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자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 네트워크는 여러 양자 프로세서를 연결하고 큐비트를 전송하여 작동하는 네트워크로, 양자 컴퓨팅, 통신,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2003년 세계 최초의 양자 암호화 네트워크가 가동되었고, 중국은 세계 최초의 양자 통신 위성을 발사하는 등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양자 네트워크는 종단 노드, 통신 회선, 광 스위치, 양자 중계기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자 얽힘을 활용하여 보안 통신, 분산 시스템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현재는 장거리 통신에서의 기술적 한계, 오류 수정의 어려움 등의 과제가 있으며, 앞으로의 기술 발전을 통해 양자 인터넷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 암호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양자 암호 - 양자 키 분배
    양자 키 분배는 양자 역학적 특성을 활용해 암호 키를 안전하게 분배하는 기술로, 광자 단위 신호 전송, 양자 상태 변화, 양자 얽힘 등의 원리를 이용해 도청을 감지하며, BB84, E91 프로토콜 등을 사용해 양자 채널과 퍼블릭 채널을 통해 통신하고, 장치 보정 및 신뢰성이 중요하며, 다양한 공격과 취약점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양자역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양자역학 - 진동수
    진동수는 주기적인 현상이 단위 시간당 반복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주기와 역수 관계를 가지며 소리의 높낮이, 빛의 색깔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양자 네트워크
양자 네트워크 개요
유형양자 키 분배 (QKD) 네트워크
양자 통신 네트워크
양자 센서 네트워크
분산 양자 컴퓨팅 네트워크
양자 인터넷
구성 요소
양자 노드양자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장치
양자 채널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 (예: 광섬유, 자유 공간)
양자 중계기장거리 양자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양자 신호를 증폭하고 복구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주요 기술
양자 얽힘두 개 이상의 양자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한 입자의 상태가 다른 입자의 상태에 즉시 영향을 미치는 현상
양자 순간이동양자 얽힘을 이용하여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양자 상태를 전송하는 기술
양자 오류 수정양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기술
응용 분야
보안 통신양자 키 분배 (QKD)를 사용하여 도청이 불가능한 안전한 통신 채널을 구축
분산 양자 컴퓨팅여러 양자 컴퓨터를 연결하여 단일 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
양자 센서 네트워크매우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
양자 인터넷양자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완전히 새로운 인터넷을 구축
도전 과제
양자 결어긋남양자 시스템이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양자 특성을 잃는 현상
확장성더 크고 복잡한 양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어려움
비용양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드는 높은 비용
연구 개발 동향
양자 메모리양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양자 인터페이스서로 다른 양자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양자 프로토콜양자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2. 역사

양자 네트워크의 역사는 양자 암호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주요 양자 네트워크 프로젝트 및 구현 QKD 프로토콜
양자 네트워크시작BB84BBM92E91DPSCOW
DARPA 양자 네트워크2001
SECOCQ QKD 네트워크 (빈)2003
도쿄 QKD 네트워크2009
Hierarchical network (중국 우후)2009
제네바 에어리어 네트워크 (스위스퀀텀)2010



2016년 8월, 중국은 세계 최초의 양자 통신 위성 "묵자호"를 발사했다.[63][64] 이듬해 2017년 7월에는 이 위성을 통해 지상-우주 간의 양자 순간이동[65], 8월에는 양자 키 분배에 성공했고[66], 9월에는 세계 최초로 대륙 간 양자 암호 통신에 성공했다.[67][68]

2. 1. 초기 연구 및 개발

2003년 10월 23일, BBN 테크놀로지스 연구소에서 세계 최초의 양자 암호화 네트워크인 DARPA 양자 네트워크가 완전 가동되었다.[63]

2004년 6월, DARPA 양자 네트워크는 매사추세츠 주케임브리지하버드 대학교와 BBN 테크놀로지스 캠퍼스를 연결하는 암흑 광섬유를 통해 상시 논스톱 양자 암호 통신을 실시했다.

2004년 12월, 양자 네트워크는 6개의 노드로 구성되었다.

