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니콜라오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오 5세는 139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인물로, 1447년부터 1455년까지 교황으로 재위했다. 그는 볼로냐 주교를 거쳐 추기경에 서임된 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프리드리히 3세와 빈 협약을 체결하고, 펠릭스 5세를 사임시키며 바젤 공의회를 종식시키는 등 정치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로마 르네상스를 지원하여 바티칸 도서관을 설립하고, 도시의 인프라를 개선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막지 못했고, 포르투갈에 노예 무역을 허용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1455년 통풍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5년 사망 - 프라 안젤리코
프라 안젤리코는 르네상스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로,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의 특징을 아우르는 섬세한 색채, 고요한 분위기, 깊은 신앙심을 보여주는 종교화를 다수 제작하여 가톨릭 예술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 1455년 사망 - 최사유
최사유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39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02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익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영원군에 봉해졌다. - 1397년 출생 - 파올로 우첼로
파올로 우첼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원근법을 탐구하여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했으며, 《산 로마노 전투》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전투 장면의 혼란 속에서도 질서와 조화를 표현했다. - 1397년 출생 - 덕천군 (왕족)
덕천군은 조선 정종과 성빈 지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1460년 덕천군에 봉해졌으며, 백성을 돕고 이웃을 보살펴 '적덕공'이라 불린 인물이다.
교황 니콜라오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Nicolaus V |
이탈리아어 표기 | Niccolò V |
본명 | Tommaso Parentucelli |
교회 | |
소속 교단 | 가톨릭 교회 |
직위 | 로마 교황 |
임기 | |
재임 시작 | 1447년 3월 6일 |
재임 종료 | 1455년 3월 24일 |
선임자 | 에우제니오 4세 |
후임자 | 갈리스토 3세 |
서품 | |
서품 연도 | 1422년 |
서품자 | 니콜로 알베르가티 |
주교 서임 | |
서임일 | 1447년 3월 17일 |
서임자 | 프란체스코 콘둘메르 |
추기경 | |
서임일 | 1446년 12월 16일 |
서임자 | 에우제니오 4세 |
이전 직함 | 산타 수산나 성당의 추기경 사제, 볼로냐 교구장 (1444년–1447년)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397년 11월 15일 |
출생지 | 제노바 공화국, 사르차나 |
사망일 | 1455년 3월 24일 (57세) |
사망지 | 교황령, 로마 |
![]() |
2. 어린 시절
토마소 파렌투첼리는 1397년 사르차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약사 바르톨로메오 파렌투첼리였고, 어머니는 피비차노 출신의 안드레올라 보시였다.[2] 당시 사르차나가 속했던 루니지아나 지역은 토스카나, 리구리아, 밀라노 세력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사르차나는 파렌투첼리가 태어나기 3년 전 피렌체 공화국에서 제네바 공화국으로 점령되었다.[2] 그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2]
토마소 파렌투첼리는 1444년 피렌체 공의회에 참석하였다.[2] 1444년 볼로냐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볼로냐 시민들의 반발에 직면하였다. 이후 교황 특사로서 프랑크푸르트에서 신성 로마 제국과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2] 그 공로를 인정받아 1446년 12월 산타 수산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26][2] 1447년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어 니콜라오 5세로 즉위하였다.[26][2]
