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콜릿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콜릿은 카카오 콩을 가공하여 만든 식품으로, 기원전 2,600년경 북미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마야 문명에서 음료로 마시기 시작하여 유럽에는 에르난 코르테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19세기 기술 혁신을 통해 고체 형태의 초콜릿이 등장했다. 맛, 재료, 형태에 따라 다크, 밀크, 화이트 초콜릿 등으로 분류되며, 제조 과정은 카카오 콩 수확, 발효, 로스팅, 분쇄, 혼합, 콘칭, 템퍼링 등의 단계를 거친다. 초콜릿은 산업적으로 대규모 생산되며, 미국, 독일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 그러나 아동 노동, 환경 문제 등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으며, 공정 무역과 대체 초콜릿 개발 등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콜릿은 대중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부활절, 발렌타인데이 등 특정 문화 행사와 연관되어 선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호식품 -
    술은 인류가 즐겨온 음료로, 발효, 증류, 혼성주로 분류되며, 쾌락과 불안 감소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에 해롭고, 음주 관련 법규가 존재한다.
  • 기호식품 - 커피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음료로, 아라비카종이 주를 이루며 에티오피아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음료이고, 다양한 추출 방식과 맛과 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존재하며 각성 효과가 있으나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초콜릿 - 카카오
    카카오는 아욱과에 속하는 열대 식물로, 열매인 카카오콩을 가공하여 코코아, 초콜릿 등을 만들며, 아동 노동,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품종 개발과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초콜릿 - 밀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은 카카오, 우유, 설탕을 혼합하여 만든 초콜릿의 한 종류이며, 1876년 다니엘 피터가 개발한 후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윤리적 소비와 관련하여 공정 무역 인증 제품도 생산된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초콜릿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초콜릿 바
일반적인 다크, 밀크, 화이트 초콜릿 바
개요
주요 재료카카오 매스, 화이트 초콜릿의 경우 코코아 버터, 종종 설탕 첨가
영양 정보 (밀크 초콜릿 기준)
에너지 (kJ)2335
수분 (g)0.5
단백질 (g)6.9
지방 (g)34.1
포화 지방 (g)19.88
단일 불포화 지방 (g)10.38
다중 불포화 지방 (g)1.08
콜레스테롤 (mg)19
탄수화물 (g)55.8
전분 (g)59.3
식이 섬유 (g)3.9
나트륨 (mg)64
칼륨 (mg)440
칼슘 (mg)240
마그네슘 (mg)74
인 (mg)240
철 (mg)2.4
아연 (mg)1.6
구리 (mg)0.55
망간 (mg)0.41
셀레늄 (µg)6
베타카로틴 (µg)35
비타민 A (µg)66
비타민 D (µg)1.0
비타민 E (mg)0.7
비타민 K (µg)6
티아민 (mg)0.19
리보플라빈 (mg)0.41
나이아신 (mg)1.2
비타민 B6 (mg)0.11
엽산 (µg)18
판토텐산 (mg)1.56
카페인 (mg)10
비오틴 (B₇) (µg)7.6
테오브로민 (g)0.2
폴리페놀 (g)0.7
원산지
지역메소아메리카
명칭
영어chocolate
프랑스어chocolat
어원
쵸코 (약칭)영국식 영어 “choc”
기타 정보
관련 보고서NORC 최종 보고서: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코코아 생산 지역에서 아동 노동 감소 진전 평가

2. 역사

초콜릿은 약 2,600년 전 북미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마야 문명에서 코코아를 갈아서 음료로 마시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멕시코에서는 바닐라와 고추 향이 나는 매운 다크 초콜릿 음료인 쇼콜라틀(xocolatl)을 마셨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처음으로 코코아 콩을 스페인 왕실에 바쳐 유럽에 소개하였지만, 초콜릿을 유럽에 널리 퍼뜨린 것은 에르난 코르테스였다. 1585년부터 유럽과 아메리카 사이에 카카오 콩 무역이 시작되었다. 지금과 같은 고체 형태의 초콜릿은 1828년 처음 개발되었다. 최초의 밀크 초콜릿은 1876년 스위스에서 개발되었다.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고받는 문화는 19세기 영국의 캐드버리사가 처음 시작하였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 주로 중앙 아메리카에서 카카오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에서 기호품 및 약용으로 귀하게 여겨졌고[150], 마야족, 이후에는 아스테카족도 화폐로 사용했다. 마시는 방법은 옥수수 가루나 고추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세기 중반 영국에 초콜릿이 전해졌고, 당시 번성했던 커피 하우스에서도 널리 제공되었다[151]. 이 시기 초콜릿은 유럽의 왕족, 귀족 및 부유층에게 사치스러운 음료로 받아들여졌다.

19세기 이전까지 초콜릿은 음료였으나, 19세기 기술 혁신으로 현재의 초콜릿 형태가 확립되었다. 1828년 네덜란드의 콘라트 요하네스 반 호우텐이 코코아 파우더와 코코아 버터를 분리하는 제조법을 확립했고, 카카오에 알칼리 처리를 하여 쓴맛을 완화하는 방법도 고안했다. 1847년 영국의 조지프 프라이가 고체 초콜릿을 발명했으며, 1875년 스위스의 약사 앙리 네슬레쇼콜라티에 다니엘 페터가 밀크 초콜릿을 개발했다[152]. 1879년 스위스의 로돌프 린츠에 의해 콘치가 발명되어 거칠었던 고체 초콜릿이 부드러운 식감으로 변화했다. 이러한 발명은 "초콜릿의 4대 기술 혁명"이라고도 불리며[153][154], 고체 초콜릿이 코코아를 대신하여 카카오의 주요 이용법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초콜릿은 소규모 기업이나 장인의 생산에서 대기업에 의한 공장 대량 생산으로 전환되었다. 스위스의 네슬레사, 린트사, 카이에사, 영국의 캐드버리사, 로운트리사, 미국의 허쉬사 등의 대형 초콜릿 기업이 탄생하여 대량 생산된 규격품 초콜릿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초콜릿 가격이 내려갔고, 일반 시민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과자가 되었다. 벨기에나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쇼콜라티에에 의한 고급 초콜릿 가게도 다수 존재한다. 대형 초콜릿 기업은 1960년대 이후 인수 합병을 반복하면서 거대해졌지만, 고급 초콜릿 가게 장인의 초콜릿에도 큰 수요가 있으며, 이 두 가지가 일반 시민이 먹는 초콜릿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55].

일본에 초콜릿이 전해진 것은 에도 시대이다. 간세이 9년(1797년) 나가사키의 마루야마의 야마토지라는 유녀가 네덜란드인에게서 받은 선물 기록 중에 "쇼쿠라아토 여섯 개"라는 기재가 있는데, 이것이 일본 국내에서 초콜릿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사료로 여겨진다. 교토의 란학자 히로카와 카이가 나가사키에 6년 정도 유학했을 때의 일을 정리한 "나가사키 문견록(1800년, 간세이 12년 발행)"에는 "쇼쿠라토오"의 기록이 있다. "쇼쿠라토오"는 "홍모인이 가져온 신장약"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녹여서 마시는 약으로 취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막부가 정식으로 초콜릿을 수입했다는 기록은 없고, 일부 네덜란드인이 사적으로 데지마에 반입했으며, 그들과 교류가 있던 사람들만이 초콜릿을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156].

일본이 본격적으로 초콜릿에 대해 알게 된 것은 막말 무렵이다. 1858년 유럽으로 파견된 분큐 견구 사절이 초콜릿 공장을 견학했다. 도쿠가와 아키타케는 게이오 4년(1868년) 8월 3일, "아침 8시, 코코아를 마신 후, 해군 공창을 방문한다"고 일기에 기록하고 있으며, 이것이 기록에 남아 있는 한, 일본인이 처음으로 코코아를 마신 사료이다[156].

