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샤트리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샤트리야는 베다 시대 인도 사회의 네 계급 중 하나로, 왕족과 전사를 포함하는 계급이다. 초기에는 부족 왕이 통치했으나, 후기 베다 시대에 이르러 '크샤트리야'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세속적인 권력과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의미하게 되었다. 마하자나파다 시대에는 과두 공화국을 이끌었으며, 이후 왕국에서 왕이 크샤트리야 신분을 주장하며 베다 종교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했다. 신화적으로는 푸루샤의 신체 부위에서 유래되었으며, 베다 연구, 제사, 기부 등의 의무를 수행했다. 동아시아 불교권에서는 신라 왕이 크샤트리아 종족이라는 주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샤트리야 - 동찰루키아 왕조
    동찰루키아 왕조는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데칸 동부 벵기 지역을 통치한 왕조로, 바다미 찰루키아의 총독에서 독립하여 힌두 철학 기반 왕정 체제를 유지하며 텔루구 문학 발전과 사원 건축을 장려했다.
  • 크샤트리야 - 리차비족
    리차비족은 기원전 6세기경 바이샬리를 중심으로 공화정을 수립한 인도아리아계 부족으로, 밧지 연맹을 주도하며 번성했으나 마가다 왕국에 멸망한 후에도 굽타 제국과 혼인하고 네팔에 왕조를 세우는 등 영향력을 유지하며 가나상가라는 정치 체제를 운영했다.
  • 왕족 - 프린세스 로열
    프린세스 로열은 영국 군주가 장녀에게 수여하는 작위이며, 찰스 1세의 장녀 마리아에게 처음 수여된 이후 현재까지 7명의 여성에게 주어졌다.
  • 왕족 - 보르지긴
    보르지긴은 푸른 늑대와 흰 사슴에서 기원하여 칭기즈 칸을 배출하고 몽골 제국을 지배한 씨족으로, 제국 붕괴 후에도 영향력을 유지하며 문화적,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귀족 - 귀족정
    귀족정은 '최고의 사람들에 의한 통치'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 폴리스에서 소수 특권 계급이 정치를 지배하는 체제였으나, 현대에는 과두정이나 금권 정치와 유사하게 세습적 특권 계층의 지배를 의미하며, 역사적 영향력 감소 후 한국에서는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연관되어 비판적으로 인식된다.
  • 귀족 - 파트리키
    파트리키는 고대 로마의 최상류 계층으로, 플레베이를 지배하며 정치적 우위를 점했으나, 공화정 후기 노빌레스 계급의 등장과 함께 쇠퇴했음에도 그 칭호는 후대 비잔티움 제국의 고위 관직 명칭으로 계승되었다.
크샤트리야
계급 정보
다른 이름라자니야(Rājanya)
설명힌두 바르나 체계의 통치 및 전사 계급
고대 인도의 계급

2. 역사

300년부터 700년 사이, 새로운 왕조들은 브라만들에 의해 서사시와 푸라나의 크샤트리아들과 연결됨으로써 크샤트리아 신분을 부여받았다. 왕조들은 스스로를 태양과 달 왕조에 연관시키기 시작했고, 이는 그들에게 통치자로서의 정당성을 부여했다. 그 대가로 새롭게 명명된 크샤트리아들은 브라만들을 후원하고 보상했다. 이 시대 크샤트리아들의 산스크리트 문화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훗날 크샤트리아들이 추구하는 스타일을 설정했다. 이러한 과정은 북인도와 데칸에서 모두 일어났다.

상위 계급으로 성직자·승려 계급인 브라만을 두고, 하위 계급인 바이샤(평민)와 수드라(노예)의 두 계급을 통치하는 계급이 크샤트리아이다. 브라만이 최상위 계급이라는 권위는 베다 등에 의해 뒷받침된다. 다만 현실 사회에서는 자티(jātisa)라는 계급 제도가 기능하고 있으며, 이것이 오늘날 인도의 수천 종에 달한다고 여겨지는 카스트에 해당한다. 따라서 바르나와 카스트는 엄밀히 말하면 동일시될 수 없다.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는 석가족의 왕자였으며, 바르나 중에서는 크샤트리아에 속했다. 또한 불교를 보호한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대왕이나 쿠샨 왕조의 카니슈카 대왕도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한다.

