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신기오로 더걸러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신기오로 더걸러이는 청나라 초기의 인물로, 처음 타이지의 관직을 받고 군사 활동을 시작했다. 1621년 봉집보를 공격하고 이병성을 격파했으며, 해주에서 군율을 엄격히 적용하여 민심을 안정시켰다. 이후 칼카 잘루트부를 토벌하고 금주를 공격하여 호쇼이 버일러로 승진했다. 청나라 육부 설치 후 호부 사무 관장을 맡았고, 대릉하 전투에서 장춘을 격파하는 등 군사적 공을 세웠다. 1635년 사망 후 모반 혐의로 작위가 삭탈되었으나, 강희제 때 복권되었다. 자손으로는 덕시커, 피야타, 덩시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명제 - 순치제
청나라의 제3대 황제인 순치제는 6세에 즉위하여 도르곤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 후 명나라 잔존 세력을 평정했으나, 24세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 천명제 - 탁시
탁시는 건주좌위지휘사 맹특목의 아들이자 누르하치의 아버지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자립적인 세력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사후 청나라 현조 선황제로 추존되었다. - 천명제의 황자 -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아이신기오로 아지거는 청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군사가로, 누르하치의 아들이며 홍타이지의 이복동생이자 도르곤의 이복형으로, 용맹하고 전투에 능하여 영친왕에 봉해졌으나 도르곤 사후 모반 혐의로 숙청되었다. - 천명제의 황자 - 숭덕제
숭덕제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자 후금의 칸으로,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내몽골 복속, 조선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한족 관료 등용과 육부 설치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청나라의 중국 대륙 지배 기반을 마련했다. - 청나라의 군인 - 펑궈장
펑궈장은 청나라 군대에서 시작하여 위안스카이 밑에서 경력을 쌓고 신해혁명 진압에 기여, 직례총독을 거쳐 위안스카이 사후 부총통 및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역임했으나, 군벌 간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 속에 퇴임 후 사망한 중국 북양군벌의 지휘관이자 정치인이다. - 청나라의 군인 - 오대징
오대징은 청나라 후기의 관리이자 서화가로, 러시아와의 국경 문제 해결과 황하 치수 사업에 참여했으며, 독자적인 서예와 산수화, 화훼 그림으로 이름을 알렸고, 『황재집고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아이신기오로 더걸러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더걸러이 (Degelei, 德格類) |
신분 | 불명 |
국가 | 불명 |
시대 | 불명 |
주군 | 불명 |
횟수 | 불명 |
최고 직무 | 불명 |
전임 | 불명 |
후임 | 불명 |
성 | 아이신기오로 씨 |
이름 (한자) | 불명 |
자 | 불명 |
관직 | 불명 |
봉작 | 화석 베일러 → 박탈 |
출생일 | 1597년 1월 10일 (음력 만력(萬曆) 24년 병신년 11월 23일) |
출생지 | 불명 |
혼인 년도 | 불명 |
사망일 | 1635년 11월 11일 (음력 천총(天聰) 9년 10월 초2일) |
사망지 | 불명 |
시호 | 불명 |
묘 | 불명 |
사당 | 불명 |
부친 | 부친 청태조 누르하치 |
모친 | 계비 푸차 씨(청태조 계비) |
적모 | 청태조원비(清太祖元妃) 원비퉁갸씨 |
정실 | 박이제길특 씨 |
계실 | 박화라극 씨, 박이제길특 씨 |
측실 | 첩 (미상 성씨) |
장인 | 액이제격태길, 저호리타포낭, 옹농태길 |
형제 | 광략 베일러 추잉, 화석 예렬 친왕 다이샨, 진국 근민공 아바이, 진국 극결 장군 탕고다이, 보국 각후공 타바이, 요여 민군왕 아바타이, 청태종 홍타이지, 진국 각희공 바부타이, 혁파 진국 장군 바부하이, 혁파 영친왕 아지거, 보국 개직공 라이무부, 예충 친왕 도르곤, 예통 친왕 도도, 페이양궈 |
자매 | 동과 격격, 눈저 격격, 무쿠시, 황오녀, 황육녀, 향군, 화석 공주 |
동복 형제 | 혁파 베일러 망구르타이 |
동복 자매 | 망구제 |
적자 | 더커시커, 페이야타 |
서자 | 덩시쿠 |
2. 생애
더걸러이는 누르하치의 아들로, 처음 받은 관직은 타이지(台吉)였다.[1] 그는 초기 후금의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1621년부터 1626년까지 봉집보 전투, 해주 점령, 칼카 잘루트부 토벌 등에 참여했다. 1629년 금주 공격에서 공을 세워 호쇼이 버일러(和碩貝勒)로 승진했고, 1631년 청나라 육부 설치와 함께 호부(戶部) 사무를 맡았다. 이후 대릉하 전투, 귀화성 공격, 여순구 점령, 명나라 원정 등에서 활약했다.