1613년 게이초 견구 사절이 유럽에 갔던 시기는 초콜릿을 마시는 습관이 유럽 상류층에 퍼져 있던 시기와 겹치므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에 참가했던 하세쿠라 쓰네나가 등이 처음으로 초콜릿을 맛본 일본인이 아니냐는 설도 있다[157][158].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마야 문명코코아를 갈아서 음료로 마시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멕시코에서는 바닐라와 고추 향이 나는 매운 다크 초콜릿 음료인 쇼콜라틀(xocolatl)을 마셨다.[2]

카카오나무(Theobroma cacao) 재배는 기원전 5300년경 남아메리카에서 시작되어 중앙아메리카로 전파되었다.[6] 초콜릿은 여러 중앙아메리카 사회에서 매우 중요했으며, 마야 문명아즈텍 제국은 카카오를 신의 선물로 여겼다.[7] 코코아 콩은 여러 문명에서 화폐, 의식, 지도자와 신에게 바치는 공물,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다.[7] 중앙아메리카의 초콜릿은 쓴맛이 나는 음료였으며, 바닐라, 이어플라워, 고추와 같은 첨가물로 맛을 내고, 용기 사이에서 액체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짙은 갈색 거품을 만들어 마셨다.

2. 2. 유럽으로의 전파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처음으로 코코아 콩을 스페인 왕실에 바쳐 유럽에 소개하였지만, 초콜릿을 유럽에 널리 퍼뜨린 것은 에르난 코르테스였다.[7] 1585년부터 유럽과 아메리카 사이에 카카오 콩 무역이 시작되었다.[2] 17세기에는 설탕을 첨가하고 따뜻하게 데워 익숙한 향신료로 맛을 낸 초콜릿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2]

2. 3. 대량 생산과 현대

19세기 말부터 많은 유명 초콜릿 제조사가 창립되며 대량생산이 가속화되었다. 영국에서는 1728년, 미국에서는 1765년에 처음으로 초콜릿 제조사가 창립되었다.[8][9] 1828년 코엔라트 요하네스 판 호텐은 더치 코코아를 만드는 공정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이로 인해 초콜릿 리커(밀링의 결과물)에서 코코아 버터가 제거되었고, 대규모 초콜릿 생산이 가능해졌다. 멜랑저(혼합 기계), 현대적인 밀크 초콜릿, 초콜릿을 더 부드럽게 만들고 맛을 변화시키는 콩칭 공정을 포함한 19세기의 발전으로 1890년의 노동자는 산업 혁명 이전보다 같은 노동력으로 50배 더 많은 초콜릿을 생산할 수 있었고, 초콜릿은 마시는 음료가 아닌 먹는 음식이 되었다. 생산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이동하면서 서구 국가에서 초콜릿의 대량 시장이 열렸다.

20세기 동안 초콜릿 생산은 더욱 발전하여, 초콜릿의 꺾임과 광택을 개선하기 위한 템퍼링 기술 개발과 질감과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한 레시틴의 첨가가 이루어졌다. 화이트 초콜릿과 쿠베르튀르 초콜릿이 20세기에 개발되었고, 빈투바 무역 모델이 시작되었다.

2. 4. 한국에서의 초콜릿

한국에서 초콜릿은 1968년 해태제과에 의해 처음 제조되었다.[170] 한국의 초콜릿 역사는 명성황후에게 진상된 '저고령당'(초콜릿)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171] 이토 히로부미가 왕궁 상궁들을 회유하기 위해 선물했다는 설이 있다.[171]

일제강점기에는 초콜릿이 과자보다는 영양 식품에 가깝게 취급되었다. 1928년 동아일보에 실린 일본 모리나가 제과의 밀크 초콜릿 광고는 "계란, 우유의 3배인 2,160칼로리"라며 열량을 강조했고, "혈행을 좋게 하고 원기를 왕성히 하는 풍부한 열량의 원천"이라고 홍보하기도 했다.[172] 심지어는 "매우 자극이 심해서 아이에게 많이 먹이면 코를 자극하여 코피가 나고, 종말에는 중독을 일으킨다"는 기사도 있었다.[173]

광복 이후 미군정을 통해 초콜릿이 들어왔고, 1947년에는 서울 시내 각 가정에 초콜릿이 배급되기도 했다.[174] 한국 전쟁 이후 유엔군 참전으로 초콜릿은 전국으로 퍼졌다.[174] 1970년대에는 "여성이 남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는 날"로 밸런타인데이가 정착되었다.

3. 제조

초콜릿은 카카오 나무의 열매 씨앗인 카카오 콩으로 만들어진다. 카카오 콩은 수확 후 발효와 건조를 거쳐 초콜릿 제조 시설로 옮겨진다.

제조 시설에서는 카카오 콩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로스팅하여 등급을 매긴다. 껍질을 제거하고 부순 카카오 콩은 카카오닙스가 되며, 이를 갈아 액체화하면 순수한 초콜릿인 카카오매스가 된다. 카카오매스는 카카오 버터와 카카오 덩어리로 분리할 수 있다.

카카오 매스에 코코아 버터, 설탕, 우유 등을 섞어 초콜릿 도우를 만들고, 리파이너를 통해 입자를 미세하게 분쇄한다. 그 후 콘체에서 장시간 정련하고, 템퍼링 과정을 거쳐 온도를 조절하여 초콜릿을 안정화시킨다. 마지막으로 틀에 굳히고 포장하여 숙성시키면 초콜릿이 완성된다.

3. 1. 카카오 콩 가공

카카오 콩은 쓰고 떫은 맛이 나며 초콜릿 향이 없다. 카카오 콩은 발효와 건조 과정을 거쳐야 초콜릿 향이 나며, 초콜릿 제조 시설로 이송된다.

  • 발효: 카카오 콩을 나무통에 넣어 약 5~7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향미가 생성되어 초콜릿 향이 나타난다. 콩과 콩을 둘러싼 과육은 콩깍지에서 꺼내 발효를 위해 더미나 통에 넣는다. 환경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펙틴을 함유한 물질을 발효시킨다. 효모에탄올을, 젖산균은 젖산을, 초산균은 아세트산을 생성한다.[20]
  • 건조: 발효 후 곰팡이 발생을 막기 위해 약 9~10일 동안 건조시킨다. 기후와 날씨가 허락하는 경우, 콩을 햇볕에 5~7일 동안 널어 건조시킨다.[21]


건조된 콩은 초콜릿 제조 시설로 이송되어 다음과 같은 가공 과정을 거친다.

1. 잔가지나 돌 등 이물질을 제거한다.

2. 로스팅을 하고 등급을 매긴다.

3. 콩 껍질을 제거하고 부수어 카카오닙스를 만든다.

4. 카카오닙스를 갈아 액화하여 액체 형태의 순수한 초콜릿, 즉 카카오매스를 만든다.

5. 카카오매스는 카카오 덩어리와 카카오 버터의 두 성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3. 2. 초콜릿 제조 과정

초콜릿의 원료는 카카오 열매 속 씨앗인 카카오 콩이다. 수확한 카카오 콩은 펄프와 함께 며칠 동안 발효시키고, 햇볕에 건조시킨 후 공장으로 운반한다.

초콜릿 밀(오른쪽)이 코코아 원두를 갈아 초콜릿 리커로 만든다. 멜란저(왼쪽)는 우유, 설탕 및 기타 재료를 리커와 혼합한다.


카카오 열매 속 카카오콩


공장에서는 카카오 콩을 선별하고, 부숴서 겉껍질과 배아를 제거하여 카카오닙스를 만든다. 카카오닙스는 로스팅을 거쳐 아세트산이 제거되고 마이야르 반응에 의해 향과 풍미가 나타난다. 카카오닙스를 로스팅하는 방법에는 닙 로스트법 외에도 콩을 직접 로스팅하는 빈 로스트법, 분쇄 후 액체를 로스팅하는 카카오 리커법 등이 있다.

분쇄된 카카오닙스는 페이스트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카카오 매스이다. 카카오 매스는 카카오 버터 함량이 55%이기 때문에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한다. 카카오 매스에 코코아 버터, 설탕, 우유 등을 혼합하여 초콜릿 도우를 만든다. 이 도우는 리파이너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잘게 부서져 입자가 부드러워진다. 너무 잘게 부수면 오히려 텁텁해지기 때문에 섬세한 조정이 필요하다.

