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유럽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유럽조어는 문자를 갖지 않아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여러 언어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재구성된 언어이다. 18세기 윌리엄 존스에 의해 산스크리트어, 그리스어, 라틴어 등의 공통 조상으로 제안되었으며, 이후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 아나톨리아어파와 토하라어파가 인도유럽어에 포함되었다. 비교 방법론을 통해 인도유럽조어를 재구성하며, 우랄어족, 코카서스 제어, 아프로-아시아어족 등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 존재한다. 인도유럽어족은 아나톨리아어파, 토하라어파, 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게르만어파, 발트슬라브어파, 인도이란어파 등으로 하위 어파가 나뉜다. 음운론적으로는 무성음, 유성음, 유성유기음의 파열음, 후두음, 모음 체계를 가지며, 명사, 대명사, 동사, 수사 등 다양한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인도유럽조어를 사용한 집단은 목축과 농경을 기반으로 한 사회를 이루었으며, 그들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 인도유럽인 - 쿠르간 가설
    쿠르간 가설은 마리야 김부타스가 제시한 가설로, 폰토스-카스피해 스텝 지역의 쿠르간 문화를 원시 인도유럽인의 문화로 보고, 이 문화의 확산을 통해 인도유럽어족이 전파되었다고 설명한다.
  • 원시 인도유럽인 - 얌나야 문화
    얌나야 문화는 기원전 33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폰토-카스피 스텝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 문화로, 유목 생활을 하며 쿠르간 매장 방식을 특징으로 하고,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 인도유럽조어 - 인도유럽조어 명사
    인도유럽조어 명사는 어근, 접사, 어미 조합의 형태론적 구조를 가지며 격, 수, 성의 문법 정보를 어미로 전달하고, 아블라우트, 테마/비테마 명사 구분, 어근 명사, 복합 명사 등의 특징과 다양한 형성 방식을 가지며, 형용사는 명사와 유사하나 성별에 따른 격변화가 나타난다.
  • 인도유럽조어 - 인도유럽조어 음운론
    인도유럽조어 음운론은 인도유럽조어의 음소와 음운 규칙을 연구하는 분야로, 파열음, 설배음, 마찰음, 후두음, 공명음, 모음 등의 음소 체계와 세메레니의 법칙, 바르톨로메의 법칙과 같은 음운 규칙을 포함한다.
  • 청동기 시대 - 반달돌칼
    반달돌칼은 신석기 시대 말기부터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수확 도구로, 중국 화북 지방에서 기원하여 한반도로 전래되었으며, 돌날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초기 철기 시대에 쇠퇴했으나 농업 기술 및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청동기 시대 - 가락바퀴
    실을 잣는 도구인 가락바퀴는 가락 하단에 위치하며 무게를 이용해 섬유 덩어리를 실로 꼬아내는 데 사용되고,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져 신석기 시대부터 직조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도유럽조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원시 인도유럽어
로마자 표기Proto-Indo-European
약칭PIE
사용 지역폰토스-카스피해 초원 (원시 인도유럽어 고향)
사용 시기기원전 4500년경 ~ 기원전 2500년경
어족인도유럽어족
파생 언어원시 알바니아어
원시 아나톨리아어
원시 아르메니아어
원시 발트-슬라브어
원시 켈트어
원시 게르만어
원시 그리스어
원시 인도-이란어
원시 이탈리아어
원시 토하르어
기타 정보
관련 문화부크-드네스트르 문화
스레드니 스톡 문화
드네프르-도네츠 문화
사마라 문화
크발린스크 문화
야мна 문화
미하일로프카 문화
노보티타로프스카야 문화
우사토보 문화
바덴 문화
미들 드네프르 문화
관련 민족히타이트인
갈리아인
켈티베리아인
섬 켈트족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일리리아인
파이오니아인
프리지아인
관련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야지디교
야르산교
관련 신화오세트 신화
아일랜드 신화
스코틀랜드 신화
브르타뉴 신화
웨일스 신화
콘월 신화
앵글로색슨족 이교
대륙 게르만 신화
노르드 신화
라트비아 신화
리투아니아 신화

