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궁 월드컵은 국제 양궁 연맹(World Archery Federation)이 주최하는 양궁 대회로, 2006년에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은 리커브 부문에서 강세를 보이며, 김우진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론진 정밀도상은 매 시즌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선수에게 수여되며, 실내 양궁 월드컵도 비시즌에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궁 대회 - 올림픽 양궁
올림픽 양궁은 올림픽에서 진행되는 양궁 경기로,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남녀 개인전, 단체전, 혼성 단체전이 진행되며, 70m 거리에서 72발을 쏘아 점수를 합산하고 대한민국이 역대 최다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는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회원국들이 참가하는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2006년 마카오에서 시작되어 4년마다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대회 취소 및 중단 사례가 있으며, 브라질이 역대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200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챌린지컵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축구연맹에서 축구 수준이 낮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개최한 국제 축구 대회로, 북한, 타지키스탄, 인도, 팔레스타인이 우승했으며 2014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다. - 월드컵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월드컵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양궁 월드컵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양궁 |
창립자 | 세계 양궁 연맹 |
빈도 | 연례 |
시기 | 4월 – 10월 |
마지막 대회 | 2024년 양궁 월드컵 |
웹사이트 | 아체리 월드컵 공식 웹사이트 |
2. 대회 구성
양궁 월드컵은 연간 4회의 스테이지와 1회의 결승전으로 구성된다. 각 스테이지는 리커브 및 컴파운드 종목으로 진행되며, 개인전, 남자 단체전, 여자 단체전, 혼성 단체전 경기가 진행된다.
대한민국은 양궁 월드컵에서 전통적인 강세를 보이며, 특히 리커브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했다.
3. 역대 주요 성적 (대한민국 중심)
연도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2006 박경모 일라리오 디 부오 마그누스 페테르손 2008 임동현 빅토르 루반 로맹 지루이에 2012 김우진 브래디 엘리슨 가엘 프레보 2013 오진혁 다이 샤오샹 브래디 엘리슨 2015 미겔 알바리뇨 장 샤를 발라동 김우진 2016 브래디 엘리슨 셰프 판 덴 베르흐 구본찬 2017 김우진 브래디 엘리슨 임동현 2018 김우진 이우석 브래디 엘리슨 2022 김우진 미겔 알바리뇨 메테 가조즈 2023 마르쿠스 다우메이다 이우석 마우로 네스폴리 2024 김우진 이우석 마르쿠스 다우메이다 연도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2010 윤옥희 빅토리아 코발 기보배 2012 기보배 디피카 쿠마리 최현주 2013 윤옥희 디피카 쿠마리 추이위안위안 2015 최미선 디피카 쿠마리 레이치엔잉 2016 기보배 최미선 탄야팅 2017 기보배 크세니아 페로바 장혜진 2018 이은경 야세민 아나고즈 디피카 쿠마리 2019 강채영 탄야팅 정이차이 2022 안산 최미선 펑지아마오 2023 강채영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임시현
2018년 양궁 월드컵에서 소채원은 컴파운드 여자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다.[18]
3. 1. 리커브
결승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6년 메리다 | 장줜줜 | 첸 지아링 | 엘레나 토네타 |
2007년 두바이 | 돌라 바네르지 | 최은영 | 나탈리아 에르디니예바 |
2008년 로잔 | 유스티나 모스피넥 | 박성현 | 윤옥희 |
2009년 코펜하겐 | 곽예지 | 자오 링 | 윤옥희 |
2010년 에든버러 | 윤옥희 | 빅토리아 코발 | 기보배 |
2011년 이스탄불 | 청밍 | 디피카 쿠마리 | 베렌게르 슈 |
2012년 도쿄 | 기보배 | 디피카 쿠마리 | 최현주 |
2013년 파리 | 윤옥희 | 디피카 쿠마리 | 추이위안위안 |
2014년 로잔 | 아이다 로만 | 청밍 | 쉬징 |
2015년 멕시코시티 | 최미선 | 디피카 쿠마리 | 레이치엔잉 |
2016년 오덴세 | 기보배 | 최미선 | 탄야팅 |
2017년 로마 | 기보배 | 크세니아 페로바 | 장혜진 |
2018년 삼순 | 이은경 | 야세민 아나고즈 | 디피카 쿠마리 |
2019년 모스크바 | 강채영 | 탄야팅 | 정이차이 |
2021년 얀크턴 | 리사 운루 | 엘레나 오시포바 | 미셸 크로펜 |
2022년 틀락스칼라 | 안산 | 최미선 | 펑지아마오 |
2023년 에르모시요 | 강채영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임시현 |
2024년 틀락스칼라 | 리지아만 | 디피카 쿠마리 |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3. 1. 1. 남자
제니퍼 니콜스브래디 엘리슨
카니에 미키
후루카와 타카하루
윤옥희
오진혁
시리엘 코트리
가엘 프레보스트
최미선
김우진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루이스 알바레즈
장혜진
김우진
바네사 란디
마우로 네스폴리
장혜진
김우진
야세민 아나고즈
메테 가조즈
김우진
강채영
에르뎀 이르디네예프
엘레나 오시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