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로스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로스 4세는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왕비 록사네가 낳은 아들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로 즉위했다. 섭정 페르디카스의 사망 이후, 카산드로스를 비롯한 디아도코이 간의 권력 다툼 속에서 폴리페르콘, 올림피아스 등과 동맹을 맺었으나, 결국 카산드로스에게 패배하여 감금되었다. 기원전 311년 평화 조약으로 그의 권리가 인정되었으나, 카산드로스는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원전 309년 록사네와 알렉산드로스 4세를 암살했다. 그의 죽음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직계 혈통을 끊었고,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9년 사망 - 바르시네
    바르시네는 파르나바조스의 딸로서 멘토르와 멤논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의 측실이 되어 헤라클레스를 낳았지만, 아들과 함께 카산드로스에게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알렉산드로스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바실레우스
왕조아르게아스 왕조
아버지알렉산드로스 3세
어머니록사네
출생일기원전 323년 또는 322년
출생지바빌론
사망일기원전 309년 늦여름 (13세 또는 14세)
사망지마케도니아
종교고대 그리스 종교
통치 정보
마케도니아 왕재위: 기원전 323/322년 – 기원전 309년
이전: 필리포스 3세
이후: 카산드로스
이집트 파라오재위: 기원전 323/322년 – 기원전 309년
이전: 필리포스 3세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1세
표기:
호루스 이름: 후누 웨세르 페흐티 (힘이 강한 젊은이)
네브티 이름: 메리 네체루, 레디 엔에프 이아우트 엔 이트.에프 (신들의 사랑을 받는 자, 그의 아버지의 직책을 받은 자)
황금 이름: 헤카 나크트 엠 타 (에르)-제르-에프 (전체 땅에서 승리한 통치자)
즉위명: 하아이브레 세테프 엔 이멘 (라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자, 아몬이 선택한 자)
이름 (노멘): 알렉산드로스
상형문자: [[파일:Aleksindres nomen.svg|알렉산드로스 노멘]]
페르시아 왕재위: 기원전 323/322년 – 기원전 309년
이전: 필리포스 3세
이후: 셀레우코스 1세

2. 출생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갑작스럽게 사망했을 때, 왕비 록사네는 임신 중이었다. 그러나 태어날 아이의 성별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마케도니아 군대 내에서 왕위 계승 순서에 대한 의견이 대립했다.[4][5][6] 바빌론 회의에서 보병과 멜레아그로스 장군은 아리다이오스(필리포스 3세)를 왕으로 추대하려 했지만, 헤타이로이의 지휘관 페르디카스는 록사네의 아이가 아들이기를 바라며 출산을 기다리자고 주장했다.

에우메네스의 중재로 양측은 타협하여, 필리포스 3세를 명목상 군주로, 페르디카스를 섭정으로 삼고, 태어날 아이가 아들이면 공동 통치자로 삼기로 결정했다. 기원전 323년 8월, 알렉산드로스 4세가 태어나자 공동 통치자로 즉위했다. 알렉산드로스 4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록사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 그는 부부의 두 번째 자녀이자 유아기를 넘긴 유일한 아이였다.[7]

3. 섭정 시대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급사했을 때, 왕비 록사네는 임신 중이었고, 태어날 아이의 성별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마케도니아 장군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 순서에 대한 의견이 대립했다. 바빌론 회의에서 페르디카스는 록사네의 아이가 아들일 경우를 대비해 출산을 기다리자고 주장했다.

에우메네스의 중재로 아리다이오스(필리포스 3세)를 명목상의 군주로, 페르디카스를 섭정으로, 태어날 아이가 남자 아이라면 공동 통치자로 삼기로 결정되었다. 기원전 323년 8월 알렉산드로스 4세가 태어나자 공동 통치자로 즉위했다.[4][5][6]

알렉산드로스 4세를 안고 있는 록사나, 알렉산드로 바로타리(Padovanino) (1588-1648)


섭정 페르디카스는 엄격한 정치를 펼쳤지만, 다른 디아도코이와의 대립이 깊어져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이집트 원정 실패 후 병사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기원전 321년 또는 기원전 320년 5월 또는 6월에 셀레우코스를 비롯한 부하 장군들에게 배신당해 암살되었다.[9] 이후 트리파라디소스 군사 회의에서 안티파트로스가 새로운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안티파트로스는 알렉산드로스 제국 전체 지배 명분을 포기하고 이집트아시아를 태수(사트라프)에게 맡겼다. 그리고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록사네와 함께 마케도니아 본국으로 돌아갔다.

