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3. 큐비트 상태
큐비트는 양자 정보의 단위이며, 복소수 에 대한 2차원 벡터 공간 인 2단계 양자 역학계 안의 상태로 정보를 나타낸다. 두 개의 바닥 상태는 브라-켓 표기법 을 사용하여 |0 \rangle 와 |1 \rangle ("켓 0"과 "켓 1"로 읽음)로 표시한다. 큐비트는 고전적인 정보 단위인 비트 의 양자 역학 판이라고 할 수 있다. 순수 큐비트 상태는 이 두 상태의 선형 양자 중첩 이며, |0 \rangle 과 |1 \rangle 의 선형 결합 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psi \rangle = \alpha |0 \rangle + \beta |1 \rangle, 여기서 α와 β는 복소수 인 확률 진폭 이며, 다음 식을 만족한다. :| \alpha |^2 + | \beta |^2 = 1. \, 이 큐비트를 측정했을 때 상태 |0 \rangle 이 될 확률은 | \alpha |^2 이고, 상태 |1 \rangle 이 될 확률은 | \beta |^2 이다. 따라서 두 상태에서 측정될 총 확률은 1이 된다. [6] 확률 진폭 \alpha 와 \beta 는 측정 결과의 확률뿐만 아니라, \alpha 와 \beta 사이의 ''상대 위상''도 나타내는데, 이는 파동 간섭과 관련이 있으며 이중 슬릿 실험에서 관찰할 수 있다.0\rangle \pm
2. 3. 1. 블로흐 구 표현
0 \rangle + \beta 단일 큐비트에 대한 가능한 양자 상태는 블로흐 구를 사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그림 참조). [7] 이러한 2-구에 표현된 고전 비트는 |0 \rangle 과 |1 \rangle 이 각각 위치한 "북극" 또는 "남극"에만 있을 수 있지만, 극축에 대한 이러한 특정 선택은 임의적이다. 블로흐 구의 나머지 표면은 고전 비트에는 접근할 수 없지만, 순수한 큐비트 상태는 표면의 모든 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수한 큐비트 상태 (|0 \rangle + |1 \rangle)/{\sqrt{2}} 는 구의 적도에서 양의 X축에 놓이게 된다. 고전 극한에서 블로흐 구의 어디에나 양자 상태를 가질 수 있는 큐비트는 양극에서만 찾을 수 있는 고전 비트로 축소된다. 블로흐 구의 표면은 순수한 큐비트 상태의 관찰 가능한 상태 공간 을 나타내는 2차원 공간이다. 이 상태 공간은 두 각도 \varphi 와 \theta 로 표현할 수 있는 두 개의 국부적 자유도를 갖는다.| \psi \rangle = \alpha |0 \rangle + \beta |1 \rangle\, 에는 \alpha 와 \beta 가 각각 두 개의 자유도를 가진 복소수 이므로, 처음에는 네 개의 자유도 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정규화 제약에 의해 하나의 자유도가 제거된다. 이는 적절한 좌표 변환을 통해 자유도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능한 선택 중 하나는 호프 좌표이다. :\begin{align} \alpha &= e^{i \delta} \cos\frac{\theta}{2}, \\ \beta &= e^{i (\delta + \varphi)} \sin\frac{\theta}{2}. \end{align} 또한, 단일 큐비트의 경우 상태 e^{i\delta} 의 ''전역 위상 인자''는 물리적으로 관찰 가능한 결과가 없다. 따라서 임의로 \alpha 를 실수로 선택할 수 있으며(\alpha 가 0인 경우 \beta ), 두 개의 자유도만 남는다. :\begin{align} \alpha &= \cos\frac{\theta}{2}, \\ \beta &= e^{i \varphi} \sin\frac{\theta}{2}, \end{align} 여기서 e^{i \varphi} 는 물리적으로 중요한 ''상대 위상''이다.