2005년 6월, DARPA 양자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으로 확장되어 양자 키 및 통신 내용을 안전하게 공중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2. 2. 국제 협력 및 경쟁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유럽의 SECOQC 프로젝트는 양자 암호 기반 보안 통신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2009년, 중국 우후에서 계층적 양자 네트워크가 시연되었다. 2010년, 일본유럽 연합(EU)은 도쿄 QK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일회용 패드 암호화를 이용한 보안 통신을 시연했다. 2017년 9월, 중국은 베이징-상하이 간 2,000km 양자 암호 키 분배(QKD) 네트워크를 개통했는데, 이는 세계 최장 거리의 양자 통신망으로, 32개의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를 사용한다.

3. 기본 원리

양자 네트워크는 양자역학의 핵심 특성인 중첩, 얽힘, 불확정성 원리 등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3. 1. 양자 컴퓨팅을 위한 양자 네트워크

분산 양자 컴퓨팅[3][1]은 여러 양자 프로세서를 큐비트를 전송하는 양자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작동한다. 이는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를 생성하여 더 큰 컴퓨팅 잠재력을 제공한다. 여러 대의 소형 양자 컴퓨터를 연결하여 더 강력한 프로세서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고전 컴퓨팅의 컴퓨터 클러스터와 유사하다. 고전 컴퓨팅과 마찬가지로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더 많은 양자 컴퓨터를 추가하여 확장 가능하다. 현재 양자 프로세서는 짧은 거리로만 분리되어 있다.

3. 2. 통신을 위한 양자 네트워크

양자 통신 분야에서는 큐비트를 하나의 양자 프로세서에서 다른 프로세서로 장거리 전송하고자 한다.[2]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 양자 네트워크는 양자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양자 인터넷[3]양자 얽힘 큐비트를 생성함으로써 원격 양자 프로세서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그 힘을 얻으며,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양자 인터넷의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적은 양의 양자 프로세서만 필요로 한다. 양자 암호학의 양자 키 분배와 같은 대부분의 양자 인터넷 프로토콜의 경우, 이러한 프로세서가 한 번에 단일 큐비트만 준비하고 측정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 이는 (결합된) 양자 프로세서가 고전적인 컴퓨터보다 더 많은 큐비트(약 60개[4])를 쉽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경우에만 흥미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양자 컴퓨팅과는 대조적이다. 양자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단일 큐비트와 같이 작은 양자 프로세서만 필요로 하는데, 이는 두 개의 큐비트 사이에서 이미 양자 얽힘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전적인 컴퓨터에서 얽힌 양자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동시에 동일한 보안과 속도를 제공할 수 없다.

3. 3. 양자 네트워크 구성 요소

양자 네트워크는 고전적인 네트워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5]

  • 종단 노드 (End nodes):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며, 양자 프로세서, 양자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 통신 회선 (Communication lines): 노드 간 큐비트 전송을 위한 경로로, 광섬유나 자유 공간(대기 또는 진공)을 이용한다.
  • 광 스위치 (Optical switches): 큐비트를 원하는 양자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양자 결맞음을 유지해야 한다.
  • 양자 중계기 (Quantum repeaters): 장거리 큐비트 전송 시 발생하는 신호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복제 불가능성 정리 때문에 고전적인 증폭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양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전송하는 양자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3. 3. 1. 종단 노드 (End nodes)

종단 노드는 정보를 수신하고 방출할 수 있다.[5] 양자 암호 통신에는 통신 레이저와 파라메트릭 다운 변환을 광 검출기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단 노드는 빔 분할기와 광 검출기로만 구성된 매우 간단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프로토콜에서는 더 정교한 종단 노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급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양자 중계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주요 장점은 기본적인 양자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양자 정보를 저장하고 재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장되는 양자 상태는 자기장 내 전자의 상대 스핀 또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일 수 있다.[5] 또한 양자 게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단 노드를 실현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이아몬드 내 질소-공극(NV) 센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여러 큐비트를 특징으로 하는 소형 양자 프로세서를 형성한다. NV 센터는 실온에서 활용할 수 있다.[5] 이 시스템에서는 이미 소규모 양자 알고리즘 및 양자 오류 정정이 시연되었으며, 두 개[7] 및 세 개[8]의 양자 프로세서를 얽히게 하고 결정론적 양자 텔레포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도 시연되었다.[9]

