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서 (조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서는 삼국 시대 촉한의 인물로, 위나라 천수군에서 공조로 근무하다가 제갈량의 북벌 당시 촉나라에 투항했다. 위나라 시절 곽회의 순찰에 마준, 강유 등과 동행하던 중 제갈량의 북벌로 인해 마준이 야반도주하자 촉나라에 항복하여 대홍려까지 올랐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양건의 형으로 등장하며, 강유의 이간계에 휘말려 촉나라에 항복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228년(건흥 6년), 위나라 천수군에서 공조(功曹)로 근무하고 있었다. 옹주자사 곽회가 서현(西縣)부터 기현(冀縣)의 낙문(洛門, 雒門)에 이르기까지 천수군을 순찰하였다. 천수태수 마준이 중랑(中郞) 강유, 공조 양서, 주부(主簿) 윤상, 주기(主記) 양건 등을 거느리고 곽회를 수행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때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기산(祁山)으로 침입하였다. 여러 현들도 이에 호응하였다. 곽회는 급히 상규현(上邽縣)으로 달려갔다. 마준이 생각하기에 천수군의 치소인 기현은 서쪽에 치우쳐있고 그 주민들도 난을 반길까 염려해 곽회를 따라가려 하였다. 강유가 응당 기현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했지만 마준은 강유 등도 딴마음을 가졌을 거라 의심해 밤중에 몰래 상규로 빠져나갔다. 강유 등이 뒤늦게야 마준을 쫓아갔으나 성문이 이미 폐쇄되어 들어갈 수 없었다. 이후 촉나라에 투항하였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양서는 양건의 형으로 설정되었으며 제92회에 천수군의 공조로 첫 등장한다. 제93회, 마준이 강유의 계책을 써 촉군을 물리칠 때마다 양서는 천수성을 지킨다. 제갈량의 이간계로 인해 하후무와 마준에게 배신자로 몰린 강유는 어쩔 수 없이 촉한에 항복한다. 강유는 천수성에 내분을 유발하고자 평소 윤상·양서와 친했단 사실을 이용해 밀서 두 봉을 화살에 묶어 성안으로 날려보낸다. 이를 습득한 마준이 대도독 하후무에게 그 둘을 처단해야한다고 진언한다. 윤상과 양서가 이를 알고는 먼저 성문을 열어 촉군을 맞아들인다. 이어 양서는 상규성을 수비하던 동생 양건도 설득해 항복시킨다. 그 결과 천수태수에 임명되며 이후로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2][3]
[1]
서적
正史 삼국지 5
ちくま学芸文庫
2. 생애
처음에는 위나라에 섬기며, 천수군의 공조를 맡았다. 건흥 6년(228년), 천수 태수 마준의 순찰에 강유, 윤상, 양건 등과 함께 동행했는데, 마침 촉한의 제갈량의 1차 북벌을 맞이하게 된다. 마준은 이미 촉군이 들이닥치고, 여러 현이 이에 호응한다는 말을 듣고, 동행하던 양서 등이 모두 다른 마음을 품고 있다고 의심하여, 야간에 도망쳐 상규에 웅거했다. 양서 등은 마준의 도망을 눈치채고 뒤쫓았지만, 이미 성문은 닫혀 입성을 거절당했다. 정청이 있는 기현으로 돌아가도 다시 입성을 거절당했기 때문에, 양서 등은 모두 촉한에 항복했다.
후에 양서의 관위는 대홍려까지 올랐고, 촉한의 멸망을 앞두고 사망했다.
2. 1. 위나라 시기
228년(건흥 6년), 위나라 천수군에서 공조(功曹)로 근무하고 있었다. 옹주자사 곽회가 서현(西縣)부터 기현(冀縣)의 낙문(洛門, 雒門)에 이르기까지 천수군을 순찰하였다. 천수태수 마준이 중랑(中郞) 강유, 공조 양서, 주부(主簿) 윤상, 주기(主記) 양건 등을 거느리고 곽회를 수행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때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기산(祁山)으로 침입하였다. 여러 현들도 이에 호응하였다. 곽회는 급히 상규현(上邽縣)으로 달려갔다. 마준이 생각하기에 천수군의 치소인 기현은 서쪽에 치우쳐있고 그 주민들도 난을 반길까 염려해 곽회를 따라가려 하였다. 강유가 응당 기현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했지만 마준은 강유 등도 딴마음을 가졌을 거라 의심해 밤중에 몰래 상규로 빠져나갔다. 강유 등이 뒤늦게야 마준을 쫓아갔으나 성문이 이미 폐쇄되어 들어갈 수 없었다.
2. 2. 촉한으로 투항
228년(건흥 6년), 위나라 천수군에서 공조(功曹)로 근무하고 있었다. 옹주자사 곽회가 서현(西縣)부터 기현(冀縣)의 낙문(洛門, 雒門)에 이르기까지 천수군을 순찰할 때 천수태수 마준이 중랑(中郞) 강유, 공조 양서, 주부(主簿) 윤상, 주기(主記) 양건 등을 거느리고 곽회를 수행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때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기산(祁山)으로 침입하였고(제갈량의 제1차 북벌) 여러 현들도 이에 호응하였다. 곽회는 급히 상규현(上邽縣)으로 달려갔다. 마준은 천수군의 치소인 기현은 서쪽에 치우쳐있고 그 주민들도 난을 반길까 염려해 곽회를 따라가려 하였다. 강유가 응당 기현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했지만 마준은 강유 등도 딴마음을 가졌을 거라 의심해 밤중에 몰래 상규로 빠져나갔다. 강유 등이 뒤늦게야 마준을 쫓아갔으나 성문이 이미 폐쇄되어 들어갈 수 없었다. 결국 촉나라에 투항하였다.
관직은 대홍려에 이르렀으며 촉한의 멸망 전에 죽었다.
2. 3. 촉한에서의 관직 생활
228년(건흥 6년), 위나라 천수군에서 공조(功曹)로 근무하고 있었다. 옹주자사 곽회가 서현(西縣)부터 기현(冀縣)의 낙문(洛門, 雒門)에 이르기까지 천수군을 순찰할 때 천수태수 마준이 중랑(中郞) 강유, 공조 양서, 주부(主簿) 윤상, 주기(主記) 양건 등을 거느리고 곽회를 수행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때 촉나라의 승상 제갈량이 기산(祁山)으로 침입하였다(제갈량의 제1차 북벌). 여러 현들도 이에 호응하였고 곽회는 급히 상규현(上邽縣)으로 달려갔다. 마준은 천수군의 치소인 기현은 서쪽에 치우쳐있고 그 주민들도 난을 반길까 염려해 곽회를 따라가려 하였다. 강유가 응당 기현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했지만 마준은 강유 등도 딴마음을 가졌을 거라 의심해 밤중에 몰래 상규로 빠져나갔다. 강유 등이 뒤늦게야 마준을 쫓아갔으나 성문이 이미 폐쇄되어 들어갈 수 없었다. 결국 촉나라에 투항하였다. 관직은 대홍려에 이르렀으며 촉한이 망하기 전에 죽었다.
3. 소설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4. 가계
5. 평가
6. 각주
참조
[2]
문서
史書上では梁緒と梁虔の関係性は不明
[3]
문서
三國演義/第093回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