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단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단대전은 1940년 중국 공산당 팔로군이 산시성을 중심으로 일본군 점령 지역에 가한 대규모 공세 작전이다. 팔로군은 105개 연대를 동원하여 철도와 탄광 등 일본군 시설을 공격,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이 작전은 일본군의 반격을 초래하여 중국 공산당에게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으며, 작전 개시를 둘러싸고 마오쩌둥과 펑더화이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일 전쟁의 전투 - 만주사변
    만주사변은 1931년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 사건을 자작극으로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수립한 사건이며, 일본 군국주의 팽창을 가속화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 중일 전쟁의 전투 - 창더 전투
    창더 전투는 1943년 11월부터 12월까지 중일 전쟁 중 중화민국 창더에서 일본군과 중국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일본군이 창더를 일시 점령했으나 중국군의 반격과 보급 문제로 철수하면서 중국군의 강력한 저항과 미군의 항공 지원, 일본군의 전략적 한계를 보여주었다.
  • 1940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0년 일본 - 삼국 동맹 조약
    1940년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체결한 삼국 동맹 조약은 각국의 제국주의적 야망과 상호 지원을 약속했으나, 실제 협력은 제한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백단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승리한 중국 공산군 병사들이 중화민국 국기를 들고 있음.
승리한 중국 공산군 병사들이 중화민국 국기를 들고 있음.
시기1940년 8월 20일 ~ 1940년 12월 5일
장소화북
결과중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중화민국
중국 공산당
교전국 2일본 제국
재조직 국민 정부
지휘관
지휘관 1펑더화이
주더
쭤취안
류보청
허룽
녜룽전
덩샤오핑
지휘관 2다다 하야오
병력 규모
병력 1200,000명 (팔로군)
병력 2270,000명 (일본군) + 150,000명 (중국인 협력군)
사상자 규모
사상자 122,000명 ~ 100,000명 (탈영 포함), (팔로군만 계산 시 17,000명 사상, 20,000명 이상이 독살됨)
사상자 2중국 공산당 기록:
1. 12,645명 사상, 281명 포로.
2. 일본군 20,645명, 중국인 협력군 5,155명 사상, 일본군 281명, 중국인 협력군 18,407명 포로.
일본군 기록:
1. 총 사상자 수치는 없음, 독립 혼성 여단 4에서 276명 전사.
2. 독립 혼성 여단 2에서 133명 전사, 31명 실종.
서방 자료:
1. 일본군 20,900명 사상, 중국인 협력군 약 20,000명 사상
펑더화이 추정:
1. 일본군과 협력군 30,000명
관련 정보
관련 전투중일 전쟁
일본어 명칭百団大戦 (햐쿠단 다이센)

2. 배경

1939년부터 1940년에 걸쳐, 일본군은 점령지인 허베이 성과 산둥 성 등 화북 지역에서 중국 공산당 게릴라 세력을 소탕하기 위한 작전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여기에는 왕징웨이가 수립한 친일 중화민국 임시 정부 재편 군대도 가담하여 공산 게릴라에 대한 공세를 전개했다.

당시 중국 국민당을 포함한 여러 항일 저항 세력 사이에서는 공산당이 실제 항일 전투에는 소극적이면서 자신들의 세력을 키우는 데만 집중한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중국 공산당은 대규모 군사 작전을 통해 자신들의 항일 전쟁 기여를 증명하고 다른 저항 세력과의 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2. 1. 화북에서의 공산당 세력 신장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일본 육군은 화북 일대를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 국민당 정권 계열 군대가 철수한 뒤 생긴 권력 공백을 틈타 세력을 확장한 것은 중국 공산당이었다. 개전 전 산시성에서 옌시산(국민당에 귀순)과 제휴했던 중국 공산당은, 일본 육군의 진공으로 옌시산의 제2전구군이 산시성 내륙으로 물러나자 그 지역에 남아 근거지를 만들려고 시도했다. 허베이성에서도 공산당 군은 국민당 정권으로부터 지차 전구 사령관으로 임명된 루중린을 공격하여 쫓아냈다[27]. 산시성을 점령 중이던 일본의 제1군은 1940년 4월부터 6월까지 진난 지역에 남아있던 웨일리황의 제1전구군을 공격했는데, 이때에도 중국 공산당은 일본군의 진격을 따라 세력권을 넓혔다[28].