또 다른 가능한 플랫폼은 무선 주파수 자기장과 레이저를 활용하는 이온 트랩 기반의 양자 프로세서이다.[5] 다중 종의 트랩 이온 노드 네트워크에서는 부모 원자와 얽힌 광자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노드를 얽히게 한다.[10] 또한, 캐비티 양자 전기역학(Cavity QED)은 이를 수행하는 가능한 방법 중 하나이다. 캐비티 QED에서 광자 양자 상태는 광학 캐비티에 포함된 단일 원자에 저장된 원자 양자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 양자 얽힘 생성 외에도 광섬유를 사용하여 단일 원자 간의 양자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5][11][12]

3. 3. 2. 통신 회선 (Communication lines)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큐비트를 전송하려면 통신 회선이 필요하다. 양자 통신의 경우, 표준 통신 광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광섬유 네트워크 외에도 대기 또는 진공을 통해 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자유 공간 네트워크도 구현 가능하다.[13]

기존의 광섬유 통신을 사용하는 광 네트워크는 기존 통신 장비와 유사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광섬유는 단일 모드 또는 다중 모드일 수 있으며, 단일 모드는 보다 정밀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5] 송신측에서는 펄스당 광자의 평균 수가 1보다 작도록 표준 통신 레이저를 크게 감쇠시켜 '단일 광자'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을 위해서는 애벌런치 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간섭계 및 빔 분할기와 같은 다양한 위상 또는 편광 제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양자 얽힘 기반 프로토콜의 경우, 얽힌 광자는 자발적 매개변수 하향 변환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통신용 광섬유는 비양자 타이밍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중화될 수 있다.

2020년, 중국의 여러 기관과 관련된 연구팀은 50킬로미터 길이의 코일형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얽힌 양자 메모리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14]

자유 공간 양자 네트워크는 광섬유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광섬유 연결을 사용하는 대신 통신 당사자 간의 가시선에 의존한다. 자유 공간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광섬유 네트워크보다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편광에 의한 광섬유의 스크램블링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15] 그러나 장거리에서는 자유 공간 통신이 광자에 대한 환경적 방해의 가능성이 높아진다.[5]

자유 공간 통신은 위성에서 지상으로도 가능하다. 1203km[16] 거리에서 얽힘 분배가 가능한 양자 위성이 시연되었다. 또한 경사 거리 20000km에서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으로부터 단일 광자를 실험적으로 교환한 사례도 보고되었다.[17] 이러한 위성은 더 넓은 거리에서 소규모 지상 기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유 공간 네트워크에서 난류, 산란 및 흡수와 같은 대기 조건은 전송된 양자 상태의 충실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를 제시한다. 이러한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적응 광학, 고급 변조 방식 및 오류 정정 기술을 사용한다.[18] 도청에 대한 QKD 프로토콜의 탄력성은 전송된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BB84 및 디코이 상태 방식과 같은 프로토콜은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에 대한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유 공간 환경에 적용되었다.

3. 3. 3. 광 스위치 (Optical switches)

통신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도된 양자 프로세서에 큐비트를 전달할 수 있는 광 스위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스위치는 양자 결맞음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표준 광 스위치보다 구현하기 어렵게 만든다.[5]

3. 3. 4. 양자 중계기 (Quantum repeaters)

복제 불가능성 정리에 따라 큐비트는 복사할 수 없으므로, 고전적인 신호 증폭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장거리에서 큐비트를 전송하려면 양자 중계기가 필요하다.[5]

장거리 통신은 신호 손실과 얽힘의 결어긋남(decoherence) 영향으로 인해 방해받는데, 이는 광섬유와 같은 대부분의 전송 매체에 내재되어 있다. 고전적인 통신에서는 증폭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할 수 있지만, 양자 네트워크에서는 큐비트를 복사할 수 없어 증폭기를 사용할 수 없다.

###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는 통신 인프라를 테스트할 수 있는 중간 단계이다. 하지만 양자 암호 키 분배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먼 거리에 걸쳐 큐비트를 전송하는 데는 사용될 수 없다.

두 종단 노드 A와 B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 R이 있다고 가정하면, A와 R은 양자 암호 키 분배를 수행하여 키 k_{AR}을 생성하고, R과 B는 키 k_{RB}를 생성한다. A와 B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키 k_{AB}를 얻을 수 있다.