2. 4. 혼합 상태
양자 잡음 및 결 어긋남과 같은 상호 작용을 통해 큐비트는 여러 순수 상태의 통계적 조합, 즉 혼합 상태가 될 수 있다. 순수 상태는 블로흐 구 표면의 점으로 표현되는 반면, 혼합 상태는 블로흐 구 내부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혼합 큐비트 상태는 각도 \varphi 및 \theta 뿐만 아니라 혼합 상태를 나타내는 벡터의 길이 r 의 세 가지 자유도를 갖는다.양자 오류 정정 은 큐비트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2]
3. 큐비트에 대한 연산
디빈첸조 기준에 따르면, 물리적 큐비트 또는 논리적 큐비트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리적 연산이 있다. 큐비트에 대한 연산은 크게 양자 논리 게이트, 양자 측정, 초기화, 양자 채널을 통한 전송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양자 논리 게이트'''는 양자 회로 의 구성 요소로서, 양자 컴퓨터 내에서 큐비트 집합(레지스터)에 대해 작동한다. '''양자 측정'''은 단일 큐비트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 비가역적 연산이다. '''초기화'''는 큐비트를 알려진 값(흔히 |0\rangle )으로 설정하는 연산이다. '''양자 채널을 통한 전송'''은 큐비트를 원격 시스템 또는 머신으로 전송하는(I/O) 연산이다.
3. 1. 양자 논리 게이트
양자 논리 게이트는 양자 회로 의 구성 요소로서, 양자 컴퓨터 내에서 큐비트 집합(레지스터)에 대해 작동한다. 수학적으로 큐비트는 양자 게이트의 유니타리 행렬을 행렬 곱셈 을 통해 양자 상태 벡터에 곱함으로써 묘사되는 (가역적) 유니타리 변환을 거친다. 이 곱셈의 결과는 새로운 양자 상태 벡터이다.
3. 2. 양자 측정
양자 측정은 단일 큐비트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 비가역적 연산으로, 결맞음이 손실된다. [1] 상태가 |\psi\rangle = \alpha |0\rangle + \beta |1\rangle 인 단일 큐비트를 측정하면, 그 결과는 확률 |\alpha|^2 로 |0\rangle 이거나 확률 |\beta|^2 로 |1\rangle 이 된다. [1] 큐비트의 상태를 측정하면 α 와 β 의 크기가 변경된다. [1] 예를 들어, 측정 결과가 |1\rangle 이면 α 는 0으로 변경되고 β 는 더 이상 실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위상 인자 e^{i \phi} 로 변경된다. [1] 얽힌 큐비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면 다른 얽힌 큐비트의 상태가 파동 함수 붕괴 될 수 있다. [1]
3. 3. 초기화
큐비트는 알려진 값(흔히 ket|케트영어 0, |0\rangle )으로 초기화 또는 재초기화할 수 있다. 이 연산은 양자 상태를 붕괴시키는데, 이는 양자 측정과 동일하다. |0\rangle 으로의 초기화는 논리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논리적으로는 측정 후, 측정 결과가 |1\rangle 인 경우 파울리-X 게이트를 적용한다. 물리적으로는, 예를 들어 초전도 위상 큐비트인 경우 양자 시스템의 에너지를 바닥 상태 로 낮추는 것이다.
3. 4. 양자 채널을 통한 전송
큐비트를 양자 채널을 통해 원격 시스템 또는 머신으로 전송하는(I/O) 연산으로, 잠재적으로 양자 네트워크 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1]
4. 양자 얽힘
큐비트와 고전적인 비트의 중요한 차이점은 여러 큐비트가 양자 얽힘 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양자 얽힘은 둘 이상의 큐비트가 가지는 국소적 또는 비국소적 특성이며, 큐비트들이 고전적 시스템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양자 얽힘을 나타내는 가장 간단한 시스템은 두 개의 큐비트 시스템이다. 앨리스와 밥이 각각 하나의 큐비트를 가지고 있고, 이 두 큐비트가 얽혀 있다면, 앨리스의 측정 결과는 밥의 측정 결과와 완벽하게 연관되어 있다. 즉, 앨리스가 무엇을 측정하든, 밥도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이는 두 큐비트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마찬가지이며, 고전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2]
4. 1. 벨 상태
벨 상태는 양자 얽힘 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두 큐비트가 최대한 얽혀 있는 상태를 말한다. 벨 상태(Bell state)는 큐비트와 고전적인 비트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인 양자 얽힘 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양자 얽힘 은 둘 이상의 큐비트가 가지는 국소적 또는 비국소적 특성으로, 큐비트들이 고전적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한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양자 얽힘을 나타내는 가장 간단한 시스템은 두 개의 큐비트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Phi^+\rangle 벨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얽힌 큐비트는 다음과 같다. :\frac{1}{\sqrt{2}} (|00\rangle + |11\rangle). 