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383년에 태어나 1451년에 사망한 사보이아의 공작이자 대립 교황 펠릭스 5세이다. 그는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7세의 아들로, 8세의 나이에 아버지의 사망으로 사보이아 백작위를 계승했다. 초기 통치 기간 동안 사보이아 영토를 확장하고 권력을 중앙 집권화했으며, 1416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로부터 공작으로 승격되었다. 1430년대에 바젤 공의회와 교황 에우제니오 4세 간의 갈등에서 공의회주의 편에 서서 대립 교황으로 선출되어 펠릭스 5세로 즉위했으나, 1449년에 교황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제네바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립교황 - 대립교황 요한 23세
    대립교황 요한 23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기에 활동한 발다사레 코사로, 피사 공의회에서 선출된 알렉산데르 5세의 뒤를 이어 대립교황이 되었으나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폐위되었다.
  • 대립교황 -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1378년 서방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우르바노 6세의 선출에 반대하는 추기경들에 의해 선출되어 아비뇽을 중심으로 교황청을 운영했으나 재정난을 겪고 1394년 사망했다.
  • 1383년 출생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1383년 출생 -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는 초기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화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의 조수로 시작하여 마사초와 함께 브란카치 예배당 벽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혁신성은 부족하나 서정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다.
  • 제네바 백작 -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1378년 서방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우르바노 6세의 선출에 반대하는 추기경들에 의해 선출되어 아비뇽을 중심으로 교황청을 운영했으나 재정난을 겪고 1394년 사망했다.
  • 제네바 백작 -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490년부터 1496년까지 사보이아 공국을 다스렸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후계 구도를 복잡하게 만들었고, 어머니의 섭정 시절 프랑스 군대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했으며, 사촌인 필리포 2세가 공작위를 계승하는 과정에서 상속권 주장이 제기되었다.
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뉘른베르크 연대기 f 242v 2 (펠릭스 5세)
뉘른베르크 연대기(1493)에 있는 대립교황 펠릭스 5세의 초상화
이름아메데오 8세 디 사보이아
다른 이름대립교황 펠릭스 5세
별칭태평왕
작위
작위사보이아 백작
재임 기간1391년 - 1416년
이전아메데오 7세
작위사보이아 공작
재임 기간1416년 - 1440년
생애
출생일1383년 9월 4일
출생지샹베리
사망일1451년 1월 7일
사망지제네바
가문
가문사보이아 가
아버지아메데오 7세
어머니본 드 베리
결혼 및 자녀
배우자마리 드 부르고뉴 (1386년 결혼, 1428년 사망)
자녀마리아
루도비코 1세
마르게리타
통치
섭정본 드 부르봉 (1391년–1397년)
섭정루도비코 1세 (대략 1434년 – 1440년 2월 5일)
종교적 역할
직책대립교황
즉위1440년 7월 24일
종료1449년 4월 7일
이전 교황에우제니오 4세
반대한 교황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서품해당 정보 없음
축성1440년 7월 24일
문장

2. 초기 생애와 통치

아메데오 8세는 1383년 9월 4일 샹베리에서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7세와 베리의 보네 사이에서 태어났다.[2] 1391년 아버지 아메데오 7세가 사망하면서 8세의 어린 나이로 사보이아 백작위를 계승했다. 초기에는 어머니 보네 드 베리가 섭정을 맡았다.[4]

그의 초기 통치는 권력의 중앙집권화와 사보이아 국가의 영토 확장에 초점을 맞추었다.[2] 그는 "온화공"(il Pacifico)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 1. 사보이아 가문의 통합

아메데오 8세는 1383년 9월 4일 샹베리에서 아메데오 7세 디 사보이아 백작과 베리의 보네의 아들로 태어났다.[2] 그는 어린 시절 사시를 앓았다.[3] 1391년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8세의 나이로 사보이아 백작위를 계승했고, 그의 어머니가 섭정을 맡았다.[4] 그의 아버지 아메데오 7세는 유언에서,[5] 아내 보네 드 베리 대신 그의 어머니인 보네 드 부르봉을 아메데오 8세의 섭정으로 임명했다.[6] 아메데오 8세의 할머니는 1397년까지 그의 미성년 기간 동안 섭정 역할을 했다.[2]

아메데오 8세는 어린 시절, 두 명의 남동생을 포함하여 사보이아 가문의 많은 남자 친척들이 사망하는 것을 겪었다. 이로 인해 그는 사보이아 가문의 유일한 남성 상속자가 되었다. 그는 분할되어 있던 사보이아 백국 내의 영토를 직할령으로 통합하여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를 건설했다. 1418년, 그의 먼 사촌 피에몬테의 루이가 사망하면서, 아메데오는 그의 일반 상속인이 되어 마침내 사보이아 가문의 남성 계통을 통합했다.