2. 1. 초기 리그베다 시대

초기 베다 시대 인도의 행정 기구는 라잔(Rajan)이라고 불리는 부족 왕이 이끌었으며, 그의 지위는 세습되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았을 수도 있다.[3] 왕은 여성을 포함하는 부족 회의(사미티(Samiti)라고 불림)에서 선출되었을 수 있다.[4][3] 라잔은 부족과 가축을 보호했고, 사제의 도움을 받았으며, 정규 군대를 유지하지 않았다. 비록 후기에는 통치 계급이 사회 계급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사성(四姓) 제도에 대한 개념은 기록되지 않았다.[5]

2. 2. 후기 베다 시대

리그베다의 찬가인 푸루샤 수크타는 우주적 제사인 야즈냐를 통해 네 개의 바르나(계급)가 창조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일부 학자들은 푸루샤 수크타가 베다 문학의 고풍스러운 스타일과 비교하여 구성의 신조적인 특성을 근거로 리그베다에 늦게 삽입된 것으로 본다.[6] 모든 인도인들이 베다 사회에서 바르나에 의해 완전히 규제된 것은 아니었기에,[7] 푸루샤 수크타는 유전적인 카스트 제도를 베다의 승인으로 확보하기 위해 작곡된 것으로 여겨진다.[6] '수드라'라는 단어가 푸루샤 수크타 외에는 리그베다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는 점은, 일부 학자들이 푸루샤 수크타가 억압적이고 착취적인 계급 구조가 이미 존재하게 된 것을 나타내고 정당화하며 신성하게 하기 위해 늦은 리그베다 시대에 작곡된 것으로 믿게 만드는 또 다른 이유이다.[8]

푸루샤 수크타는 '크샤트리야'가 아닌 '라자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현존하는 베다 텍스트에서 네 개의 사회 계급이 처음으로 함께 언급된 최초의 사례로 여겨진다.[9] '라자냐'라는 용어의 사용은 당시 '라잔'(즉, 통치자의 친족)의 친족이 뚜렷한 사회 집단으로 등장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9] 베다 시대 말에는 '라자냐'라는 용어가 '크샤트리야'로 대체되었다. 여기서 '라자냐'는 '라잔'과의 친족 관계를 강조하고, '크샤트리야'는 특정 영역에 대한 권력을 나타낸다.[9] 라자냐라는 용어는 크샤트리야와 달리 본질적으로 가문 내의 지위를 나타냈다. 반면 크샤트라는 "통치, 통치 질서의 구성원"을 의미한다.[10]

자이 스왈은 브라만이라는 용어는 푸루샤 수크타를 제외하고는 리그베다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사제 계급을 위해 사용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9] 파니니, 파탄잘리, 카티야야나와 마하바라타의 권위에 근거하여, 자야스왈은 라자냐가 정치적인 사람들의 이름이었고, 따라서 라자냐는 민주주의(선출된 통치자가 있는)였다고 믿는다.[11] 몇몇 예로는 선출된 통치자 제도를 따랐던 안드하카와 브르쉬니 라자냐가 있다.[9] 람 샤란 샤르마는 중앙 추장이 다양한 씨족 추장 또는 가문 추장에 의해 어떻게 선출되었는지 자세히 설명하며, ''라자냐''(통치자를 돕는 귀족)와 ''비스''(농민) 사이의 양극화가 심화되어 추장을 별도의 계급('라자, 라자냐, 크샤트라, 크샤트리야')과 ''비스''(씨족 농민)로 구별하게 되었다.[12]

크샤트리야라는 용어는 크샤트라에서 유래하며, 전투에서 성공적인 지도자이기보다는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씨족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상징하는 실질적인 권력을 기반으로 한, 세속적인 권위와 권력을 의미한다. 이는 나중에 왕권이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13]

브라만 시대(기원전 800년~기원전 700년)에는 바르나의 지위에 모호함이 있었다. ''판차빔샤 브라흐마나''(13,4,7)에서는 라자냐가 먼저, 브라만이 그 다음, 바이샤가 그 다음으로 배치된다. ''샤타파타 브라흐마나 13.8.3.11''에서는 라자냐가 두 번째로 배치된다. ''샤타파타 브라흐마나 1.1.4.12''에서는 브라만, 바이샤, 라자냐, 수드라의 순서이다. 브라만 전통의 순서—브라만, 크샤트리야, 바이샤, 수드라—는 다르마수트라 시대(기원전 450년~기원전 100년)부터 고정되었다.[14] 크샤트리야는 종종 불교계에서 탁월한 존재로 여겨졌다.[15] 힌두 사회에서도 때때로 브라만과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사제 계급의 우월성을 인정했다.[15] 크샤트리야는 또한 역사적 베다교의 야즈나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우파니샤드에서 발전된 종교적 사상으로 이어졌다.

2. 3. 마하자나파다스 시대

마하 자나파다 시대(기원전 600~300년경)의 ''가나 상가''(gaṇa sangha)는 과두 공화정 형태였으며, 크샤트리야 씨족이 통치했다. 그러나 이들은 베다 종교를 따르지 않았으며, 브라만 문헌에서는 타락한 크샤트리야 또는 수드라라고 불리기도 했다.[17] 크샤트리야들은 수도 의회에서 대표로 활동하며 의회에 상정된 문제들을 논의했다. 가나 상가의 크샤트리아들은 베다 브라만교의 후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불교자이나교를 후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팔리 경전에서 크샤트리야는 ''카티야''(khattiya)로 언급된다.[17]

마하 자나파다 왕국에서 왕은 베다 종교를 통해 크샤트리야 신분을 주장했다. 그러나 일부 왕들은 크샤트리야 출신이 아니었다. 마하 자나파다 시대 이후, 인도 아대륙 북부의 주요 왕조 대부분은 크샤트리야가 아니었다. 통치자들이 수드라로 언급된 난다 제국은 많은 크샤트리아 혈통을 파괴했다.