이 상태는 '동등 중첩'이라고 불리며, |00\rangle 또는 |11\rangle 상태를 측정할 확률은 각각 |1/\sqrt{2}|^2 = 1/2 로 동일하다. 즉, 첫 번째 큐비트와 두 번째 큐비트 모두 '0' 또는 '1' 값을 가질 확률이 같다. 이 두 얽힌 큐비트를 분리하여 앨리스와 밥에게 각각 하나씩 준다고 가정해 보자. 앨리스가 자신의 큐비트를 측정하면 동일한 확률로 |0\rangle 또는 |1\rangle 을 얻는다. 앨리스가 자신의 큐비트 값을 알게 된 후, 큐비트의 얽힘 때문에 밥은 앨리스와 정확히 동일한 측정값을 얻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앨리스가 |0\rangle 을 측정하면 밥 역시 |0\rangle 을 측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00\rangle 만이 앨리스의 큐비트가 |0\rangle 인 유일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이 두 얽힌 큐비트의 경우 앨리스가 어떤 값을 측정하든 밥도 항상 같은 값을 측정하게 된다. 이는 어떤 기저에서 측정하더라도, 그리고 둘 사이의 거리가 아무리 멀더라도 항상 성립한다. 앨리스와 밥 모두 자신의 큐비트가 '0' 또는 '1' 값을 가질지 알 수 없다는 점은 고전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놀라운 현상이다.
4. 2. 제어 NOT 게이트 (CNOT 게이트)
제어 NOT 게이트 (CNOT 또는 CX)는 2개의 큐비트에 작용하는 제어 게이트의 일종이다. 첫 번째 큐비트가 |1\rangle 일 때만 두 번째 큐비트에 NOT 연산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변경하지 않는다. 얽히지 않은 곱셈 기저 \
4. 3. 응용 분야
큐비트는 고전적인 비트와 다르게 여러 큐비트가 양자 얽힘 을 나타낼 수 있다. 양자 얽힘은 둘 이상의 큐비트가 가지는 특성으로, 큐비트들이 고전적 시스템보다 더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벨 상태의 |\Phi^+\rangle 는 초밀도 코딩, 양자 순간이동, 얽힌 양자 암호화 알고리즘의 일부이다. [8] 양자 얽힘은 여러 상태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얽힘은 고전 컴퓨터로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양자 계산의 필수 요소이다. 양자 순간이동 및 초밀도 코딩과 같은 양자 계산 및 통신은 얽힘을 활용하며, 이는 얽힘이 양자 계산에 고유한 계산 자원임을 보여준다. [8] 2018년 현재, 양자 컴퓨팅이 고전 디지털 컴퓨팅을 넘어서기 위해 직면한 주요 문제는 양자 게이트의 노이즈이며, 이는 신뢰성 있게 실행 가능한 양자 회로 의 크기를 제한한다. [9]
5. 양자 레지스터
여러 개의 큐비트를 묶어 양자 레지스터라고 한다. 양자 컴퓨터 는 양자 레지스터 내의 큐비트를 조작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4]
6. 큐디트와 큐트리트
'''큐디트'''는 ''d''-준위 양자 시스템에서 실현될 수 있는 양자 정보의 단위이다. [10] ''N''개의 상태로 측정될 수 있는 큐비트 레지스터는 ''N''-준위 큐디트와 동일하다. 큐디트의 거의 사용되지 않는 [11] 동의어 는 '''quNit'''이다. [12] ''d''와 ''N'' 둘 다 양자 시스템의 차원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큐디트는 고전 컴퓨터의 정수형과 유사하며, 큐비트 배열에 매핑(또는 실현)될 수 있다. ''d''-준위 시스템이 2의 지수가 아닌 큐디트는 큐비트 배열에 매핑될 수 없다. 예를 들어 5-준위 큐디트를 가질 수 있다. 2017년, 국립 과학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각각 10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진 한 쌍의 큐디트를 구성하여 6개의 큐비트보다 더 많은 계산 능력을 제공했다. [13] 2022년, 인스브루크 대학교 의 연구원들은 트랩된 이온을 사용하여 범용 큐디트 양자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4] 같은 해, 칭화 대학교 양자 정보 센터의 연구원들은 동일한 이온 종을 사용하여 트랩된 이온 양자 컴퓨터에서 이중 유형 큐비트 방식을 구현했다. [15] 또한 202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의 연구원들은 고정 주파수 큐트리트 간의 교차 커(cross-Kerr) 상호 작용을 동적으로 제어하여 높은 두 큐트리트 게이트 충실도를 달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6] 이어서 2024년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두 광자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최대 d=4 까지 초전도 큐디트의 확장 가능한 제어가 시연되었다. [17]큐트리트 는 적절한 3-준위 양자 시스템에서 실현될 수 있는 양자 정보의 단위이다. 이것은 고전 정보의 단위인 트라이트와 3진법 컴퓨터 와 유사하다. [18] 확장된 계산 공간과 관련된 이점 외에도, 세 번째 큐트리트 레벨은 멀티 큐비트 게이트의 효율적인 컴파일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9] [20]