중국 공산당의 부대인 팔로군은 겉으로는 국민 혁명군의 일부로서 국민당 정권의 지휘를 받는 공동 부대였지만, 실제로는 다른 국민 혁명군 부대에 대한 적화 공작과 민병 조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독자적인 전력 양성에 힘썼다. 1940년 봄에는 산시성에 주둔하던 국민당 계열 제97군 대부분을 흡수하기도 했다. 팔로군의 장비는 박격포기관총 수준이었지만 점차 개선되었고, 헬멧을 착용한 병사도 늘어났으며 훈련 수준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팔로군은 "정치 7할, 군사 3할"이라는 방침을 내세우며, 국민당 정권 군의 전투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지 않고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교전을 피하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았다[27].

이러한 공산당의 세력 확장에 대해,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군은 허베이 성과 산둥 성 평원에서 공산 게릴라를 소탕하기 위해 각각 약 1,000명의 전투원을 투입한 109개 이상의 소규모 작전과 각각 10,000명의 병력을 동원한 10개의 대규모 작전을 벌였다. 또한, 왕징웨이의 친일 괴뢰 정권인 중화민국 임시 정부 재편 군대 역시 공산 게릴라를 상대로 공세를 펼쳤다. 일본 육군은 1940년에 들어서면서 공산당의 세력 확대를 우려하여 팔로군에 대한 공격을 점차 늘려갔다. 북지나 방면군은 쇼와 15년도(1940년) 숙정 건설 계획에서 공산당 군을 중점 공격 대상으로 정했다. 하지만 북지나 방면군 소속 제1군은 여전히 국민당 정권의 정규 부대를 격파하는 것도 중요하게 여겼다[28].

한편, 중국 국민당을 비롯한 다른 항일 저항 세력 사이에서는 공산당이 전쟁에 제대로 기여하지 않고 자신들의 세력 확장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공산당은 자신들의 전쟁 기여를 보여주고 다른 세력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계획하게 되었다.

2. 2. 국민당 정권의 동요

1940년 6월 중순, 이창 작전에서의 패배와 왕징웨이 정권의 성립으로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권은 동요하고 있었다. 동공작이라 불리는 중일 평화 협상 역시 진전될 기미를 보였다.

2. 3. 공산당의 공세 계획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군은 허베이 성과 산둥 성 평원에서 공산 게릴라를 소탕하기 위해 각각 약 1,000명의 전투원을 투입한 109개 이상의 소규모 작전과 각각 10,000명의 병력을 동원한 10개의 대규모 작전을 감행했다. 또한, 왕징웨이의 친일 괴뢰 정권인 중화민국 임시 정부 재편 군대 역시 공산 게릴라를 상대로 공세를 펼쳤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 국민당을 비롯한 항일 저항 세력 사이에서는 중국 공산당이 전쟁 노력에 기여하는 바가 적고, 세력 확장에만 관심 있다는 일반적인 정서가 있었다. 이에 공산당은 전쟁 노력에 기여하고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계획했다.

팔로군 총사령관 주더1940년 7월, 옌안에서 열린 회의에서 화북에서의 전투에 대해 과거 3년간 쌓아온 기초를 통해 최종적으로 일본군을 일소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국민당 정권이 동요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일(對日)전의 고양을 꾀하고, 국민당 정권군에 대한 팔로군의 전력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29]

주더와 부총사령관 펑더화이는 같은 달, 백단대전에 대한 준비 명령을 내렸다. 참가 병력은 최소 22개 단(연대)으로 정해졌으며, 주요 공격 목표는 다음과 같은 철도 설비와 광산이었다.

이 작전을 위해 팔로군 진차지 군구의 제120사와 제129사 등이 투입되었다.

