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로군은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 중국 공산당의 홍군이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어 결성된 부대이다. 린뱌오, 허룽, 류보청 등이 지휘했으며, 주로 일본군 점령 지역 후방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했다. 팔로군은 엄격한 군기를 통해 민중의 지지를 얻었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혁명군의 야전군 - 신사군
    신사군은 제2차 국공합작 이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다가 1947년 중국인민해방군에 편입되어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중국의 부대 - 신사군
    신사군은 제2차 국공합작 이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다가 1947년 중국인민해방군에 편입되어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중국의 부대 - 중국 육군총사령부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중일 전쟁 시기인 1944년 12월 윈난성 쿤밍에 설립된 군 사령부로, 허잉친이 초대 육군총사령관을 맡아 여러 지역의 군대를 통제하고 일본 항복 후 종전 업무를 수행했으나, 국공 내전 패배로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사 - 신사군
    신사군은 제2차 국공합작 이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다가 1947년 중국인민해방군에 편입되어 해체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사 - 816 프로젝트
    816 프로젝트는 중국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쓰촨성 깊숙한 곳에 건설한 비밀 지하 핵시설 건설 계획이었으나, 냉전 종식으로 1990년 취소되었고 현재는 관광지로 개방되었다.
팔로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8년 푸투위 만리장성에서 싸우는 팔로군.
1938년 라이위안, 허베이 성의 푸투위 만리장성에서 싸우는 팔로군. 샤 페이의 사진.
명칭팔로군
다른 명칭제8로군
로마자 표기Bālù-Jūn
활동 기간1937년 ~ 1947년
소속중국 공산당
군종국민혁명군
유형로군
역할보병
규모600,000명
지휘 구조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주둔지산시 성 및 섬서성
군복 색상회색 및 흰색 군복
군가팔로군 행진곡
지휘관
사령관주더
부사령관펑더화이
주요 지휘관마오쩌둥
휘장
팔로군으로서의 팔로군 완장
팔로군으로서의 팔로군 완장
제18집단군으로서의 완장
제18집단군으로서의 완장
제18집단군 깃발
제18집단군 깃발
주요 전투
참전중일 전쟁
핑싱관 전투
랑팡 전투
옌먼관 전투
천좡 전투
백단대전
선터우링 전투
친위안 전투
황투링 전투
국공 내전
항공기

2. 역사적 배경

마오쩌둥은 군벌이나 열강에 대항하려면 민중에 의한 혁명 운동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는 군대를 이용해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켜 제1차 국공 합작을 붕괴시켰다. 중국 공산당은 이 경험을 통해 독자적인 군대를 창설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1927년, 후난성에서 일어난 추수봉기와 장시성에서 일어난 난창봉기에서 패배한 공산당 부대들이 정강산에서 합류하여 1928년 5월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을 조직하였다. 이는 훗날 팔로군의 기원이 된다. 같은 달 말, 중국공농혁명군은 '''중국공농홍군'''( '''홍군''' )으로 개칭되었다. 제4군은 마오쩌둥주더의 협력으로 성장하여 1931년 11월 장시성 루이진을 점령하고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을 세웠다.

1932년, 장제스는 장시성에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루이진을 압박했다. 1934년 7월, 마오쩌둥은 루이진을 포기하고 장정을 시작했다. 1936년 10월까지 홍군은 산시성 옌안에 근거지를 구축했다. 장제스는 다시 대규모 군대로 옌안을 포위했으나, 1936년 12월 시안사건을 계기로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지면서 공산당은 위기에서 벗어났다. 마오쩌둥은 삼대기율팔항주의 군율을 제정하고, 마오쩌둥 사상의 인민전쟁론과 인해전술을 바탕으로 공산당 세력을 확장했다.