분쇄 후에는 콘체에서 장시간 정련한다. 정련이 끝나면 템퍼링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초콜릿을 안정시키고, 틀에 넣어 굳힌 후 포장하여 숙성시킨다. 원료 혼합 비율, 마쇄 및 정련 방법은 생산자 고유의 노하우이며, 같은 원재료를 사용해도 다른 풍미의 초콜릿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정련 온도는 초콜릿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련도가 낮으면 잡미가 많고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정련도가 너무 높으면 풍미가 사라진다.

3. 2. 1. 블렌딩

카카오매스는 다양한 양의 카카오 버터와 혼합하고, 여기에 설탕, 우유 등 여러 가지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다.[25]

일반적으로, 판형으로 굳힐 수 있도록 대두 레시틴과 같은 유화제가 첨가되지만, 일부 제조업체는 순도를 이유로 이 성분을 배제하고 GMO가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지만, 이 경우 매끄러운 질감이 사라지기도 한다. 일부 제조업체는 동일한 식감을 유지하면서도 카카오 버터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피마자유에서 파생된 인공 유화제인 PGPR을 사용하고 있다.[27]

텍스처는 가공, 특히 콘칭(아래 참조)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값비싼 초콜릿은 가공 시간이 길어서 유화제 첨가 여부와 상관없이 식감과 질감이 부드럽다.[27]

카카오 매스에 코코아 버터, 설탕, 우유 등을 혼합하여 초콜릿 도우를 만듦

3. 2. 2. 콘칭

콘칭(Conching)은 초콜릿 제조 과정 중 하나로, 롤러가 달린 용기(콘체) 안에서 초콜릿 혼합물을 마찰열을 이용해 액체 상태로 유지하며 정제하는 과정이다. 콘칭 전의 초콜릿은 거칠고 고르지 않은 식감을 가지지만, 이 과정을 통해 혀가 감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코코아와 설탕 입자가 작아져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된다.[175] 이때 만들어지는 초콜릿 입자의 크기는 약 20μm(마이크로미터) 정도로 매우 작아, 거친 모서리가 줄어들어 입안에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콘칭 시간은 초콜릿의 최종 품질을 결정하는데, 고급 초콜릿은 약 72시간, 저급 초콜릿은 4~6시간 동안 콘칭한다.[175] 콘칭이 끝난 후에는 초콜릿을 약 45°C 에서 50°C로 가열된 탱크에 보관하여 최종 처리를 기다린다.[28]

3. 2. 3. 템퍼링

초콜릿 제조의 마지막 과정은 템퍼링(tempering)이라고 부른다. 초콜릿 제조에 사용되는 카카오 버터는 다양한 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데, 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이로 인해 초콜릿 표면이 얼룩덜룩하고 윤기가 없어지며, 초콜릿이 깨질 때 깔끔하게 부러지지 않고 부서지게 된다.[178][176] 따라서 초콜릿의 균일한 광택과 깔끔한 식감을 위해 카카오 버터를 안정적인 형태로 굳히는 템퍼링 과정이 필요하다.

카카오 버터의 지방은 여러 형태로 결정화될 수 있는데(동질이상), 템퍼링의 주된 목적은 이 중 가장 좋은 형태만 남도록 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녹는점이 17℃인 감마 결정(I형), 21~24℃인 알파 결정(II형), 25~29℃인 베타 프라임 결정(III형, IV형), 34~35℃인 베타 결정(V형)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안정적인 구조는 녹는점이 높은 베타 결정이다.[177]

베타 결정(V형)을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초콜릿을 45℃ 정도로 가열하여 모든 지방 결정을 녹인다.[178][179] 그 후, 초콜릿을 약 27℃로 냉각시키면 베타 프라임(IV형)과 베타(V형) 결정이 형성된다. 이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결정은 모두 녹고 안정적인 결정만 남게 된다. 여기서 온도를 31℃로 서서히 높이면 베타 프라임(IV형)이 제거되고 V형만 남는다. 이렇게 온도를 조절하면 결정들이 사슬처럼 정렬된다.[177]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안정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하여, 소량의 지방을 결정화하고 광택이 나고 바삭하게 부러지는 초콜릿을 만든다.

3. 3. 보관

초콜릿은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하다. 이상적인 보관 온도는 15°C에서 17°C 사이이며, 상대 습도는 50% 미만이다. 밀폐하지 않고 냉장 또는 냉동하면 초콜릿이 수분을 흡수하고, 지방 또는 설탕 결정이 표면에 올라가 변색을 유발한다.[180]

초콜릿은 다른 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음식과 멀리 떨어져 보관한다. 이상적으로는 초콜릿을 포장한 다음 올바른 습도와 온도로 적절한 보관 장소에 보관한다. 또한 초콜릿은 종종 어두운 곳에 보관하거나 포장지를 통해 빛으로부터 보호한다.[181]

4. 분류

초콜릿은 맛, 형태, 재료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초콜릿으로 만든 바크


초콜릿 큐브, ''피스톨'' 및 ''칼레''


여러 종류의 초콜릿을 구별할 수 있는데, 순수하고 달지 않은 초콜릿은 흔히 "베이킹 초콜릿"이라고 불리며, 주로 다양한 비율의 코코아 고형분과 코코아 버터를 함유하고 있다. 오늘날 소비되는 초콜릿의 대부분은 설탕과 결합한 스위트 초콜릿 형태이다.[29]

초콜릿은 다양한 용도로 여러 형태로 성형된다.

  • 초콜릿 바(태블릿)는 사각형 블록 형태의 초콜릿으로, 큐브(또는 기타 사전 정의된 모양)로 부서지도록 만들어져 섭취, 요리 및 제빵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용어는 조합 바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사탕 바의 일종이다.
  • 초콜릿 칩은 작고 물방울 모양의 초콜릿 조각으로, 장식 및 제빵에 사용된다.
  • ''피스톨'', ''칼레'', ''페브''는 작고 동전 모양 또는 콩 모양의 초콜릿 조각으로, 제빵 및 제과 용도로 사용된다( 피스톨(동전), 페브(장식품) 참조).
  • 초콜릿 블록은 전문적인 사용과 추가 가공을 위한 크고 육면체 덩어리의 초콜릿이다.
  • 이 외에도 스틱, 컬, 속이 빈 반구 등 특수한 형태의 초콜릿이 있다.

4. 1. 맛에 따른 분류


  • '''다크 초콜릿''': 우유(주로 탈지분유)가 들어가지 않은 초콜릿을 말한다. 설탕, 카카오 버터, 카카오 매스가 원재료이다.
  • '''밀크 초콜릿''': 우유가 들어간 초콜릿을 말한다. 설탕, 카카오 버터, 카카오 매스, 우유와 분유, 바닐라(향)가 원재료이다.
  • '''화이트 초콜릿''': 카카오 버터, 설탕, 우유나 분유, 바닐라 향을 넣어 만든다. 이외에 대두 레시틴(유화제)이 들어가기도 한다.
  • '''루비 초콜릿''': 2010년대에 개발된 분홍색 초콜릿이다.
  • '''가나슈''': 초콜릿에 생크림, 우유, 설탕 등을 섞어 만든다. 리큐어나 과일 에센스, 커피 등을 넣어 다양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 '''프랄린 초콜릿''': 개암, 아몬드, 피스타치오와 캐러멜을 섞은 초콜릿을 말한다.


분유 배합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34]

  • 블랙 초콜릿 (다크 초콜릿) 또는 비터 초콜릿: 설탕이나 분유의 배합량이 적어 쓴맛이 강하다. 카카오 100%인 것도 있다.
  • 스위트 초콜릿: 분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 세미 스위트 초콜릿: 분유가 약간 배합되었다.
  • 밀크 초콜릿: 분유가 배합되었다.
  • 하이 밀크 초콜릿: 분유와 약간의 비지방 카카오 성분이 배합되었다.
  • 화이트 초콜릿: 분유가 배합되었고, 비지방 카카오 성분이 포함되지 않았다. 카카오 성분은 코코아 버터뿐이다. 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점성을 높인 "블론드 초콜릿"도 존재한다.


