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마르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르디인은 '사람'을 의미하는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카스피해 남쪽에 거주했던 고대 부족을 지칭한다. 스트라본은 이들을 이란 북부 지역에,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부족 중 하나로 언급했으며, 네아르코스는 이란 남서부의 산악 민족으로 묘사했다. 아마르디인은 이란계 부족으로 여겨지며, 고고학적으로 마를리크 유적과 관련되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잔다란주의 역사 - 타바리스탄
    타바리스탄은 카스피해 연안의 고대 이란 지역으로, 이슬람 침공에 저항하며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시아파 이슬람 전파와 이란 민족 의식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 철기 시대 아시아 - 인도의 철기 시대
    인도의 철기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철기 기술이 사용된 시기로, 북인도는 기원전 1800년에서 1000년 사이의 철기 유물로 철기 기술 발전의 독립적인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남인도의 마일라둠파라이 유적지는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철기 시대 유적지일 가능성이 있다.
  • 철기 시대 아시아 - 야파
    야파는 기원전 7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고대 도시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중요한 항구 도시 역할을 했고, 현재는 텔아비브에 통합되어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는 관광 명소이다.
  • 이란족 유목민 - 마사게타이족
    마사게타이족은 기원전 8세기부터 3세기까지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 유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유목 민족으로, 스키타이족과 관련이 있으며 키루스 2세와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알렉산드로스 3세 이후 여러 부족과 융합되어 사라졌다.
  • 이란족 유목민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아마르디인
아마르디
다른 이름Mardi (라틴어)
유형부족
위치이란의 엘부르즈산맥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무간 평원
역사적 맥락
기원아마르디는 고대 이란 부족이었음.
첫 기록기원전 9세기 아시리아 자료에서 언급됨.
위치카스피해 남쪽 해안 지역에 거주
서쪽으로는 길란
동쪽으로는 타푸르족의 영토와 경계
관련 지역이들의 이름은 아무르다리야와 아물 주에 남아 있음.
영향아마르디는 카스피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때로는 동일시되기도 함.
아케메네스 제국 시기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11번째 속주에 편입
다른 카스피해 부족들과 함께 복종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전쟁에 참여 (기원전 480년)
마르도니우스의 군대에 징집
이후 역사알렉산더 대왕 시기에 독립을 유지
알렉산더 대왕에게 패배
타푸르족의 지배를 받음
기원전 2세기에 타푸르족에 의해 영토에서 추방됨
북쪽으로 이주하여 카두시족의 영토에 정착
스트라보의 기록스트라보는 아마르디, 카두시, 키르티족과 같은 산악 부족들이 메디아와 다른 지역을 약탈했다고 기록함.

2. 어원

‘마르디’라는 말은 ‘사람’을 의미하는 고대 이란어[20] (𐎶𐎼𐎫𐎡𐎹|마르티야peo)에서 전래했으며, 마르티야는 ‘인간의’를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mr̥tós에서 왔다.

리처드 N. 프라이는 아몰 도시의 이름이 아마르드(Amard)라는 말에서 기원했으며, 중세 페르시아어로 아무이(Amui)라고 하였다고 생각했다.[23]

3. 역사적 기록

스트라본은 '마르디'라는 이름을 여러 차례 언급하면서, 그 위치를 오늘날 이란 북부의 길란 주와 마잔다란 주에 해당하는 카스피해 남쪽이라고 하였다.[17][24] 그는 자신이 만든 지도에서 세피드루드 강 일대를 아마르도스 강이라고 언급했다.[17][25][26]

헤로도토스는 마르디와 유사한 이름을 지닌 부족을 페르시스에 존재하는 10개에서 16개의 페르시아 부족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16][19] 이들은 오늘날 이란 남서부인 수시스와 페르시스 사이의 계곡에 거주했다.[27] 네아르코스는 남쪽의 마르디인을 수시인, 엘리마이스인, 욱시인과 더불어 이란 남서부 지역에서 약탈로 생활하는 산악 민족 중 하나로 묘사했다.[28] 이 네 부족들 중에, 마르디인들은 언어학적으로 이란계였던 유일한 부족이었다.[29]

4. 고고학



마를리크 등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마르디의 생활상과 문화를 보여준다. 특히 마를리크에서 출토된 철기 시대 황금잔(뉴욕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과 만자문(卍字紋) 금제 목걸이(테헤란 이란 국립박물관 소장)는 마르디의 종교, 사상적 측면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5. 갤러리

참조

[1] 백과사전 IRAN http://www.iranicaon[...] 2017-07-20
[2] 서적 Compact Bible atlas with gazetteer https://books.google[...] Baker Book House
[3] 서적 Marlik: The Complete Excavation Report https://books.google[...] UPenn Museum of Archaeology
[4] 서적 Memoir on the Scythic Version of the Behistun Inscription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1853
[5] 서적 Encyclopaedia Iran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21
[6] 서적 Early Oriental History, Comprising the Histories of Egypt, Assyria, Persia, Lydia, Phrygia, and Phoenicia https://books.google[...] Griffin 1852
[7] 백과사전 CASPIANS http://www.iranicaon[...] 2017-07-20
[8] 웹사이트 IRAN v. PEOPLES OF IRAN (2) Pre-Islam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8-07
[9] 서적 Proceedings of the Second European Congress of Iranian Studies ISMEO
[10] 백과사전 GĪLĀN http://www.iranicaon[...] 2017-07-20
[11] 서적 Early Oriental History, Comprising the Histories of Egypt, Assyria, Persia, Lydia, Phrygia, and Phoenicia https://archive.org/[...] Griffin 1852
[12] 웹사이트 IRAN v. PEOPLES OF IRAN (2) Pre-Islam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8-07
[13] 서적 Compact Bible atlas with gazetteer https://books.google[...] Baker Book House
[1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 Company
[15] 서적 Indo-iranica https://books.google[...] Iran Society
[16] 백과사전 IRAN http://www.iranicaon[...] 2017-07-20
[17] 서적 Marlik: The Complete Excavation Report https://books.google[...] UPenn Museum of Archaeology
[18] 서적 Memoir on the Scythic Version of the Behistun Inscription https://books.google[...] Harrison and Sons 1853
[19] 백과사전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21
[20] 서적 Early Oriental History, Comprising the Histories of Egypt, Assyria, Persia, Lydia, Phrygia, and Phoenicia https://books.google[...] Griffin 1852
[21] 백과사전 CASPIANS http://www.iranicaon[...] 2017-07-20
[22] 웹인용 IRAN v. PEOPLES OF IRAN (2) Pre-Islam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8-07
[23] 서적 Proceedings of the Second European Congress of Iranian Studies ISMEO
[24] 백과사전 CASPIANS http://www.iranicaon[...] 2017-07-20
[25] 백과사전 GĪLĀN http://www.iranicaon[...] 2017-07-20
[26] 서적 A history of all nations from the earliest times https://archive.org/[...] Lea Brothers
[27] 서적 Early Oriental History, Comprising the Histories of Egypt, Assyria, Persia, Lydia, Phrygia, and Phoenicia https://books.google[...] Griffin 1852
[28] 백과사전 CASPIANS http://www.iranicaon[...] 2017-07-20
[29] 웹인용 IRAN v. PEOPLES OF IRAN (2) Pre-Islam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