1. A는 k_{AR}로 암호화된 k_{AB}를 R에게 보낸다.

2. R은 해독하여 k_{AB}를 얻는다.

3. R은 k_{RB}를 사용하여 k_{AB}를 다시 암호화하여 B에게 보낸다.

4. B는 해독하여 k_{AB}를 얻는다.

이 방식은 A와 B가 키 k_{AB}를 공유하게 하지만, 중계기 R도 k_{AB}를 알게 된다. 따라서 A와 B 간의 통신은 중계기 R을 신뢰하는 경우에만 안전하다.

### 진정한 양자 중계기

진정한 양자 중계기는 종단 간 양자 얽힘 생성을 가능하게 하며, 양자 텔레포테이션을 통해 큐비트의 종단 간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양자 키 분배 프로토콜에서 이러한 얽힘을 테스트할 수 있어, 송신자와 수신자는 양자 중계기를 신뢰하지 않더라도 안전하다.

양자 중계기는 얽힘을 허용하며, 얽힌 큐비트를 물리적으로 전송하지 않고도 원거리 노드에 설정할 수 있다.[19]

예를 들어, 양자 네트워크가 수십 또는 수백 킬로미터의 많은 단거리 링크로 구성된 경우, 송신자와 중계기에 위치한 얽힌 큐비트 쌍 |A\rangle|R_a\rangle와 중계기와 수신기에 위치한 두 번째 쌍 |R_b\rangle|B\rangle를 설정한다. 이 얽힌 큐비트는 자발적 매개변수 하향 변환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중계기는 큐비트 |R_a\rangle|R_b\rangle에 대한 벨 측정을 수행하여 |R_a\rangle의 양자 상태를 |B\rangle로 텔레포트한다. 이는 얽힘을 "스왑"하여 |A\rangle|B\rangle가 초기 얽힌 쌍의 두 배 거리에 얽히게 된다.[20][21]

### 양자 오류 수정

양자 오류 수정은 양자 중계기에 사용될 수 있지만, 기술적 한계로 인해 적용 가능성은 매우 짧은 거리에 제한된다.

통신 오류는 손실 오류(광섬유/환경으로 인한)와 작동 오류(분극화, 위상 완화 등)로 분류할 수 있다. 쇼어 코드와 같은 양자 오류 수정 코드는 양자 정보를 여러 얽힌 큐비트에 분산시켜 작동 오류뿐만 아니라 손실 오류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23]

### 얽힘 정제

양자 디코히어런스는 최대 얽힘 벨 상태의 큐비트 하나가 양자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얽힘 증류라고도 불리는 얽힘 정제는 다수의 약하게 얽힌 큐비트로부터 거의 최대 얽힘 큐비트를 생성하여 오류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얽힘 정제는 이미 다이아몬드 내 질소-공극 중심에서 시연되었다.[24]

4. 현재 상태

양자 통신 분야에서는 큐비트를 하나의 양자 프로세서에서 다른 프로세서로 장거리 전송하고자 한다.[2]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 양자 네트워크는 양자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양자 인터넷[3]은 원격 양자 프로세서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며, 많은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양자 인터넷의 대부분의 응용은 양자 암호학의 양자 키 분배와 같이, 한 번에 단일 큐비트만 준비하고 측정할 수 있는 수준으로도 충분하다.[4]

2020년 9월, 브리스톨에서는 8명의 사용자를 위한 도시 규모의 양자 네트워크 프로토타입이 발표되었다. 이 네트워크는 이미 설치된 광섬유 인프라를 사용했으며, 능동적인 스위칭이나 신뢰 노드 없이 작동했다.[36][37]

2022년, 중국과학기술대학교와 지난 양자 기술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도시 환경 내에서 12.5km 떨어진 두 개의 메모리 장치 간의 양자 얽힘을 시연했다.[38] 같은 해,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교의 물리학자들은 양자 텔레포테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세 개의 물리적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이전에는 두 위치에서만 가능했다.[39]

2024년, 영국과 독일의 연구원들은 양자 정보를 생성, 저장 및 검색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양자점 광원과 양자 메모리 시스템을 인터페이스하여 장거리에서의 양자 정보 손실과 같은 과제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인 응용 분야를 위한 길을 열었다.[40]