2. 발견과 재구성

인도유럽조어는 18세기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인도유럽의 여러 언어의 공통 조상으로서 제안되었다. 인도유럽조어는 문자를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는 존재하지 않으며, 음운 및 어형은 모두 후대에 분화된 언어들을 비교 분석하여 재구성한 것이다.[5]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단어 대부분은 인도유럽조어의 하나의 원형을 바탕으로 일정한 음운 변화 법칙에 따라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윌리엄 존스는 1786년에 산스크리트어, 그리스어, 라틴어, 고트어, 켈트어족, 고대 페르시아어의 공통 조상을 가정하여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7] 그러나 그가 이러한 가설을 처음으로 제기한 것은 아니었다. 16세기에 인도 아대륙을 방문한 유럽인들은 인도이란어족과 유럽 언어 간의 유사성을 인식했고,[8] 1653년 마르쿠스 추에리우스 판 폭스혼은 게르만어파, 로망스어파, 그리스어파, 발트어파, 슬라브어파, 켈트어파, 이란어파를 포함하는 원시 언어("스키타이어")에 대한 가설을 발표했다.[9] 1767년 프랑스 예수회 사제 가스통-로랑 쿠르두는 산스크리트어와 유럽 언어 간의 유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10]

1818년 라스무스 크리스티안 라스크는 구 노르드어가 게르만어, 발트어, 슬라브어, 그리스어, 라틴어, 로망스어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11] 1816년 프란츠 보프는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그리스어, 라틴어, 독일어의 공통 기원을 연구했고, 1833년 비교 문법을 출판하기 시작했다.[12] 1822년 야코프 그림그림의 법칙을 발표하여 게르만어와 다른 인도유럽어 간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13] 1870년대부터 신문법학파는 베르너의 법칙에서처럼 음운 법칙에는 예외가 없다고 주장했다.[14]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의 ''인도유럽어, 산스크리트어, 그리스어 및 라틴어의 비교 문법 개론''(1874–77)은 원시 인도유럽어를 재구성하려는 초기 시도였다.[15] 1900년대 초, 인도유럽어 학자들은 오늘날에도 받아들여지는 인도유럽조어에 대한 설명을 발전시켰다.

초기에는 아나톨리아어파토하라어파가 인도유럽어족에 포함되지 않았고, 후두음 이론도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연구를 통해 히타이트어에서 후두음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인도유럽조어에서 아나톨리아어파가 먼저 분화되고, 이후 토하라어파가 분화했다는 모형이 완성되었다.[16][17]

율리우스 포코르니의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de(인도유럽 어원 사전, 1959)은 당시까지의 어휘 지식을 집대성했다. 예르지 쿠릴로비치의 1956년 ''Apophonie''는 인도유럽 변칙 모음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1960년대부터 아나톨리아어에 대한 지식이 PIE와의 관계를 확립할 만큼 충분히 확립되었다.

2. 1. 비교 방법론

비교 방법은 현존하는 자손 언어들을 비교하여 공통 조상인 인도유럽조어를 재구성하는 방법론이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와 영어 단어 쌍을 비교하면, piede|피에데it와 ''foot'', padre|파드레it와 ''father'', pesce|페셰it와 ''fish''와 같이 첫 자음(''p''와 ''f'')에서 일관된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 이는 우연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 단어들이 공통 조상어에서 유래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6]

가설적인 조상 단어에서 현대 단어로의 발음 및 음운 변화는 인도유럽 음운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법칙들은 예외 없이 적용된다는 신음운론 가설을 뒷받침할 만큼 상세하고 신뢰할 만하다.[5]

2. 2. 다른 어족과의 관계 (가설)

인도유럽조어와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인도유럽조어보다 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기 위해서는 모두 추측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므로, 이러한 가설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51] 인도유럽어족과 다른 어족과의 유사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우랄어족: 형태소의 일부가 분명히 동원어이다.
  • 코카서스 제어: 음성적인 특징이 유사하다. 나흐-다게스탄어족에는 문법적 성이 존재한다.
  • 아프로-아시아어족 셈어파: 문법적 성의 존재, 형용사의 변화, 자음만으로 된 단어에 모음을 삽입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이 있다.

  • 인도-우랄어족: 우랄어족과 동계라는 설.
  • 폰틱어족: 북서 코카서스어족과 동계라는 설.
  • : 셈족어와 동계라는 설.
  • 대어족 가설: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일본어, 추크치-캄차카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등과의 관계를 주장하는 설(그린버그의 유라시아 대어족설이 대표적), 더 나아가 아프로-아시아어족이나 드라비다어족 등과의 관계(노스트라틱 대어족설), 궁극적으로는 세계 조어와의 관계를 논하는 설(루렌이 주로 주장) 등이 있다.

