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클라인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서 클라인먼은 정신의학, 인류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이다. 스탠퍼드 대학교 졸업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워싱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홍콩 중문 대학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의 에스터와 시드니 래브 인류학 교수, 하버드 의과대학의 의료 인류학 교수 겸 정신과 교수를 지냈다. 클라인먼은 하버드 대학교 인류학과 학과장, 하버드 의과대학 사회의학과 학과장, 하버드 아시아 센터 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여러 국제기구에서 활동하며 세계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했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문화, 특히 대만과 중국에서의 질병과 문화의 상관관계이며, 주요 저서로는 '문화적 맥락에서의 환자와 치유자', '질병 서사' 등이 있다. 미국 국립의학원 회원이며, 구겐하임 재단 펠로우, 미국 인류학회 평생 펠로우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던 대학교 교수 -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는 예정론에 대한 칼뱅주의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유 의지를 강조한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레이던 대학교의 교수로, 그의 사상은 알미니우스주의 운동과 감리교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레이던 대학교 교수 - 톤 쿠프만
톤 쿠프만은 네덜란드의 지휘자, 오르간 및 하프시코드 연주자, 음악학자로서 암스테르담 바로크 오케스트라 & 합창단을 창단하여 바로크 음악, 특히 바흐와 북스테후데의 작품을 역사적 고증에 기반해 연주하고 전곡 녹음 프로젝트를 완성했으며, 고음악 연주에 대한 공헌으로 훈장을 받았다. - 미국의 정신의학자 - 에런 벡
미국의 정신과 의사 에런 벡은 인지 치료를 창시하고 '자동적 사고'와 '인지 삼각' 개념을 통해 정신 질환의 인지적 측면을 탐구했으며, 벡 우울증 척도(BDI) 개발 및 인지 행동 치료(CBT) 발전에 기여했다. - 미국의 정신의학자 - 해리 스택 설리번
해리 스택 설리번은 대인관계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정신의학에 기여한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자로, 윌리엄 앨런슨 화이트 연구소와 학술지 《정신 의학》 창립, 2차 세계 대전 징병 과정에서의 역할, 동성애에 대한 개방적 태도, "삶의 문제" 용어 사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의 인류학자 - 제임스 C. 스콧
제임스 C. 스콧은 1936년에 태어나 2024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인류학자이며, 동남아시아 농민과 국가의 관계, 지배와 저항의 역학을 연구했다. - 미국의 인류학자 - 프란츠 보아스
독일 태생 미국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는 문화 상대주의와 현장 연구를 강조하며 미국 인류학의 기틀을 세웠고, 인류학과를 설립하여 4분야 접근법을 제시했으며,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운 사회적 책임 학자로서 20세기 인류학계 거장들을 배출했다.
| 아서 클라인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아서 마이클 클라인먼 |
| 출생일 | 1941년 3월 1일 |
| 출생지 | 뉴욕 뉴욕주 |
| 국적 | 미국 |
| 직업 | 정신과 의사 |
| 분야 | 보건학 인류학 정신과학 |
| 학력 | |
| 출신 대학 | 스탠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 경력 | |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 의과대학 홍콩 중문 대학 |
| 개인 정보 | |
| 배우자 | 조앤 클라인먼 (사망) |
| 자녀 | 피터, 앤 |
| 주요 업적 | |
| 주요 업적 | 문화비교 정신의학 |
2. 생애
아서 클라인먼은 1967년 스탠퍼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197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5] 1975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 과정을 수료했다.[5] 1976년부터 1982년까지 워싱턴 대학교 인류학과 및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2016년부터 홍콩 중문 대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6]
2. 1. 학력 및 수련
스탠퍼드 대학교를 1967년에 졸업하고, 197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5] 1975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 과정을 수료하였다.[5] 예일 의과대학에서 내과 인턴 과정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정신과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했다.2. 2. 경력
1967년 스탠퍼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 과정을 수료하였다.[5] 197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5년 하버드 대학교 인류학과 강사를 거쳐 1976년부터 1982년까지 워싱턴 대학교 인류학과 및 정신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2016년부터 홍콩 중문 대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6]클라인먼은 하버드 대학교 에스터와 시드니 래브 인류학 교수이자 하버드 의과대학 의료 인류학 교수 겸 정신과 교수이다.[1] 하버드 대학교 인류학과 학과장, 하버드 의과대학 사회의학과 학과장, 하버드 아시아 센터 소장(2008-2016) 등 다양한 행정직을 역임했다.[2] 2011년에는 하버드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우수 교수상을 수상했다.
