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소카의 어머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소카의 어머니에 대한 정보는 아소카의 비문에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다양한 불교 경전과 문헌에서 여러 이름과 별칭으로 묘사된다. 주요 이름으로는 수바드랑기, 담마, 자나파다-칼랴니가 있으며, 각 문헌에 따라 아소카 어머니의 출신 배경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아소카바다나에서는 브라만 가문 출신으로, 마하밤사티카에서는 크샤트리야 가문 출신으로, 아피아노스의 기록에서는 그리스 혈통의 가능성도 제시된다. 불교 문헌에서는 빈두사라와의 결혼, 임신과 출산, 핑갈라-밧사지바의 예언 등 전설적인 이야기가 전해지며, 대중문화에서는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관련 인물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우리아 황후 - 두르다라
    두르다라는 고대 인도와 관련된 인물로, 역사적 출처는 부족하지만, 여러 대중 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다양한 배우가 연기했고, 라다 쿠무드 무케르지와 토마스 트라우트만의 저서에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 아소카의 가족 - 빈두사라
    빈두사라는 마우리아 제국의 2대 황제이자 찬드라굽타의 아들이며 아소카 왕의 아버지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은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헬레니즘 세계와 외교 관계를 유지했으며, 아지비카교를 신봉했고 아소카와의 갈등, 탁샤실라 반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 아소카의 가족 - 비타소카
    비타소카는 스리랑카 문헌 등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아소카에 의해 처형될 뻔했으나 친동생임이 밝혀져 목숨을 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나, 다른 기록에서는 행적을 알 수 없는 인물이다.
  • 기원전 3세기 인도의 여자 - 카루바키
    아소카 왕의 왕비 중 한 명인 카루바키는 아소카의 칙령에 자선 기부 기록이 남아있고, 아들 티바라의 어머니이자 아소카 비문에 이름이 언급된 유일한 왕비로 알려져 있으며, 아소카를 불교로 이끌고 복지 정책을 조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기원전 3세기 인도의 여자 - 차루마티
아소카의 어머니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작위자나파다-칼야니
배우자빈두사라
자녀아소카
비타쇼카(아쇼카바다나) 또는 티사(마하밤사)
가문마우리아 왕조(혼인으로)
생애
종교아지비카교(마하밤사-티카)
아버지참파푸리의 브라만

2. 이름

아소카의 비문에는 그의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다. 다양한 불교 경전과 문헌에서 아소카의 어머니에 대해 여러 이름과 별칭을 제시한다.


  • '''수바드랑기''': 11세기 중반 이후에 저술된 문헌인 아소카바다나말라(디브야바다나의 아소카바다나와는 다르다)에서 나오는 이름이다.
  • '''담마'''(담마/Dhammapi): 밤사타파카시니 또는 마하밤사-티카(마하밤사에 대한 10세기 주석서)에서 나오는 이름이다.
  • '''자나파다-칼랴니''': 디비아다나 전설에 등장하는 이름이다. 학자 아난다 구루게는 이것이 이름이 아닌 별명이라고 주장한다.

2. 1. 수바드랑기

아소카 자신의 비문에는 그의 부모에 대한 언급이 없다. 11세기 중반 이후에 저술된 문헌인 아소카바다나말라(디비야바다나의 아소카바다나와는 다르다)에서 나오는 이름이다.

2. 2. 담마 (달마)

밤사타파카시니 또는 마하밤사-티카(마하밤사에 대한 10세기 주석서)에서 아소카의 어머니를 담마(담마/Dhammapi)라고 칭한다. 한국 불교에서 '달마'는 불교의 가르침을 의미하는 중요한 용어로 사용된다.

2. 3. 자나파다-칼랴니

디비아다나 전설에 등장하는 이름이다. 학자 아난다 구루게는 이것이 이름이 아닌 별명이라고 주장한다.

3. 가계

아소카바다나에서는 아소카의 어머니가 파탈리푸트라 인근 참파 출신 브라만의 딸이라고 주장한다. 마하밤사티카에 따르면 아소카의 어머니 담마는 모리야 크샤트리야 가문에 속했다고 한다. 한편, 2세기 그리스계 로마 역사가 아피아누스에 따르면, 아소카의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그리스의 통치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혼인 동맹을 맺었고, 이것은 아소카의 아버지 빈두사라가 그리스 공주와 결혼했다는 추측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아소카의 어머니가 그리스인이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그 생각을 일축했다.