3. 하위 어파

인도유럽어족의 어파들은 언어연대학적으로 추정한 분기 시점이 빠른 순서대로 나열된다.[58][59][60]

어파조어설명현대 언어
아나톨리아어파아나톨리아조어모두 사멸함. 가장 잘 문증된 것은 히타이트어.없음
토하라어파토하라조어중국 북서부의 기원후 6 ~ 8세기 문헌으로 기록되었으며 현재는 사멸함.없음
이탈리아어파이탈리아조어여러 언어가 속했으나 현재는 라틴어의 후손인 로망스어군만 남음.포르투갈어, 갈리시아어,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오크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레토로망스어, 루마니아어, 아로마니아어, 사르데냐어
켈트어파켈트조어한때 유럽의 넓은 지역에서 쓰였으나 현재는 유럽 서북단에서만 쓰임.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웨일스어, 브르타뉴어, 콘월어, 맨어
게르만어파게르만조어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사멸), 북게르만어군으로 분기함.영어, 독일어, 아프리칸스어, 네덜란드어, 이디시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프리슬란트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발트슬라브어파발트슬라브조어발트어파슬라브어파로 분기함.발트어파: 라트비아어리투아니아어; 슬라브어파: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불가리아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인도이란어파인도이란조어인도아리아어군,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으로 분기함.인도아리아어군: 힌두스탄어 (힌디어우르두어), 벵골어, 싱할라어, 펀자브어, 다르드어군 등; 이란어파: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발루치어, 쿠르드어, 자자어, 오세트어, 루르어, 탈리시어, 타트어, 길란어, 마잔다란어, 셈난어 등; 누리스탄어군
아르메니아어아르메니아조어동아르메니아어, 서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파그리스조어현대 그리스어, 폰토스 그리스어, 차코니아어
알바니아어알바니아조어알바니아어는 독자적인 어파를 이룬다.[61]알바니아어



둘 이상의 어파를 한데 묶은 이탈리아켈트어파, 그리스아리아어파, 그리스아르메니아어파, 그리스프리기아어파, 다키아트라키아어파, 트라키아일리리아어파 등의 가설이 제안된 바 있다.

4. 음운론

(J. E. Rasmussen, Kloekhorst)음절 동소이음유음전동음*rrowspan="3" |측음*l반모음rowspan="2" |rowspan="2" |*yrowspan="2" |*wrowspan="2" |rowspan="2" |rowspan="2" |*i*u음절 동소이음



모든 유성음(즉, 비음, 유음 및 반모음)은 음절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y와 *w의 음절 동소이음은 각각 표면 모음 *i와 *u로 실현된다.

인도유럽조어는 18세기에 당시 알려져 있던 인도와 유럽의 여러 언어, 즉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의 공통 기원으로서 제안되었다. 초기에는 다른 언어와 떨어져 있던 아나톨리아어파와 토카리아어파는 인도유럽어에 포함되지 않았고, 후두음 이론도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어파의 존재가 명확해지고 히타이트어에서 후두음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붕괴기 약 1000년 전에 먼저 아나톨리아어파가, 그 뒤를 이어 토카리아어파가 분화했다는 형태로 이론적으로 통합되었다. 현재는 인도유럽조어의 성질, 역사, 원향을 재구성할 때 이들 두 어파의 존재도 고려되고 있다.

인도유럽조어는 문자를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며, 음운 및 어형은 모두 딸 언어를 바탕으로 한 비교 재구와 내적 재구에 의한 것이다. 인도유럽조어의 단어에는 그것이 재구성된 형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별표)가 붙는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단어 대부분은 조어의 하나의 원형을 바탕으로 일정한 음운 변화 법칙에 따라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예시 단어: *wódr̥ (물), *k̑wṓn (개), *tréyes (3, 남성형)

인도유럽조어에서 자손 언어가 갈라져 나올 때, 자손 언어에 따른 음운 변화 법칙에 의해 음운 체계가 변화했다. 주요 음운 변화 법칙은 다음과 같다.



