿠만 전투 이후 벨그라노는 현재의 독립 광장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라 시우다델라'(La Ciudadela)라는 원형 요새를 건설했다. 이곳은 애국 군대의 병영으로 사용되었으며, 라플라타 강 유역과 상부 페루,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했기 때문에 산미겔데투쿠만은 독립 문제를 논의할 회의의 최적 장소로 선정되었다.[1]

결국 1816년 7월 9일, 투쿠만 회의가 이곳에서 개최되어 라플라타 연합주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 이 선언은 스페인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외세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천명한 것이었다. 독립 선언문 서명이 이루어진 투쿠만 하우스(Casa Histórica de Tucumán)는 오늘날 국가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2][1] 스페인1862년이 되어서야 아르헨티나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 독립 직후인 1820년, 중앙 정부가 일시적으로 붕괴했을 때 산미겔데투쿠만은 단명한 투쿠만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1]

2. 3. 투쿠만 공화국 (1820-1821)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투쿠만 공화국 (1820-1821)'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4. 근대



1908년 철거된 옛 카빌도 건물.


산 미겔 시내의 산 마르틴 거리 (과거 라스 에라스 거리).


1565년 5월 31일, 스페인 정복자 디에고 데 비야로엘(Diego de Villarroel)은 오늘날 도시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60km 떨어진 이바틴 캄포스(Ibatín Campos)에 '산 미겔 데 투쿠만 이 누에바 티에라 데 프로미시온'(San Miguel de Tucumán y Nueva Tierra de Promisión)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시를 세웠다. 1685년, 이바틴 지역의 수질 문제로 인해 도시는 현재의 위치인 '라 토마'(La Toma, 오늘날의 구시가지 또는 ''카스코 히스토리코(Casco Histórico)'')로 이전되었다.

독립 운동 시기에 투쿠만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12년 9월 24일, 도시 근교에서 투쿠만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 전투에서 마누엘 벨그라노가 이끄는 군대는 상부 페루에서 온 스페인 왕당파 군대를 격파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는 벨그라노에게 코르도바로 후퇴하라고 명령했지만, 투쿠만 주민들은 그에게 스페인의 추가 침략에 맞서 싸울 것을 요청했다. 제대로 무장하지 못하고 지친 상태였음에도, 벨그라노의 군대는 스스로를 '투쿠만의 결연한 자들'(Los decididos de Tucumán)이라 칭한 지역 가우초들의 지원을 받아 스페인 군대의 후방을 공격하여 격퇴하고 아르헨티나의 독립을 지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투쿠만 전투 이후 벨그라노 군대는 살타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전투 후 벨그라노는 현재의 독립 광장(과거 플라자 마요르)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라 시우다델라'(La Ciudadela)로 알려진 원형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애국 군대의 병영이었으며, 라 플라타 강 유역과 상부 페루,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사이의 중간 지점이라는 전략적 위치 덕분에 산 미겔 데 투쿠만은 투쿠만 회의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1816년 7월 9일, 이 회의에서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의 독립이 스페인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외세로부터 선언되었다. 이 독립 선언은 '카사 히스토리카'(Casa Histórica) 또는 '독립의 집'으로도 불리는 투쿠만 하우스에서 이루어졌다.

1850년까지 도시 인구는 상당히 증가하여 예상 등록 수를 넘어섰다. 이로 인해 1870년에는 도시를 확장하고 새로운 경계를 설정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같은 해, 영국 자본의 코르도바 중앙 철도에 의해 첫 철도 노선이 도시에 연결되었다. 이 시기 스페인, 아랍, 유대인, 이탈리아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은 도시의 건축 양식에 영향을 미쳤다. 기존의 스페인 식민지 건축 양식 대신 신고전주의 건축, 절충주의 건축, 그리고 다채로운 스타일(Picturesque style)이 도입되었다.

20세기 초, 도시는 파리런던의 공원과 유사한 대규모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레크리에이션 용도로 400ha의 부지를 확보했다. 1930년까지 도시의 인구는 다시 두 배로 증가했다.