카카오 품종에 따라서도 맛이 달라진다.[134]

품종특징주요 산지
포라스테로종(Forastero)남미 원산의 재배종. 산출량이 많고 저렴하며 병충해에 강하다. 노란색이며 쓴맛이 강하다.서아프리카, 남아시아
아리바종(Arriba)포라스테로의 돌연변이. 포라스테로종의 최고급종. 독특한 떫은맛과 재스민 꽃 향.에콰도르
크리올로종(Criollo)카카오콩의 원생종. 병충해에 약해 희귀종. 빨강이나 노란색이며 쓴맛이 적다.베네수엘라, 멕시코
트리니타리오종(Trinitario)트리니다드 섬 원산. 크리올로와 포라스테로의 교배종. 재배가 쉽고 품질이 좋다.라틴 아메리카


4. 2. 재료에 따른 분류 (대한민국 식품공전 기준)

대한민국의 공산품 식품에 표기되는 '식품의 유형'에 따른 초콜릿 분류는 식품공전에 의한 것이며, 카카오 콩에서 추출한 재료의 함량만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말하는 코코아 원료는 카카오 매스, 카카오 버터, 코코아 분말을 가리킨다.[166]

종류내용
초콜릿코코아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고형분 함량 35% 이상 (카카오 버터 18% 이상, 무지방 코코아고형분 14% 이상)
스위트초콜릿코코아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고형분 함량 30% 이상 (카카오 버터 18% 이상, 무지방 코코아고형분 12% 이상)
밀크초콜릿코코아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고형분 25% 이상 (무지방 코코아고형분 2.5% 이상), 유고형분 12% 이상 (유지방 2.5% 이상)
패밀리 밀크초콜릿코코아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고형분 20% 이상 (무지방 코코아고형분 2.5% 이상), 유고형분 20% 이상 (유지방 5% 이상)
화이트초콜릿코코아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카카오 버터 20% 이상, 유고형분 14% 이상 (유지방 2.5% 이상)
준초콜릿코코아고형분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고형분 함량 7% 이상
초콜릿가공품견과류, 캔디류, 비스킷류 등 식용 가능한 식품에 ①~⑥의 초콜릿류를 혼합, 코팅, 충전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



빼빼로를 비롯한 초콜릿 과자들은 함량과 제조사의 판단에 따라 준초콜릿과 초콜릿가공품으로 분류된다. 시판되는 화이트 초콜릿 모양을 하고 있는 것들 중에는 초콜릿향을 첨가하고 카카오 버터 대신 팜유로 채우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은 초콜릿으로 분류하지 않는다.[166]

4. 3. 형태에 따른 분류


  • '''판 초콜릿'''(Solid Chocolate): 1830년에 개발된 단단한 판 모양의 초콜릿으로, 유럽에서 발명되었다. 허시 초콜릿, 가나 초콜릿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셸 초콜릿'''(Shell Chocolate): 초콜릿 틀 안에 크림, 잼, 넛트류, 과일 등을 채워 넣은 초콜릿이다. 고급 초콜릿 제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할로 초콜릿'''(Hollow Chocolate): 안이 비어 있는 초콜릿으로, 인형, 동물, 알 등의 형태를 하고 있다. 고급 초콜릿 브랜드의 시즌 제품이나 특별 제작 제품으로 많이 만들어진다.
  • '''팬워크 초콜릿'''(Pan-Work Chocolate): 넛트류나 캔디류 등에 초콜릿을 입혀 만든 알갱이 형태의 초콜릿이다. M&M's 초콜릿이 대표적이다.
  • '''엔로브 초콜릿'''(enrober chocolate): 비스킷이나 웨이퍼 등을 초콜릿으로 씌운 것이다.

5. 특징

기본적으로 초콜릿은 카카오 성분 때문에 쓴맛이 나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초콜릿 제품에는 우유, 설탕, 물엿 등을 첨가하여 단맛을 낸다. 카카오 함량이 50% 정도까지는 무난한 맛이지만, 99% 함량 제품은 쓴맛이 강하다.[36][37]

판 초콜릿과 녹은 초콜릿


고형 초콜릿은 유분에 분유나 설탕 등의 분말이 분산된 상태로, 물에 녹지 않는다. 고형 초콜릿을 수분과 유화시킨 것은 가나슈, 생 초콜릿이라고 불린다. 고형 초콜릿은 열에 약하고 녹기 쉬우며, 과도하게 냉각되거나, 융해·재결정화되거나, 장기간 보존하면 흰색 블룸(bloom)이 생길 수 있다. 블룸이 생긴 초콜릿을 먹어도 문제는 없지만, 풍미와 맛은 떨어진다. 팻 블룸(fat bloom)은 초콜릿의 유지 성분 중 융점이 낮은 부분이 융해되어 표면에 떠올라 재결정화된 것이고, 슈가 블룸(sugar bloom)은 냉각 시 초콜릿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었을 때 초콜릿의 설탕이 수분에 용해되고, 그 수분이 증발하면서 설탕이 석출된 것이다. 초콜릿은 15℃ - 17℃, 습도 50%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향을 흡수하지 않도록 다른 음식으로부터 멀리하거나 랩으로 싸서 보관한다.

카카오분은 "카카오 지방분"(코코아 버터)과 "비지방 카카오분"을 합한 것이다. 카카오 지방분은 카카오의 지방분만을 나타내며, 카카오 매스 특유의 갈색이나 풍미, 폴리페놀, 테오브로민, 카페인 등 카카오의 주된 약효 성분은 비지방 카카오분에 함유된다.

카카오 매스 자체는 쓴맛이 강하며, 일본에서는 설탕으로 단맛을 낸 것이 보통이었지만, 카카오에 포함된 폴리페놀이 주목받으면서 2000년대에 들어 린트 초콜릿의 "엑설런스", 메이지 제과의 "초콜릿 효과"(카카오분 86%) 등 카카오 비율이 높은 상품이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그러나 카카오 함량이 매우 높은 제품은 쓴맛이 매우 강하며, 기존 초콜릿과 같은 달콤한 풍미는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카카오 99%를 사용한 초콜릿의 포장지에는 주의 문구가 붙을 정도이다.

화이트 초콜릿에는 폴리페놀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건강을 위해 초콜릿을 섭취하려면 비지방 카카오분이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카카오분 표기가 없는 제품이라도, "준 초콜릿"으로 표시된 것은 카카오분이 상당히 낮다.[166]

초콜릿에는 폴리페놀, 특히 플라반-3-올(카테킨)과 소량의 다른 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되어 있다.[36][37] 또한 테오브로민, 페네틸아민, 카페인과 같은 알칼로이드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신체에 미치는 잠재적 효과에 대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38][39]

우유 초콜릿 100g은 540 칼로리를 제공한다. 이는 59%가 탄수화물(52%는 설탕, 3%는 식이 섬유), 30%가 지방, 8%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우유 초콜릿 지방의 약 65%는 주로 팔미트산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포화 지방이며, 주요 불포화 지방은 올레산이다. 우유 초콜릿 100g은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망가니즈, , 아연과 같은 식이 미네랄의 매우 훌륭한 공급원(1일 영양소 섭취 기준, DV의 19% 이상)이다. 초콜릿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의 훌륭한 공급원(DV의 10–19%)이다.

6. 생리적 효과

초콜릿에 들어 있는 테오브로민, , 앵무새, , 고양이(특히 새끼 고양이) 등 일부 동물에게 독성을 띤다.[61] 이들에게 초콜릿을 먹일 경우 테오브로민은 분해되지 않은 채 20시간 동안 혈액 속에 남아 있게 되며, 뇌전증, 심장마비, 뇌출혈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61] 수의사는 섭취 후 2시간 이내에 구토를 유도하고, 발작에는 벤조디아제핀 또는 바르비투르산염을 투여하며, 부정맥 치료제를 이용해 심장 부정맥을 치료하고, 강제 이뇨를 하기도 한다.

초콜릿은 상당량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데,[52] 카페인을 과잉 섭취할 경우 불면증, 불안감, 속쓰림,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다. 또한 포화지방과 당분이 많아 당뇨나 역류성 식도염, 여드름이나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초콜릿의 당분은 충치를 유발하기도 한다.