1976년 ''문화, 의학 및 정신의학'' 저널을 창간했으며, 1986년까지 편집장을 역임했다.[3] 이 저널은 바이런, 메리조 굿, 피터 J. 구아르나치아가 이어서 맡았다.
클라인먼은 1995년 UN에서 발표된 세계 정신 건강 보고서를 감독했으며, 2016년에는 세계은행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보고서를 감독했다. 미국정신의학회 문화 및 DSM-IV 태스크포스 공동 의장, 2002년 자살 예방에 관한 의학연구소 보고서 공동 의장, 2001년과 2002년 플라시보 과학과 윤리에 관한 NIH 회의 및 낙인에 관한 NIH 회의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2003년 9월에는 NIH 포가티 국제 센터 후원 우수 강연에서 우울증과 자살의 세계적 유행에 대해 강연했다. NIH 포가티 국제 센터 고문이자 NIH 의회 협의회 위원이었다. WHO 자문관으로서 국가 정신 건강 행동 프로그램 기술 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2년 12월 WHO 첫 번째 국제 정신 건강 연구 회의 기조연설을 했다.
2. 3. 국제기구 활동
클라인먼은 1995년 UN에서 발표된 세계 정신 건강 보고서를 감독했으며, 2016년에는 세계은행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Out of the shadows)' 보고서를 감독했다.[1] 그는 미국정신의학회의 문화 및 DSM-IV 태스크포스의 공동 의장을 역임했고, 2002년 자살 예방에 관한 의학연구소 보고서의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2001년과 2002년에는 플라시보의 과학과 윤리에 관한 NIH 회의와 낙인에 관한 NIH 회의의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2003년 9월에는 NIH의 포가티 국제 센터가 후원하는 우수 강연에서 우울증과 자살의 세계적 유행에 대해 강연했다. 그는 NIH 포가티 국제 센터 고문이자 NIH 의회 협의회 위원이었다. WHO의 자문관으로서 국가 정신 건강 행동 프로그램의 기술 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2년 12월에는 WHO의 첫 번째 국제 정신 건강 연구 회의 기조연설을 했다.3. 연구 분야
클라인먼은 7권의 저서와 350편이 넘는 논문, 책의 장, 서평 및 서문을 저술했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는 "문화적 맥락에서의 환자와 치유자 (Patients and Healers in the Context of Culture)"(1980)이며, "고통과 질병의 사회적 기원: 현대 중국에서의 우울증, 신경쇠약 및 통증 (Social Origins of Distress and Disease: Depression, Neurasthenia, and Pain in Modern China)"(1986)이 있다.
그는 "랜싯",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 "하버드 매거진" 등 여러 매체에 수필을 발표했다.
3. 1. 의료 인류학
클라인먼은 정신의학과 인류학을 접목시켜 동아시아 문화, 특히 타이완과 중국에서 질병과 문화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7][8][9] 그는 이언 윌킨슨과 함께 "사회에 대한 열정: 우리가 인간의 고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A Passion for Society: How We Think About Human Suffering)"(2016)를 포함한 4권의 책을 공동 저술했으며, 그의 전 학생 여섯 명과 함께 "심오한 중국: 개인의 도덕적 삶. 인류학과 정신의학이 오늘날 중국에 대해 알려주는 것 (Deep China: The Moral Life of the Person. What Anthropology and Psychiatry Tell us about China Today)"(2011)을 공동 저술했다. 폴 파머(그의 전 학생), 비나 다스, 마가렛 록, 마이클 필립스, 바이런 굿, 메리 델-베키오 굿, 린 춘이, 리온 아이젠버그(그의 전 교수)를 포함한 다른 정신과 의사, 인류학자 및 세계 보건 분야의 연구자들과도 많은 작품을 공동 저술했다.3. 2. 질병 서사 (Illness Narrative)
클라인먼의 저서 중 "질병 서사: 고통, 치유, 그리고 인간의 조건 (The Illness Narratives: Suffering, Healing, and the Human Condition)"(1988)은 그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이다.[7][8][9]3. 3. 사회적 고통 (Social Suffering)
클라인먼은 정신과학과 인류학을 접목시켜 동아시아 문화, 특히 대만과 중국에서 질병과 문화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7][8][9] 그는 "사회적 고통, 문화와 우울증, 중국의 SARS", "세계 의약품", "주관성: 민족지학적 조사", "세계 보건 재구상: 소개", "아프리카의 질병 문화와 정신과 진료", "그 사이의 땅: 인류학자들이 철학에 참여하다"를 포함한 29권의 책을 공동 편집했다.3. 4. 돌봄의 윤리 (Ethics of Care)