3. 전투

1940년까지 팔로군의 성장은 주더와 다른 군 지휘부가 일본군과의 교전을 통해 승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할 정도였다. 이에 1940년 8월 20일, 주더는 팔로군 주력 부대에게 일본군 점령지와 이를 연결하는 철도망에 대한 대규모 합동 공세를 명령했다. 이 공세는 중국공산당의 공식 발표에 따라 시작되었다.

공세 초기(8월 20일 ~ 9월 10일), 팔로군은 주로 허베이성의 더저우-스자좡 구간, 산시성의 스자좡-타이위안 구간, 그리고 산시성 북부의 타이위안-다퉁 구간 등 공산군 근거지를 분리시키던 철도 노선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펑더화이의 원래 작전 계획은 20개 연대 규모였으나, 실제로는 80개가 넘는 연대가 전투에 참여하며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42][13]

팔로군은 교량과 터널 폭파, 철로 파괴 등을 통해 약 970km에 달하는 철도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일본 군수산업에 중요했던 징싱 광구는 이 공격으로 6개월간 운영이 중단되는 큰 타격을 입었다. 이는 중일 전쟁 기간 중 중국 공산당이 거둔 가장 큰 규모의 군사적 성공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러나 10월부터 12월까지 일본군은 대대적인 반격을 개시하여 점령했던 철도를 다시 확보하고, 점령 지역 주변에서 이른바 '소탕 작전'을 전개하며 공산군 근거지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2월 22일, 마오쩌둥펑더화이에게 장제스의 반공 움직임에 대응하고 선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세 종료 선언을 보류할 것을 지시했다.[43][14]

3. 1. 참가 병력

일본 북지나 방면군은 1939년 12월 기준으로 중국공산당 정규군 규모를 약 88,000명으로 추산했으나, 2년 후에는 이 추정치를 140,000명으로 수정했다. 그러나 전투 직전 팔로군은 실제로 105개 연대, 약 400,000명의 병력 규모로 성장해 있었다.[42][13] 팔로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거둔 성공과 병력 확장은 주더를 비롯한 공산군 지휘부가 일본군과의 전면전에서도 승리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했다.

1940년, 주더는 예하 부대에 일본군 점령 도시와 이를 잇는 철도망에 대한 대규모 합동 공세를 명령했다. 이 공세에는 다음과 같은 팔로군 병력이 동원되었다.

  • 제115사단: 46개 연대
  • 제129사단: 47개 연대
  • 제120사단: 22개 연대


원래 펑더화이의 작전 계획은 20개 연대 규모였으나, 실제로는 80개가 넘는 연대가 자발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42][13]

백단대전에 참가한 주요 병력은 다음과 같다. 일부 자료에서는 중일 양측이 각각 20만 명의 병력을 투입했다고 보기도 한다.

3. 2. 1차 공세

1940년 8월 20일, 주더팔로군의 제115사단 46개 연대, 제129사단 47개 연대, 제120사단 22개 연대 등 총 105개 연대에 일본군 점령 도시와 이를 잇는 철도망에 대한 동시 공격을 명령하며 공세를 시작했다. 펑더화이는 본래 20개 연대 규모로 작전을 구상했으나, 실제로는 80개가 넘는 연대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대규모 공세로 확대되었다.[42][13]

공세 초기(8월 20일 ~ 9월 10일), 팔로군은 허베이성의 더저우-`스자좡` 구간, 산시성의 스자좡-`타이위안` 구간, 타이위안-`다퉁` 구간 등 공산군 근거지를 분단시키던 주요 철도 노선을 집중 공격했다. 이들은 교량과 터널을 폭파하고 철로를 파괴하여 약 970km에 달하는 철도를 마비시켰다. 특히 일본 군수산업에 중요했던 징싱 광구는 이 공격으로 6개월간 운영이 중단되는 큰 타격을 입었다.

지역별 전투 상황은 다음과 같다.