양자 네트워크 컴퓨팅 또는 분산 양자 컴퓨팅[3][1]은 여러 양자 프로세서를 큐비트를 통해 연결하여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를 생성함으로써 더 큰 컴퓨팅 잠재력을 제공한다. 이는 고전 컴퓨팅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2021년, 독일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 연구진은 분산형 양자 컴퓨터를 위한 양자 논리 게이트의 첫 번째 프로토타입을 보고했다.[41][42]

여러 테스트 네트워크가 양자 암호 키 분배(QKD) 작업을 위해 구축되었다.[49][50][51][52][53][54]

주요 양자 네트워크 프로젝트 및 구현된 QKD 프로토콜
양자 네트워크시작
DARPA 양자 네트워크2001
비엔나의 SECOCQ QKD 네트워크2003
도쿄 QKD 네트워크2009
중국 우후의 계층적 네트워크2009
제네바 지역 네트워크(SwissQuantum)2010



2017년, 중국은 베이징-상하이 간 양자 암호 키 분배 간선을 개통했다.[55] 이 간선은 베이징, 상하이, 산둥성 지난안후이성 허페이의 양자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백본 역할을 한다. 개통식에서 교통은행의 직원 두 명이 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거래를 완료했으며, 중국 국가 전력망 공사도 이 링크에 대한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선은 32개의 신뢰할 수 있는 노드를 중계기로 사용한다.[56] 양쯔강을 따라 다른 유사한 도시 양자 네트워크가 구축될 예정이다.[57]

2021년, 이 네트워크 연구원들은 총 ~4,600km에 달하는 노드 간의 총 거리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릴레이 구조를 사용하여 700개 이상의 광섬유와 두 개의 QKD 지상-위성 링크를 결합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통합 양자 통신 네트워크를 만든다.[58][59]

4. 1. 양자 인터넷

양자 통신 분야에서, 큐비트를 하나의 양자 프로세서에서 다른 프로세서로 장거리 전송하고자 한다.[2]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 양자 네트워크는 양자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양자 인터넷[3]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이는 양자 얽힘 큐비트를 생성함으로써 원격 양자 프로세서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그 힘을 얻는다. 양자 인터넷의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매우 적은 양의 양자 프로세서만 필요로 한다. 양자 암호학의 양자 키 분배와 같은 대부분의 양자 인터넷 프로토콜의 경우, 이러한 프로세서가 한 번에 단일 큐비트만 준비하고 측정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 이는 (결합된) 양자 프로세서가 고전적인 컴퓨터보다 더 많은 큐비트(약 60개[4])를 쉽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경우에만 흥미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양자 컴퓨팅과는 대조적이다. 양자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단일 큐비트와 같이 작은 양자 프로세서만 필요로 하는데, 이는 두 개의 큐비트 사이에서 이미 양자 얽힘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전적인 컴퓨터에서 얽힌 양자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동시에 동일한 보안과 속도를 제공할 수 없다.

2020년 9월, 브리스톨에서 8명의 사용자를 위한 도시 규모의 양자 네트워크 프로토타입이 발표되었다. 이 네트워크는 이미 설치된 광섬유 인프라를 사용했으며, 능동적인 스위칭이나 신뢰 노드 없이 작동했다.[36][37]

2022년, 중국과학기술대학교와 지난 양자 기술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도시 환경 내에서 12.5km 떨어진 두 개의 메모리 장치 간의 양자 얽힘을 시연했다.[38] 같은 해,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교의 물리학자들은 양자 텔레포테이션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세 개의 물리적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미래 네트워크를 향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이는 이전에는 두 위치에서만 가능했다.[39]

2024년, 영국과 독일의 연구원들은 양자 정보를 생성, 저장 및 검색하는 최초의 성과를 달성했다. 이정표는 양자점 광원과 양자 메모리 시스템을 인터페이스하여 장거리에서의 양자 정보 손실과 같은 과제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인 응용 분야를 위한 길을 열었다.[40]

4. 2. 양자 컴퓨팅 네트워크

양자 네트워크 컴퓨팅 또는 분산 양자 컴퓨팅[3][1]은 여러 양자 프로세서를 큐비트를 통해 연결하여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를 생성함으로써 더 큰 컴퓨팅 잠재력을 제공한다. 이는 덜 강력한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더 강력한 프로세서를 만드는 방식으로, 고전 컴퓨팅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고전 컴퓨팅과 마찬가지로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더 많은 양자 컴퓨터를 추가하여 확장 가능하다. 현재 양자 프로세서는 짧은 거리로만 분리되어 있다.