클라인먼은 7권의 저서와 350편이 넘는 논문, 책의 장, 서평 및 서문을 저술했다. 그의 저서 "정말 중요한 것 (What Really Matters)"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6)은 존재론적 위험과 불확실성을 다루며, 도덕적 경험, 종교, 윤리가 오늘날 개인과 사회에 매우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이 책은 상하이와 타이베이에서 중국어판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최근 저서인 "돌봄의 영혼: 남편이자 의사의 도덕적 교육 (The Soul of Care: The Moral Education of a Husband and a Doctor)"은 2019년 펭귄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4. 주요 저서
클라인먼은 7권의 저서와 350편이 넘는 논문, 책의 장, 서평 및 서문을 저술했다.[1] 그의 저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책은 "문화적 맥락에서의 환자와 치유자 (Patients and Healers in the Context of Culture)"(1980)이며,[1] "질병 서사: 고통, 치유, 그리고 인간의 조건 (The Illness Narratives: Suffering, Healing, and the Human Condition)"(1988)과 "고통과 질병의 사회적 기원: 현대 중국에서의 우울증, 신경쇠약 및 통증 (Social Origins of Distress and Disease: Depression, Neurasthenia, and Pain in Modern China)"(1986)이 그 뒤를 잇는다.[1]
|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ISBN |
|---|---|---|---|
| Culture and Depression: Studies in the Anthropology and Cross-Cultural Psychiatry of Affect and Disorder영어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985 | |
| Social Suffering영어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 1997 | |
| Between the Land: Anthropologists Participate in Philosophy영어 |
4. 1. 단독 저서
- Patients and Healers in the Context of Culture영어.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ISBN 9780520045118.
- The Illness Narratives영어. Basic Books/Perseus Books, 1988. ISBN 9780465032044.
- Rethinking Psychiatry영어. Free Press/Simon & Schuster, 1988. ISBN 9780029174418.
- Social Suffering영어 (안종설 역). 그린비, 2002. ISBN 9788976829269. (원제: Social Suffering영어.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ISBN 9780520209954.)
- What Really Matters: Living a Moral Life amidst Uncertainty and Danger영어 (이정민 역). 북로그컴퍼니, 2016. ISBN 9788994197937. (원제: What Really Matters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ISBN 9780195331325.)
- Social Origins of Distress and Disease: Depression, Neurasthenia, and Pain in Modern China영어. Yale University Press, 1986
- Writing at the Margin: Discourse between Anthropology and Medicine영어.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 The Soul of Care: The Moral Education of a Husband and a Doctor영어. Penguin, 2019
4. 2. 공저
아서 클라인먼은 폴 파머, 김용, 바실리코(Basilico, M.)와 함께 ''국제 보건 실태의 재조명''(김아림 역)을 2014년에 출판했다. (원제: ''Reimagining Global Heal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1] 또한, 이언 윌킨슨(Wilkinson, I.)과 ''사회에 대한 열정: 우리가 인간의 고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A Passion for Society: How We Think About Human Suffering)''(2016)를 공동 저술했다.[1]클라인먼은 폴 파머, 비나 다스, 마가렛 록, 마이클 필립스, 바이런 굿, 메리 델-베키오 굿, 린 춘이, 리온 아이젠버그 등 여러 학자들과 공동 저술 작업을 진행했다.[1]
4. 3. 편집