  • 경한선(징한선): 진차지변구 군 일부와 제129사단 일부 등 8,000명 이상이 철도를 습격했으나, 일본 제110사단과 독립혼성 제1여단의 반격으로 8월 25일까지 격퇴되었다.
  • 동포선(퉁푸선): 팔로군은 일본 독립혼성 제3·제9여단 및 제41사단과 교전했다.
  • 석태선(스타이선) 및 타이위안 방면: 제129사단 6,000명과 기타 부대가 공격에 나섰다. 이 지역 일본군은 독립혼성 제4·제8·제9여단 병력이 넓은 지역에 소대 이하 단위로 분산 배치되어 경비가 허술했다. 예를 들어 낭자관 지구에서는 1개 중대가 20km 구간을 6개 거점으로 나누어 방어하다가, 우연히 지나던 열차 병력의 지원으로 간신히 버텼다. 징싱 탄광 역시 3개 채굴 지점에 각각 1개 분대 정도만 배치된 상태에서 1,000명 이상의 팔로군 공격을 받았고, 그중 1개 지점은 방화로 완전히 파괴되었다.[30]


일본 제1군은 8월 30일부터 9월 18일까지 독립혼성 제4·제9여단을 동원하여 석태선 방면의 제129사단을 공격하는 반격 작전('''제1기 진중 작전''')을 펼쳤고, 팔로군은 이를 피해 분산 후퇴했다.

3. 3. 일본군의 반격 (1차 진중 작전)

일본 제1군은 독립혼성 제4여단과 독립혼성 제9여단을 동원하여 반격에 나섰다. 8월 30일부터 9월 18일까지 이어진 이 작전( '''제1기 진중 작전''' )은 석태선 방면을 공격했던 제129사단을 목표로 했다. 팔로군은 일본군의 반격을 피해 분산하여 퇴각했다.[30]

3. 4. 2차 공세

9월 22일, 팔로군은 부대를 모아 동포선에 대한 공격을 다시 시작했다. 동포선 연선의 닝우현을 지키던 일본군 독립혼성 제3여단 예하 거점들은 이날 이른 아침 팔로군의 일제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31] 일본군 독립혼성 제3여단은 다음 날인 23일부터 반격을 시작해 10월 2일까지 팔로군을 물리쳤다.

석태선 방면에서도 9월 24일 아침, 팔로군 제129사단을 중심으로 한 정예 부대가 다시 공격을 시작했다. 위사현과 요현 사이에 흩어져 있던 일본군 독립혼성 제4여단의 약한 경비 거점 대부분이 거의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다.[32] 9월 한 달 동안 이 여단에서 발생한 전사자는 162명으로, 백단대전 기간 중 가장 많은 수치였다. 일본군 독립혼성 제4여단은 구원 부대를 보내 석태선의 각 거점을 다시 확보했다.

반격을 받은 팔로군은 요현 부근 산지와 동로선(동포선에서 태곡에서 로안으로 갈라지는 노선) 서쪽 산지의 근거지로 돌아가 동로선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 제1군은 '''제2기 진중 작전'''을 실시하여 중국공산당 세력을 없애려 했다. 일본 제1군은 10월 11일부터 12월 3일까지 제36사단, 제37사단, 제41사단, 독립혼성 제4여단을 동원하여 팔로군 부대를 추격하고 근거지에 대한 초토화 작전을 벌였다.[31]

3. 5. 일본군의 재반격 (2차 진중 작전)

9월 22일, 팔로군산시성 방면에서 동포선(同蒲線)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동포선 연선의 닝우현을 경비 중이던 일본군 독립혼성 제3여단 예하 거점은 22일 이른 아침 일제 공격을 받아 상당한 손해를 입었다.[31] 독립혼성 제3여단은 이튿날 23일부터 반격을 시작하여 10월 2일까지 팔로군을 격퇴했다.

석태선(石太線) 방면에 대해서도 9월 24일 아침, 제129사단을 중심으로 한 팔로군의 정예 부대가 재공격을 감행했다. 위사현과 좌권현 사이에 분산 배치되어 있던 독립혼성 제4여단의 취약한 경비 거점의 대부분이 전멸에 가까운 손해를 입었다.[32] 9월의 해당 여단의 손해는 백단대전 기간 중 최다인 전사 162명에 달했다. 독립혼성 제4여단은 구원 부대를 파견하여 석태선의 각 거점을 복구했다.