2. 1. 국공합작과 팔로군의 성립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항일 민족 통일 전선을 결성하고 제2차 국공합작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 중국공농홍군은 국민혁명군 제8로군(약칭 '''팔로군''')과 신사군으로 개편되어 국민당 군사위원회에 편입되었다.[9] 9월 12일에는 제18집단군으로 개칭되었으나, 공산당 내에서는 팔로군이라는 명칭이 계속 사용되었다.[9]

산서성의 제8로군을 묘사한 중국 선전 포스터


팔로군 총사령부


thumb

팔로군은 린뱌오(林彪)가 지휘하는 115사단, 허룽(賀龍)이 지휘하는 120사단, 류보청(劉伯承)이 지휘하는 129사단의 3개 사단으로 구성되어[1] 주로 중국 북부에서 활동하며 일본군 후방에 침투하여 농촌과 오지에 게릴라 기지를 건설했다. 팔로군 주력 부대는 농민들로 구성된 지역 민병의 지원을 받았다.[1]

팔로군은 평형관 전투, 백단대전과 같이 일본군 상대로 선전한 전투도 있었지만, 마오쩌둥이 일본군과 함부로 싸웠다고 펑더화이를 질책할 정도로 항일에 소극적이었다. 이 두 전투 외에는 대부분 시간을 해방구 확장, 심지어 국민당군을 공격하는데도 투자해 중일전쟁 전 옌안 인근에만 국한됐던 세력권이 종전 직후에는 만주, 옌안 인근지방, 산둥성 대부분과 화북 일부를 통치할 정도로 커졌다.

팔로군의 기원은 1928년 5월 마오쩌둥주더가 정강산에서 조직한 '''중국공농혁명군 제4군'''이다. 제4군은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을 세우는 등 성장했으나, 1934년 국민당군의 공격으로 장정을 시작했다. 1936년 산시성 옌안에 근거지를 구축한 후, 시안사건을 통해 제2차 국공합작의 길이 열리면서 위기를 벗어났다. 마오쩌둥은 삼대기율팔항주의 군율 제정과 마오쩌둥 사상의 인민전쟁론과 인해전술을 바탕으로 공산당 세력을 확장했다.

2. 2. 중일전쟁 시기 팔로군의 활동

팔로군은 일본군 점령 지역 후방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일본군에 타격을 입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중국공농홍군은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어 제8로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주로 일본군 후방 기지를 공격하고 철도와 광산 시설 등을 파괴하는 활동을 했다.[9]

1940년에는 화북 지역에서 백단대전을 전개하여 일본군의 철도, 탄광 등 주요 시설을 파괴하고 일본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백단대전 이후 일본군은 팔로군에 대한 대대적인 반격을 감행하여, 팔로군은 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38년 가을, 우한 전투에서 승리한 일본군은 공산당 지역 깊숙이 진격하여 산서-차하르-허베이 변구에 5만 명의 병력을 재배치했다.[1] 이에 제8로군 일부 부대는 진격하는 일본군을 공격하여 3,000~5,000명의 사상자를 내고 일본군의 후퇴를 초래하기도 했다.[1]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팔로군의 항일 투쟁은 일제 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팔로군 내에는 조선의용대 등 한인 독립운동 단체들이 참여하여 항일전에 함께 싸웠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팔로군에서 싸운 한국인들은 나중에 조선인민군에 합류했다.

2. 3. 국공내전 시기 팔로군의 역할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면서 국공내전이 다시 시작되자 팔로군은 중국 인민해방군의 주력 부대로 활약했다. 팔로군은 만주에서 소련군이 노획한 일본 관동군의 무기를 넘겨받았고[10], 일본군 기술자들을 흡수하여 군사 기술과 전문 기술을 얻어 전력을 강화했다. 특히, 일본군 항공 부대 장교들을 통해 항공대원을 양성하고, 일본군의 포병 전략을 도입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다.

팔로군은 오랜 항일전 경험과 마오쩌둥의 인민전쟁론에 기반한 민중의 지지를 바탕으로 국민당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러한 팔로군의 활약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팔로군은 부패하고 무능한 국민당에 맞서 민중의 지지를 얻어 혁명을 성공시킨 군대로 평가할 수 있다.