인도유럽조어는 다음과 같은 음소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양순음설첨음구개화연구개음원순화후두음
무성 폐쇄음ptk
유성 폐쇄음bdǵg
유기 폐쇄음ǵʰgʷʰ
비음mn
마찰음sh₁, h₂, h₃
유음, 반모음wr, ly



이 표에서는 최근 출판물에서 가장 일반적인 표기법을 채택했다. 위첨자 ʰ는 유기음을 나타낸다. 또한 후두음 이론에서는 위 표의 유성 폐쇄음이 인두화음 또는 방출음일 가능성도 있으며, 유성 유기음은 무성 유기음이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4. 1. 강세

인도유럽조어의 강세는 어휘적 강세로 재구되며, 음절의 높낮이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음정강세 언어였다고 여겨진다. 강세 위치는 모음교체(특히 일반급 모음(/e/, /o/)과 영급(모음 탈락)의 교체)와 관련이 있지만, 완전히 예측할 수는 없다.

이 강세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명사의 경우) 고대 그리스어에 가장 잘 보존되어 있으며, 게르만어파베르너의 법칙과 같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여러 현상에서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인도유럽어의 강세에 대한 자료는 발트-슬라브어의 강세 체계와 히타이트 설형문자의 'plene' 철자법이기도 하다.[35]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그리스어의 강세 차이 등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은 각 형태소가 고유한 음조를 가진 성조 언어로 인도유럽조어를 재구성하기도 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단어의 음조 순서는 이후 서로 다른 인도유럽어족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어휘적 강세의 배치로 변화했다.[35]

5. 형태론

인도유럽조어는 융합어의 일종으로, 접사와 모음교체를 통해 명사와 동사의 굴절을 표시하는 특징을 지녔다. 문장의 주어는 주격으로 나타났으며, 동사는 주어의 수와 인칭은 물론 서법, 시제, 상, 에 따라서도 변화했다.[36]

5. 1. 어근

인도유럽조어의 어근접사가 붙지 않은 형태소로서, 단어의 어휘적 의미의 핵심을 이루고 연관된 단어들이 파생되는 기초가 되었다. 인도유럽조어는 단어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굴절접사를 사용하는 굴절어였다. 따라서 인도유럽조어에서 접사가 붙지 않고 어근이 홀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었다. 인도유럽조어에서는 어근에 접미사가 붙어 어간을 이루었고, 어간에 굴절접미사가 붙어 단어를 이루었다.[36]

원시 인도 유럽어의 명사와 동사는 주로 어근으로 구성되었는데, 어근은 어휘의 핵심 의미를 지닌 접사가 없는 형태소였다. 이 어근을 사용하여 관련 단어를 파생시켰다. (예: 영어 어근 "-friend-"에서 'friendship', 'friendly', 'befriend'와 같은 관련 단어, 그리고 'unfriend'와 같은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가 파생됨).[36]

5. 2. 모음교체

많은 형태소는 단모음 e를 고유 모음으로 갖고 있었다. 인도유럽조어 모음교체는 이 단모음 e를 단모음 o로, 장모음 ē로, 장모음 ō로 교체하거나 모음을 탈락시키는 현상이다.[51] 이 같은 모음교체는 굴절형태론과 파생형태론 양쪽에서 일어났다. 예컨대 어느 명사나 동사의 서로 다른 문법적 형태는 서로 다른 모음을 지닐 수 있었고, 어느 동사와 거기서 파생된 추상명사도 서로 다른 모음을 지닐 수 있었다.[51]

인도유럽조어에서 모음교체를 통해 구별되었던 범주들은 굴절접미사를 통해서도 구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후에 몇몇 인도유럽어에서는 그런 굴절접미사가 소실됨에 따라 오직 모음교체로만 문법 범주를 구별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영어의 sing, sang, sung과 같은 단어들이 있다.

5. 3. 명사

인도유럽조어의 명사는 8개 또는 9개의 격에 따라 굴절했으며, 3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이 있었다.[37]

후기 원시 인도유럽어에는 세 가지 이 있었다.

이 시스템은 아나톨리아어파에서 증명되는 더 오래된 두 성 시스템(공통 성(또는 생명체 성)과 중성(또는 무생물 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성 성은 후기 언어 시대에만 생겨났다.[38]

모든 명사는 세 가지 를 구분했다.

이 수들은 동사에서도 구분되었으며, 주어 명사와 일치해야 했다.