3. 지리



산미겔데투쿠만은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하며, 안데스산맥 동쪽 기슭의 아콘키하 산맥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넓은 차코-팜파스 평원이 시작된다. 온난한 기후와 안데스산맥에서 끌어온 관개 용수를 바탕으로 사탕수수가 대량으로 재배되며, 아르헨티나 전체 설탕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 거점이다. 이 외에도 , 담배, 과일 등이 생산되어 '공화국의 정원'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섬유나 전자 기기 같은 공업도 발달했으며,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로서 아르헨티나 북부의 핵심 지역 중 하나로 기능한다.

주변 도시로는 남서쪽으로 약 200km 거리에 카타마르카주의 주도 카타마르카가 있으며, 남동쪽으로 약 140km 거리에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의 주도 산티아고델에스테로가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북쪽으로 라스 탈리타스(타피 비에호), 동쪽으로 반다 델 리오 살리와 알데레테스, 서쪽으로 예르바 부에나, 남쪽으로 룰레스와 접한다.

교육 기관으로는 투쿠만 국립 대학교(1914년 설립)와 북부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1965년 설립)가 있다.

역사적으로는 1816년 7월 9일, 투쿠만 회의가 이곳에서 열려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아르헨티나의 전신)의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장소로 유명하다. 당시 회의가 열렸던 투쿠만 하우스는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1820년 중앙 정부 붕괴 후 잠시 동안 투쿠만 공화국의 수도이기도 했다.

도시의 전화 지역 코드는 0381이며, 우편 번호는 T4000(중앙), T4001(북부), T4002(남부), T4003(동부)이다.

3. 1. 기후

산미겔데투쿠만은 서늘한 겨울을 가진 아열대성 기후에 속한다. 남쪽의 온대 기후와 북쪽의 아열대 기후 사이의 전이대에 위치하며,[2]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겨울보다 여름에 강수량이 훨씬 많은 습윤 아열대 기후 (Cwa)로 분류된다.[2] 전반적으로 날씨는 따뜻하며, 여름은 무덥지만 고산기후의 영향으로 팜파스에서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기도 한다.

연평균 기온은 19.8°C이며,[7] 연간 강수량은 약 1010mm이다.[7] 강수 패턴은 몬순형으로, 대부분의 비가 여름에 집중되고 겨울은 건조한 경향을 보인다.[3][4]
계절별 특징

  • 겨울: 평균 기온은 13.6°C이며, 7월이 평균 12.3°C로 가장 춥다.[7] 서리는 드물며, 내리더라도 가벼운 편으로 기온이 -2°C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5][6] 겨울은 맑은 날이 많아 한 달 평균 9~12일 정도 맑은 날씨를 보인다. 눈은 극히 드물어, 1565년 이후 1920년과 2007년에 도시에 눈이 내린 기록이 있다. 주변 산지에서는 진눈깨비나 눈이 관측되기도 한다.
  • 봄: 매우 짧으며 건조하다. 10월이 되면 여름 날씨가 시작되어 최고 기온이 30°C를 넘는 날이 흔하다.
  • 여름: 연중 가장 덥고 습한 시기이다.[3] 평균 기온은 24°C~26°C 범위이며, 낮 최고 기온은 30°C~31°C, 밤 최저 기온은 19°C~20°C 정도이다. 연간 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에 집중되며, 흐린 날이 많아 한 달 평균 11~13일은 흐리다. 폭염 시에는 기온이 40°C~45°C까지 오르기도 하지만,[3] 남쪽에서 불어오는 팜페로 바람이 한랭 전선을 동반하며 시원한 공기를 가져와 더위를 완화시키기도 한다.[3]
  • 가을: 4월에 시작되며, 기온은 낮에는 21°C~27°C, 밤에는 12°C~18°C 정도로 여름 수준을 유지하다가 점차 강수량이 줄어든다. 봄과 가을의 평균 기온은 약 25°C이다.

기록관측 사상 최고 기온은 2009년 10월 31일에 기록된 45°C이며, 최저 기온은 1962년 7월 16일에 기록된 -3°C이다.[10]
기후와 산업온난한 기후와 안데스 산맥에서 끌어온 관개 용수는 사탕수수 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이곳은 아르헨티나 전체 설탕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 거점이다.