2. 2. 외교와 영토 확장

아메데오는 백년 전쟁 기간 동안 프랑스, 잉글랜드,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능숙한 외교를 펼쳤다. 1416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로부터 사보이아 공작으로 승격되었다.[2] 1401년부터 1422년까지 제네바와 안시 주변 지역을 되찾기 위한 원정을 벌였다.[2]

3. 대립 교황 펠릭스 5세

아메데오 8세는 공의회주의 운동에 동조하여 바젤 공의회(1431년-1449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교황 수위권 교리에 제한을 두려는 아를의 알레망 추기경 등 고위 성직자들에게도 호의적이었다.[8][9] 1439년, 공의회주의자들의 요청에 따라 '''교황 펠릭스 5세'''로 즉위하여 사보이아 공작 문장과 교황관을 결합한 문장을 제정하고 교황 의복과 지팡이를 사용했다. 1440년, 아들 루도비코에게 사보이아 공작위를 물려주었다.

피우스 2세 등 후대 교황들은 아메데오 8세를 교회에 등을 돌린 불신자로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보이아 가문에게 그는 이탈리아 통일의 발판을 마련한 중흥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자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 의해 교황령이 폐지되면서 교황은 세속 권력을 잃게 되었다.

3. 1. 바젤 공의회와 교황 에우제니오 4세의 대립

1431년 바젤 공의회가 스위스에서 개최되자,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반대하는 공의회주의자들이 교황 지지파와 대립하며 논쟁을 벌였다.[8] 1437년 교황 측이 공의회를 정교회와 합동 개최하기 위해 피렌체 공의회로 이전을 발표하면서 공의회는 분열되었고, 교황을 따라 피렌체-페라라 공의회로 이동하는 측과 바젤 공의회에 잔류하는 측으로 나뉘었다.

바젤에 남은 급진적인 공의회주의자들은 교황권보다 공의회의 권위를 주장하며, 교황을 공의회에서 선출하는 제도를 제창했다. 이들은 공의회에 대항한 교황 에우제니오 4세를 퇴위시키고,[9] 바젤 공의회의 후원자였던 아메데오 8세를 새로운 교황으로 추대했다.

3. 2. 펠릭스 5세의 선출과 통치

1431년 스위스에서 열린 바젤 공의회에서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반대하는 공의회주의자들이 교황 지지파와 대립했다. 1437년 교황 측이 정교회와의 합동 공의회를 위해 이탈리아 피렌체 공의회로 공의회 이전을 발표하면서, 공의회는 교황을 따라 피렌체로 이동하는 파와 바젤에 잔류하는 파로 분열되었다.

바젤에 남은 급진파 공의회주의자들은 교황권보다 공의회의 권위가 우선한다고 주장하며, 공의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제도를 제창했다. 이들은 에우제니오 4세의 퇴위를 선언하고, 바젤 공의회 후원자였던 아메데오 8세를 새 교황으로 추대했다. 1439년 아메데오 8세는 공의회주의자들의 요청으로 '''교황 펠릭스 5세'''로 즉위, 사보이아 공작 문장과 교황관을 결합한 문장을 제정하고 교황 의복과 지팡이를 사용했다.[13] 1440년에는 아들 루도비코에게 사보이아 공작위를 물려주었다.

아이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를 포함한 대표단이 리파유의 아메데오에게 파견되어, 1439년 12월 15일 도착 후 협상을 거쳐 1440년 2월 5일 아메데오는 교황 선출에 동의했다. 펠릭스라는 교황명은 알레만 추기경이 제안했으며,[13] 펠릭스 5세는 바젤 공의회가 제정한 취임 선서를 했다.[14]

이후 양측 교황과 공의회는 대립했으나, 에우제니오 4세의 피렌체 공의회는 여러 개혁을 실시하고 가톨릭-정교회 합동 결의 등 성과를 냈다. 반면 바젤 공의회는 과격한 사상으로 신뢰를 잃고, 1443년 재정난으로 로잔으로 이동했다. 불리한 상황에서 바젤 공의회파 제후들이 피렌체 공의회를 지지하게 되었고, 1449년 후임 교황 니콜라오 5세가 바젤 공의회 폐회를 선언하자 펠릭스 5세도 1449년 4월 7일 교황직을 사임했다.[22]

3. 3. 분열의 종식과 퇴위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펠릭스 5세 그리고 피렌체 공의회와 바젤 공의회는 오랫동안 대립했다.[8][9] 1437년 교황측이 정교회와 합동 개최를 위해 공의회를 이탈리아(피렌체 공의회)로 이전을 발표하면서 공의회는 분열되었다. 바젤에 남은 급진적인 공의회주의자들은 교황보다 공의회의 권위를 주장하며, 교황을 공의회에서 선출하는 제도를 제창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의회는 에우제니오 4세를 퇴위시키고, 바젤 공의회의 후원자였던 아메데오 8세를 새로운 교황으로 추대하여 펠릭스 5세로 즉위하였다. 1440년 아메데오 8세는 사보이아 공위를 아들인 루도비코에게 양위했다.