7. 산업

기라델리의 포장된 초콜릿


초콜릿은 세계적으로 널리 유통되며 꾸준히 성장하는 산업이다. 2009년 기준으로 연간 500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94] 2006년에는 유럽이 전 세계 초콜릿 매출의 45%를 차지했으며,[95] 2013년에는 미국이 200억 달러를 소비했다.[96]

2007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코코아의 약 2/3가 서아프리카에서 생산되었으며, 그 중 43%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조달되었다.[98]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아동 노동이 흔하게 발생한다.[99][100] 같은 해, 전 세계 약 5천만 명이 코코아를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101] 2012년 기준으로 코트디부아르는 세계 최대의 코코아 생산국이다.[103]

초콜릿 사탕 제조에는 초콜릿 메이커와 쇼콜라티에라는 두 가지 주요 직업이 있다. 초콜릿 메이커는 수확한 코코아 콩 등을 이용하여 커버춰 초콜릿을 생산하고, 쇼콜라티에는 완성된 커버춰를 사용하여 초콜릿 사탕(바, 트러플 등)을 만든다.[104]

코코아 고형분 함량을 줄이거나 코코아 버터를 다른 지방으로 대체하면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코코아 재배자들은 이렇게 만들어진 식품을 "초콜릿"이라고 부르는 것에 반대하는데, 이는 자신들의 작물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01]

순위연간 초콜릿 생산량
(2009년, 톤)
연간 1인당 초콜릿 소비량
(2010년, kg)
국가생산량국가소비량
1 미국1,569,490 독일11.6
2 독일1,214,49010.5
3 영국532,350 영국9.7
4 브라질517,300 노르웨이9.4
5 프랑스404,8808.5
6 이탈리아276,900 핀란드7.3
7 일본233,880 스웨덴6.4
8 폴란드220,000 프랑스6.3
9 벨기에191,530 미국5.3
10139,965 오스트레일리아4.5
11 스페인115,945 벨기에4.4
12 스웨덴52,282 이탈리아3.7



2009년 초콜릿 생산량은 미국이 1,569,490톤으로 가장 많았고, 독일(1,214,490톤), 영국, 브라질,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폴란드 순이었다. 일본은 233,880톤으로 세계 7위이다. 2010년 1인당 초콜릿 소비량(관광객 구매 포함)은 독일이 11.6kg으로 가장 많았고, 스위스,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순이었다. 일본은 2.1kg으로 세계 16위 이하이다.

7. 1. 주요 초콜릿 제조사

다양한 충전재가 들어있는 초콜릿


세계적인 초콜릿 제조업체로는 캐드버리(세계 최대 제과 제조업체), 페레로, 길리안, 허쉬 컴퍼니, 린트 & 슈프륀글리, 마스, 인코포레이티드, 밀카, 노이하우스, 슈차드 등이 있다.[105]

길리안은 초콜릿 조개껍데기로, 캐드버리는 데어리 밀크와 크림 에그로 유명하다. 북미 최대 초콜릿 제조업체인 허쉬 컴퍼니는 허쉬 바와 허쉬 키세스를 생산한다.[105] 마스 인코포레이티드는 마스 바, 밀키 웨이 바, M&M's, 트윅스, 스니커즈를 생산한다. 린트는 트러플 볼과 금박으로 포장된 부활절 토끼로 유명하다.

식품 대기업인 네슬레크래프트 푸즈도 초콜릿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네슬레는 1988년 로운트리스를 인수하여 스마티스(초콜릿 사탕)와 킷캣(초콜릿 바)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크래프트 푸즈는 1990년 야콥스 슈차드를 인수하여 밀카와 슈차드를 소유하고 있다. 2010년에는 영국에 본사를 둔 캐드버리를 인수했으며,[106] 공정 무역 브랜드인 그린 앤 블랙스도 이 그룹에 속한다.

일본에서는 1909년에 모리나가 제과가 초콜릿을 제조하였고, 메이지 제과, 롯데 순으로 만들어졌다.[167]

다음은 주요 초콜릿 제조사 목록이다.

회사명국가설립년도주요 제품 및 특징
아쿠타가와 제과일본1886년초콜릿 제조는 1914년부터[168]
발로나프랑스업무용
비타메르벨기에1910년
베델폴란드1851년
에자키 글리코일본1922년
가바야 식품일본1946년
카파렐
기라델리미국1852년
길리안초콜릿 조개껍데기
크래프트 푸즈미국1903년밀카, 슈차드 소유 (밀카는 1884년 제조 시작)
고베 프랑츠일본2003년
고디바벨기에1926년
더 허쉬 컴퍼니미국1894년허쉬 바, 허쉬 키세스
장 폴 에반
다이토 카카오업무용
다카오카 식품공업
치로루 초콜릿일본2004년마츠오 제과(1919년 설립, 초콜릿 부문은 1962년부터)에서 분리
테라자와 제과일본1958년
도쿄 푸드업무용
닛신 가공업무용
바비
바리 칼리보업무용, 칼리보(벨기에), 카카오바리(프랑스)
피에르 마르콜리니
파첼
페레로이탈리아1946년
후지 제유업무용
후지야일본1910년
프랑고
후루타 제과일본1952년
벨라롬
벨코라데벨기에업무용
Hotel Chocolat영어영국1993년
메이지일본1916년
메이토 산업일본1945년
메리 초콜릿 컴퍼니일본1952년
모리나가 제과일본1899년
모로조프일본1926년
몽바나
몽로와르
린트 & 슈프륑글리스위스1845년트러플 볼, 금박 부활절 토끼
레오니다스벨기에1910년
로이즈 컨펙트일본1983년
롯데일본1948년
캐드버리데어리 밀크, 크림 에그
마스, 인코포레이티드마스 바, 밀키 웨이 바, M&M's, 트윅스, 스니커즈
노이하우스


8. 사회적 문제

아이들이 베네수엘라 Chuao에서 카카오를 말리고 있다


코코아 생산 과정에는 아동 노동과 아동 인신매매, 노예 문제가 জড়িত(얽혀)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서아프리카, 특히 코트디부아르에 집중되어 있다.[108] 네슬레 같은 주요 초콜릿 생산업체는 상품 거래소에서 코코아를 구매하며, 이 과정에서 코트디부아르산 코코아가 다른 코코아와 섞이기도 한다.[111]

2018년 코코아 바로미터 보고서 등에 따르면, 코코아 생산 과정에서 아동 노동 문제 해결은 더딘 상황이다. 2020년까지 아동 노동을 70% 줄이겠다는 목표는 지속적인 빈곤, 학교 부족, 코코아 수요 증가, 집약적 농업, 아동 노동 착취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달성이 요원하다.[113][116]

공정 무역 운동이 200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2014년 기사에서 공정 무역 농장 노동자들의 생활 수준이 일반 농장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를 언급하기도 했다.[119][120]

8. 1. 아동 노동

코코아 생산에서 아동의 광범위한 사용은 아동 노동과 착취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2002년 추정에 따르면 당시 코트디부아르 카카오 열매 산업에서 일하던 20만 명의 아동 중 최대 12,000명이 아동 인신매매 또는 노예의 피해자였을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108] 이 문제에 대한 대부분의 관심은 세계 코코아의 69%를 공급하는 서아프리카, 특히 세계 코코아의 35%를 공급하는 코트디부아르에 집중되어 있다.[109]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15세 미만 아동의 30%는 코코아 농업을 포함한 농업 활동에 종사하는 아동 노동자이다.[110]

2017년 기준으로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에서 약 210만 명의 아동이 코코아 농업에 참여하여 무거운 짐을 나르고, 숲을 개간하고, 살충제에 노출되었다.[112] 전 코코아 생산국 연합 사무총장은 "아동 노동은 업계가 해결해야 할 책임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정부, 시민 사회, 민간 부문 등 모든 사람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다.[108] 2018년에 보고된 내용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에 주로 위치한 26,000명의 농부와 함께 네슬레가 실시한 3년 파일럿 실험에서 코코아 농업에서 위험한 일을 하는 아동 수가 51%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13] 미국 노동부는 코코아 산업의 아동 노동 관행을 해결하기 위해 가나 및 코트디부아르 정부와 함께 공공-민간 파트너십으로 아동 노동 코코아 조정 그룹을 구성했다.[114] 주요 코코아 제조업체가 참여하는 국제 코코아 이니셔티브는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수천 개 농장에서 아동 노동 조건을 감시하기 위한 아동 노동 모니터링 및 구제 시스템을 구축했지만,[113][112] 이 프로그램은 아동 노동자의 20% 미만에 도달했다.[115]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20년까지 서아프리카의 아동 노동을 70% 줄이겠다는 목표는 지속적인 빈곤, 학교 부족, 코코아 농지 확장, 코코아 수요 증가로 인해 좌절되고 있다.[113][116]

