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서 하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서 하든(Arthur Harden, 1865년 10월 12일 ~ 1940년 6월 17일)은 영국의 생화학자이다. 그는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독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영국 예방 의학 연구소(후의 리스터 예방 의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생화학부 부장을 역임했다. 하든은 효모에 의한 포도당 분해 연구를 통해 '하든-영 에스터'로 알려진 인산화 에스터를 발견했으며, 비타민 연구에도 기여했다. 1926년 기사 작위를 받았고, 1935년 왕립 학회 회원 및 데이비 메달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생화학자 - 프레더릭 생어
    프레더릭 생어는 단백질과 DNA의 염기 서열 분석법을 개발하고 인슐린 아미노산 서열 규명과 DNA 염기 서열 분석법 개발에 기여하여 노벨 화학상을 두 번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이다.
  • 잉글랜드의 생화학자 - 로드니 로버트 포터
    영국의 생화학자 로드니 로버트 포터는 항체의 화학적 구조를 밝힌 공로로 197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제럴드 에델만과 공동 수상하였으며, 파파인 효소를 사용하여 면역글로불린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하고 혈액 속 면역글로불린이 세포 표면과 반응하는 방식을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 영국의 생화학자 - 프레더릭 생어
    프레더릭 생어는 단백질과 DNA의 염기 서열 분석법을 개발하고 인슐린 아미노산 서열 규명과 DNA 염기 서열 분석법 개발에 기여하여 노벨 화학상을 두 번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이다.
  • 영국의 생화학자 - 조지프 니덤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과학사가인 조지프 니덤은 발생생화학 분야의 권위자로서 중국 과학 발전사에 관심을 갖고 《중국 과학 문명사》를 통해 중국 과학 기술사를 연구하여 동서양의 과학 기술 교류에 기여했으며 유네스코 창립에 기여하고 곤빌 앤드 키스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다.
  • 영국의 화학자 -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은 의학에서 과학으로 전향하여 팔라듐과 로듐을 발견하는 화학적 업적과 더불어 태양 스펙트럼 흑선 발견, 카메라 루시다와 윌러스턴 프리즘 발명 등 물리학 및 광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체계적인 발표 부족으로 덜 알려졌다.
  • 영국의 화학자 - 해럴드 크로토
    해럴드 크로토는 1996년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화학자로, 분광학, 양자화학, 천체화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교육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무신론자이자 인본주의자이다.
아서 하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서 하든
출생일1865년 10월 12일
출생지랭커셔 주맨체스터
사망일1940년 6월 17일
사망지버킹엄셔 주본엔드
분야생화학
배우자조지나 시드니 브리지
소속 기관리스터 연구소, 빅토리아 대학교
학력오언스 칼리지(현재 맨체스터 대학교) (MSc), 에를랑겐 뉘른베르크 대학교(PhD)
지도 교수오토 피셔
지도를 받은 학생롤랜드 빅터 노리스, 아이다 맥린
알려진 업적하든-영 에스테르, 효모 세포 화학
수상노벨 화학상(1929년), 데비 메달(1935년)
업적
주요 업적하든-영 에스테르 발견, 효모 세포 화학 연구
수상
노벨 화학상 수상 연도1929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한스 폰 오일러-첼핀
노벨 화학상 수상 이유당류 발효와 발효 효소 연구
참고 문헌
참고 문헌 1홉킨스, F. G.; 마틴, C. J. (1942). Arthur Harden. 1865–1940. Obituary Notice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4 (11): 2.
참고 문헌 2맨체스터, K. (2000). Arthur Harden: An unwitting pioneer of metabolic control analysis.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25 (2): 89–92.
참고 문헌 3맨체스터, K. (2000). Biochemistry comes of age: A century of endeavour. Endeavour. 24 (1): 22–27.