반격을 받은 팔로군은 요현 부근의 산지 및 동로선(동포선에서 태곡(太谷)에서 로안(潞安)으로 분기) 서쪽 산지의 근거지로 귀환하여 동로선에 대한 습격을 계속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제1군은 제2기 진중 작전을 실시하여 공산당 세력의 격멸을 꾀했다. 제1군은 10월 11일부터 12월 3일에 걸쳐 제36사단, 제37사단, 제41사단, 독립혼성 제4여단을 출격시켜 팔로군 부대의 추격과 근거지에 대한 초토화 작전을 감행했다.[31]

한편, 9월 22일 산시성 방면에서의 제2차 공세와 동시에, 차하얼성 차난(察南) 남경(南境) 지역에 집결해 있던 팔로군 부대도 일본군의 소규모 거점, 통신선, 도로 등 일본 측 시설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이에 대해, 일본의 주몽군은 주력 부대를 푸쭤이 군에 대한 경계를 위해 출격 중이었기 때문에 병력 면에서 매우 불리한 상태로 전투를 치르게 되었다. 독립혼성 제2여단의 독립 보병 제4대대는 라이위안현에서 분산 경비 중에 습격을 받아 포위되었고, 그중 두 곳의 분주 거점이 며칠간의 전투 끝에 전멸했다[33]. 전력을 집결한 주몽군은 9월 28일까지 포위된 아군 부대를 구출하고,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진차지변구 숙청 작전을 실행하여 팔로군 부대를 소탕했다.

4. 결과

팔로군은 12월 5일 이전 통계를 기반으로 두 가지 상반된 보고서를 남겼다. 한 보고서는 일본군 12,645명과 괴뢰군 5,153명을 사살하고 일본군 281명과 괴뢰군 1,407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293개의 거점을 점령했다고 기록했다. 다른 보고서에서는 일본군 20,645명과 괴뢰군 5,155명을 사살 또는 부상시키고, 일본군 281명과 괴뢰군 18,407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일본군 47명과 괴뢰군 1,845명이 투항했고 2,993개의 거점을 점령했다고 주장했다.[44][15] 두 기록은 동일한 수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이유는 불명확하다.[44][15] 2010년 중국 측 기사에서는 전투를 통한 적군 사상자가 50,000명 이상일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45][46][16][17]

반면, 일본군 측의 전체 피해를 종합한 자료는 없으나, 개별 부대 기록은 존재한다. 가장 큰 피해를 본 제4독립혼성여단에서는 전사자 276명이 발생했고,[38][9] 제2독립혼성여단에서는 전사자 133명과 실종자 31명이 기록되었다.[47][18] 서방 자료에서는 일본군 사상자 20,900명과 협력자(괴뢰군) 사상자 약 20,000명으로 추산한다.[36][4]

시설 피해 규모에 대해서도 양측의 기록은 차이를 보인다. 일본 측은 기습 공격으로 인해 역사가 파괴되고, 레일이 빠지거나 침목이 불타는 등 상당한 시설 피해를 입었다고 인정했다.[33]

피해 종류중국 측 주장[19]일본 측 기록[33][19]
철도 파괴474km44km 이상 (117건)
도로 파괴1502km기록 없음
교량 파괴213개73개
터널 파괴11개3개
역 파괴/소실37개20개
급수탑 파괴기록 없음5개
전신주 절단1,333개1,333개
전신주 도괴기록 없음1,107개
전선 절단146km146km
광산 기능 정지징싱탄광(Jingxing Coal Mine) 반년 중단[48][19]징싱탄광 채굴장 1곳 반년 중단[33]



팔로군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중국 측 자료에서도 팔로군의 전사상자가 22,000명을 넘는다고 인정하고 있다.

5. 논란

펑더화이마오쩌둥은 1937년 8월 뤄촨 회의 때부터 일본군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 방식을 두고 의견 차이를 보였다. 마오쩌둥은 장비가 잘 갖춰진 일본군과의 정면 대결로 중국 공산당의 병력 손실을 우려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마오쩌둥은 린뱌오에게 "일본이 더 많은 영토를 점령하게 하는 것이 그대의 나라를 사랑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 나라는 장제스가 사랑한 나라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49][20] 이러한 견해 차이 속에서 백단대전은 공산당 군대가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과 벌인 마지막 대규모 정규전이 되었다.

