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무데나 대성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무데나 대성당은 스페인 마드리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대성당이다. 16세기부터 대성당 건립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아메리카 대륙 개척과 해군력 증강에 예산이 집중되면서 1879년에야 건축이 시작되었다. 네오고딕 양식으로 설계되었으나, 스페인 내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바로크 양식으로 변경되어 1993년에 완공되었다. 1993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축성되었으며, 2004년 스페인 펠리페 6세와 레티시아 오르티스의 결혼 미사가 거행되었다. 대성당은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꾸며져 있으며, 지하에는 묘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드리드의 교회당 - 비르헨델푸에르토 교회
- 20세기 완공된 건축물 - 몬세라트 수도원
바르셀로나 근교 몬세라트 산에 위치한 몬세라트 수도원은 카탈루냐의 문화적, 영적 중심지로서 검은 성모 마리아 성소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소년 합창단, 그리고 다양한 건축물과 예술 작품을 소장한 몬세라트 박물관으로 유명한 베네딕토회 수도원이다. - 스페인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메스키타
코르도바 메스키타는 8세기 후반 모스크로 건설되어 확장 후 가톨릭 대성당으로 개조된 스페인 코르도바의 역사적 건축물로, 이슬람 건축의 걸작이자 이슬람-기독교 건축 양식이 공존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상징적인 유적이다. - 스페인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세비야 대성당
세비야 대성당은 스페인 세비야에 위치한 고딕 양식의 대성당으로, 1184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528년에 완공되었으며, 원래는 이슬람 모스크였으나 기독교 세력에 의해 개조되었고,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알무데나 대성당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정식 명칭 | 산타 마리아 라 레알 데 라 알무데나 대성당 |
| 위치 | 마드리드 |
| 국가 | 스페인 |
| 교단 | 로마 가톨릭교회 |
| 봉헌 | 알무데나의 성모 |
| 축성일 | 1993년 6월 15일 |
| 기능 | 대성당 |
| 웹사이트 | 알무데나 대성당 웹사이트 |
| 건축 정보 | |
| 건축 양식 | 신고전주의 건축 네오고딕 건축 네오로마네스크 건축 |
| 건축 시작 | 1883년 |
| 완공 | 1993년 |
| 길이 | 102 미터 |
| 너비 (신랑) | 12.5 미터 |
| 탑 개수 | 2개 |
| 탑 높이 | 72 미터 |
| 교구 정보 | |
| 관구 | 마드리드 관구 |
| 교구 | 마드리드 대교구 |
| 교구 시작 | 1883년 |
| 주교 | 호세 코보 카노 |
| 기타 정보 | |
| 역사 | 대성당 역사 |
2. 역사
16세기에 알무데나 성모에게 봉헌하는 마드리드의 새로운 대성당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지만, 건설은 지연되어 1879년이 되어서야 착공하였다. 스페인 내전으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1950년 페르난도 추에카 고이티아가 설계를 변경하여 공사를 재개, 1993년에 완공되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축성되었다. 2004년 5월 22일에는 펠리페 6세와 레티시아 왕비의 결혼식이 이곳에서 거행되었다.[7]
대성당 내부는 신고딕 양식으로, 현대적인 예술 작품들로 독특하게 꾸며져 있다. 부속 경당과 조각상들은 네오고딕 양식에서부터 팝아트 데코 양식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양식으로 꾸며져 있다. 신로마네스크 양식의 지하실에는 16세기의 것으로 보이는 알무데나 성모상이 모셔져 있다. 최근에는 마드리드 시의 발굴 작업으로 옛 무어인 양식의 중세 도시 성벽의 잔해들이 발굴되었다.
2. 1. 건설 배경
1561년 스페인이 톨레도에서 마드리드로 수도를 옮겼을 때, 스페인 교회의 중심지는 여전히 톨레도에 머물러 있었고, 새 수도인 마드리드에는 대성당이 없었다. 이후 마드리드에 알무데나의 성모를 위한 대성당을 짓자는 이야기는 16세기부터 논의되었지만, 본격적으로 건축 작업에 나선 것은 1879년이었다. 이는 16세기 당시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개척지를 건설하고 해군력을 증강시키는 데에 대부분의 예산을 사용했기 때문에, 스페인 정부가 대성당보다는 제국을 유지하고 확장시키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결정했기 때문이었다.[4]대성당은 1085년 알폰소 6세가 마드리드를 재점령했을 때 파괴되었던 중세 시대의 이슬람 모스크가 있던 자리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2]
대성당 건설 책임자였던 프란시스코 데 쿠바스 후작은 네오고딕 양식을 염두에 두고 대성당을 설계하였다. 그러나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면서 대성당 건축은 전면 중단되었으며, 공사 현장은 1950년까지 그대로 방치되었다.[4] 1950년에 새로 건설 책임자를 맡게 된 페르난도 추에카 고이티아는 쿠바스 후작의 설계도면을 바로크 양식으로 전면 변경하였는데, 그 이유는 대성당이 지어질 장소 맞은편에 있는 마드리드 왕궁과 잘 조화를 이루게 하기 위함이었다.[4]
2. 2. 건설 과정