2018년 4월 코코아 바로미터 보고서는 "아동 노동 근절이라는 업계 전체의 목표에 근접한 기업이나 정부는 없으며, 2020년까지 아동 노동을 70% 줄이겠다는 약속에도 근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히며, 지속적인 빈곤, 학교 부족, 세계 코코아 수요 증가, 코코아의 더 집약적인 농업 및 아동 노동의 지속적인 착취를 그 이유로 언급했다.[113][116]

8. 2. 공정 무역

2000년대에 일부 초콜릿 생산자들은 개발 도상국의 카카오 노동자들이 소외되는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공정 무역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으로 아프리카와 기타 개발 도상국들은 카카오와 같은 수출 상품에 대해 낮은 가격을 받아 빈곤이 만연했다. 공정 무역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 도상국에서 직접 거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117] 공정한 노동 관행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농부들이 농업 협동조합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협동조합은 농부들에게 카카오에 대한 공정한 가격을 지불하여 농부들이 음식, 옷, 학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한다.[118] 공정 무역의 주요 원칙 중 하나는 농부들이 공정한 가격을 받는 것이지만, 이는 공정 무역 카카오에 대해 지불된 더 많은 돈이 농부들에게 직접 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공정 무역의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2014년 기사에서 ''이코노미스트''는 우간다와 에티오피아의 차 및 커피 재배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정 무역 농장의 노동자들이 공정 무역 시스템 외부의 유사한 농장보다 낮은 생활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119][120]

9. 문화

초콜릿은 여러 축제와 관련이 깊다.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부활절에 초콜릿 토끼와 달걀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으며, 하누카에는 초콜릿 동전을 선물한다. 발렌타인데이에는 초콜릿 하트나 하트 모양 상자에 담긴 초콜릿이 꽃, 인사 카드와 함께 인기 있는 선물이다.[8][121] 1868년 캐드버리는 발렌타인데이를 겨냥해 하트 모양의 장식 상자에 담긴 초콜릿을 출시했고, 이는 곧 이 기념일의 대표적인 선물이 되었다.[8] 초콜릿은 이 외에도 다양한 기념일이나 생일 선물로도 애용된다.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선물하는 관습은 1868년 영국 캐드버리 사의 2대 사장 리처드 캐드버리가 그림이 그려진 초콜릿 상자를 선보이면서 시작되었다. 이 상자가 발렌타인데이 선물로 인기를 얻자 다른 회사들도 유사한 제품을 출시하면서 널리 퍼졌다. 그러나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발렌타인데이에 반드시 초콜릿을 선물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일본에서는 1958년경부터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선물하는 풍습이 시작되어 1970년대에는 "여성이 남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는 날"로 자리 잡았다. 일본 초콜릿·코코아 협회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2월 14일을 "초콜릿의 날"로 제정했다.

1875년에는 캐드버리 사가 초콜릿으로 만든 이스터 에그를 처음 선보였고, 이후 초콜릿 이스터 에그는 부활절의 상징적인 선물이 되었다.[169]

9. 1. 대중문화

초콜릿은 여러 책과 영화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1964년 로알드 달의 어린이 소설 ''찰리와 초콜릿 공장''은 괴짜 윌리 웡카의 초콜릿 공장을 견학하는 가난한 소년 찰리 버켓의 이야기를 다룬다.[122] 이 소설은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1971),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 두 편의 영화로 만들어졌고, 2023년에는 프리퀄 영화 ''웡카''가 개봉했다.[123] 조앤 해리스의 소설 ''초콜릿''(1999)은 2000년에 영화 ''초콜릿''으로 각색되었다.[124]

초콜릿을 소재로 한 다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오오이시 마코토 『초콜릿 전쟁』
  • 로버트 코미어 『초콜릿 워』
  •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 『딸기와 초콜릿』 (영화)
  • 알렉스 시어러 『초콜릿 언더그라운드』
  • 하라 유타카 『둥실둥실 초콜릿 섬』

9. 2. 종교 및 문화적 연관성

초콜릿은 부활절과 같은 축제와 연관되어 있는데,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전통적으로 초콜릿 토끼와 달걀을 주고, 하누카에서는 초콜릿 동전을 준다. 초콜릿 하트와 하트 모양 상자의 초콜릿은 발렌타인데이에 인기가 많으며, 꽃과 인사 카드와 함께 선물하는 경우가 많다.[8][121] 1868년, 캐드버리는 발렌타인데이를 위해 하트 모양의 장식된 초콜릿 상자를 만들었으며, 속을 채운 초콜릿 상자는 곧 이 휴일과 연관되었다.[8] 초콜릿은 다른 휴일이나 생일과 같은 경우에도 적절한 선물이다.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선물하는 풍습은 1868년 영국의 초콜릿 회사 캐드버리사의 2대 사장인 리처드 캐드버리가 아름다운 그림이 그려진 증정용 초콜릿 상자를 출시하면서 유래되었다. 이 상자는 발렌타인데이 선물로 사용되면서 다른 회사들도 이를 따라 점차 확산되었다. 그러나 유럽이나 미국의 발렌타인데이는 일본과는 달리, 반드시 초콜릿을 선물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958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0년대에는 "여성이 남성에게 초콜릿을 선물하는 날"로서 발렌타인데이가 정착되었다.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선물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 초콜릿·코코아 협회는 2월 14일을 "초콜릿의 날"로 제정하여 1970년대에 정착되었다.

또한, 1875년에는 캐드버리 사가 초콜릿으로 만든 이스터 에그를 출시했고, 이것 또한 정착되어 초콜릿 이스터 에그는 부활절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되었다.[169]