백단대전 개시를 둘러싸고 펑더화이가 중국 중앙군사위원회나 마오쩌둥의 승인 없이, 심지어 보고조차 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작전을 시작했다는 논란이 있다. 1945년 초 북중국 회의에서 마오쩌둥에게 알리지 않고 전투를 시작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50][21] 펑더화이 자신도 회고록 '펑더화이 자술'(彭德怀自述)에서 7월 말 중앙군사위원회의 승인을 기다리지 않고 공세를 명령했으며 이를 후회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판저친은 이를 펑더화이의 기억 착오라고 주장하며, 실제 작전 개시일은 공식적으로 8월 20일이었으므로 사실상 승인을 받은 것이라고 반박했다.[52][23] 녜룽전 역시 펑더화이를 옹호했는데, 그는 팔로군 사령부가 상부에 정타이 철도 습격 및 파괴 계획을 보고했으며, 이는 게릴라전에서 흔히 있는 일상적인 작전 수행이었기에 별도의 승인이 필요 없는 문제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녜룽전은 정확한 작전 개시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53][24]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마오쩌둥의 정책에 반대하여 실각한 펑더화이에게 백단대전은 문화대혁명 시기 또 다른 비판의 빌미가 되었다. 1967년 칭화대학교의 홍위병은 중앙 문화대혁명 위원회의 지지를 받아 발행한 전단에서 "사악한 펑더화이는 주더와 함께 충칭과 시안을 방어한다는 명분으로 공세를 펼쳤다. 그는 마오 주석의 지시를 거부하고 모험적인 충동으로 105개 연대를 동원했다... 마오 주석은 '펑더화이가 나와 상의도 없이 어떻게 그런 큰 움직임을 만들었는가? 우리 군은 완전히 노출되었다. 결과는 끔찍할 것이다'라고 말했다"며 펑더화이를 맹비난했다.[51][22]

작전 자체는 성공적이었지만, 마오쩌둥은 훗날 루산 회의에서 백단대전이 일본군의 잔혹한 삼광작전을 유발한 주요 원인이었다고 주장하며 펑더화이를 비난하는 근거로 삼았다. 이는 마오쩌둥이 경제적으로 큰 재앙을 초래한 대약진 운동에 대한 비판을 회피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였다는 평가도 있다. 문화대혁명 이후 중국 내에서는 백단대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여론이 우세하지만, 최근 일부 기사에서는 류보청 등이 펑더화이의 작전 개시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하기도 한다.[54][25]

6. 영향

일본군은 지금까지 경시해 왔던 중국 공산당군의 전투 능력에 대한 평가를 고쳐, 대항책을 강화했다.

먼저 기습 공격을 받은 것에 대한 반성으로, 중국 공산당군에 관한 정보 수집 태세가 강화되었다. 일본군 북지나 방면군 사령부의 제2과(정보 부문)는 중국 공산당에 대한 조사에 중점을 두었다. 중국 공산당군의 암호국민당군의 것과 달라서 해독이 곤란하다고 여겨졌지만, 1941년 2월 중순에는 그 일부 해독에 성공했다.

또한 북지나 방면군의 작전 방식도 국민당 정규군을 야전에서 격파하는 것에서, 공산당군을 진압하는 데 더욱 중점을 두게 되었다. 경비 병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작전 방식도 개선되었다. 포착이 어려운 공산당군 추격은 피하고, 대신 일본 측 지배 하의 마을이나 철도 등을 토치카나 참호로 방어했다. 그리고 공산당군 지배 지역에 대해서는 구획을 나누어 조금씩 철저히 소탕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중국 측은 이러한 일본군의 침공 방식을 "잠식 작전"이라고 불렀다[34].

일본군의 이러한 대책으로, 중국 북부에서의 일본 측의 소위 '치안 활동' 성과는 현저하게 높아졌다.