클라인먼은 7권의 저서와 350편이 넘는 논문, 책의 장, 서평 및 서문을 저술했다. 특히, "문화적 맥락에서의 환자와 치유자 (Patients and Healers in the Context of Culture)"(1980)는 그의 저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책으로 평가받으며, "질병 서사: 고통, 치유, 그리고 인간의 조건 (The Illness Narratives: Suffering, Healing, and the Human Condition)"(1988)과 "고통과 질병의 사회적 기원: 현대 중국에서의 우울증, 신경쇠약 및 통증 (Social Origins of Distress and Disease: Depression, Neurasthenia, and Pain in Modern China)"(1986)이 그 뒤를 잇는다. "정말 중요한 것 (What Really Matters)"(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6)은 상하이와 타이베이에서 중국어판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돌봄의 영혼: 남편이자 의사의 도덕적 교육 (The Soul of Care: The Moral Education of a Husband and a Doctor)"을 펭귄 출판사에서 출판했다.클라인먼은 이언 윌킨슨과 함께 "사회에 대한 열정: 우리가 인간의 고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A Passion for Society: How We Think About Human Suffering)"(2016)를 포함한 4권의 책을 공동 저술했고, 그의 전 학생 여섯 명과 함께 "심오한 중국: 개인의 도덕적 삶. 인류학과 정신의학이 오늘날 중국에 대해 알려주는 것 (Deep China: The Moral Life of the Person. What Anthropology and Psychiatry Tell us about China Today)"(2011)을 공동 저술했다. 또한, 폴 파머, 비나 다스 등 여러 연구자들과 함께 다양한 작품을 공동 저술했다.
클라인먼은 "사회적 고통", "문화와 우울증", "중국의 SARS" 등 29권의 책을 공동 편집했다. 그는 또한 11개의 특별 저널을 공동 편집하고, "랜싯",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 등 여러 매체에 수필을 발표했다.
5. 수상 및 인정
클라인먼은 미국 국립과학원 산하 미국 국립의학원(구 의학연구소)과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다. 그는 구겐하임 재단과 행동과학 고등연구센터(스탠퍼드 대학교)의 펠로우였으며, 미국 정신의학회와 미국 인류학회의 명예 평생 펠로우이기도 하다.
클라인먼은 NIH에서 두 차례 명예 강연을 했으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NIH 이사회 자문위원회인 이사회 위원회(Council of Councils) 위원이었다. 또한 미국 정부의 보건복지부 장관에 의해 포가티 국제센터, 국립보건원 자문위원회에 임명되었다. 2003년에는 NIH의 새로운 개척자상(Pioneer Awards) 선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의학인류학회에서 평생 공로상을, 2008년 같은 학회에서 조지 포스터 상을 받았다. 2004년 맨체스터 대학교(잉글랜드)에서 의학 인문학 분야 더블데이 메달을 수상했고, 2007년 임페리얼 칼리지(런던)에서 의학 인문학 분야 상을 받았다. 왕립 인류학 연구소의 웰컴 상 수상자이며, 요크 대학교(캐나다) 명예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미국 인류학회 최고 상인 프란츠 보아스 상을 수상했다. 푸단 대학교 명예 교수직을 수여받았고, 그 직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 클레베링가 교수가 되었다.[4] 최근에는 중앙연구원(대만) 명예 학자로 선출되었다.
6. 개인사
아서 클라인먼은 뉴욕에서 태어나 자랐다. 그는 45년 동안 중국학자이자 연구 파트너였던 고(故) 조앤 클라인먼(2011년 사망)과 결혼했다. 슬하에 두 자녀(피터와 앤)와 네 명의 손주(가브리엘, 켄달, 알레그라, 클레이튼)를 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rthur Michael Kleinman
https://ghsm.hms.har[...]
2023-01-26
[2]
웹사이트
Arthur Kleinman
https://anthropology[...]
2023-01-26
[3]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s://projects.iq.[...]
2022-03-08
[4]
웹사이트
Arthur Kleinman
https://hoogleraren.[...]
2023-01-26
[5]
웹인용
Arthur Michael Kleinman
https://prabook.com/[...]
2019-09-09
[6]
웹인용
CURRICULUM VITAE: Arthur Kleinman
https://anthropology[...]
2019-09-09
[7]
저널
An interview with Arthur Kleinman
2019-09-09
[8]
저널
Som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doctor-patient interaction: Power, structure, and agency in the works of Howard Waitzkin and Arthur Kleinman
2019-09-09
[9]
웹인용
A conversation with Arthur Kleinman
https://go.galegroup[...]
2019-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