3. 주요 지휘관

직책이름
총사령관주더(朱德)
부총사령관펑더화이(彭德懷)
참모장예젠잉(葉劍英)
총정치부(팔로군 정치부) 주임임필시(任弼時)
제115사단 사단장린뱌오(林彪)
제120사단 사단장허룽(賀龍)
제129사단 사단장류보청(劉伯承)



각 사단은 두 개의 여단을 가지고 있었고, 그 외에 독립단, 기병영, 포병영, 수송영, 교도단, 특무영 등이 있었다. 또한, 홍군에는 소련 적군을 본떠 정치위원의 직책이 있었지만, 편입된 국민혁명군에는 그러한 직책이 없었기 때문에 정치위원은 편의상 정훈처 주임의 지위에 취임했다. 후에 국민당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정치위원 제도는 부활했다.[9]

4. 조직 및 규모



팔로군은 초기에는 115사단, 120사단, 129사단, 총 3개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사단은 2개 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초기 병력은 약 3만 명이었으나, 항일전을 거치면서 점차 증가하여 1940년에는 40만 명, 1945년에는 60만 명에서 최대 98만 명까지 늘어났다.[9]


  • 국민혁명군 제8로군
  • * 1937년 - 30,000명
  • * 1938년 - 156,000명
  • * 1940년 - 400,000명
  • * 1945년 전반 - 300,000명
  • * 1945년 후반 - 600,000 ~ 980,000명
  • 중국 공산당
  • * 1946년 - 1,200,000명


팔로군은 정규군 외에도 민병, 자위대 등 비정규군을 조직하여 게릴라전을 지원했다. 마오쩌둥 사상의 인민전쟁론과 인해전술을 바탕으로 공산당 세력은 풀뿌리처럼 증식하여 유격 전력을 광범위하게 전개할 수 있었다. 팔로군 장병에게는 「삼대기율팔항주의」라는 규칙이 적용되었다. 군복과 군모는 황토색이었으나, 홍군 시절의 남색 군복을 입은 사람도 많았다. 왼팔에는 “팔로(八路)”라고 적힌 완장을 착용했으며, 군화 대신 포목신이나 짚신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총사령관은 주더(朱德), 부총사령관은 펑더화이(彭德懷), 참모장은 예젠잉(葉劍英), 총정치부(팔로군 정치부) 주임은 임필시(任弼時)였다. 각 사단은 각각 두 개의 여단을 가지고 있었고, 독립단, 기병영, 포병영, 수송영, 교도단, 특무영 등도 있었다. 홍군에는 소련 적군을 본떠 정치위원 제도가 있었지만, 국민혁명군에는 그러한 직책이 없었기 때문에 정치위원은 편의상 정훈처 주임 자리에 있었다. 이후 국민당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정치위원 제도는 다시 부활했다. 팔로군은 발전하면서 사단 외에 제1종대, 제2종대, 진찰기군구, 섬감진수련방군, 산동군구 등이 생겨났는데, 이들의 사령관은 주로 세 개 사단의 사단장이나 부사단장이 겸임했다.

4. 1. 1937년 초기 편성

1937년 8월, 제8로군은 3개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사단사단장전투 서열여단장병력
제115사단임표제343여단진광15,000
제344여단서해동
독립연대양성우
제120사단하룡제358여단로동성14,000
제359여단진보군
교육연대팽소휘
제129사단류보정제385여단왕홍군13,000
제386여단진강
교육연대장현(张贤)


4. 2. 1940년 편성

1940년 겨울, 제8로군의 병력은 40만 명으로 증가했다. 당시 제8로군의 전투 서열과 지휘관, 병력은 다음과 같다.[1]