니콜라오 5세는 로마를 르네상스 정신에 걸맞은 도시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1450년 로마에서 성년(희년)을 개최하여 교황청 재정을 확충하고 이탈리아 문화 발전을 촉진했다.[26] 1452년에는 프리드리히 3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대관식을 로마에서 거행했는데, 이는 로마에서 열린 마지막 황제 대관식이었다.[8]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은 그의 치세에 큰 오점으로 남았다. 1452년 늦은 봄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는 메흐메트 2세의 침략이 임박하자 니콜라오 5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친서를 보냈다. 니콜라오 5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돕기 위해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힘을 하나로 모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대신에 그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10척의 교황령 함선을 제노바, 베네치아, 나폴리 함선들과 함께 보냈다. 하지만 함대가 도착하기 전에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함락되었고, 이들 함대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했다. 교황은 이 사건이 그리스도교 세계와 그리스 문학 모두의 참사라고 생각했다. 에네아 실비오(후의 교황 비오 2세)는 이 참사는 ‘호메로스와 플라톤을 두 번 죽인 일’이었다는 글을 남겼다.[19]
포르투갈의 노예제도 참고
파렌투첼리는 피렌체에서 스트로치 가문과 알비치 가문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로 일하면서, 여러 인문주의자 학자들과 교류했다.[2] 볼로냐와 피렌체에서 공부하여 1422년에 신학 학위를 받았다.[8] 그의 재능을 알아본 니콜로 알베르가티 주교는 그를 자신의 시종으로 삼고 독일, 프랑스, 영국 등지를 여행하며 공부할 기회를 주었다.[8] 파렌투첼리는 학구열이 높아 방문하는 곳마다 책을 수집했고, 그중 일부는 그의 주석과 함께 남아있다.[2]
3. 교황 선출과 정치적 업적
니콜라오 5세는 1448년 프리드리히 3세와 빈 협약을 체결하여 바젤 공의회의 결정 사항들을 철회시켰다.[26][8] 1449년에는 대립 교황 펠릭스 5세를 사임시키고 로잔에 모인 바젤 공의회 잔당으로부터 유일한 교황으로 인정받았다.[26][8]
4. 로마 르네상스와 문화적 후원
그는 로마 시의 요새를 강화하고, 시내를 청소하고 주요 도로를 포장했으며, 급수 시설을 복구하는 등 행정적인 문제에 먼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고대 로마 시대에 파괴된 수도교를 복구하는 데 힘썼는데, 아쿠아 비르고 수도교를 복구하고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에게 트레비 분수의 전신이 되는 수돗가를 만들도록 했다.[4]
또한 니콜라오 5세는 바티칸과 보르고 지구, 성 베드로 대성전 등 교황직과 관련된 시설을 개축하는 데 주력했다. 라테라노 궁전 개축을 위해 콜로세움 대리석을 사용하기도 했다. 프라 안젤리코에게는 라테라노 궁전과 바티칸 궁전 내 니콜린 예배당에 프레스코화를 그리도록 했다.[5]
니콜라오 5세는 인문주의를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이전까지 로마에서 이단으로 여겨졌던 인문주의를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그리스 학자들을 초빙하고, 로렌초 발라에게 그리스 역사책 번역을 맡기는 등 로마의 문화 수준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했다.[8] 이는 인쇄술 도입 이전에 지식의 범위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바티칸 도서관을 설립하여 9만 권의 서적을 수집하고 학자들의 연구를 지원했다.[6]
5.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말년
니콜라오 5세는 십자군 원정을 독려하고 이탈리아 국가들 간의 상호 적대감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는 수많은 서적들을 갖고 이탈리아로 오기 시작한 그리스 학자들로 인한 큰 결실을 볼 만큼 오래 살지 못했다. 1452년에는 스테파노 포르카리가 교황청을 전복하려던 음모를 꾸미다가 사전에 적발되어 진압되고 이에 관련된 모든 주모자가 처벌을 받았다.
1455년 3월 24일 니콜라오 5세는 통풍으로 선종했다.