2. 생애

맨체스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사립학교에서 공부했다. 1882년 맨체스터 대학교 오웬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헨리 엔필드 로스코에게서 화학을 배우고 1885년 졸업했다. 1886년 달턴 장학금을 받아 독일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Otto Fischer (chemiker)|오토 피셔de에게 유학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맨체스터 대학교로 돌아와 강사이자 실험 조수가 되었다. 1897년 영국 예방 의학 연구소(후의 리스터 예방 의학 연구소) 연구원이 되었고, 1907년부터 1930년까지 생화학부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는 염소와 이산화 탄소 혼합물에서 빛의 작용, 박테리아에 의한 알코올 발효였다. 효모로 분해된 포도당을 연구했고, 비타민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35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임명되었으며, 버킹엄셔 본엔드에서 사망했다.[1][2][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하든은 스코틀랜드 장로교 사업가 앨버트 타이어스 하든과 엘리자 맥앨리스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니스트 아담 박사가 운영하는 빅토리아 파크의 사립 학교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 1877년 테트엔홀 칼리지(스태퍼드셔)에서 공부했고, 1882년 현재 맨체스터 대학교인 오웬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1885년에 졸업했다. 그는 오웬스 칼리지에서 로스코 교수의 지도 아래 화학을 공부했으며, J.B. 코헨(저서: ''오웬스 칼리지 실용 유기 화학 과정'')의 영향을 받았다.[1] 1886년에 돌턴 장학금을 받아 독일 에를랑겐 대학교의 Otto Fischer (chemiker)|오토 피셔de에게 유학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맨체스터 대학교로 돌아와 강사이자 실험 조수가 되었다.[2]

2. 2. 연구 경력

1886년 하든은 화학 분야의 달턴 장학금을 받아 에를랑겐에서 오토 피셔와 함께 1년간 β-니트로소-α-나프틸아민의 합성과 그 특성을 연구했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맨체스터로 돌아와 강사 및 조교로 필립 하토그 경과 함께 가르쳤다. 이 기간 동안 존 돌턴의 생애와 업적을 연구했다. 1895년에는 F.C. 개럿과 함께 ''실용 유기 화학'' 교과서를 저술했다. 1897년, 리스터 연구소의 전신인 영국 예방 의학 연구소의 화학자로 임명되었다. 1902년 6월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이학 박사 (D.Sc.) 학위를 받았다. 1907년 생화학 부서 책임자로 임명되어 1930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은퇴 후에도 연구소에서 과학 연구를 계속했다).

하든은 맨체스터에서 이산화 탄소염소 혼합물에 대한 빛의 작용을 연구했으며, 연구소에 들어간 후 세균과 알코올 발효와 같은 생물학적 현상 연구에 자신의 방법을 적용했다. 그는 포도당의 분해 산물과 효모 세포의 화학을 연구했으며, 괴혈병 방지 및 항신경염 비타민에 대한 일련의 논문을 발표했다.

2. 2. 1. 하든-영 에스터

윌리엄 존 영과 함께 효모에서 당분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화학적 분석을 통해 과당 1,6-이중인산으로 밝혀지기 전까지 '하든-영 에스터'로 알려진 인산화 에스터를 발견했다.[1] 현재는 인산과당 6-인산이 인산과당키나아제의 작용으로 인산화된 생성물로 알려져 있으며, 알돌레이스의 작용에 의해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과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으로 분해된다.[1]

2. 3. 수상 및 업적

하든은 1926년에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왕립 학회 회원이였으며, 1935년 데이비 메달을 받았다.[1] 1902년 6월 빅토리아 대학교(오웬스 칼리지를 포함)에서 이학 박사(D.Sc.) 학위를 받았다.[1]

2. 4. 개인사 및 사망

하든은 1900년에 조지나 시드니 브리지(1928년 1월 사망)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6] 아버지는 앨버트, 어머니는 엘리자이며 맨체스터에서 태어났다. 버킹엄셔 본엔드에서 사망했다.

참조

[1] 논문 Arthur Harden. 1865–1940
[2] 논문 Arthur Harden: An unwitting pioneer of metabolic control analysis
[3] 논문 Biochemistry comes of age: A century of endeavour
[4] 논문 Arthur Harden 1941
[5] 뉴스 University intelligence The Times 1902-06-14
[6] 서적 Nobel Lectures Chemistry, 1922–1941 World Scientific
[7] 간행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컴퓨터·환경·첨단·지구과학/과학의 발달/과학의 발달/화학의 발전#하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8-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