명사는 굴절에 따라 모음어간 명사와 자음어간 명사의 두 종류로 크게 나뉜다. 모음어간 명사의 어간은 접미사 "-o-"(호격에서는 "-e-")로 형성되며, 모음교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자음어간 명사는 모음어간 명사보다 기원이 오래되었으며, 모음교체의 양상과 초기 원시어에서는 억양의 위치에 따라 더 세분된다.

다음은 Beekes(1995)[53]와 Ramat(1998)가 제시한 인도유럽조어 명사 굴절표이다.

rowspan="4" |(Beekes 1995)(Ramat 1998)
자음어간 명사모음어간 명사
통성중성통성중성남성중성
단수복수이중수단수복수이중수단수복수이중수단수복수단수복수이중수단수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도구격
탈격
처소격
호격


5. 4. 대명사

인도유럽조어의 대명사는 후손 언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재구하기 어렵다.[62] 인도유럽조어에는 1인칭과 2인칭 대명사가 있었지만, 3인칭 대명사는 없었고 지시대명사가 대신 쓰였다.[62] 인칭대명사는 고유한 형태와 굴절접미사를 지녔으며, 두 개의 어간을 지닌 것도 있었다.[62] 1인칭 단수의 경우 영어의 'I'와 'me'처럼 두 어간이 보존되어 있다.[62] 대격, 속격, 여격은 강세형과 전접어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62]

인도유럽조어 인칭대명사[62]
rowspan="2" |1인칭2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h₁eǵ(oH/Hom)|h₁eǵ(oH/Hom)ine*wei|weiine*tuH|tuHine*yuH|yuHine
대격*h₁mé, *h₁me|h₁mé, h₁meine*nsmé, *nōs|nsmé, nōsine*twé|twéine*usmé, *wōs|usmé, wōsine
속격*h₁méne, *h₁moi|h₁méne, h₁moiine*ns(er)o-, *nos|ns(er)o-, nosine*tewe, *toi|tewe, toiine*yus(er)o-, *wos|yus(er)o-, wosine
여격*h₁méǵʰio, *h₁moi|h₁méǵʰio, h₁moiine*nsmei, *ns|nsmei, nsine*tébʰio, *toi|tébʰio, toiine*usmei|usmeiine
도구격*h₁moí|h₁moíine*nsmoí|nsmoíine*toí|toíine*usmoí|usmoíine
탈격*h₁med|h₁medine*nsmed|nsmedine*tued|tuedine*usmed|usmedine
처격*h₁moí|h₁moíine*nsmi|nsmiine*toí|toíine*usmi|usmiine


5. 5. 동사

인도유럽조어 동사는 명사와 마찬가지로 모음교체 현상을 보였다. 인도유럽조어 동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범주는 문법상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문법상 구분이 있었다.

동사의 서법은 적어도 4가지가 있었다.

동사의 는 2가지가 있었다.

동사는 주어의 3개 인칭(1, 2, 3인칭)과 3개 수에 일치했다.

또한 분사 체계가 정교하게 발달되어 시제와 태의 조합 하나하나에 대응하는 분사가 있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동사파생 명사와 형용사가 있었다.

다음은 앤드루 실러에 따른 인도유럽조어 동사 어미 재구형으로, 대체로 현재 인도유럽어학계에서 합의된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63]

colspan="2" rowspan="2" |Sihler (1995)[40]
무모음어간모음어간
단수1인칭**
2인칭**
3인칭**
이중1인칭**
2인칭**
3인칭**
복수1인칭**
2인칭**
3인칭**


5. 6. 수사

인도유럽조어의 수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재구된다.[63][40][57]