2021년, 독일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 연구진은 분산형 양자 컴퓨터를 위한 양자 논리 게이트의 첫 번째 프로토타입을 보고했다.[41][42]

4. 3. 양자 키 분배 (QKD) 네트워크

여러 테스트 네트워크가 양자 암호 키 분배(QKD) 작업을 위해 단거리(하지만 많은 사용자를 연결)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중계기를 사용하여 장거리에서 구축되었다.[49][50][51][52][53][54] 이러한 네트워크는 아직 큐비트의 종단 간 전송 또는 멀리 떨어진 노드 간의 얽힘 종단 간 생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주요 양자 네트워크 프로젝트 및 구현된 QKD 프로토콜
양자 네트워크시작BB84BBM92E91DPSCOW
DARPA 양자 네트워크2001
비엔나의 SECOCQ QKD 네트워크2003
도쿄 QKD 네트워크2009
중국 우후의 계층적 네트워크2009
제네바 지역 네트워크(SwissQuantum)2010



2017년, 중국은 베이징-상하이 간 양자 암호 키 분배 간선을 개통했다.[55] 이 간선은 베이징, 상하이, 산둥성 지난안후이성 허페이의 양자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백본 역할을 한다. 개통식에서 교통은행의 직원 두 명이 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상하이에서 베이징으로 거래를 완료했으며, 중국 국가 전력망 공사도 이 링크에 대한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선은 32개의 신뢰할 수 있는 노드를 중계기로 사용한다.[56] 양자 통신 네트워크는 중국 중부 후베이성 수도인 우한에서 가동되어 간선에 연결될 예정이며, 양쯔강을 따라 다른 유사한 도시 양자 네트워크가 구축될 예정이다.[57]

2021년, 이 네트워크 연구원들은 총 ~4,600km에 달하는 노드 간의 총 거리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릴레이 구조를 사용하여 700개 이상의 광섬유와 두 개의 QKD 지상-위성 링크를 결합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통합 양자 통신 네트워크를 만든다.[58][59]

5. 응용 분야

양자 네트워크는 기존 인터넷으로는 불가능한 수준의 보안, 개인 정보 보호, 그리고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34]

양자 인터넷은 양자 얽힘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자 얽힘은 조정, 동기화, 또는 개인 정보 보호가 필요한 작업에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는 양자 암호 분배[25][26], 시계 안정화[27], 리더 선출 또는 비잔틴 합의와 같은 분산 시스템 문제 해결[5], 망원경 기준선 확장[28][29], 위치 확인[30][31], 노이즈 저장 모델에서의 안전한 식별 및 양자 암호화 등이 있다. 또한, 양자 인터넷은 클라우드에서 양자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32]

5. 1. 보안 통신

양자 네트워크는 "오늘날의 인터넷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수준의 프라이버시, 보안 및 계산 능력"을 잠재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34]

사용자가 선택한 양자 연산자를 정보 시스템에 적용하면, 도청자가 발신자나 수신자도 모르게 전송된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다. 따라서 정보를 수신자에게 안전하게 보낼 수 있다. 고전적인 정보는 0 또는 1 값을 할당받는 비트로 전송되지만, 양자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자 정보는 큐비트(양자 비트)를 사용하며, 이는 중첩 상태에서 0과 1의 값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34][35] 큐비트는 도청자가 엿들으려고 하면 의도치 않게 정보가 변경되어 공격 대상에게 정체를 드러내며, 정보를 해독하기 위한 적절한 양자 연산자가 없으면 정보를 사용할 수 없게 손상시킨다. 또한, 큐비트는 광자의 편광 또는 전자의 스핀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에 인코딩될 수 있다.[34]