참조

[1] 보고서 NORC Final Report: Assessing Progress in Reducing Child Labor in Cocoa Production in Cocoa Growing Areas of Côte d'Ivoire and Ghana https://www.cocoaini[...]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2020-10
[2] 학술지 Mesoamerican mantic names as an etymological source of Mixtec vocabul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5-09
[3] OED 2024-07-16
[4] 학술지 Comments on Kaufman and Justeson: "The History of the Word for Cacao in Ancient Mesoamerica" 2010
[5] OED 2024-07-16
[6] Harvsp 2024
[7] Harvsp 2000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9] 서적 Tout sur le chocolat https://books.google[...] Odile Jacob
[10] 서적 Chocolate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1] 서적 Handbook of Food Structur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12] 서적 Beckett's Industrial Chocolate Manufacture and Us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 서적 Pure Dessert: True Flavors, Inspiring Ingredients, and Simple Recipes https://books.google[...] Artisan Books
[14] 웹사이트 Modeling Chocolate http://www.foodandwi[...] 2013-12-06
[15] 웹사이트 Cacao http://www.botanical[...] Botanica.com 1995–2008
[16] 웹사이트 All About Chocolate: The Cacao Tree http://www.xocoatl.o[...] Xocoatl
[17] 뉴스 Chocolate industry avoids collapse as genome published https://www.bbc.co.u[...] BBC 2010-11-14
[18] 뉴스 Chocolate is on track to go extinct in 40 years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Inc. 2017-12-31
[19] 서적 Fermentation – Processes, Benefits and Risks University of Évora 2021
[20] 학술지 The Microbiology of Cocoa Fermentation and its Role in Chocolate Quality
[21] 웹사이트 Harvesting the seeds http://www.xocoatl.o[...] Xocoatl
[22] 서적 Adventure guide to Trinidad & Tobago Hunter 2000
[23] 웹사이트 New bean treatment shown to produce fruitier, flowerier dark chocolate https://newatlas.com[...] 2022-04-27
[24] 웹사이트 'Moist incubation' process for fruitier dark chocolate https://www.foodproc[...] 2022-04-28
[25] 웹사이트 Making Chocolate from Scratch http://api.ning.com/[...]
[26] 웹사이트 At the chocolate factory http://www.cocoatree[...] The Cocoa Tree
[27] 웹사이트 Cuckoo for Cocoa http://www.ama.ab.ca[...] Westworld Alberta
[28] 웹사이트 Conching: Crucial Step in Chocolate's Flavor and Texture? http://www.sallys-pl[...] Sally's Place
[29]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different types of chocolate https://bakeschool.c[...] 2018-11-20
[30] 학술지 X-rays reveal how chocolate turns white https://www.science.[...] 2015-05-07
[31] 웹사이트 Tips for Chocolate Care http://www.ghirardel[...] Ghirardelli
[32] 웹사이트 Milkfat Fractions Help Beat Blooming Chocolate http://www.cals.wisc[...] College of Agricultural Life and Science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33] 웹사이트 How to Store Chocolate http://www.cocoabell[...] CocoaBella
[34] 서적 Cooking With Chocolate: Essential Recipes and Techniques Flammarion, S.A.
[35] 뉴스 Chocolate: Types (Unsweetened, Bittersweet, Semisweet, Milk), Selection, and Storage https://www.bhg.com/[...] 2015-06-09
[36] 논문 Cardioprotective mechanisms of cocoa
[37] 논문 Impact of Alkalization on the Antioxidant and Flavanol Content of Commercial Cocoa Powders
[38] 웹사이트 Caffeine http://www.health.ns[...] 2015-09-08
[39] 논문 Survey of Commercially Available Chocolate- and Cocoa-Containing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2. Comparison of Flavan-3-ol Content with Nonfat Cocoa Solids, Total Polyphenols, and Percent Cacao
[40] 논문 Lead contamination in cocoa and cocoa products: isotopic evidence of global contamination 2005-10
[41] 논문 Is lead toxicity still a risk to U.S. children?
[42] 웹사이트 FDA issues new guidance on lead in candy http://www.foodnavig[...] FoodNavigator.com 2007-02-15
[43] 논문 Trace elements in cocoa solids and chocolate: An ICPMS study
[44] 논문 Cadmium and Lead in Chocolates Commercialized in Brazil
[45] 웹사이트 The World Has Finally Stopped Using Leaded Gasoline https://www.npr.org/[...]
[46] 뉴스 EU lowers lead and cadmium limits for food products https://www.foodsafe[...] 2023-03-15
[47] 문서
[48] 문서
[49] 뉴스 Killing at source: How to avoid cadmium and lead in chocolate https://www.confecti[...] Confectionery News 2023-03-14
[50] 뉴스 Lead and Cadmium Could Be in Your Dark Chocolate https://www.consumer[...] 2023-03-14
[51] 논문 Cadmium and lead in cocoa powder and chocolate products in the US Market 2018-04-03
[52] 웹사이트 Cocoa, dry powder, unsweetened Nutrition Facts & Calories https://nutritiondat[...] 2018-08-24
[53] 웹사이트 Candies, chocolate, dark, 70–85% cocoa solids Nutrition Facts & Calories https://nutritiondat[...] 2018-08-24
[54] 논문 Caffeine content of common beverages
[55] 논문 Effects of low doses of caffeine on cognitive performance, mood and thirst in low and higher caffeine consumers 2010-10
[56] 논문 Chocolate/cocoa and human health: a review http://www.njmonline[...] 2019-01-07
[57] 웹사이트 Theobromine: Toxicity summary https://pubchem.ncbi[...] PubChe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11-26
[58] 논문 Oxalate content in commercially produced cocoa and dark chocolate
[59] 논문 Nutrient and antinutrient profiles of raw and fermented cocoa beans
[60] 웹사이트 Kidney Stones: Overview from the Nephrology Department http://my.clevelandc[...] Cleveland Clinic
[61] 서적 Methylxanthines
[62] 논문 Cacao bean shell poisoning in a dog
[63] 논문 The poisoning of livestock by cacao products
[64] 논문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05-25
[65] 논문 Epidemiology of acne vulgaris
[66] 논문 Does diet really affect acne? http://www.skinthera[...] 2023-08-08
[67] 논문 Acne: risk indicator for increased body mass index and insulin resistance 2013-11
[68] 논문 Diet and acne update: carbohydrates emerge as the main culprit 2014-04
[69]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for 'myths and misconceptions' in acne management: diet, face-washing and sunlight 2005-02
[70] 논문 Food Craving and Food 'Addiction'
[71] 뉴스 The Chocoholic's Survival Guide https://www.webmd.co[...] 2013-04-14
[72] 논문 Mood state effects of chocolate 2006-06
[73] 논문 Effects of chocolate on cognitive function and mood: a systematic review
[74] 논문 Is chocolate consumption associated with health outcomes? An umbrell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ttps://web.archive.[...] 2023-08-08
[75] 논문 Clinical inquiries. Does chocolate have cardiovascular benefits? http://www.mdedge.co[...] 2023-08-08
[76] 논문 Effect of cocoa on blood pressure 2017-04
[77] 논문 Chocolate consumption and cardiometabolic disord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78] 논문 Intake of Flavonoid-Rich Wine, Tea, and Chocolate by Elderly Men and Women Is Associated with Better Cognitive Test Performance
[79] 논문 Cardioprotective effects of cocoa: clinical evidence from randomized clinical intervention trials in humans 2013-06
[80] 논문 Cocoa, blood pressure, and vascular function 2012-08
[81] 논문 Effect of cocoa on blood pressure
[82] 웹사이트 Sorting Out Chocolate https://web.archive.[...] Taunton 2008-05-17
[83] 뉴스 Chocolate Country 2014-05-20
[84] 웹사이트 BELGIUM: Government encourages chocolate producers to support international quality label https://web.archive.[...] just-food.com 2014-05-20
[85] 웹사이트 EUROPE {{!}} Euro chocolate war ends http://news.bbc.co.u[...] 2020-05-16
[86] 웹사이트 National Organic Program http://www.ams.usda.[...] USDA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2008-06-07
[87] 웹사이트 Selling Labelled Products http://www.fairtrade[...]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s International 2008-06-07
[88] 웹사이트 Letter to CMA from President http://www.chocolate[...] 2007-06-08
[89] 웹사이트 Adopt Regulations of General Applicability to all Food Standards that would Permit, within Stated Boundaries, Deviations from the Requirements of the Individual Food Standards of Identity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06-09
[90] 웹사이트 2007P-0085 Appendix C Changes Allowed to Modernize Food Standards While Retaining The Basic Nature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tandardized Food http://www.typetiv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06-09
[91] 웹사이트 FDA's Standards for High Quality Foods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5-17
[92] 뉴스 Sweet victory for UK chocolate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3-15