수사영어Sihler[63]Beekes 1995[53]
1one*(H)óynos/*(H)óywos/*(H)óyk(ʷ)os; *sḗmineHoi(H)nosine
2two*d(u)wóh₁ineduoh₁ine
3three*tréyesine (완전모음형), *tri-ine (무모음형)treiesine
4four*kʷetwóresine (o-모음형), *kʷ(e)twr̥-ine (무모음형) (kʷetwóres 규칙 참고)kʷetuōrine
5five*pénkʷeinepenkʷeine
6six*s(w)éḱsine; 어쩌면 원래는 *wéḱsine(s)uéksine
7seven*septḿ̥ineséptmine
8eight*oḱtṓ(w)ine 또는 *h₃eḱtṓ(w)ineh₃eḱteh₃ine
9nine*h₁néwn̥ine(h₁)néunine
10ten*déḱm̥(t)inedéḱmtine
20*wīḱm̥t-ine 또는 *wi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duidḱmtiine
30*trīḱomt-ine 또는 *tri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trih₂dḱomth₂ine
40*kʷetwr̥̄ḱomt-ine 또는 *kʷetwr̥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kʷeturdḱomth₂ine
50*penkʷēḱomt-ine 또는 *penkʷe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penkʷedḱomth₂ine
60*s(w)eḱsḱomt-ine 또는 *weḱs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ueksdḱomth₂ine
70*septm̥̄ḱomt-ine 또는 *septm̥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septmdḱomth₂ine
80*oḱtō(u)ḱomt-ine 또는 *h₃eḱto(u)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h₃eḱth₃dḱomth₂ine
90*(h₁)newn̥̄ḱomt-ine 또는 *h₁newn̥dḱomt-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h₁neundḱomth₂ine
100*ḱm̥tomine 또는 *dḱm̥tomine가 고형일 가능성 있음dḱmtómine
1000*ǵheslo-ine 또는 *tusdḱomtiineǵʰesl-ine



많은 언어에서 100을 뜻하게 된 *ḱm̥tómine의 원래 뜻은 “큰 숫자”였을지도 모른다.[64][41] 레만은 10보다 큰 수는 조어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조어 내의 몇몇 그룹에서 독자적으로 생성되었다고 주장하며, *ḱm̥tómine의 의미는 100이라기보다는 "큰 수"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5. 7. 불변화사

인도유럽조어 불변화사는 ‘아래, 밑’을 뜻하는 처럼 부사로도 후치사로도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후손 언어에서 후치사는 전치사로 변했다. 그 밖에 재구 가능한 불변화사로는 부정극어(, ), 접속사( ‘그리고’, ‘또는’ 등등), 감탄사(, 슬픔이나 고통을 나타냄) 등이 있다.[1]

6. 통사론

인도유럽조어는 굴절어였기 때문에, 문장 안의 통사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어순보다는 형태론적 표지에 의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유럽조어에는 기본 어순이 있었다고 여겨진다.[66]

야콥 바케르나겔은 베다 산스크리트어를 근거로 인도유럽조어의 기본 어순이 SVO형이었다고 주장했다.[45] 지금도 SVO 가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오늘날 거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인도유럽조어의 기본 어순이 SOV형이었다고 생각한다.[66] 한스 헨리히 호크는 SVO 가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지만, 원인도유럽어 학자들 사이의 "넓은 합의"는 원인도유럽어가 SOV 언어였을 것이라는 점이다.

고대 인도아리아어, 고대 이란어, 상고 라틴어, 히타이트어는 SOV가 기본 어순이었고 강조를 위해 다른 어순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동사를 강조하기 위해 VSO형 어순을 사용하는 식이었다.) 토하르어의 전접어 인칭대명사에서도 그러한 어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67]

후기 인도유럽조어에서 OV 어순에서 VO 어순으로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데, 여러 후손 언어들이 VO 어순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현대 그리스어, 로망스어군, 알바니아어는 SVO 어순을 선호하고, 도서 켈트어군은 VSO 어순이 기본이다. 심지어 아나톨리아어파에서도 이러한 어순 변화의 징후가 나타난다. 발트어파, 슬라브어파, 게르만어파에서 선호되는 어순이 일관되지 못한 이유는 바깥의 OV 언어와의 접촉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68]

7. 화자

인도유럽조어를 사용했던 화자는 공동체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을 원시 인도유럽인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단일 민족 또는 인종이었다는 보장은 없다. 19세기 후반 이후 특히 나치 독일에서는 이것을 두고 "아리아 민족"(본래 아리아인의 뜻은 인도이란인이다.)이라는 이름으로 불렀고, 독일인 등이 그 직계 자손인 것처럼 선전되었다(아리아 인종 우월론).[51]

인도유럽조어와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인도유럽조어보다 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기 위해서는 모두 추측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므로, 이러한 가설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