4. 경제

온난한 기후이며, 안데스 산맥에서 끌어온 관개 용수를 이용한 농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사탕수수 생산의 거점으로, 아르헨티나 전체 설탕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또한 , 담배, 과일 등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관개 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여, 투쿠만 주는 '공화국의 정원'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철도와 도로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며, 섬유나 전자 기기와 같은 공업도 발달하여 아르헨티나 북부의 핵심 경제 지역 중 하나이다.

5. 문화

투쿠만의 스카이라인


산미겔데투쿠만은 투쿠만 국립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의 영향으로 오랫동안 아르헨티나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도시에는 국립 투쿠만 국립 대학교와 국립 기술 대학교, 사립 대학인 북부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와 성 바오로 T 대학교 등이 있다. 또한 메르세데스 소사와 같은 유명 예술가들을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이 도시는 아르헨티나 현대사의 아픔을 마주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2008년 8월부터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이어진 군부 독재 정권 시기의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된 전직 고위 군 장교들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특히 전직 대령 루치아노 메넨데스는 1976년 ''쿠데타'' 당일 상원의원 기예르모 바르가스 아이냐세를 납치하고 실종시킨 것을 포함한 반인도적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러한 재판 과정에서 많은 5월 광장 할머니들(Abuelas de la Plaza de Mayo)이 참여하여 목소리를 냈으며, 메넨데스와 리카르도 부시의 유죄 판결은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독재 정권 하에서 자녀나 남편을 "강제 실종"당한 어머니와 할머니들에게 상징적인 승리로 평가받았다.

도시권 인구는 약 80만 명으로 아르헨티나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이며, 과거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의 주요 거점이었고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이 선언된 역사적인 도시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애니메이션 『엄마 찾아 삼만 리』에서 주인공 마르코가 어머니와 마지막으로 재회하는 도시로 알려져 있다.

5. 1. 문화 유산

산 프란시스코 성당


투쿠만 국립 박물관, 아르헨티나 독립이 선언된 장소


플라자 인데펜덴시아 주변의 역사적인 건물


대성당


우체국


투쿠만 정부 청사는 19세기 말 아르 누보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백색 방은 도시를 방문하는 유명 인사를 맞이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12]

시내 중심가에는 산미겔 데 투쿠만 대성당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일부 식민지 시대 요소와 이탈리아 건축 양식을 보존하고 있다. 역사적 유산으로 지정된 산 프란시스코 대성당, 산 로케 교구, "산토 도밍고 교회"로 알려진 산티시모 사크라멘토 대성당,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메르세드 대성당, 루르드 성모 교회 등도 도시의 중요한 교회 건축물이다.

투쿠만 국립 박물관, 또는 "독립의 집"이라 불리는 이곳은 아르헨티나 독립 선언이 이루어진 역사적인 장소로서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이다. 투쿠만 회의 이후 여러 사람이 거주하면서 건물이 점차 훼손되었는데, 이는 1869년 안헬 파가넬리가 찍은 사진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1874년 이 역사적인 건물을 우체국 용도로 매입했으며, 1880년대부터는 독립 기념 행사가 이곳에서 열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건물의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정부는 1903년까지 개조를 미루다가 결국 거의 철거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국회의원들이 독립을 선언했던 방만 유일하게 보존되었다. 이후 1942년, 원래의 설계도와 1869년 파가넬리의 사진을 바탕으로 집을 완전히 재건했다. 재건 과정에서는 원래 건물과 같은 종류의 벽돌, 테야스(지붕 타일), 발도사스(돌 바닥 타일)가 사용되었다.

산미겔에는 이 외에도 주목할 만한 건축물과 장소가 많다. 일부 신고전주의 양식 요소를 갖춘 산 마르틴 극장, 다양한 스타일이 혼합된 코레오 센트랄(중앙 우체국), 피렌체의 베키오 궁전에서 영감을 받은 타워, 옛 입법부 건물, 법원, 1912년에 지어진 옛 사보이 호텔 건물인 카지노,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대통령의 출생지, 콜레히오 나시오날 바르톨로메 미트레 학교 등이 있다. 또한 투쿠만 전투가 벌어졌던 캄포 데 라스 카레라스는 현재 역사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주요 문화 유산으로는 독립 광장, 9월 7일 공원, 티모테오 나바르 미술관, 오에스테 묘지, 북부 민속 박물관, 경제 연맹 건물, 파디야 하우스, 성스러운 예술 박물관 등이 꼽힌다.

