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형영성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형영성체파는 1414년 미에스의 야곱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성찬례에서 평신도에게 성체와 성혈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양종 영성체를 주장하며 후스파의 온건파로 활동했다. 15세기에는 '프라하파' 또는 '칼릭스티네스'로 불리며, 가톨릭 세력과 동맹하여 리파니 전투에서 급진파를 물리쳤다. 이후 쿠트나 호라 종교 평화를 통해 가톨릭과 상호 합의를 이루었으나, 백산 전투 이후 재가톨릭화 과정을 겪었다. 1781년 요제프 2세의 관용 칙령으로 다시 허용되었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대 가톨릭 실천에서는 각 교구 주교가 양형 영성체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스 전쟁 -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은 정치적, 종교적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관리나 반대파를 창밖으로 던진 사건으로, 1419년 제1차 사건은 후스 전쟁의, 1618년 제2차 사건은 30년 전쟁의 발단이 되었으며, 1948년 얀 마사리크 외무장관 의문사도 제3차 사건으로 불리며 암살 의혹이 있다.
  • 후스 전쟁 - 타보르파
    타보르파는 1420년 후스파가 건설한 타보르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 평등을 추구하며 공동체 생활을 한 급진적인 종교 및 사회 운동으로, 후스 전쟁에서 활약했고 이후 모라비아 형제단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기 무정부공산주의의 예로 평가받기도 한다.
  • 15세기 개신교 - 후스파
    후스파는 얀 후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15세기 초 보헤미아 왕국에서 시작된 종교 개혁 운동으로, 평민의 성찬 참여, 체코어 예배, 교회 부패 비판 등을 주장하며 체코 민족 의식 고취에 기여했고, 후스 전쟁을 거쳐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모라비아 교회와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를 통해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15세기 개신교 - 타보르파
    타보르파는 1420년 후스파가 건설한 타보르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 평등을 추구하며 공동체 생활을 한 급진적인 종교 및 사회 운동으로, 후스 전쟁에서 활약했고 이후 모라비아 형제단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기 무정부공산주의의 예로 평가받기도 한다.
양형영성체파
종교 정보
종교기독교
신학적 분류후스파
종교 지도자콘스탄츠 공의회 이전의 얀 후스
기원15세기 초 보헤미아
분리콘스탄츠 공의회 이후
주요 인물야코베우스 미사에
다른 이름성배파
양형영성체파
공동영성체파
역사적 맥락
배경얀 후스의 가르침
콘스탄츠 공의회
주요 사건후스 전쟁
바젤 공의회
쿠트나 호라 종교 화약
신학적 특징
주요 교리평신도에게 빵과 포도주 모두를 제공하는 성찬례
중요성성경의 권위
모든 기독교인의 평등
영향
파생된 종교 운동모라비아 형제단
관련 주제종교 개혁
보헤미아 종교 개혁
추가 정보
관련 용어지기슴운트
후스파

2. 역사

알폰스 무하의 작품, '슬라브 서사시' 중 '크르지키에서의 만남: 양종 성찬'(1916)


양형영성체파는 1414년 카렐 대학교 교수 미에스의 야곱이 성찬례에서 성체성혈을 모두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사제만이 성혈을 받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에, 이는 혁신적인 주장이었다.[1]

15세기 양형영성체파는 후스파의 온건파로, 성작을 상징으로 삼아 '칼릭스티네스'라고도 불렸다. 이들은 빵과 포도주의 화체설 등 가톨릭 교리를 대체로 지지했다.[4]

이후 양형영성체파는 가톨릭 세력과 연합하여 1434년 리파니 전투에서 급진적인 타보르파와 시로트치파를 물리쳤다.[1] 후스 전쟁 이후 보헤미아 왕국에서 양형영성체파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1485년 쿠트나 호라 종교 평화를 통해 가톨릭과의 상호 합의를 이루었다.

2. 1. 초기 기원과 발전

1414년 카렐 대학교 철학 교수인 미에스의 야곱이 양형영성체 교리를 처음 제안했다.[1] 이 교리는 성찬례를 평신도를 포함한 모든 신도들에게 성체성혈 모두 '양종'으로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축성된 포도주는 사제만이 받아 마시는 것이 관례였다.[3]

야곱은 성찬을 양종으로 제공하고 받아야 하며, 이는 그리스도의 계율이므로 교회가 변경할 수 없다고 가르쳤다. 양형 영성체(양종)를 받는 자만이 그리스도의 교회에 속한다.[1] 그는 구원을 위해 이것이 필요한지,[2] 성찬의 구원적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지,[2] 아니면 의무인지에 대해 자료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3]

15세기 양형영성체파는 후스파의 온건파였으며, 성사에 대한 강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빵과 포도주의 화체설과 가톨릭성을 지지했다.[4] (더 급진적인 타보르파, 오레비테파, 그리고 시로트치파와는 대조적으로, 이들은 존 위클리프의 신념에 더 가까웠다.) 그들은 또한 프라하파 또는 칼릭스티네스(Calixtines)로 알려졌는데, 이는 그들의 상징인 성작을 뜻하는 라틴어 '칼릭스'(calix)에서 유래되었다.[3]

2. 2. 후스 전쟁과 그 이후

양형영성체파는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과 동맹을 맺고(바젤 공의회 이후) 1434년 리파니 전투에서 급진적인 타보르파와 시로트치파를 물리쳤다.[1] 그 후, 후스파 부흥의 거의 모든 형태는 양형영성체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르지 즈 포데브라디는 타보르파의 주요 거점이었던 타보르 마을을 양형영성체파로 개종시키기도 했다. 1485년 쿠트나 호라 종교 평화를 통해 가톨릭과 양형영성체파 간의 상호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후스 전쟁이 종식되었다. 후스 전쟁에서 승리한 후, 양형영성체파는 보헤미아 왕국의 다수를 차지했다.

2. 3. 17세기 이후

16세기에는 당시 인구의 상당수가 루터교 이전의 개신교인 형제단 연합과 루터교를 받아들였으며, 양형영성체 교회는 도시에서 강세를 유지했다.

1620년 백산 전투는 보헤미아 반란의 종말을 알렸고, 보헤미아 왕관 영토에서 재가톨릭화가 진행되었다. 1627년에는 양형 성찬이 다시 금지되었으나, 1781년 요제프 2세의 관용 칙령에 의해 다시 허용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대 가톨릭 실천에서, 각 교구의 주교는 교구 내에서 성찬을 한 형태 또는 두 형태 모두로 받을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1419년~1620년보헤미아 왕관령에서의 후스파의 지배 영역. 국경은 현재와 같다.

3.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Jakoubek of Stříbro’s Czech Výklad Na Zjevenie and Its Latin Reception in Hussite Exegetical Texts https://www.jstor.or[...] 2018
[2] 논문 Interpreting the Intention of Christ: Roman Responses to Bohemian Utraquism from Constance to Basel https://www.jstor.or[...] Fordham University Press 2017
[3] 논문 Sub Utraque Specie: The Arguments of John Hus and Jacoubek of Stříbro in Defence of Giving Communion to the Laity Under Both Kinds https://www.jstor.or[...] 2002
[4] 논문 The Trope Gregorius presul meritis in Bohemian Tradition: Its Origins, Development, Liturgical Function and Illustration http://www.brrp.org/[...] 202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