7. 1. 사회

인도유럽조어를 사용했던 화자 집단의 사회는 어휘(또는 민속학, 신화학 등의 지식도 참고)에서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목축과 농경이 주요 생업이었다. 일부 집단은 나중에 유목 생활에 들어가 정주적인 목축과 농경을 하는 집단의 주위에 펼쳐진 스텝 지역에서 생활하였다. 가축에는 , , 돼지가 있었으며 가축은 대표적 재산이기도 했다. 나중에는 수레을 끌기 위한 용도로 말과 소를 이용하였다. 또한 바다 또는 호수 등이 있었으나, 어업·항해는 별로 활발하지 않았다. 금속의 경우에는 아마 ·의 존재를 잘 알고 있었으나, 일상적으로는 순동기를 사용하였다(동기 시대).

사회 제도는 가부장제이며, 영어의 sister 등의 기원이 된 단어는 "자신의 여자"로 해석되기 때문에 족외혼제였을 가능성도 높다. 제사, 전사, 평민의 3계급으로 되어 있었다.

그들은 신들이 하늘에 있다고 생각했으며, 최고신을 "디에우스 프테르"로 불렀다고 한다. 또한 "새벽의 여신(heusos)"(그리스의 에오스, 로마의 아우로라 등)도 기원이 이 시대로 올라간다.

7. 2. 지역·연대

인도유럽조어의 화자 집단이 언제, 어디에 살고 있었는지는 고고학적으로 그들의 사회의 모습과 함께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 기원지에 대한 가설로는 크게 5,000-6,000년 전의 흑해·카스피해 북쪽(현재의 우크라이나)이라고 하는 쿠르간 가설과 8,000-9,500년 전의 아나톨리아(현재의 터키)로 하는 아나톨리아 가설이 있다. 그밖에 아르메니아고원을 기원지로 하는 아르메니아 가설도 있다.

쿠르간 가설에 따른 폰토스 대초원에서 시작된 초기 인도유럽어족의 이동


학자들은 인도유럽조어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을 제시해 왔다. 1956년 마리야 짐부타스가 처음 제안한 쿠르간 가설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8][19] 이 가설은 인도유럽조어의 원어 사용자들이 흑해 북쪽 폰토스-카스피해 대초원의 쿠르간(매장 봉분)과 관련된 야므나야 문화였다고 제안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그들은 유목 목축민이었으며 말을 가축화하여 마차와 전차를 이용하여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19] 기원전 3천년대 초, 그들은 폰토스-카스피해 대초원 전역과 동유럽으로 확장되었다.[20]

다른 이론으로는 아나톨리아 가설[21]이 있는데, 이는 기원전 7,500년~6,000년경 농업이 시작되면서 인도유럽조어가 아나톨리아에서 퍼져나갔다고 주장한다.[22] 아르메니아 가설, 구석기 연속성 패러다임, 그리고 토착 아리아인 이론도 있다. 이 중 후자 두 이론은 학계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23][24] 인도유럽조어의 원산지에 대한 모든 이론 중에서 쿠르간 가설과 아나톨리아 가설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서로 가장 많이 논쟁되는 이론이기도 하다.[25] 2015년 고대 DNA에 대한 여러 연구가 발표된 후, 아나톨리아 가설의 원 저자이자 제안자인 콜린 렌프류는 폰토스 대초원에서 북서유럽으로 하나 또는 여러 인도유럽어족을 사용하는 인구의 이동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였다.[26][27]