1561년 스페인이 톨레도에서 마드리드로 수도를 옮겼을 때, 스페인 교회의 중심지는 여전히 톨레도에 남아 있었고, 새 수도인 마드리드에는 대성당이 없었다. 이후 마드리드에 알무데나의 성모를 위한 대성당을 짓자는 이야기는 16세기부터 논의되었지만, 본격적인 건축은 1879년에 시작되었다.[4] 이는 당시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 개척과 해군력 증강에 예산을 우선 투입했기 때문이었다.대성당은 1085년 알폰소 6세가 마드리드를 재점령했을 때 파괴되었던 중세 이슬람 모스크가 있던 자리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2]
대성당의 건설 책임자인 프란시스코 데 쿠바스 후작은 네오고딕 양식을 염두에 두고 대성당을 설계하였다. 그러나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면서 대성당 건축은 전면 중단되었고, 공사 현장은 1950년까지 그대로 방치되었다.[4] 1950년에 건설 책임자를 맡게 된 페르난도 추에카 고이티아는 마드리드 왕궁과 조화를 이루도록 쿠바스 후작의 설계 도면을 바로크 양식으로 전면 변경하였다.[4]
대성당은 1993년에 완공된 후, 스페인을 방문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축성되었다.[5]

2. 3. 주요 사건
16세기에 알무데나 성모에게 봉헌하는 마드리드의 새로운 대성당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지만, 건설은 지연되어 1879년이 되어서야 착공하였다. 쿠바스 후작 프란시스코 데 쿠바스는 대성당 설계와 고딕 리바이벌 건축으로의 건설을 지휘했다. 건설은 스페인 내전 중에 완전히 중단되었다.[4] 1950년, 페르난도 추에카 고이티아가 쿠바스의 계획을 채택하여 대성당 맞은편에 있는 왕궁의 회색과 흰색 파사드에 맞추도록 네오클래식 양식의 외관으로 설계했다.[4] 대성당은 로마 교황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별된 1993년까지 완공되지 않았다.[5] 2004년 5월 22일, 아스투리아스 공작 펠리페(후일 국왕 펠리페 6세)와 왕비 레티시아의 결혼식이 알무데나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7]3. 건축 양식
알무데나 대성당은 마드리드 왕궁과 조화를 이루는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대성당은 처음에는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으로 설계되었으나, 스페인 내전으로 건설이 중단되었다가 1950년에 재개되었다. 이후 네오클래식 양식의 외관으로 변경되어 왕궁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3. 1. 외관
알무데나 대성당은 네오클래식 양식의 외관으로 설계되어, 대성당 맞은편에 있는 마드리드 왕궁의 회색과 흰색 파사드와 조화를 이룬다.3. 2. 내부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내부는 독특한 현대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며, 현대 미술가들의 예배당과 조각상에는 역사적 복고풍 작품부터 팝아트 장식까지 다양한 양식이 채택되어 있다. 네오 로마네스크 양식의 지하 성당은 알무데나 성모의 16세기 이미지를 바탕으로 건설되었다.
3. 3. 지하
네오 로마네스크 양식의 지하 성당은 알무데나 성모의 16세기 이미지를 바탕으로 건설되었다.4. 주요 매장 인물
| 이름 | 생몰년도 | 비고 |
|---|---|---|
| 메르세데스 데 오를레앙 공주 | 1860–1878 | 스페인 왕비 |
| 페르디난트 바이에른 공자 | 1884–1958 | |
| 호세 외제니오 바이에른 공자 | 1909–1966 | |
| 루이스 알폰소 바이에른 공자 | 1906–1983 | |
| 마리아 데 라 아순시온 솔랑주 데 메시아 이 데 레셉스 바이에른 공녀 | 1911–2005 | 오디엘 백작 부인 |
| 카르멘 프랑코 | 1926–2017 | 프랑코 공작 부인 |
| 크리스토발 마르티네스-보르디우 | 1922–1998 | 빌라베르데 후작 (10대) |
| 프란시스코 데 쿠바스 | 1826–1899 | 쿠바스 후작 (1대) |
| 프란시스코 데 쿠바스 이 에리세 | 1868–1937 | 쿠바스 후작 (2대), 폰탈바 후작 (2대), 그란데 |
| 에스타니슬라오 데 우르키호 이 란달루세 | 1817–1889 | 우르키호 후작 (1대) |
| 에스타니슬라오 데 우르키호 이 우시아 | 1872–1948 | 우르키호 후작 (3대) |
| 이사벨 데 말트라나 이 데 노발레스 | ?–1919 | 말트라나 후작 부인 (1대) |
| 루이스 데 페드로소 이 마단 | 1876–1952 | 산 에스테반 데 카뇨고 백작 (5대) |
| 마리아 돌로레스 데 페드로소 이 스투르자 | 산 에스테반 데 카뇨고 백작 부인 (6대) | |
| 마르가리타 데 페드로소 이 스투르자 | 1911–1989 | 산 에스테반 데 카뇨고 백작 부인 (7대) |
| 안헬 수키아 고이코에체아 추기경 | 1916–2006 | |
| 페르난도 리엘로 파르달 | 1923–2004 | |
| 알폰소 페냐 보외프 | 1888–1966 | |
| 엔리케 마리아 레풀레스 | 1845–1922 |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https://catedraldela[...]
Archdiocese of Madrid
2020-01-28
[2]
웹사이트
El Madrid islámico
http://www.ite.educa[...]
Ite.educacion.es
2013-10-14
[3]
백과사전
González Barrón, Ramó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
웹사이트
La Almudena Cathedral
https://www.esmadrid[...]
2022-04-21
[5]
뉴스
Pope warns revelers to 'purify' fervor
https://books.google[...]
1993-06-15
[6]
웹사이트
Messeu of the Almundena Cathedral
https://museo.catedr[...]
[7]
뉴스
Los reyes del siglo XXI
https://elpais.com/d[...]
2004-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