기원전 319년 안티파트로스는 임종을 앞두고 아들 카산드로스 대신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모신 장군 폴리페르콘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4. 내란

기원전 319년 안티파트로스가 죽으면서, 자신의 아들 카산드로스 대신 폴리페르콘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카산드로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안티고노스, 필리포스 3세의 왕비 에우리디케와 동맹을 맺고 폴리페르콘에게 대항했다.[10] 폴리페르콘은 에우메네스와 올림피아스와 연대했다.

폴리페르콘은 초기에 그리스 도시들을 장악하며 성공을 거두었으나, 기원전 318년 안티고노스에게 함대가 격파되면서 이피로스로 피신해야 했다.[10] 록사네와 알렉산드로스 4세도 그를 따랐다. 올림피아스는 아이아키데스를 설득하여 폴리페르콘과 함께 마케도니아를 침공하도록 했다. 올림피아스가 전장에 나타나자 에우리디케의 군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어머니와 싸우기를 거부하고 항복했다. 폴리페르콘과 아이아키데스는 마케도니아를 탈환했고, 필리포스 3세와 에우리디케는 기원전 317년 12월 25일에 처형당했다. 이후 올림피아스가 알렉산드로스 4세의 섭정이 되었다.

기원전 316년, 카산드로스가 다시 마케도니아를 정복하면서 올림피아스는 처형당했고, 록사네와 알렉산드로스 4세는 암피폴리스 요새에 감금되었다.[10] 기원전 311년, 제3차 디아도코이 전쟁이 끝나면서 알렉산드로스 4세의 권리가 인정되었고, 성년이 되면 카산드로스의 후계자가 될 것이 결정되었다.

5. 죽음

기원전 309년, 아르게아드 왕조의 지지자들은 알렉산드로스 4세가 이제 완전한 권력을 행사해야 하며 섭정은 더 이상 필요 없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드로스 4세는 마케도니아 귀족이 궁정 시동이 될 수 있는 나이인 14세에 거의 도달했기 때문이다.[11] 카산드로스는 자신의 통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같은 해 글라우키아스에게 알렉산드로스 4세와 그의 어머니 록사네를 비밀리에 암살하라고 명령했다. 명령은 실행되었고, 그들은 모두 독살되었다.[11] 알렉산드로스 4세의 사망 연도에 대해서는 상반된 자료로 인해 논란이 있지만, 고대 마케도니아 학자 N.G.L. 해먼드와 F.W. 왈뱅크는 저서 ''마케도니아 역사 3권''에서 알렉산드로스가 기원전 309년 여름 말, 그의 이복 형제인 헤라클레스가 죽은 직후 사망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고전 역사가 피터 그린은 헤라클레스가 알렉산드로스 4세의 암살 이후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11]

그 후 이복형인 헤라클레스와 그 어머니 바르시네도 살해당하면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직계 자손은 끊어졌다.

1977년 그리스의 고고학자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에 의해 베르기나봉분 중 하나에서 알렉산드로스 4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이 발견되었다.[13]

알렉산드로스 4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베르기나의 분묘

6. 사후

1977년 그리스의 고고학자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는 베르기나에서 발견된 봉분 중 하나가 알렉산드로스 4세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13]

7. 평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평가 섹션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https://archive.org/[...]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3
[2] 서적 Denkmäler aus Ägypten und Äthiopien IV
[3] 서적 The Quest for the Tomb of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Lulu (company)
[4] 간행물 Chaghatai: the Fabulous Cities and People of the Silk Road Infinity Publishing 2004
[5] 간행물 Russia and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Sphinx Fine Art 2008
[6] 웹사이트 Roxane https://www.livius.o[...] 2015-08-17
[7] 문서
[8] 서적 Hellēnistikē Athēna Ekdoseis Odysseas 1998
[9] 논문 Diodorus and the Date of Triparadeisu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Summer
[10] 웹사이트 Alexander's Heirs: The Age of the Successo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07-14
[11] 문서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2007
[12] 웹사이트 Royal Tombs: Vergina http://www.macedonia[...] Macedonian Heritage 2013-07-09
[13] 웹인용 Royal Tombs: Vergina http://www.macedonia[...] Macedonian Heritage 2013-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