참조

[1] 웹사이트 Indo-European languages – The parent language: Proto-Indo-European https://www.britanni[...] 2021-09-19
[2] 웹사이트 Archaeology et al: an Indo-European study https://www.ed.ac.uk[...]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18-12-01
[3] 웹사이트 Linguistics https://www.britanni[...] 2024-08-09
[4] 웹사이트 Telling Tales in Proto-Indo-European http://www.archaeolo[...] 2017-07-30
[5] 웹사이트 Linguistics – The comparative method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6-07-27
[6] 백과사전 Comparative linguistics https://www.britanni[...] 2016-08-27
[7] 백과사전 Sir William Jones, British orientalist and jurist https://www.britanni[...] 2016-09-03
[8] 서적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9] 서적 A Companion to Archaeology http://www.rogerblen[...] Basil Blackwell
[10] 웹사이트 The Sanskrit Connection: Keeping Up With the Joneses http://web.cn.edu/kw[...] Carson–Newman University 2013-04-16
[11] 서적 From Philology to English Studies: Language and Culture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백과사전 Franz Bopp, German philologist https://www.britanni[...] 2016-08-26
[13] 백과사전 Grimm's law, linguistics https://www.britanni[...] 2016-08-26
[14] 백과사전 Neogrammarian, German scholar https://www.britanni[...] 2016-08-26
[15] 백과사전 August Schleicher, German linguist https://www.britanni[...] 2016-08-26
[16] 서적 Mémoire sur le système primitif des voyelles dans les langues indo-européennes http://archive.org/d[...] Leipsick : B. G. Teubner
[17] 논문 ''ə'' indo-européen et ''ḫ'' hittite Uniwersytet Jagielloński
[18]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Mysterious Indo-European homeland may have been in the steppes of Ukraine and Russia https://www.science.[...] 2015-02-17
[20] 학술지 Primary and Secondary Homeland of the Indo-Europeans: comments on Gamkrelidze-Ivanov articles
[21] 학술지 Mapping the Origins and Expansion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http://pubman.mpdl.m[...] 2012-08-24
[22] 학술지 Ancestry-constrained phylogenetic analysis supports the Indo-European steppe hypothesis https://muse.jhu.edu[...]
[23] 서적 India: Historical Beginnings and the Concept of the Aryan National Book Trust
[24] 웹사이트 Another Great Story https://inference-re[...]
[25]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6] Youtube Marija Redivia : DNA and Indo-European origins https://www.youtube.[...]
[27] 학술지 L'indo-européen n'est pas un mythe
[28] 서적 Structuring Variation in Romance Linguistics and Beyond: In Honour of Leonardo M. Savoi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9] 웹사이트 Perfect Phylogenetic Networks: A New Methodology for Reconstruc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Natural Languages, pg. 396 http://www.cs.rice.e[...] 2010-09-22
[30] 서적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A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a Proto-Language and a Proto-Culture Mouton de Gruyter
[31] 학술지 Kartvelian and Indo-European: a typological comparison of reconstructed linguistic systems
[32]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34] 학술지 On the place of Phrygian among the Indo-European languages
[35] 학술지 Proto-Indo-European tones https://api.semantic[...]
[36]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37]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023-03-08
[38] 서적 The Sanskrit Language Motilal Banarsidass Publ.
[39]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5
[40] 서적 New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Oxford Univ. Press 1995
[41] 서적 Theoretical Bases of Indo-European Linguistics https://archive.org/[...] Routledge
[42]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Balto-Slavic Accent
[43]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Balto-Slavic Accent
[44] 백과사전 Preface John Benjamins
[45] 백과사전 Proto-Indo-European verb-finality: Reconstruction, typology, validation John Benjamins
[46] 서적 Proto-Indo-European Syntax https://liberalarts.[...] University of Texas Press
[47] 서적 Proto-Indo-European to Proto-Germanic Oxford University Press
[48] 학술지 Proto-Indo-European Syntax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백과사전 Proto-Indo-European Taylor & Francis
[50] 기타
[51] 학술지 The Origins of Proto-Indo-European: The Caucasian Substrate Hypothesis https://www.research[...]
[52] 학술지 I.-E. palatovelars before resonants in Balto-Slavic https://hdl.handle.n[...] The Hague
[53]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ohn Benjamins
[54] 참고자료
[55] 참고자료
[56]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7] 서적 New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Oxford University Press
[58] 학술지 Mapping the Origins and Expansion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http://pubman.mpdl.m[...] 2012-08-24
[59] 웹인용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www.phil.muni[...] 2016-07-30
[60] 학술지 Language-tree divergence times support the Anatolian theory of Indo-European origin http://language.psy.[...] Auckland 2019-10-16
[61] 웹인용 Perfect Phylogenetic Networks: A New Methodology for Reconstruc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Natural Languages, pg. 396 http://www.cs.rice.e[...] 2010-09-22
[62]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5
[63] 서적 New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Oxford Univ. Press 1995
[64] 서적 Theoretical Bases of Indo-European Linguistics Routledge
[65] 백과사전 Preface John Benjamins
[66] 백과사전 Proto-Indo-European verb-finality: Reconstruction, typology, validation John Benjamins
[67] 백과사전 Proto-Indo-European Taylor & Francis
[68] 서적 Proto-Indo-European Syntax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