5. 2. 기타 응용

양자 인터넷은 양자 얽힘으로 가능해진 다양한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양자 얽힘은 조정, 동기화, 또는 프라이버시가 필요한 작업에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는 양자 암호 분배[25][26], 시계 안정화[27], 리더 선출 또는 비잔틴 합의와 같은 분산 시스템 문제 해결[5], 망원경 기준선 확장[28][29], 위치 확인[30][31], 노이즈 저장 모델에서의 안전한 식별 및 양자 암호화 등이 있다. 양자 인터넷은 클라우드에서 양자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32] 구체적으로, 양자 인터넷은 매우 단순한 양자 장치가 원격 양자 컴퓨터에 연결되어, 양자 컴퓨터가 실제로 어떤 계산을 하는지(입력 및 출력 양자 상태는 계산을 파괴하지 않고는 측정할 수 없지만, 계산에 사용된 회로 구성은 알려짐) 알지 못한 채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6. 한계와 과제

양자 네트워크는 아직 초기 단계의 기술로, 상용화되기까지 여러 한계와 과제를 안고 있다.

우선, 양자 상태는 매우 민감하여 외부 환경의 미세한 간섭에도 쉽게 붕괴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결잃음(decoherence)'이라고 하는데, 양자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결잃음 현상을 극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양자 정보를 장거리로 전송하는 기술도 아직 완벽하지 않다. 양자 중첩이나 양자 얽힘 상태를 유지하면서 먼 거리까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현재 기술로는 전송 거리에 제한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 중계기(quantum repeater)와 같은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양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도 큰 문제이다. 양자 컴퓨터, 양자 통신 장비 등은 고가의 장비이며, 양자 네트워크를 유지보수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양자 네트워크의 보안 문제도 중요한 과제이다. 양자 암호 통신은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보안을 제공하지만, 실제 구현 과정에서 다양한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Quantum internet: from communication to distributed computing! ACM 2018-09-05
[2] 웹사이트 The Quantum Internet Will Blow Your Mind. Here's What It Will Look Like https://www.discover[...] 2020-10-09
[3] 논문 The quantum internet 2008-06-19
[4] arXiv Breaking the 49-Qubit Barrier in the Simulation of Quantum Circuits 2017-10-16
[5] 서적 Quantum Networking Wiley 2014
[6] 논문 Repeated quantum error correction on a continuously encoded qubit by real-time feedback 2016-05-05
[7] 논문 Loophole-free Bell inequality violation using electron spins separated by 1.3 kilometres 2015-10-29
[8] 논문 Realization of a multinode quantum network of remote solid-state qubits 2021-04-16
[9] 논문 Unconditional quantum teleportation between distant solid-state qubits 2014-08-01
[10] 논문 Multispecies Trapped-Ion Node for Quantum Networking 2017-06-23
[11] 논문 Decoherence, continuous observation, and quantum computing: A cavity QED model 1995
[12] 논문 An elementary quantum network of single atoms in optical cavities 2012
[13] 논문 Quantum cryptography 2002
[14] 논문 Quantum memories entangled over 50-kilometer cable https://phys.org/new[...] 2020-02-13
[15] 논문 Practical free-space quantum key distribution over 10 km in daylight and at night 2002
[16] 논문 Satellite-Based Entanglement Distribution Over 1200 kilometers 2017-07-05
[17] 논문 Towards quantum communication from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2019
[18] 논문 The quantum internet: A synergy of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6G networks 2023
[19] 논문 Experimental quantum teleportation 1997
[20] 논문 Quantum repeaters based on atomic ensembles and linear optics 2011
[21] 논문 Telecom-Wavelength Quantum Repeater Node Based on a Trapped-Ion Processor https://link.aps.org[...] 2023-05-22
[22] 논문 Viewpoint: A Solid Footing for a Quantum Repeater https://physics.aps.[...] 2017-05-24
[23] 논문 Optimal architectures for long distance quantum communication Nature 2016
[24] 논문 Entanglement Distillation between Solid-State Quantum Network Nodes 2017-06-02
[25] 논문 Quantum networks: where should we be heading? 2017
[26] 논문 Quantum key distribution network for multiple applications 2017
[27] 논문 A quantum network of clocks 2014-06-15
[28] 논문 Longer-Baseline Telescopes Using Quantum Repeaters 2012-08-16
[29] 논문 Quantum-assisted telescope arrays 2019
[30] 논문 The Quantum Car https://ieeexplore.i[...] 2016