그 후, 양 교황과 양 공의회는 대립을 이어갔지만, 에우제니오 4세 치하에서 피렌체 공의회는 여러 개혁을 실시했고, 가톨릭과 정교회의 합동을 결의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바젤 공의회는 사상의 과격함 때문에 신용을 잃었고, 1443년에는 재정난으로 인해 사보이아 공국령의 로잔으로 이동해야 했다.[16] 불리해짐에 따라 바젤 공의회파 제후들이 등을 돌리기 시작했고, 점차 피렌체 공의회를 지지하게 되었다. 1449년 후임 교황 니콜라오 5세에 의해 바젤 공의회가 폐회되자,[22][23][24] 펠릭스 5세도 이에 따라 1449년 4월 7일에 교황위 청구권을 포기하고 세속 군주로 돌아갔다.[22]

4. 만년과 유산

교황 니콜라오 5세는 1449년 4월 7일 아메데오 8세를 추기경으로 임명했다.[25] 같은 해 4월 23일, 아메데오 8세는 사비나 교외 주교[26]이자 교황 사절로 임명되었으며, 사보이 공작 영토와 로잔 교구의 사도 대리직을 맡았다.[2][27]

아메데오 8세는 1451년 1월 7일 제네바에서 사망하여[29] 1월 9일 리파유에 안장되었다.[30] 교황 니콜라오 5세는 1451년 4월 30일에 아메데오 추기경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교황 서한을 작성했다.[31]

5. 가족 관계

아메데오 8세는 1401년 부르고뉴 공국의 필리프 2세의 딸인 마리 드 부르고뉴와 결혼하여 슬하에 9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그 중 4명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2]

5. 1. 자녀

아메데오 8세는 1401년에 부르고뉴 공국의 필리프 2세 (용담공)의 딸이자 어머니의 사촌인 마리 드 부르고뉴와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5명이 성인이 되었다.[2]

이름출생사망비고
마르게리타1405년 5월 13일1418년
안토니오1407년 9월1407년 12월 12일 이전
안토니오1408년1408년 10월 10일 이후
마리1411년 1월 말1469년 2월 22일밀라노 공국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2]
피에몬테 공자 아메데오1412년 3월 26일1431년 8월 17일요절하기 전까지 왕위 계승자
사보이의 루이1413년 2월 24일1465년 1월 29일아메데오 8세의 후계자
보나1415년 9월1430년 9월 25일
사보이의 필리포1417년1444년 3월 3일제네바 백작
마르게리타1420년 8월 7일1479년 9월 30일나폴리 왕국의 루이 3세와 결혼,[2] 라인 궁정 백작 루이 4세, 뷔르템베르크 백작 울리히 5세와 결혼


참조

[1] 문서 numbering of the popes
[2] HDS Felix V
[3] 서적 Le château de Ripaille https://books.google[...]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https://books.google[...]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서적 https://books.google[...]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서적 https://books.google[...]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Report of Cardinal Aleman to the Council of Basel https://books.google[...]
[15] 서적 Geschichte der Universität Basel von der Gründung 1460 bis zur Reformation 1529 https://books.google[...]
[16] 서적 https://books.google[...]
[17] 문서 De Mez had been named a cardinal by Felix V on 12 October 1440
[18] 서적 Mémoire historique sur l'élection des évêques de Genève. Second partie https://books.google[...]
[19] 서적 https://books.google[...]
[20] 문서 Eubel II, p. 158
[21] 서적 Histoire des Conciles: d'aprés les documents originaux https://books.google[...]
[22] 서적 Histoire des Conciles https://books.google[...]
[23] 서적 https://books.google[...]
[24] 서적 Histoire des Conciles https://books.google[...]
[25] 문서 Eubel II, p. 7, no. 8
[26] 문서 Eubel II, p. 29, no. 123
[27] 서적 Memorie storiche de' cardinali della santa Romana chiesa https://books.google[...]
[28] 서적 Mémoire historique sur l'élection des évêques de Genève. Second partie https://books.google[...]
[29] 서적 https://books.google[...]
[30] 서적 https://books.google[...]
[31] 서적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