7. 물리적 구현
두 수준 양자 역학 시스템은 큐비트로 사용될 수 있다. 여러 수준의 시스템도 나머지 부분과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두 개의 상태(예: 비선형 발진기의 바닥 상태와 첫 번째 여기 상태)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제안이 있으며, 두 수준 시스템에 어느 정도 근사하는 몇 가지 물리적 구현이 성공적으로 실현되었다. 고전적인 비트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의 트랜지스터 상태, 하드 디스크의 표면 자화, 케이블의 전류 존재는 모두 동일한 컴퓨터에서 비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인 양자 컴퓨터는 설계에 다양한 큐비트 조합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모든 물리적 구현은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다. ''T''1 수명과 ''T''2 디페이징 시간은 물리적 구현을 특성화하고 노이즈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시간이다. 게이트 시간과 충실도를 고려해야 하므로, 더 높은 시간이 반드시 큐비트가 양자 컴퓨팅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양자 감지, 양자 컴퓨팅, 양자 통신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는 각 분야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큐비트 구현을 사용한다.
7. 1. 물리적 구현 목록
다음은 큐비트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방법들에 대한 목록이며, 기저 선택은 관례를 따른다.
8. 큐비트 저장
2008년,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 팀은 전자 스핀 "처리" 큐비트의 중첩 상태를 핵 스핀 "메모리" 큐비트로 비교적 길게(1.75초) 그리고 일관성 있게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23] 이 사건은 최초의 비교적 일관된 양자 데이터 저장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양자 컴퓨터 개발을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2013년에는 중성 도너 대신 전하를 띤 도너를 사용하는 유사한 시스템을 수정하여, 매우 낮은 온도에서 3시간, 실온에서 39분으로 큐비트 저장 시간을 획기적으로 연장했다. [24] 스위스와 호주의 과학자 팀은 핵 스핀 대신 전자 스핀을 기반으로 하는 큐비트를 실온에서 준비하는 것도 시연했다. [25] 큐비트의 증가된 일관성은 게르마늄 전자 정공 스핀-궤도 큐비트 구조의 한계를 시험하는 연구자들에 의해 탐구되고 있다. [26]
9. 한국의 양자컴퓨터 개발 현황
한국은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양자컴퓨팅을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육성하고 있다. IBM , 구글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및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컴퓨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9. 1. 한국의 주요 연구 기관 및 기업
다음은 한국의 주요 연구 기관 및 기업이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양자컴퓨팅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초전도 큐비트 기반 양자컴퓨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양자 정보 통신, 양자 센서 등 다양한 양자 기술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양자 암호 통신, 양자 컴퓨팅 플랫폼 등 양자 정보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삼성전자 , SK텔레콤 , LG전자 등 대기업들도 양자컴퓨터 관련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9. 2. 한국의 양자컴퓨터 관련 정책 및 과제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양자컴퓨팅 기술을 국가 핵심 전략 기술로 선정하고, 관련 예산 및 인력 양성을 확대하고 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생태계 조성 등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양자컴퓨터 기술의 윤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10. 용어 유래
"큐비트"라는 용어는 벤자민 슈마허에게서 유래되었다. [1] 슈마허는 1995년 논문의 감사의 글에서 윌리엄 워터스와의 대화 중에 농담으로 "큐비트"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고 언급했다.