[31] 논문 Position-based quantum cryptography: Impossibility and constructions https://dare.uva.nl/[...] 2014
[32] 서적 2009 50th Annual IEEE Symposium on Foundations of Computer Science 2009–2010
[33] 서적 Networks and Quantum Computing Nova Science Publishers 2012
[34] 웹사이트 The Quantum Internet Is Emerging, One Experiment at a Time https://www.scientif[...] 2019-08
[35] 웹사이트 What is the quantum interne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weird future of quantum networks https://www.zdnet.co[...] 2020-10-12
[36] 뉴스 Multi-user communication network paves the way towards the quantum internet https://physicsworld[...] 2020-09-08
[37] 간행물 A trusted node–free eight-user metropolitan quantum communication network 2020-09-01
[38] 웹사이트 The entanglement of two quantum memory systems 12.5 km apart from each other https://phys.org/new[...] Phys.org 2022-08-17
[39] 뉴스 'Quantum Internet' Inches Closer With Advance in Data Teleportation https://www.nytimes.[...] 2022-05-26
[40] 웹사이트 Crucial connection for 'quantum internet' made for the first time https://www.imperial[...] 2024-04-17
[41] 뉴스 Quantum systems learn joint computing https://phys.org/new[...] 2021-03-07
[42] 간행물 A quantum-logic gate between distant quantum-network modules https://www.science.[...] 2021-02-05
[43] 뉴스 Physicists develop efficient modem for a future quantum internet https://phys.org/new[...] 2020-11-05
[44] 뉴스 Using drones to create local quantum networks https://phys.org/new[...] 2021-02-12
[45] 간행물 Optical-Relayed Entanglement Distribution Using Drones as Mobile Nodes https://journals.aps[...] 2021-02-12
[46] 간행물 Quantum advantages for data transmission in future networks: An overview 2024-12
[47] 서적 2021 1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SWCS) IEEE 2021-09-06
[48] 간행물 Security Concerns for 5G/6G Mobile Network Technology and Quantum Communication 2022
[49] 간행물 Building the quantum network 2002
[50] 간행물 Current status of the DARPA Quantum Network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05
[51] 간행물 The SECOQC quantum key distribution network in Vienna IOP Publishing 2009
[52] 간행물 Field experiment on a robust hierarchical metropolitan quantum cryptography network Springer 2009
[53] 간행물 Long-term performance of the SwissQuantum quantum key distribution network in a field environment IOP Publishing
[54] 간행물 Field test of quantum key distribution in the Tokyo QKD Network Optical Society of America
[55] 웹사이트 Beijing-Shanghai quantum link a "new era"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7-09-30
[56] 웹사이트 China's 2,000-km Quantum Link Is Almost Complete https://spectrum.iee[...] IEEE Spectrum: Technology, Engineering, and Science News 2016-10-26
[57] 웹사이트 Quantum communication networks put in service in central China http://www.xinhuanet[...] Xinhua 2017-10-31
[58] 뉴스 The world's first integrated quantum communication network https://phys.org/new[...] 2021-02-11
[59] 간행물 An integrated space-to-ground quantum communication network over 4,600 kilometres https://www.nature.c[...] 2021-02-11
[60] 웹사이트 INQNET - press release https://inqnet.calte[...] 2020-12-26
[61] 간행물 Teleportation Systems Toward a Quantum Internet 2020-12-04
[62] 웹사이트 Quantum Internet Tested at Caltech and Fermilab https://www.caltech.[...] 2020-12-14
[63] 웹사이트 中国、世界初の量子通信衛星を打ち上げ https://www.afpbb.co[...] AFPB 2016-08-19
[64] 웹사이트 中国、世界初の量子通信衛星を軌道に http://jp.wsj.com/ar[...]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6-08-19
[65] 웹사이트 SFの世界にまた一歩! 中国の研究チームが地上と通信衛星間の量子テレポーテーションに成功 http://www.gizmodo.j[...] ギズモード 2017-08-18
[66] 웹사이트 中国、量子通信衛星で「傍受不能な」量子鍵配送技術を初めて実現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 2017-08-18
[67] 웹사이트 盗聴不可能な暗号通信、中国―欧州間で初成功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8-01-20
[68] 웹사이트 中国は世界初の量子暗号通信基幹ネットワークを開通 http://jp.xinhuanet.[...] 人民網 2020-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