사단사령관전투 서열사령관병력
제115사단천광 (陈光|천광중국어)제1교육여단팽명지(彭明志)7만
제2교육여단曾国华|쩡궈화중국어
제3교육여단
산둥 서부 군구
양용(杨勇)
제4교육여단
서호 군구
邓克明|덩커밍중국어
제5교육여단량싱추(梁兴初)
제6교육여단
산둥·허베이 군구
邢仁甫|싱런푸중국어
산둥 남부 군구张光中|장광중중국어
산둥 독립여단장징우(张经武)제1여단왕젠안(王健安)5만 1천
제2여단孙继先|쑨지셴중국어
제3여단서시유(徐向前)
제5여단吴克华|우커화중국어
제1분견대胡奇才|후치차이중국어
제4분견대赵杰|자오제중국어 (1913년)
제5분견대왕빈(王彬)
제120사단
산시 서북부 군구
하룡(贺龙)제1독립여단
제4군구
고사일(高士一)5만 1천
제2독립여단
제2군구
팽샤오후이(彭绍辉)
제358여단
제3군구
장종순(张宗逊)
제2산시 청년 독립여단
제8군구
韩钧|한쥔중국어 (1912년)
기병분견대요저(姚喆)
제129사단류보청(刘伯承)태항산 군구류보청(刘伯承)5만 6천
제386여단
태월산 군구
천갱(陈赓)
허베이 남부 군구천자이다오(陈再道)
산시·허베이·차하얼 군구니융전(聂荣臻)제1군구양청우(杨成武)10만
제2군구궈톈민(郭天民)
제3군구황용성(黄永胜)
제4군구熊伯涛|슝보타오중국어
제5군구등화(邓华)
제3독립여단
허베이 중부 군구
뤼전차오(吕正操)
선발 분견대소커(肖克)
산시 잔류부대소징광(萧劲光)제385여단王维舟|왕웨이저우중국어2만 2,600
제359여단왕전(王震)
제1경비여단文年生|원녠성중국어
경비사령부고강(高岗)
기타rowspan="3"|제2독립여단
허베이·산둥·허난 군구
양더지(杨得志)5만
제4독립여단펑쉐펑(彭雪枫)
제5독립여단황커청(黄克诚)


5. 활동 지역

팔로군은 주로 일본군 점령 지역 후방에서 교란 및 게릴라전을 담당했다.[2] 1940년 8월 화북(華北)에서 백단대전(百団大戦)이라는 대규모 게릴라 공세를 펼쳐 일본군을 일시적으로 혼란에 빠뜨렸으나, 일본군의 본격적인 공세가 시작되자 곧바로 진압되었다.[2]

6. 군사 전략 및 전술

마오쩌둥의 인민전쟁론에 입각하여 팔로군은 게릴라전을 주요 전술로 채택했다. "적진아퇴(敵進我退, 적이 진격하면 우리는 후퇴한다)", "적이 주둔하면 우리는 교란하고, 적이 피로하면 우리는 공격하며, 적이 후퇴하면 우리는 추격한다)"는 유격 전술 원칙을 따랐다.[9] 일본군의 후방을 교란하고 병참선을 차단하기 위해 정규전보다는 소규모 부대를 이용한 기습, 매복, 파괴 공작 등에 주력했다. 백단대전(百団大戦)과 같이 대규모 게릴라 작전을 펼치기도 하였으나, 기본적으로는 마오쩌둥 사상을 기반으로 농촌 등 지역 공동체와 일체화되어 병참 확보가 용이했고, 인민의 바다에 숨어 잠행하며 신출귀몰한 게릴라전을 펼쳤다.