5. 2. 문화 행사

산 마르틴 극장 내부


수십 년 동안 산미겔 데 투쿠만은 투쿠만 국립 대학교의 영향으로 아르헨티나의 주요 문화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곳은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민요 가수 메르세데스 소사, 미국 러트거스 대학교 교수이자 작가인 토마스 엘로이 마르티네스, 음악가 미겔 앙헬 에스트레야, 예술가 겸 건축가 토마스 사라세노, 화가 루이스 로보 데 라 베가 등 저명한 문화예술인들의 고향이자 활동 무대였다.

도시에는 산 마르틴 극장과 알베르디 극장이라는 두 개의 대형 극장을 비롯해 여러 소규모 독립 극장들이 있다. 이들 극장에서는 연극, 콘서트, 오페라, 발레 등 다채로운 공연이 연중 내내 열린다.

특히 매년 9월에 열리는 '9월의 음악 축제'(Septiembre Musical|셉티엠브레 무시칼es)는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행사로 꼽힌다. 축제는 주로 독립 광장에서 개최되며, 민속 음악부터 록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는 여러 지역 및 전국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5. 3. 스포츠

축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산미겔의 주요 축구 클럽으로는 클루브 아틀레티코 산 마르틴 데 투쿠만과 클루브 아틀레티코 투쿠만이 있다. 이 두 클럽은 오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클럽명창단 연도주요 성과 (전국 타이틀)비고
클루브 아틀레티코 산 마르틴 데 투쿠만1909년4회 (1944, 1988, 2005, 2007-08)여러 지역 타이틀 획득
클루브 아틀레티코 투쿠만1901년5회 (1959, 2004, 2005, 2007-08, 2008-09)투쿠만 주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 다수의 지역 타이틀 보유



농구 또한 인기 있는 스포츠로,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 클럽, 센트랄 코르도바 클럽, 벨그라노 클럽, 빌라 루한 클럽, 투쿠만 BB 클럽 등이 활동하고 있다. 투쿠만은 1995년 FIBA 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의 공동 개최지 중 하나였다.

이 도시는 럭비 유니언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투쿠만 럭비 연합이 있으며, 투쿠만 주에서 가장 성공적인 두 클럽인 투쿠만 럭비 클럽과 대학교 럭비 클럽이 이곳을 연고로 한다. 투쿠만 럭비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연합 다음으로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실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투쿠만 대표팀인 "나란하스"(Naranjas|나랑하스es, 오렌지색 유니폼에서 유래)는 아르헨티나 연합 선수권 대회에서 8번 우승했는데, 이는 아르헨티나 내륙 지역 연합 중 가장 많은 우승 횟수이다. 이 외에도 나타시온 이 김나시아, 카르데날레스, 투쿠만 론 테니스, 로스 타르코스 등이 중요한 럭비 클럽으로 꼽힌다. 투쿠만 럭비 팬들은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매우 열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교통

산미겔데투쿠만은 다양한 교통망을 통해 도시 안팎으로 연결된다. 시내버스와 인근 도시를 잇는 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아르헨티나 전역으로 향하는 장거리 버스를 위한 대형 터미널도 갖추고 있다. 국제공항과 민간 비행장을 통해 국내외 항공 노선 이용이 가능하며, 철도 교통으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가 운행되는 여러 기차역이 있다.

6. 1. 항공

테니엔테 제네랄 벤하민 마티엔소 국제공항(TUC/SANT)은 이 도시의 공항으로, 시내에서 동쪽으로 12km 떨어진 인접한 크루스 알타 부서에 위치한다. 연간 290,000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하며, 부에노스아이레스, 후후이,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캄포 아레날, 미네라 알룸브레라 금광으로 가는 국내선 항공편과 볼리비아의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로 가는 국제선 항공편이 매일 운항된다.

또한, 민간 항공을 위한 마우리시오 질리 비행장이 도시에서 서쪽으로 16km 거리에 있다. 이 공항은 현지에서 아에로클럽(Aeroclub)으로도 알려져 있다.