[93] 웹사이트 Division 4: Cocoa and Chocolate Products http://laws.justice.[...] Government of Canada: Food and Drug Regulations (C.R.C., c. 870) 2017-07-20
[94] 웹사이트 About Chocolate- History https://web.archive.[...] Chocolatesource.com 2010-01-22
[95] 웹사이트 Report: The Global Market for Chocolate to 2006 http://www.the-infos[...] The-infoshop.com 2010-01-22
[96] 뉴스 Are We Actually Facing a Chocolate Shortfall? http://www.slate.com[...] The Slate Group 2014-11-24
[97] 웹사이트 The Chocolate Industry: Abusive Child Labor and Poverty Behind the Sweetness http://www.globalexc[...] Globalexchange.org 2004-12-07
[98] 웹사이트 The Rarest Chocolate in the World – Surprise: It's made in Hawai'i http://www.spiritofa[...] Spirit of Aloha 2007-05-02
[99] 뉴스 Meeting the 'chocolate slaves' http://news.bbc.co.u[...] 2010-01-22
[100] 뉴스 Slavery in Cocoa fields: a horrible "normal" http://thecnnfreedom[...] CNN 2012-01-19
[101] 뉴스 Sides square off in chocolate fight https://web.archive.[...] 2008-05-17
[102] 뉴스 The Food Programme http://www.bbc.co.uk[...] BBC Radio 4 2007-12-23
[103] 웹사이트 Cocoa Market Update (2012) https://web.archive.[...] World Cocoa Foundation 2012
[104] 웹사이트 What's Noka Worth? An investigation in high-priced chocolate http://www.dallasfoo[...] Dallas Food 2006-12-31
[105] 웹사이트 Hershey Kisses Potential Buyers Goodbye http://www.booksense[...] Book Sense 2006-06-30
[106] 뉴스 U.K. Stocks Fluctuate as Mining Shares Rally; Cadbury Declines https://www.bloomber[...] 2009-04-14
[107] 뉴스 Ivory Coast accuses chocolate companies http://news.bbc.co.u[...] 2010-08-04
[108] 뉴스 Inside Big Chocolate's Child Labor Problem http://fortune.com/b[...] 2018-01-07
[109] 웹사이트 Cocoa Market Update http://www.worldcoco[...] World Cocoa Foundation 2011-12-11
[110] 웹사이트 Rooting out child labour from cocoa farms: Paper No. 4 Child labour monitoring – A partnership of communities and government http://www.ilo.org/i[...]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11] 웹사이트 The cocoa market: A background study http://www.maketrade[...] Oxfam
[112] 뉴스 Falling cocoa prices threaten child labor spike in Ghana, Ivory Coast https://www.reuters.[...] 2019-01-07
[113] 웹사이트 Child labour: the true cost of chocolate production https://www.raconteu[...] Raconteur 2019-01-07
[114] 웹사이트 Child Labor in the Production of Cocoa https://www.dol.gov/[...]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Washington, DC 2018
[115] 웹사이트 Cocoa has a poverty problem. You can help by eating more dark chocolate https://newfoodecono[...] New Food Economy 2018-07-07
[116] 웹사이트 2018 Cocoa Barometer Report http://www.cocoabaro[...] The Cocoa Barometer 2018-04-19
[117] 간행물 'Fair Trade' with Africa
[118] 간행물 Reading fairtrade: political ecological imaginary and the moral economy of fairtrade foods
[119] 뉴스 Agriculture in Ethiopia and Uganda: Not so fair trade https://www.economis[...] 2014-07-03
[120] 간행물 Fairtrade cooperatives in Ethiopia and Uganda: Uncensored https://www.jstor.or[...] 2014
[121]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2017 https://books.google[...] Guinness World Records 2022-07-18
[122] 뉴스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https://www.britanni[...] 2021-09-30
[123] 뉴스 Timothée Chalamet to Play Young Willy Wonka in Warner Bros. Movie https://variety.com/[...] 2021-06-27
[124] 웹사이트 Chocolat (2000) https://www.bbfc.co.[...] 2021-07-18
[125]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06-11
[126]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策定検討会報告書"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9-06-11
[127] 웹사이트 チョコ http://www.excite.co[...] エキサイト 2016-01-25
[128] 서적 例解小学国語辞典 第七版 特製版 三省堂 2020-12-10
[129] 문서 おもに日本語における略称。
[130] 웹사이트 choc http://www.oxforddic[...]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16-01-25
[131] 서적 チョコレートの歴史 河出書房新社
[132] 웹사이트 袖珍独和新辞林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2-01-15
[133] 문서 現代のドイツ語ではSchokoladeとdが綴りに使われるが、『袖珍獨和新辭林』ではSchokolateとtが綴りに使われていた。また「熱湯二溶カシテ用フ」と書かれており、飲用チョコレートを指していたことがうかがえる。
[134]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編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7-02-27
[135] 문서 TV「がっちり」
[136] 문서 Tempering of cocoa butter and chocolate using minor lipidic components | Nature Communications https://www.nature.c[...]
[137] 웹사이트 Can dark chocolate improve vision? https://www.health.h[...] 2020-11-11
[138]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摂取と脳卒中発症リスクとの関連 {{!}} 現在までの成果 {{!}} 多目的コホート研究 https://epi.ncc.go.j[...] 2024-10-31
[139] 웹사이트 高カカオをうたったチョコレート(結果報告)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9-06-11
[140]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ココア健康講座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9-06-11
[141] 웹사이트 「チョコで若返り」発表は不適切 内閣府が検証報告書 https://www.sankei.c[...] 2018-03-08
[142] 논문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ssessing the effect of chocolate consumption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cne vulgaris
[143] 논문 Effect of chocolate on acne vulgaris
[144] 학술지 ニキビの発症メカニズム,治療,予防 https://www.jstage.j[...] 2016
[145] 웹사이트 http://www.nal.usda.[...]
[146] 웹사이트 「バレンタイン症候群」とは何? http://tamanahapc.up[...] 医療方針いちろ会 小児クリニックたまなは 2019-06-10
[147] 웹사이트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Migraine http://www.nlm.nih.g[...] 2006-11-21
[148] 웹사이트 テオフィリン錠100mg「TYK」, テオフィリン錠200mg「TYK」 http://database.japi[...] 一般財団法人 日本医薬情報センター 2019-06-10
[149] 웹사이트 飼い主のためのペットフード・ガイドライン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04-29
[150]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は薬だったって本当? http://www.shokuiku-[...] 2019-06-10
[151] 서적 コーヒー・ハウス 18世紀ロンドン、都市の生活史 講談社 2000-10
[152] 웹사이트 リンツ・チョコレート チョコレートの歴史 http://lindt.jp/choc[...] Lindt & Sprungli 2019-06-10
[153]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の歴史 http://www.e-royce.c[...] ROYCE' 2019-06-10
[154] 웹사이트 チョコレートの4大革命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9-06-10
[155] 서적 チョコレートの世界史 中央公論新社 2010-12
[156] 웹사이트 日本のチョコレート事始め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8-11-25
[157] 웹사이트 オペラ「遠い帆」 http://www.toiho.inf[...] 慶長遣欧使節出帆四百年記念事業 2014-06-14
[158] 웹사이트 幕末、海外使節団・海外留学生がチョコレートの本場へ赴く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4-06-14
[159] 웹사이트 世界主要国チョコレート菓子生産・輸出入・消費量推移| 統計・レポート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2-07-30
[160] 웹사이트 "FACTS & FIGURES" http://www.chocosuis[...] Diagramme der ChocoSuisse - Verband Schweizerischer Schokoladefabrikanten - mit Daten der International Confectionery Association (ICA)
[161] 웹사이트 世界主要国チョコレート菓子生産・輸出入・消費量推移| 統計・レポート http://www.chocolate[...] 日本チョコレート・ココア協会 2013-02-09
[162] 웹사이트 CHOCOLATE’S DARK SECRET https://www.mightyea[...] 2017-09
[163] 웹사이트 Product Gallery https://www.waterfoo[...] water footprint network 2024-08-21
[164]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s of Food Production https://ourworldinda[...] Our World in Data 2024-08-21
[165] 보고서 植物性食品開発 食品生産に係る森林減少ゼロへの英国の動き(後編) https://www.jetro.go[...] 2024-01-26
[166] 문서
[167] 웹사이트 明治、森永、ロッテはどこが最初に板チョコを作り始めたのか。 https://crd.ndl.go.j[...] 2023-11-17
[168] 웹사이트 会社情報 http://www.akutagawa[...] 芥川製菓 2016-04-17
[169] 서적 チョコレートの真実 英治出版 2007-09-01
[170] 뉴스 달콤 쌉싸래한 초콜릿.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생활/문화 2006-04-29
[171] 서적 꼿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황소자리 2017-09-22
[172] 서적 꼿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황소자리 2017-09-22
[173] 뉴스 동아일보 2017-09-22
[174] 서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175] 웹인용 Conching: Crucial Step in Chocolate's Flavor and Texture? http://www.sallys-pl[...] Sally's Place 2008-05-20
[176] 논문 Effects of tempering and fat crystallisation behaviour on microstructure, mechanical properties and appearance in dark chocolate systems 2008-11
[177] 서적 초콜릿 : 잘먹고 잘사는 법 시리즈 100 김영사 2007-12-22
[178] 웹인용 How To Temper Chocolate http://candy.about.c[...] About.com 2008-05-20
[179] 논문 Phase Transitions and Polymorphism of Cocoa Butter
[180] 논문 X-rays reveal how chocolate turns white http://news.sciencem[...] 2015-05-07
[181] 뉴스 Chocolate: Types (Unsweetened, Bittersweet, Semisweet, Milk), Selection, and Storage https://www.bhg.com/[...] 2018-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