7. 전략적 평가

중국공산당은 『항일 전쟁 시기 중국 인민 해방군』, 『팔로군 백단대전 특보』와 같은 공식 문헌에서 백단대전을 높이 평가하며, 이 전투가 중국 전역에 큰 충격을 주고 일본군을 공포에 떨게 했다고 서술한다.

그러나 백단대전은 전술적으로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일본군의 본격적인 중국공산당 소탕 작전, 특히 파괴적인 삼광작전을 유발했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는 너무 이른 공세였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21] 실제로 전투 이후 1941년부터 1942년까지 중국공산당은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마오쩌둥은 훗날 백단대전이 삼광작전을 초래한 주요 원인이었다고 주장하며, 대약진 운동의 실패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를 비난하는 근거로 삼기도 했다.

또한 백단대전은 지휘관이었던 펑더화이의 정치적 실각과도 연관된다. 문화 대혁명 시기 홍위병 등은 펑더화이가 마오쩌둥의 지시 없이 독단적으로 전투를 개시하여 팔로군의 전력을 불필요하게 노출시켰다고 비판했다.[22] 펑더화이 본인도 자서전에서 중앙군사위원회의 최종 승인 전에 작전 명령을 내렸다고 인정하며 후회했지만,[23] 녜룽전 등 일부 인물들은 정상적인 보고 절차를 거쳤다고 반박하기도 했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로군의 전력을 과도하게 노출시킨 것은 펑더화이의 주요한 실책 중 하나로 지적된다. 일부에서는 류보청 역시 펑더화이의 독단적인 전투 개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었다고 전한다.[25] 이러한 논란은 펑더화이와 마오쩌둥 사이의 오랜 전략적 견해 차이와 정치적 갈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20]