참조
[1]
논문
Quantum coding
[2]
서적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
논문
Polynomial-Time Algorithms for Prime Factorization and Discrete Logarithms on a Quantum Computer∗
[4]
서적
Quantum computing for computer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
논문
Quantum games and interactive tools for quantum technologies outreach and education
[6]
서적
Explorations in Quantum Computing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
서적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8]
논문
Quantum entanglement
2009
[9]
논문
Quantum Computing in the NISQ era and beyond
2018
[10]
논문
Photonic qubits, qutrits and ququads accurately prepared and delivered on demand
http://stacks.iop.or[...]
2013
[11]
문서
As of June 2022 [https://arxiv.org/search/advanced?advanced=&terms-0-operator=AND&terms-0-term=qudit&terms-0-field=all&classification-physics=True&classification-physics_archives=quant-ph&classification-include_cross_list=include&date-filter_by=all_dates&date-year=&date-from_date=&date-to_date=&date-date_type=submitted_date&abstracts=show&size=50&order=-announced_date_first 1150 uses] versus [https://arxiv.org/search/advanced?advanced=&terms-0-operator=AND&terms-0-term=qunit&terms-0-field=all&classification-physics=True&classification-physics_archives=quant-ph&classification-include_cross_list=include&date-filter_by=all_dates&date-year=&date-from_date=&date-to_date=&date-date_type=submitted_date&abstracts=show&size=50&order=-announced_date_first 31 uses] on in the quant-ph category of [[arxiv.org]].
[12]
논문
Violations of Local Realism by Two Entangled N-Dimensional Systems Are Stronger than for Two Qubits
[13]
웹사이트
Qudits: The Real Future of Quantum Computing?
https://spectrum.iee[...]
2017-06-28
[14]
논문
A universal qudit quantum processor with trapped ions
https://www.nature.c[...]
2022-07-21
[15]
웹사이트
Researchers realize two coherently convertible qubit types using a single ion species
https://phys.org/new[...]
Phys.org
2022-08-18
[16]
논문
High-fidelity qutrit entangling gates for superconducting circui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2-12-05
[17]
논문
Empowering high-dimensional quantum computing by traversing the dual bosonic ladder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4-08-19
[18]
웹사이트
"64-dimensional quantum space" drastically boosts quantum computing
https://newatlas.com[...]
2022-10-14
[19]
논문
Programmable Heisenberg interactions between Floquet qubits
2024-01-16
[20]
논문
Scalable algorithm simplification using quantum AND logic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2-11-14
[21]
논문
High fidelity quantum gates with vibrational qubits
[22]
논문
Charge qubit in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
[23]
논문
Solid-state quantum memory using the 31 P nuclear spin
[24]
논문
Room-Temperature Quantum Bit Storage Exceeding 39 Minutes Using Ionized Donors in Silicon-28
[25]
논문
Room temperature manipulation of long lifetime spins in metallic-like carbon nanospheres
2016-07-18
[26]
논문
Qubits composed of holes could be the trick to build faster, larger quantum computers
https://phys.org/new[...]
2021-04-01
[27]
논문
Elementary gates for quantum computation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95-11-01
[28]
논문
Quantum coding
[29]
논문
A bit Not As A Unit of Information - A Qubit Is Not A Unit of Quantum Information
[30]
뉴스
국내연구팀, 큐비트 정보처리 개선하는 물질 현상 구현
http://dongascience.[...]
동아사이언스
2017-12-22
[31]
뉴스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양자 큐비트 만든다
https://news.naver.c[...]
동아사이언스
2018-08-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8. 1. 오후 3:36:39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7. 25. 오전 11:16:04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3. 오후 6:21:17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6. 27. 오후 3:40:52
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6. 26. 오후 4:07:00
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6. 24. 오후 5:37:33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6. 11. 오전 10:15:07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5. 21. 오후 6:09:16
출처: 매일 경제 ( 한국 / 한국어 )
2025. 3. 11. 오후 3:51:04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3. 9. 오전 10:46:00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2. 28. 오전 11:04:33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2. 20. 오전 9:59:20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5. 1. 28. 오후 12:40:22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4. 12. 23. 오전 10:27:36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4. 12. 5. 오후 5:46:07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4. 11. 20. 오전 11:00:18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3. 12. 23. 오후 1:38:15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3. 8. 30. 오전 10:27:03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2. 2. 7. 오후 3:15:29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2021. 11. 10. 오전 6:55:46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