6. 2. 철도

승객 서비스를 위해 운영되는 유일한 터미널인 미트레 기차역


이 도시에는 4개의 기차역이 있다. 이 중 미트레 기차 터미널만이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레티로까지 가는 여객 열차를 운행하며,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및 산타페 지방의 중간 역에도 정차한다. 운영 중인 다른 기차역으로는 벨그라노 기차역이 있으며, 이 역은 원래 코르도바 중앙 철도가 건설했고 현재는 화물 철도 운송 회사인 트렌 아르헨티노스 카르가스 이 로히스티카가 운영하고 있다.

산마르틴 데 투쿠만의 기차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이전 회사노선상태(여객)현재 운영자
투쿠만 (미트레)중앙 아르헨티나 철도미트레운영 중트렌 아르헨티노스, NCA
투쿠만 (벨그라노)코르도바 중앙 철도벨그라노폐쇄TACyL
투쿠만 (센트럴 노르테) 1중앙 북부 철도벨그라노폐쇄 (1977)
투쿠만 (노로에스테) 2아르헨티나 북서부 철도벨그라노폐쇄 (1978)



참고:


  • 1 ''"엘 바호" 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 건물은 시립 부서이다''.[13]
  • 2 ''이 노선은 1899년 코르도바 중앙 철도에 인수되기 전에는 "주"라고도 알려졌다.''

6. 3. 버스

이 도시는 시내 노선을 운행하는 여러 버스 노선과 인근 도시인 예르바부에나, 엘 마난티알, 타피 비에호, 라스 탈리타스, 반다 델 리오 살리, 알데레테를 연결하는 다른 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산미겔데투쿠만은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큰 버스 터미널 중 하나를 갖추고 있다. 30000m2 규모의 에스타시온 센트럴 데 오미버스(Estación Central de Ómnibuses, 1994년 개장)는 전국 거의 모든 대형 및 중소 도시로 향하는 수백 개의 버스 노선이 도착하고 출발하는 중심지이다.

7. 자매 도시

아르헨티나의 자매 도시 목록도 참조

산미겔데투쿠만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

참조

[1] 웹사이트 TelluBase—Argentina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2] 웹사이트 Clima de la Provincia de Tucuman http://www.csnat.unt[...] 2015-08-01
[3] 웹사이트 Provincia de Tucuman–Clima Y Metéorologia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5-08-02
[4] 웹사이트 Datos Estadísticos (Período 1981-1990) http://www.smn.gov.a[...]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of Argentina 2013-04-10
[5] 웹사이트 Heladas Meteorológicas–Tucumán Aero http://www.agro.uba.[...] Facultad de Agronomía - Universidad de Buenos Aires 2015-10-27
[6] 웹사이트 Tucumán, Tucumán http://www.ora.gov.a[...] Oficina de Riesgo Agropecuario 2015-10-26
[7]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3-03
[8]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repositorio.s[...]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8-01
[9] 논문 Estadística climatológica de la República Argentina Período 1991-2000 http://sedici.unlp.e[...]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5-17
[10] 웹사이트 Clima en la Argentina: Guia Climática por Tucumán Aero https://www.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3-02
[11] 웹사이트 87121: Tucuman Aerodrome (Argentina) https://www.ogimet.c[...] OGIMET 2024-02-03
[12] 문서 Casa de Gobierno de Tucumán http://www.tucumantu[...]
[13] 블로그 Estaciòn Tucumàn Norte (F.C.C.N.A.) http://horizonteferr[...] 2016-12-22
[14] 간행물 El proyecto musical de Leda Valladares: del sustrato romántico a una concepción ancestral-vanguardista de la argentinidad https://journals.ope[...] Centro Científico y Tecnológico-CONICET, Universidad Nacional de La Pampa 2015-12-01
[15] 웹사이트 Hermanamiento de Ciudades https://www.smt.gob.[...] San Miguel de Tucumán 2020-05-26
[16] 웹사이트 population hub https://population-h[...] 2023-05-18
[17] 웹인용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81-201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8-01-20
[18] 웹인용 Clima en la Argentina: Guia Climática por Tucumán Aero https://www2.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7-10-04
[19] 웹인용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4-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