6. 노예 무역 관련 교황 칙서와 논란
1452년 늦봄,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는 오스만 제국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임박한 포위 공격에 맞서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교황 니콜라오 5세에게 보냈다. 니콜라오 5세는 둠 디베르사스(Dum Diversas) 교황 칙서(1452년 6월 18일)를 발하여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 왕에게 "사라센인, 이교도 및 그리스도의 다른 적들을 발견되는 곳마다 공격하고, 정복하고, 복종"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 칙서는 십자군 전쟁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시작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9]
카나리아 제도의 소유권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의 분쟁 원인이었고, 니콜라오 5세는 이 문제 해결을 요청받았으며, 결국 포르투갈에 유리하게 결정했다. 교황 칙서에 주어진 양보의 지리적 범위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역사가 리처드 레이스웰은 이 칙서가 최근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발견된 땅을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고 본다.[10] 포르투갈의 사업은 수익성이 높은 이슬람 노예 무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서아프리카 금과 상아를 독점했던 무슬림 사하라 사막 횡단 대상과 경쟁하려는 의도였다.[11]
1454년, 카스티야 왕국의 엔리케 4세는 전쟁을 위협했고, 아폰수 5세는 교황에게 그녀가 발견한 땅에 대한 무역 독점권에 대한 포르투갈의 권리를 지지해 달라고 요청했다.[12]
1455년 1월 8일에 발효된 교황 칙서 ''로마누스 폰티펙스''(Romanus Pontifex)는 포르투갈의 세우타 소유권과 발견된 땅에서 무역, 항해 및 어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승인하고 이전의 ''둠 디베르사스''를 재확인했다.[13] 이 칙서는 포르투갈에게 모로코와 인도 사이의 독점적인 무역권을 부여하고, 주민을 정복하고 개종시킬 권리를 부여했다.[15] 또한, "...해당 지역의 사라센인과 불신자와 함께 어떤 물품과 상품, 식량이라도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대로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14]
이러한 칙서들은 포르투갈에게 아프리카 해안에서 노예를 얻을 권리를 부여한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13] 포르투갈은 현지 아프리카 추장 및 무슬림 노예 상인과 거래함으로써 수익성 있는 노예 무역에서 주요 유럽 주체가 되려고 했다. 이 칙서의 내용은 교황 칼릭스투스 3세 (1456년의 ''Inter Caetera quae''), 교황 식스토 4세 (1481년의 ''Aeterni regis'')에 의해 확인되었고,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칙서(''Eximiae devotionis'' (1493년 5월 3일), ''Inter Caetera'' (1493년 5월 4일), ''Dudum Siquidem'' (1493년 9월 23일))의 모델이 되어 스페인에 미국에서 새로 발견된 땅과 관련하여 유사한 권리를 부여했다.[18]
6. 1. 비판적 관점
니콜라오 5세가 발표한 교황 칙서들은 유럽 중심적 세계관을 반영하며, 비유럽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9][20] 특히 1452년 칙서를 통해 사라센인 등 이교도를 공격하고 정복할 권리를 포르투갈에 인정한 것[20]과 1455년 교황 칙서 Romanus Pontifex영어를 통해 이교도의 토지와 물품 소유권을 포르투갈 왕에게 독점적으로 인정한 것[21]은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최근 발견된, 지리적으로 한정된[20] 토지에 대한 것이었지만, 훗날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에 대한 착취와 노예화로 이어지는 등 역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23][24][25]
참조
[1]
웹사이트
Nicholas V ! Vatican Library & Dum Diversa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11
[2]
간행물
Pope Nicholas V
[3]
Britannica
Leon Battista Alberti
[4]
논문
Restoring the Ancient Water Supply System in Renaissance Rome
http://www3.iath.vir[...]
University of Virginia
2005-08
[5]
서적
The Borgias and Their Enemies: 1431–1519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8
[6]
서적
Wide as the waters: the story of the English Bible and the revolution it inspired
Simon & Schuster
2001
[7]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8]
EB1911
Nicholas (popes)
[9]
서적
The No-Nonsense Guide to Islam
Verso
2004
[10]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https://books.google[...]
ABC-CLIO
1997
[11]
서적
Amazing Grace in John Newton: Slave Ship Captain, Hymn Writer, and Abolitionist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1494: How a Family Feud in Medieval Spain Divided the World in Half'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1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lavery That You Didn't Learn in School
https://www.nytimes.[...]
2019-08-20
[14]
서적
European Treaties Bearing o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Dependencies to 1648
http://www.nativeweb[...]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17
[15]
문서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16]
문서
Slavery and the Catholic Church
Barry Rose Publishers
1975
[17]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문서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19]
서적
'1494: How a Family Feud in Medieval Spain Divided the World in Half'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2
[20]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https://books.google[...]
ABC-CLIO
1997
[21]
서적
Amazing Grace in John Newton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4
[22]
웹사이트
Pope Callistus I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07-24
[23]
문서
Reflections on Slavery
1998
[24]
서적
Comparing Empires: European colonialism from Portuguese expansion to the Spanish–American War
Palgrave Macmillan
2003
[25]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The A.H. Clark company
1903
[26]
웹사이트
Pope Nicholas V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