2. 4. 마우리아 시대 이후

마우리아 제국 붕괴 후, 펀자브, 하리아나, 라자스탄의 수많은 씨족 기반 정치체들이 크샤트리아 지위를 주장했다.[18]

사카족과 야바나족은 브라만 저술가들에 의해 낮은 지위의 크샤트리아로 여겨졌다.[19]

3세기에서 4세기에 걸쳐, 크리슈나 강과 고다바리 강 유역의 왕국들은 크샤트리아 지위를 주장했고, 통치자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대 베다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20] 7세기에 인도를 방문한 현장은 카불,[18] 코살라,[19] 빌라마라,[20] 마하라슈트라,[21] 발라비[22] 등의 왕국을 크샤트리아 통치자들이 다스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3. 신화적 기원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는 석가족의 왕자였으며, 바르나 중에서는 크샤트리아에 속했다. 불교를 보호한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대왕이나 쿠샨 왕조의 카니슈카 대왕도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한다.

『리그 베다』에 수록된 "푸루샤 찬가"에 따르면, 신들이 제사를 행할 때 원인(原人) 푸루샤를 잘랐을 때, 거인의 입 부분이 브라만, 거인 푸루샤의 양 팔이 라자니야(크샤트리야)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양 허벅지는 바이샤, 양 발은 수드라가 되었다[27]

4. 의무

크샤트리야는 베다를 연구하고, 선물을 주고, 불을 사용하여 제사를 지냈다.[16]

두 번 태어난 바르나의 베다 의무[16]
아드야얀
(베다 연구)
야자나
(자신을 위한 제사 수행)
다나
(선물 주기)
아드야파나
(베다 가르침)
야자나
(제사를 위한
사제 역할)
프라티그라하
(선물 받기)
브라만
크샤트리야아니오아니오아니오
바이샤아니오아니오아니오


5. 상징

의식에서 크샤트리야 계급에는 신체적 활력, 즉 '오자스'를 부여하기 위한 만트라와 함께 인도고무나무(반얀) ''단다'' 또는 지팡이가 할당된다.

6. 계보

이티하사-푸라나 전통[25]에 따르면 크샤트리야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 태양왕조(수르야밤샤)[25]
  • 달왕조(찬드라밤샤/소마밤샤)[25]


아그니(불)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아그니반시("불의 계보")[25], 나가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나가반시(뱀에서 태어남)등 다른 계보도 있는데, 이들에 대한 설명은 마하바라타와 같은 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26]

7. 동아시아 불교권에서의 문화적 영향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크샤트리야는 불교 전래와 함께 전해진 인도의 카스트 제도 중 하나로, 주로 지배 계층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7. 1. 한반도

삼국유사』 권3·황룡사 9층탑 조에는 신라 왕이 인도의 크샤트리아 종족이라는 주장이 실려있다.[28]

참조

[1] 서적 Political Violence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 서적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 to AD 1200 https://books.google[...]
[3] 서적 Vedic India http://archive.org/d[...] 1957
[4] 서적 Seven Shades of Rama Notion Press
[5] 서적 India's ancient past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 서적 Caste-based Discrimination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8] 서적 Class and Religion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9] 서적 Insights and Interventions: Essays in Honour of Uma Chakravarti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10] 서적 A Comparative Dictionary of the Indo-Aryan Languages. http://dsalsrv02.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23
[11] 서적 The Vrātyas in Ancient India, Volume 38 of Chowkhamba Sanskrit studies Sanskrit Series Office
[12] 서적 Aspects of Political Ideas and Institution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3] 서적 General Studies History 4 Upsc Tata McGraw-Hill Education
[1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15]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India https://archive.org/[...] Phoenix Press
[16] 서적 Studies in Hindu Law and Dharmaśāstra Anthem Press
[17] 서적 Gautama Buddha: The Life and Teachings of The Awakened One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18] 서적 India Ever Independent https://books.google[...] Balboa Press
[19] 서적 Cultural rapprochement between India and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National Book Organisation
[20] 서적 Rajasthan District Gazetteers: Jalor https://books.google[...]
[21] 서적 Maratha-Rajput Relations from 1720 to 1795 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2] 서적 The Early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3] 간행물 Toward a Model of the Hindu Jajmani System 1963-01-01
[24] 서적 Reflections on Resemblance, Ritual,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5] 서적 Indian History: Ancient and medieval Encyclopædia Britannica (India) Pvt. Ltd
[26] 서적 Naga Cults and Traditions in the Western Himalaya https://books.google[...]
[27] 문서 辻訳『リグ・ヴェーダ讃歌』(1970)p.320
[28] 서적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国家 岩波書店 1998-03-25
[29] 서적 Political Violence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0]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 to AD 1200 https://books.google[...]
[31] 웹사이트 구글 CBETA 검색, "찰제리" https://www.google.c[...] 2013-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