7. 3대 기율 8항 주의

팔로군은 엄격한 군기를 확립하여 민폐를 끼치지 않고 민중의 지지를 얻고자 노력했다. "3대 기율 8항 주의"는 팔로군의 행동 강령으로, 1927년 10월 24일 제창된 이래 내용 추가 및 범위 확대를 위한 수정이 이루어졌다.[15]


  • '''3대 기율'''

# 지휘관의 명령에 복종한다.

# 인민의 것은 바늘 하나, 실오라기 한 올 취하지 않는다.

# 얻어낸 것은 공동 분배한다.

  • '''8항 주의'''

# 말은 온화하게 한다.

# 매매는 공평하게 한다.

# 빌렸으면 되돌려준다.

# 손해를 끼치면 배상한다.

# 구타나 욕설을 하지 않는다.

# 농작물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 부녀자를 희롱하지 않는다.

# 포로를 학대하지 않는다.[16]

이러한 군기는 마오쩌둥이 제정한 것으로,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 휘하 국민혁명군과는 다르게 팔로군이 게릴라전에서 큰 성과를 거두는데 기여했다. 마오쩌둥 사상의 인민전쟁론과 인해전술을 바탕으로 한 공산당 세력은 풀뿌리처럼 증식하여 유격전력의 광범위한 전개를 가능하게 했다.

8. 한국과의 관계



팔로군에는 김무정, 최창익, 허정숙, 박효삼 등 많은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이 참여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조선의용대는 1942년 팔로군에 편입되어 화북조선청년혁명학교를 설립하고 항일 인재를 양성했다. 팔로군에서 활동한 한국인들은 해방 이후 북한으로 귀국하여 조선인민군 창설과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2]

9. 평가 및 의의

마오쩌동의 인민전쟁론과 게릴라 전술을 바탕으로 한 팔로군은 중일 전쟁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팔로군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민중의 지지를 얻으며 세력을 확장했고, 엄격한 군기(삼대기율팔항주의)와 민중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항일전 승리에 기여했다.[14]

일본 항복 후 시작된 국공내전에서 팔로군은 소련군으로부터 넘겨받은 관동군의 장비와[10] 일본군 출신 병사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중국 국민당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중일 전쟁 기간 동안 국민 혁명군과 팔로군 모두 일본에 일방적으로 밀렸다는 평가도 있다. 2008년 당시, 중국 국민 대다수가 "중국 공산당이 일본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믿었지만, 이는 중국 공산당이 중일전쟁을 통해 게릴라 작전 등으로 지지를 얻었다는 주장에 근거한 것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한편, 팔로군에는 조선의용대를 비롯한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하며,[3] 항일 투쟁 과정에서 한중 양국 인민의 연대와 우호에 기여했다.

참조

[1] 서적 People's Wars in China, Malaya, and Vietna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
[2] 서적 Cinematic Guerillas: Propaganda, Projectionists, and Audiences in Socialist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3] 웹사이트 "The Eighth Route Army Treats Us as Friends, Brothers and Comrades."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08-30
[4] 웹사이트 Japanese pacifists "irreplaceable" in China's anti-aggression war: historians https://www.chinadai[...] China Daily 2010-09-06
[5] 웹사이트 96-year-old Kobayashi Kancho http://www.china.org[...] China.org 2015-08-13
[6] 웹사이트 Feature: Japanese veteran of China's Eighth Route Army calls for reflection upon history http://www.xinhuanet[...] xinhua 2017-08-14
[7] 웹사이트 "The Eighth Route Army Treats Us as Friends, Brothers and Comrades."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08-30
[8] 웹사이트 八路軍(はちろぐん)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19-12-06
[9] 서적 北支の治安戦 1 朝雲社
[10] 웹사이트 ああ……悲劇の通化暴動事件!二十一、「八路来了」(パーロー、ライラー) http://www.a-kamita.[...]
[11] 서적 八路軍史 青島出版(中国) 2006
[12] 웹사이트 日中戦争拡大期における中国国民政府の戦争指導 https://www.nids.mod[...] 藤井元博 2024-07-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으로 표기
[13] 서적 八路軍史 青島出版(中国) 2006
[14] 서적 古代オリエント史と私 学生社 1984
[15] 웹사이트 http://www.mod.gov.c[...]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16] 웹사이트 중국 공산당원 100대 금기사항, 너무나도 엄격 https://www.aju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