3. 1. 브라만 가문 출신

아소카바다나에서는 아소카의 어머니가 파탈리푸트라 인근 참파 출신 브라만의 딸이라고 주장한다. 마하밤사티카에 따르면 아소카의 어머니 담마는 모리야 크샤트리야 가문에 속했다고 한다. 한편, 2세기 그리스계 로마 역사가 아피아누스에 따르면, 아소카의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그리스의 통치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혼인 동맹을 맺었고, 이것은 아소카의 아버지 빈두사라가 그리스 공주와 결혼했다는 추측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아소카의 어머니가 그리스인이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그 생각을 일축했다.

3. 2. 크샤트리야 가문 출신

마하밤사티카에 따르면 아소카의 어머니 담마는 모리야 크샤트리야 가문에 속했다고 한다.

3. 3. 그리스 혈통 가능성

2세기 그리스계 로마 역사가 아피아노스찬드라굽타 마우리아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간의 혼인 동맹을 언급했다. 이로 인해 아소카의 아버지 빈두사라나 찬드라굽타 자신이 그리스 공주와 결혼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즉, 아소카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가 그리스인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4. 불교 문헌의 전설

4. 1. 빈두사라와의 결혼

아소카바다나에 따르면, 아소카의 어머니는 참파푸리 출신의 브라만의 딸이었다. 젊은 시절 그녀는 매우 아름다웠고, 몇몇 점쟁이들은 그녀가 왕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 중 한 명은 전륜성왕이 되고 다른 한 명은 종교적 성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에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파탈리푸트라로 데려가 빈두사라 황제에게 결혼을 제안했다.

빈두사라는 그녀를 상서로운 천상의 처녀로 여기고 자신의 궁궐로 들였다. 그러나 그녀의 미모에 질투심을 느낀 황제의 후궁들은 그녀를 이발사로 훈련시켰다. 그녀는 뛰어난 이발사가 되었고, 황제는 그녀의 솜씨에 만족하여 소원을 하나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녀는 황제에게 자신과의 관계를 요청했고, 자신이 브라만 출신임을 밝혔다. 그러자 황제는 그녀를 자신의 수석 황후로 삼았다.

4. 2. 임신과 출산

마하밤사티카에 따르면 담마 황후는 아소카를 임신했을 때 특이한 갈망을 했다. 예를 들어, 그녀는 "달과 태양을 밟아서 별들과 놀고 숲을 먹어치우고 싶다"고 말했다. 빈두사라는 자신의 궁정에 있는 브라만들에게 이러한 갈망의 의미를 설명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황후의 가족들에게 알려진 아지비카 금욕자 자나세나는 그녀의 갈망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고, 그녀의 아들이 인도 전체(잠부드비파)를 정복하고 통치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또한 아들이 96개의 이단 종파를 파괴하고 불교를 장려하며, 자신을 불쾌하게 했다는 이유로 형제들을 죽일 것이라고 예언했다.

아소카바다나에 따르면, 그녀가 첫 아이를 낳았을 때 자신의 슬픔이 없어졌기 때문에 아기에게 슬픔이 없다는 뜻인 아소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나중에, 그녀는 두 번째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이가 태어났을 때에도 슬픔이 사라졌기 때문에 그 아이를 비타소카라고 이름 지었다.

4. 3. 핑갈라-밧사지바의 예언

아지비카 금욕자인 핑갈라밧사지바는 빈두사라의 아들들 중 누가 그의 후계자가 될 가치가 있는지를 검사했다. 아소카는 아버지의 미움을 받았기 때문에 검사를 받으러 가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그의 어머니는 그를 설득하여 다른 왕자들과 함께 검사에 참여하게 했다. 핑갈라밧사지바는 아소카가 차기 황제가 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지만, 황제의 노여움을 살까 두려워 빈두사라에게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아소카의 어머니에게 그녀의 아들이 다음 황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그녀의 조언에 따라 빈두사라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제국을 떠났다.

5. 대중 문화


  • 수바드랑기/다르마 역은 2015년 TV 시리즈 ''차크라바르틴 아쇼카 삼라트''에서 팔라비 수바시 쉬르케가 연기했다.[1]
  • 2001년 영화 ''아쇼카''에서는 수바시니 알리가 연기했다.
  • 2016년 TV 찬드라 난디니에서는 프레르나 샤르마가 연기했다.

5. 1. 영화 및 드라마

2001년 영화 ''아소카''에서는 수바시니 알리가 다르마를 연기했다.[1] 2015년 TV 시리즈 ''차크라바르틴 아쇼카 삼라트''에서는 팔라비 수바시 쉬르케가 수바드랑기/다르마 역을 연기했다.[1] 2016년 TV 드라마 찬드라 난디니에서는 프레르나 샤르마가 같은 역을 연기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