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시타 게이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시타 게이고는 1978년생 일본의 바둑 기사이다. 1993년 입단하여 2000년 기성 타이틀을 획득하며 최연소 기성 기록을 세웠으며, 2003년 기성, 2011년 명인 및 본인방을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일본 바둑계를 대표하는 기사가 되었다. 통산 22개의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공격적인 기풍으로 주목받았으며, 깊은 수읽기를 바탕으로 근접전을 즐겨 구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히카와시 출신 - 미우라 아야코
일본의 소설가 미우라 아야코는 1964년 《빙점》으로 데뷔하여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고,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했으며, 결핵 투병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남편의 지원 속에 집필 활동을 이어가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 아사히카와시 출신 - 우에노 마사에
우에노 마사에는 일본의 유도 선수로, 2001년과 200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70kg급 올림픽 2연패 달성자이다. - 아시안 게임 바둑 메달리스트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아시안 게임 바둑 메달리스트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야마시타 게이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야마시타 케이고 |
원어명 | 山下 敬吾 |
출생일 | 1978년 9월 6일 |
출생지 |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
거주지 | 도쿄 |
소속 | 일본기원 도쿄 본원 |
스승 | 기쿠치 야스오 |
입단 년도 | 1993년 |
단 | 9단 |
타이틀 정보 | |
타이틀 합계 | 23회 |
기성 | 5기 (2003, 2006-2009) |
명인 | 2기 (2011-2012) |
본인방 | 2기 (2010-2011) |
왕좌 | 2기 (2006-2007) |
천원 | 2기 (2004, 2009) |
기성 (고세이) | 1기 (2000) |
십단 | 도전 (2006-2007, 2010) |
2. 약력
야마시타 게이고는 1978년 9월 6일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바둑을 배워 1987년 일본 전국 소년소녀 바둑대회에서 우승(초등 2학년)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프로 입단 및 초기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93년: 입단 (초단)
- 1994년: 2단 승단, 제19기 일본 기성전 2단전 진출
- 1995년: 제20기 일본 기성전 2단전 우승, 3단 승단
- 1996년: 제21기 일본 기성전 3단전 우승, 4단 승단
- 1997년: 5단 승단
- 1998년: 제21기 일본 기성전 5단전 우승, 신인왕전 우승, 6단 승단
- 1999년: 제14기 일본 NEC 준영전 우승
주요 타이틀 획득 및 활약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상대 | 비고 |
---|---|---|---|---|
2000 | 신예 토너먼트전 | 우승 | ||
2000 | 신인왕전 | 우승 | ||
2000 | 제25기 일본 작은기성전 | 우승 | 고바야시 고이치 (3:2) | 첫 타이틀 |
2001 | 신인왕전 | 우승 | ||
2003 | 제27기 기성전 | 우승 | 왕리청 (4:1) | 최연소 기성 타이틀 |
2003 | 제28기 명인전 | 준우승 | 요다 노리모토 (1:4) | |
2003 | 제29기 천원전 | 준우승 | 하네 나오키 (2:3) | |
2004 | 제28기 기성전 | 준우승 | 하네 나오키 (3:4) | |
2004 | 제30기 천원전 | 우승 | 하네 나오키 (3:0) | |
2004 | 제52기 왕좌전 | 준우승 | 장쉬 (1:3) | |
2005 | 제53기 왕좌전 | 준우승 | 장쉬 (0:3) | |
2006 | 제30기 기성전 | 우승 | 하네 나오키 (4:0) | |
2006 | 제54기 왕좌전 | 우승 | 장쉬 (3:1) | |
2007 | 제31기 기성전 | 우승 | 고바야시 사토루 (4:0) | |
2007 | 제55기 왕좌전 | 우승 | 이마무라 도시야 (3:1) | |
2008 | 제32기 기성전 | 우승 | 조치훈 (4:3) | |
2008 | 제33기 작은기성전 | 준우승 | 장쉬 (1:3) | |
2009 | 제33기 기성전 | 우승 | 요다 노리모토 (4:2) | |
2009 | 제35기 천원전 | 우승 | 장쉬 (3:2) | |
2010 | 제34기 기성전 | 준우승 | 장쉬 (1:4) | |
2010 | 제65기 일본 혼인보 | 우승 | 하네 나오키 (4:1) | 본인방도고(本因坊道吾) 호칭 |
2010 | 제19기 일본 용성전 | 우승 | ||
2010 | 제18회 아함동산배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 |
2011 | 제66기 일본 혼인보 | 우승 | 하네 나오키 (4:3) | |
2011 | 제36기 명인전 | 우승 | 이야마 유타 (4:2) | |
2012 | 제37기 명인전 | 우승 | 하네 나오키 (4:3) | |
2013 | 제25기 일본 용성전 | 우승 | ||
2014 | 제38기 일본 기성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2:4) | |
2015 | 제39기 일본 기성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3:4) | |
2015 | 제70기 일본 혼인보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1:4) | |
2015 | 제40기 일본 작은기성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1:3) | |
2016 | 제40기 일본 기성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0:4) | |
2017 | 제42기 일본 작은기성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0:3) | |
2018 | 제44기 일본 천원전 | 준우승 | 이야마 유타 (2:3) |
1-3월
2003년에는 왕리청을 꺾고 기성 타이틀을 획득하며 최연소 기성(만 24세)에 등극했다.[6] 2010년에는 하네 나오키를 꺾고 혼인보를 획득하며 '본인방도고(本因坊道吾)'라는 호칭을 얻었다. 2011년에는 이야마 유타를 꺾고 명인을 획득, 사상 7번째 명인 본인방이 되었다.
2015년에는 프로 입단 22년 7개월, 37세 2개월 만에 900승을 달성하여 다카오 신지로를 넘어선 최연소 기록[20]을 세웠다.
2023년 2월 12일, 프로 기사 페어 바둑 선수권 2023에서는 스즈키 아유미 7단과 페어를 구성하여 첫 우승하였다.
2024-25년, 제49기 기성전 A리그에서 1위가 되어 S리그로 승격하였다. 도전자 결정 변칙 삼번 승부에 진출하였지만, 이야마 유타 왕좌에게 패배하여 도전을 놓쳤다.
3. 승단 기록
단 승단 날짜 초단 1993년 2단 1994년 3단 1995년 4단 1996년 5단 1997년 6단 1998년 7단 2000년 9단 2003년 (기성전 우승)[7]
4. 주요 타이틀 및 수상
2003년 (제27기), 06-09 11 5기
(역대 4위)4
(역대 3위 타이기)명인 7번기
9-11월2011년 (제36기)-12 4 2기 2 본인방 7번기
5-7월2010년 (제65기)-11 5 2기 2 왕좌 5번기
10-12월2006년 (제54기)-07 5 2기 2 천원 5번기
10-12월2004년 (제30기), 09 8 2기 작은기성 5번기
6-8월2000년 (제25기) 5 1기 십단 5번기
3-4월3 등장 횟수 합계 41회, 획득 합계 14기 = 역대 9위 타이기,
3대 타이틀 획득 수 합계 9기 = 역대 7위 타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