1635년 10월 더걸러이가 사망하자 홍타이지는 직접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1] 그러나 같은 해 12월, 망굴타이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작위가 삭탈되고 아들 덩시쿠는 종적에서 삭제되었다.[1] 이후 강희제 때에 이르러서야 더걸러이 가문은 복권되었다.[1]
2. 1. 초기 군사 활동 (1621년 ~ 1626년)
1621년(천명 6년), 군대를 이끌고 봉집보(奉集堡)를 공격했고, 철군할 때 명나라 장수 이병성(李秉誠)을 격파하여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1] 이때 요토(Yoto, 岳託)와 쇼토(Šoto, 碩託)가 함께 했다.[1] 해주(海州)에서는 백성을 해치거나 재물을 약탈하지 말고, 성이나 주민 집에 머물지 말라고 지시해 군율을 확립하고 민심을 안정시키는 등 통치자로서의 자질을 보였다.[1]1623년(천명 8년) 아바타이(Abatai, 阿巴泰)와 함께 칼카(喀爾喀) 잘루트부(扎嚕特部)를 토벌했다.[1] 1626년(천명 11년)에는 다이샨(Daišan, 代善)을 따라 다시 잘루트부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1]
2. 2. 청나라 건국 이후 (1629년 ~ 1635년)
천총(天聰) 3년(1629), 지르갈랑(Jirgalang, 濟爾哈朗)과 함께 금주(錦州)를 공격하여 쌓아둔 군량과 재물을 불태웠다. 이 공으로 호쇼이 버일러(hosho i beile, 和碩貝勒)로 승진하였다. 천총 5년(1631) 청나라가 처음 육부(六部)를 설치할 때, 더걸러이는 호부(戶部) 사무를 맡았다. 대릉하 전투에서 군대를 이끌고 명나라 감군도(監軍道) 장춘(張春)을 격파하였다. 천총 6년(1632), 지르갈랑 등과 함께 귀화성(歸化城)을 공격하였다. 이후 요토를 데리고 요주(耀州)에서 개주(蓋州) 이남까지 성을 공격하고 주변 지역을 공략하였다. 천총 7년(1633), 여순구(旅順口)를 점령하였다. 천총 8년(1634), 청군을 따라 명나라 원정에 참여하여 몽골에서 귀순한 사람들을 위무하였다. 독석구(獨石口)를 함락하고, 보안주(保安州)를 거쳐 응주(應州)에서 군대를 철수시켰다. 천총 9년(1635) 10월, 더걸러이가 사망하자 홍타이지(Hong taiji, 皇太極)가 직접 애도하였다.[1]2. 3. 사후
1635년 12월, 망굴타이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더걸러이는 작위가 삭탈되고, 아들 덩시쿠는 종적에서 삭제되었다.[1] 다른 아들 덕시커는 호오거를 따라 장헌충 토벌에 나섰다가 전사하였으며, 순치제는 덕시커의 아들 호이르시에게 1등 아스하니하판 봉록을 하사했다.[1] 1713년(강희 52년), 강희제의 명으로 더걸러이 일가의 종적이 회복되고, 기오로(Gioro)라는 성씨를 되찾았다.[1]3. 자손
더걸러이는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슬하에 세 아들을 두었다.[1]
이름 | 모친 |
---|---|
덕시커 | 보르지기트씨 |
피야타 | 보홀록씨 |
덩시쿠 | 미상 |
3. 1. 덕시커
모친은 적처 보르지기트씨이다.[1]3. 2. 피야타
모친은 보홀록씨(博和羅克氏)이다.[1]3. 3. 덩시쿠
덩시쿠(鄧什庫)는 어머니가 첩으로 성씨는 알려져 있지 않다.[1] 더걸러이와 함께 모반 혐의로 종적에서 삭제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