참조

[1] 서적 Deng Xiaoping: The Man who Made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10-27
[2] 웹사이트 说不尽的百团大战 (2)--中国共产党新闻--中国共产党新闻-人民网 https://web.archive.[...] 2014-02-05
[3]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历史研究部
[4] 문서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5] 문서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Vol 1: July 1937-May 1942
[6] 웹사이트 说不尽的百团大战 (2)--中国共产党新闻--中国共产党新闻-人民网 https://web.archive.[...] 2014-02-05
[7] 문서 These two records were both based on the same figure but separate to two different records for unknown reason
[8] 간행물 关于百团大战战绩统计的依据问题
[9] 서적 Senshi Sosho 支那事変陸軍作戦Shina Jihen Rikugun Sakusen Asagumo Shinbun-sha 1975-07
[10] 서적 『北支の治安戦(1)』
[11] 서적 彭德怀自述 (The Autobiography of Peng Dehuai) People's Press
[12] 문서 Peasant Nationalism and Communist Power: The Emergence of Revolutionary China 1937–1945
[13] 웹사이트 百团大战内幕:80多个团参战"没打招呼"_历史_凤凰网 http://news.ifeng.co[...]
[14] 웹사이트 百团大战内幕:80多个团参战"没打招呼"_历史_凤凰网 http://news.ifeng.co[...]
[15] 간행물 关于百团大战战绩统计的依据问题
[16] 웹인용 《说不尽的百团大战》 http://cpc.people.co[...] 2014-11-29
[17]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全史 军事科学出版社
[18] 서적 『北支の治安戦(1)』
[19] 문서
[20] 논문 Can the Weak Defeat the Strong? Mao's Evolving Approach to Asymmetric Warfare in Yan'an https://crawford.anu[...] 2008-12
[21] 웹사이트 毛泽东评彭德怀反省百团大战等问题:认错勉强_历史频道_凤凰网 http://news.ifeng.co[...]
[22] 문서 |
[23] 문서 The original texts are 实际上,百团大战发起日期是8月20日,比原定日期8月10日左右(《战役预备命令》中规定的)推迟了10天,而并非是提前了10天,这当是彭德怀记忆之误。此点说明百团大战不是彭德怀背着中共中央军委擅自发动的。
[24] 문서 Original words:有种传说,说这个战役事先没有向中央军委报告。经过查对,在进行这次战役之前,八路军总部向中央报告过一个作战计划,那个报告上讲,要两面破袭正太路。破袭正太路,或者破袭平汉路,这是游击战争中经常搞的事情,可以说,这是我们的一种日常工作,不涉及什么战略问题。这样的作战计划,军委是不会反对的
[25] 웹사이트 老帅中为何刘伯承最先被打倒:与彭德怀早有很深误会(2)--文史--人民网 https://web.archive.[...] 2011-12-16
[26] 웹사이트 百団大戦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2-17
[27] 문서 『支那事変陸軍作戦(3)』
[28] 문서 『支那事変陸軍作戦(3)』
[29] 문서 『支那事変陸軍作戦(3)』
[30] 문서
[31] 문서 『支那事変陸軍作戦(3)』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历史研究部
[36] 서적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37]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Vol 1: July 1937-May 1942
[38] 서적 Senshi Sosho 支那事変陸軍作戦Shina Jihen Rikugun Sakusen<3>(Volume 88) Asagumo Shinbun-sha 1975-07
[39] 서적 北支の治安戦(1)
[40] 서적 彭德怀自述 (The Autobiography of Peng Dehuai) People's Press 1981
[41] 서적 Peasant Nationalism and Communist Power: The Emergence of Revolutionary China 1937–1945
[42] 웹인용 百团大战内幕:80多个团参战“没打招呼”_历史_凤凰网 http://news.ifeng.co[...] 2020-12-02
[43] 웹인용 百团大战内幕:80多个团参战“没打招呼”_历史_凤凰网 http://news.ifeng.co[...] 2020-12-02
[44] 간행물 关于百团大战战绩统计的依据问题 1993
[45] 웹사이트 《说不尽的百团大战》 http://cpc.people.co[...] 中国共产党新闻 2014-11-29
[46]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全史 军事科学出版社 2000
[47] 서적 北支の治安戦(1)
[48] 문서 森松(1982)、136頁
[49] 논문 Can the Weak Defeat the Strong? Mao’s Evolving Approach to Asymmetric Warfare in Yan’an https://crawford.anu[...] 2008-12
[50] 웹인용 毛泽东评彭德怀反省百团大战等问题:认错勉强_历史频道_凤凰网 http://news.ifeng.co[...] 2020-12-02
[51] 문서 Original words::1940 年 8 月——12 月,彭贼伙同朱德等发动了‘百团大战’,公然提出要‘保卫大后方’‘保卫重庆’‘保卫西安’……拒不执行毛主席提出的我军‘基本的是游击战,但不放弃有利条件下的运动战’的方针,大搞冒险主义、拼命主义,先后调动了一百零五个团,共四十万兵力……全线出击,打攻坚战、消耗战。百团大战,过早暴露了我军力量……毛主席早在百团大战进行时就严厉地批评了彭德怀等的错误做法,毛主席说:‘彭德怀干这么大事情也不跟我商量,我们的力量大暴露了,后果将是很坏。’---浙江省革命造反联合总指挥部:《毛主席革命路线胜利万岁--党内两条路线斗争大事记(1921-1968)》(Zhejiang Province Revolutionary Uprising Combined Headquarters:Long live the victory of Chairman Mao's revolution route-Chronicles of the conflict of two routes within Party 1921–1968) 1969 May, p. 79
[52] 문서 The original texts are 实际上,百团大战发起日期是8月20日,比原定日期8月10日左右(《战役预备命令》中规定的)推迟了10天,而并非是提前了10天,这当是彭德怀记忆之误。此点说明百团大战不是彭德怀背着中共中央军委擅自发动的。
[53] 문서 Original words:有种传说,说这个战役事先没有向中央军委报告。经过查对,在进行这次战役之前,八路军总部向中央报告过一个作战计划,那个报告上讲,要两面破袭正太路。破袭正太路,或者破袭平汉路,这是游击战争中经常搞的事情,可以说,这是我们的一种日常工作,不涉及什么战略问题。这样的作战计划,军委是不会反对的
[54] 웹인용 老帅中为何刘伯承最先被打倒:与彭德怀早有很深误会(2)--文史--人民网 http://history.peopl[...] 2020-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